맨위로가기

인터페이스 메시지 프로세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터페이스 메시지 프로세서(IMP)는 1969년 ARPANET의 핵심 장비로 개발되어, ARPANET 폐지 시점까지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60년대 초 폴 바란의 패킷 통신 연구를 바탕으로 개발되었으며, 각 호스트 컴퓨터와 전송 라인 네트워크 사이에 소형 컴퓨터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BBN에서 제작되었으며, 1969년 UCLA에 첫 번째 IMP가 설치되었다. IMP는 BBN 보고서 1822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 연결 방법이 명시되었으며, 1822 프로토콜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했다. IMP 1호기는 UCLA에 설치되었으며, 현재 UCLA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트워크 하드웨어 - 가정용 게이트웨이
    가정용 게이트웨이는 가정 내 네트워크와 인터넷을 연결하는 장치로, 라우팅, NAT, 방화벽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웹 인터페이스나 앱으로 구성 가능하지만 보안 취약점의 문제가 있다.
  • 네트워크 하드웨어 - 네트워크 스위치
    네트워크 스위치는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경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장치로, 특정 장치에만 데이터를 전송하여 네트워크 속도를 향상시키고 안정성을 높이며, 관리 기능 유무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뉜다.
  • 인터넷의 역사 - 네트워크 접속 지점
    네트워크 접속 지점(NAP)은 미국에서 ISP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연결점 중 하나이며, 미국 과학재단이 지원하여 설립되었고, 현재는 공용 교환 설비를 제공하지만 인터넷 트래픽의 대부분은 NAP를 거치지 않고 처리된다.
  • 인터넷의 역사 - 구글 크롬
    구글 크롬은 구글이 개발한 웹 브라우저로, 크로미엄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오픈 소스 코드를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기능과 운영체제 지원을 통해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지만 개인 정보 보호 정책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네트워크 프로토콜 - UUCP
    UUCP는 유닉스 시스템 간 파일 복사, 원격 명령 실행, 이메일 및 유즈넷 뉴스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및 프로그램 모음으로, 초기 인터넷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TCP/IP 기반 서비스 보편화로 사용이 감소했다.
  • 네트워크 프로토콜 - 프레임 릴레이
    프레임 릴레이는 LAN 간 또는 WAN 종단점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고속 패킷 교환 방식 통신 프로토콜로, X.25 프로토콜을 간소화하여 속도를 높이고, 영구 가상 회선을 통해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하며, 서비스 품질 설정을 통해 프레임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다른 기술에 밀려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인터페이스 메시지 프로세서
개요
종류컴퓨터 네트워크 장치
목적ARPANET의 노드 간 통신 처리
개발BBN 테크놀로지스
첫 번째 설치1969년 9월 2일, UCLA
기반허니웰 DDP-516
기능패킷 스위칭
후계라우터
역사적 배경
개발 배경ARPANET의 초기 노드 간 통신을 담당하기 위해 개발됨.
기술적 세부 사항
하드웨어 플랫폼초기에는 허니웰 DDP-516 미니컴퓨터를 기반으로 함. 이후 더 큰 허니웰 316으로 대체됨.
소프트웨어 기능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
메시지를 패킷으로 분할.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을 목적지 IMP로 전송.
다른 IMP로부터 메시지 수신.
패킷을 메시지로 재조립.
메시지를 목적지 호스트 컴퓨터로 전송.
특징각 IMP는 최대 4개의 호스트를 지원 가능.
각 IMP는 초당 최대 50 킬로비트의 속도로 다른 IMP와 통신 가능.
추가 정보
중요성현대 인터넷 라우터의 선구자 역할을 수행함.

2. 역사

인터페이스 메시지 프로세서(IMP)는 현재 인터넷의 기원이 되는 1969년 ARPANET 탄생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60년대 초 폴 배런의 패킷 통신에 관한 여러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1967년 4월 방위고등연구계획국(ARPA)에서 열린 ARPANET Design Session에서 IMP 아이디어에 대한 첫 번째 논의가 이루어졌다. 1969년 ARPANET 개발에 참여했던 로렌스 로버츠와 BBN사의 밥 칸 등에 의해 개발되었다. 패킷 전송은 스토어 앤드 포워드형으로 설계되었다. 각 라우터는 2초마다 경로 정보를 전송하고, 최소 트랜짓 타임을 가진 경로를 평가했으며, 0.5초마다 경로표를 각 송신처까지의 트랜짓 타임을 최소화하도록 갱신하는 동적 라우팅 알고리즘도 구현되었다.[25] 이 알고리즘 역시 폴 배런이 고안한 것이다.

1969년 IMP 발명 후, NCP 프로토콜 스택의 시제품이 제작되었다.[26] 1969년 10월 29일 IMP를 사용한 통신 성공으로 세계 최초로 서로 다른 조직의 네트워크가 상호 연결되었고, ARPANET의 개념이 실증되었다. 당시 ARPANET은 매우 취약한 시스템이었으며, 처음에 전송할 예정이었던 'LOGIN' 문자열 중 'L'과 'O'를 전달하는 순간 시스템이 다운되었다. 1970년에는 NCP가 본격적으로 운용 가능한 상태로 완성되었다.[27]

IMP의 변형으로, 전신타자기와 같은 터미널과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TIP(Terminal IMP)가 있었다. 이는 Honeywell 316을 기반으로 했다. 나중에 일부 Honeywell 기반 IMP는 다중 처리 BBN Pluribus IMP로 대체되었지만, BBN은 Honeywell 머신의 마이크로프로그래밍된 클론을 개발했다.

클레인록 인터넷 유산 사이트 및 아카이브 개관식에서 찍은 첫 번째 IMP의 전면 패널

2. 1. 개발 배경

"인터페이스 컴퓨터" 개념은 1966년 영국의 NPL 네트워크를 위해 도널드 데이비스가 처음 제안했다.[39][40][41][42] 1967년 초, 방위고등연구계획국(ARPA)의 주요 조사관 회의에서 전국적인 상호 연결 기계를 논의하면서 이와 동일한 아이디어가 독립적으로 개발되었다. 아파넷 구현을 주도한 래리 로버츠는 처음에 호스트 컴퓨터 네트워크를 제안했지만, 웨스 클라크(Wes Clark)는 "각 호스트 컴퓨터와 전송 라인 네트워크 사이에 작은 컴퓨터"를 삽입할 것을 제안하여 IMP를 별도의 컴퓨터로 만들었다.[43]

1969년, 볼트 베라넥 앤 뉴먼(BBN)이 IMP를 건설했다. BBN은 4개의 IMP를 건설하기로 계약했으며, 첫 번째 IMP는 노동절까지 UCLA에, 나머지 3개는 그 후 한 달 간격으로 배달되어 총 12개월에 걸쳐 전체 네트워크를 완성할 예정이었다. 매사추세츠주 상원 의원 에드워드 케네디는 BBN이 백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을 듣고 "종교 간 메시지 프로세서" 구축 계약을 체결한 회사를 축하하는 전보를 보냈다.[43]

IMP 팀 (좌에서 우로): Truett Thatch, Bill Bartell (Honeywell), Dave Walden, Jim Geisman, Robert Kahn, Frank Heart, Ben Barker, Marty Thorpe, Will Crowther, 그리고 Severo Ornstein, Bernie Cosell은 사진에 없음


IMP 팀은 스스로를 "IMP Guys"라고 불렀으며,[11]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 팀 리더: Frank Heart[12]
  • 소프트웨어: 윌리 크라우더, David Walden, Bernie Cosell 및 Paul Wexelblat
  • 하드웨어: Severo Ornstein, Ben Barker
  • 전반적인 시스템 설계를 위한 이론 및 공동 작업: Bob Kahn
  • 기타: Hawley Rising
  • 나중에 IMP 팀에 추가됨: Marty Thrope (하드웨어), Jim Geisman, Truett Thach (설치), Bill Bertell (Honeywell)


BBN은 1969년 2월에 수정된 Honeywell DDP-516s에서 프로그래밍 작업을 시작했다. 완성된 코드는 6천 단어였으며 Honeywell 516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되었다. IMP 소프트웨어는 주로 PDP-1에서 제작되었으며, 여기서 IMP 코드가 작성 및 편집된 다음 Honeywell에서 실행되었다.

NPL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영국 팀 및 RAND의 폴 배런과의 기술 교류가 상당했지만, BBN 팀은 라우팅, 흐름 제어, 소프트웨어 설계 및 네트워크 제어와 같은 네트워크 내부 운영의 중요한 측면을 독립적으로 개발했다.[13][14][15][16][17][18][19]

BBN은 IMP를 단순히 "저장 후 전달"만 하는 "메신저"로 설계했다.[11] BBN은 호스트-IMP 사양만 설계했으며, 호스트 사이트에서 개별 호스트 간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도록 했다. IMP에는 오류 제어 메커니즘이 있어 오류가 있는 패킷을 수신 확인 없이 폐기했다. 소스 IMP는 수신 확인을 받지 못하면 나중에 중복 패킷을 다시 전송했다. ARPA의 제안 요청 요구 사항에 따라 IMP는 오류 수정을 위해 24비트 체크섬을 사용했다. BBN은 소프트웨어 계산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빠른 옵션이므로 IMP 하드웨어에서 체크섬을 계산하도록 선택했다. IMP는 처음에 사이트당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되도록 구상되었지만, 호스트 사이트의 연구원과 학생들의 요구로 인해 각 IMP는 궁극적으로 여러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되도록 설계되었다.

첫 번째 IMP는 1969년 8월 30일 레너드 클레인록의 UCLA 그룹에 전달되었다. 이 IMP는 SDS Sigma 7 호스트 컴퓨터를 사용했다. Douglas Engelbart의 스탠퍼드 연구소(SRI) 그룹은 1969년 10월 1일에 두 번째 IMP를 받았다. 이 IMP는 SDS 940 호스트에 연결되었다. 세 번째 IMP는 1969년 11월 1일에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에 설치되었다. 네 번째 IMP는 1969년 12월 유타 대학교에 설치되었다. 두 시스템(UCLA와 SRI) 간의 첫 번째 통신 테스트는 1969년 10월 29일에 이루어졌으며, SRI 머신에 대한 ''로그인''이 시도되었지만 처음 두 글자만 전송할 수 있었다. 'g' 문자를 수신하자 SRI 머신이 다운되었다.[20] 몇 분 후 버그가 수정되었고 로그인 시도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

BBN은 통신 회로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Heart가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1969년 말 UCSB-SRI 회선에서 27시간 동안의 활동을 기준으로 한 예비 테스트에서 "오류가 있는 패킷이 약 20,000개당 1개" 발견되었으며, 후속 테스트에서 "이 숫자에 100%의 변동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감지된 오류가 없는 비정상적으로 긴 기간(시간 단위)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21]

2. 2. 초기 개발

"인터페이스 컴퓨터" 개념은 1966년 영국의 NPL 네트워크를 위해 도널드 데이비스가 처음 제안했다.[39][40][41][42] 1967년 초, 방위고등연구계획국(ARPA)의 주요 조사관 회의에서 전국적인 상호 연결 기계를 논의하면서 동일한 아이디어가 독립적으로 개발되었다. ARPANET 구현을 주도한 래리 로버츠는 처음에 호스트 컴퓨터 네트워크를 제안했다. 웨스 클라크(Wes Clark)는 "각 호스트 컴퓨터와 전송 라인 네트워크 사이에 작은 컴퓨터"를 삽입할 것을 제안했는데,[43] 이는 IMP를 별도의 컴퓨터로 만드는 것이었다.

1969년, 매사추세츠에 본사를 둔 Bolt Beranek and Newman(BBN)이 IMP를 건설했다. BBN은 4개의 IMP를 건설하기로 계약했으며, 첫 번째 IMP는 노동절까지 UCLA에 설치될 예정이었다. 나머지 3개는 그 후 한 달 간격으로 배달되어 총 12개월에 걸쳐 전체 네트워크를 완성할 계획이었다. 매사추세츠주 상원의원 에드워드 케네디는 BBN이 백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을 듣고 "종교 간 메시지 프로세서" 구축 계약을 체결한 회사를 축하하는 전보를 보냈다.[43]

BBN은 1969년 2월에 수정된 Honeywell DDP-516s에서 프로그래밍 작업을 시작했다. 완성된 코드는 6천 단어였으며 Honeywell 516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되었다. IMP 소프트웨어는 주로 PDP-1에서 제작되었으며, 여기서 IMP 코드가 작성 및 편집된 다음 Honeywell에서 실행되었다.

BBN 팀은 NPL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영국 팀 및 RAND의 폴 배런과 기술 교류를 했지만, 라우팅, 흐름 제어, 소프트웨어 설계 및 네트워크 제어와 같은 네트워크 내부 운영의 중요한 측면은 독립적으로 개발했다.[13][14][15][16][17][18][19]

BBN은 IMP를 단순히 "저장 후 전달"만 하는 "메신저"로 설계했다.[11] BBN은 호스트-IMP 사양만 설계했으며, 호스트 사이트에서 개별 호스트 간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도록 했다. IMP에는 오류 제어 메커니즘이 있어 오류가 있는 패킷을 수신 확인 없이 폐기했다. 소스 IMP는 수신 확인을 받지 못하면 나중에 중복 패킷을 다시 전송했다. ARPA의 제안 요청 요구 사항에 따라 IMP는 오류 수정을 위해 24비트 체크섬을 사용했다. BBN은 소프트웨어 계산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빠른 옵션이므로 IMP 하드웨어에서 체크섬을 계산하도록 선택했다. IMP는 처음에 사이트당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되도록 구상되었지만, 호스트 사이트의 연구원과 학생들의 요구로 인해 각 IMP는 궁극적으로 여러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되도록 설계되었다.

첫 번째 IMP는 1969년 8월 30일 레너드 클레인록의 UCLA 그룹에 전달되었다. 이 IMP는 SDS Sigma 7 호스트 컴퓨터를 사용했다. Douglas Engelbart의 스탠퍼드 연구소(SRI) 그룹은 1969년 10월 1일에 두 번째 IMP를 받았다. 이 IMP는 SDS 940 호스트에 연결되었다. 세 번째 IMP는 1969년 11월 1일에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에 설치되었다. 네 번째 IMP는 1969년 12월 유타 대학교에 설치되었다. 두 시스템(UCLA와 SRI) 간의 첫 번째 통신 테스트는 1969년 10월 29일에 이루어졌으며, SRI 머신에 대한 ''로그인''이 시도되었지만 처음 두 글자만 전송할 수 있었다. 'g' 문자를 수신하자 SRI 머신이 다운되었으나,[20] 몇 분 후 버그가 수정되었고 로그인 시도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

BBN은 통신 회로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초기 테스트에서는 "오류가 있는 패킷이 약 20,000개당 1개" 발견되었지만, 후속 테스트에서 "이 숫자에 100%의 변동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감지된 오류가 없는 비정상적으로 긴 기간(시간 단위)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21]

IMP의 변형으로, 터미널(예: 전신타자기)과 컴퓨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TIP(Terminal IMP)가 존재했다. 이는 516의 후속 버전인 Honeywell 316을 기반으로 했다. 나중에 일부 Honeywell 기반 IMP는 다중 처리 BBN Pluribus IMP로 대체되었지만, 궁극적으로 BBN은 Honeywell 머신의 마이크로프로그래밍된 클론을 개발했다.

2. 3. ARPANET 구축

"인터페이스 컴퓨터" 개념은 1966년 영국의 NPL 네트워크를 위해 도널드 데이비스가 처음 제안했다.[39][40][41][42] 1967년 초, 방위고등연구계획국(ARPA)의 주요 조사관 회의에서 전국적인 컴퓨터 연결을 논의하던 중 이와 비슷한 아이디어가 독립적으로 개발되었다. ARPANET 구현을 주도한 래리 로버츠는 처음에 호스트 컴퓨터 네트워크를 제안했지만, 웨스 클라크는 각 호스트 컴퓨터와 전송 라인 네트워크 사이에 작은 컴퓨터를 삽입하는 방식을 제안하여 IMP를 별도의 컴퓨터로 만들게 되었다.[43]

1969년, 매사추세츠에 본사를 둔 Bolt Beranek and Newman(BBN)이 IMP를 건설했다. BBN은 4개의 IMP를 건설하는 계약을 맺었으며, 첫 번째 IMP는 노동절까지 UCLA에 설치될 예정이었다. 나머지 3개는 한 달 간격으로 배달되어 총 12개월에 걸쳐 전체 네트워크를 완성할 계획이었다. 매사추세츠주 상원 의원 에드워드 케네디는 BBN이 백만 달러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는 소식을 듣고 "종교 간 메시지 프로세서" 구축 계약을 체결한 회사를 축하하는 전보를 보냈다.[43]

IMP 개발팀은 스스로를 "IMP Guys"라고 불렀으며,[11] 주요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 팀 리더: Frank Heart[12]
  • 소프트웨어: 윌리 크라우더, David Walden, Bernie Cosell 및 Paul Wexelblat
  • 하드웨어: Severo Ornstein, Ben Barker
  • 전반적인 시스템 설계를 위한 이론 및 공동 작업: Bob Kahn
  • 기타: Hawley Rising
  • 나중에 IMP 팀에 추가됨: Marty Thrope (하드웨어), Jim Geisman, Truett Thach (설치), Bill Bertell (Honeywell)


BBN은 1969년 2월에 수정된 Honeywell DDP-516s에서 프로그래밍 작업을 시작했다. 완성된 코드는 6천 단어였으며 Honeywell 516 어셈블리 언어로 작성되었다. IMP 소프트웨어는 주로 PDP-1에서 제작되었으며, 여기서 IMP 코드가 작성 및 편집된 다음 Honeywell에서 실행되었다.

NPL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영국 팀 및 RAND의 폴 배런과의 기술 교류가 상당했지만, BBN 팀은 라우팅, 흐름 제어, 소프트웨어 설계 및 네트워크 제어와 같은 네트워크 내부 운영의 중요한 측면을 독립적으로 개발했다.[13][14][15][16][17][18][19]

BBN은 IMP를 단순히 "저장 후 전달"만 하는 "메신저"로 설계했다.[11] BBN은 호스트-IMP 사양만 설계했으며, 호스트 사이트에서 개별 호스트 간 인터페이스를 구축하도록 했다. IMP에는 오류 제어 메커니즘이 있어 오류가 있는 패킷을 수신 확인 없이 폐기했다. 소스 IMP는 수신 확인을 받지 못하면 나중에 중복 패킷을 다시 전송했다. ARPA의 제안 요청 요구 사항에 따라 IMP는 오류 수정을 위해 24비트 체크섬을 사용했다. BBN은 소프트웨어 계산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빠른 옵션이므로 IMP 하드웨어에서 체크섬을 계산하도록 선택했다. IMP는 처음에 사이트당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되도록 구상되었지만, 호스트 사이트의 연구원과 학생들의 요구로 인해 각 IMP는 궁극적으로 여러 호스트 컴퓨터에 연결되도록 설계되었다.

첫 번째 IMP는 1969년 8월 30일 레너드 클레인록의 UCLA 그룹에 전달되었으며, SDS Sigma 7 호스트 컴퓨터를 사용했다. Douglas Engelbart의 스탠퍼드 연구소(SRI) 그룹은 1969년 10월 1일에 두 번째 IMP를 받아 SDS 940 호스트에 연결했다. 세 번째 IMP는 1969년 11월 1일에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에, 네 번째 IMP는 1969년 12월 유타 대학교에 설치되었다. 1969년 10월 29일, UCLA와 SRI 간의 첫 번째 통신 테스트가 이루어졌는데, SRI 머신에 대한 ''로그인''을 시도했지만 처음 두 글자만 전송된 후 SRI 머신이 다운되었다.[20] 몇 분 후 버그가 수정되어 로그인 시도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

BBN은 통신 회로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Heart가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1969년 말 UCSB-SRI 회선에서 27시간 동안의 활동을 기준으로 한 예비 테스트에서 "오류가 있는 패킷이 약 20,000개당 1개" 발견되었으며, 후속 테스트에서 "이 숫자에 100%의 변동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감지된 오류가 없는 비정상적으로 긴 기간(시간 단위)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21]

2. 4. 프로토콜 발전

1983년 1월 1일, 고기능화와 스택 구조 정리를 위해 NCP에서 TCP/IP로 전환이 완료되었다.[28][29] 인터넷 프로토콜이 운용되기 시작한 이때부터 기술적인 의미에서 인터넷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1982년에는 ARPANET에서 실행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 최소 홉 수를 가진 경로를 계산하는 디스턴스 벡터형의 GGP로 전환되었고,[30] 1984년에는 역시 디스턴스 벡터형의 EGP로 전환되었으며,[31] 1989년부터는 각 조직의 네트워크 관리자 정책을 반영할 수 있는 패스 벡터형의 BGP로 전환되었다.[32]

2. 5. 라우팅 프로토콜 발전

1982년 ARPANET에서 실행되는 라우팅 프로토콜은 최소 홉 수를 가진 경로를 계산하는 디스턴스 벡터형의 GGP로 전환되었다.[30] 1984년에는 역시 디스턴스 벡터형의 EGP로 전환되었으며,[31] 1989년부터는 각 조직의 네트워크 관리자의 정책을 반영 가능한 패스 벡터형의 BGP로 전환되었다.[32]

2. 6. ARPANET의 쇠퇴와 IMP의 종말

DARPA가 1989년에 ARPANET을 폐지할 때까지 IMP는 ARPANET의 핵심이었다. 대부분의 IMP는 해체되거나, 폐기되거나, MILNET으로 이전되었다. 일부는 박물관의 유물이 되었으며, 클레인록은 UCLA에서 IMP Number One을 공개 전시했다.[11] ARPANET의 마지막 IMP는 메릴랜드 대학교에 있었다.

1981년, ARPANET에 접속할 수 없는 학술 기관을 위해 CSNET이 구축되었다. 1983년에는 보안상의 이유로 군사용 인터넷 백본인 MILNET이 ARPANET에서 분리되어 독립했다. 1985년에 새로 구축된 NSFNET의 점유율 증가와 함께 ARPANET은 축소되었고, 새로운 라우터의 도입과 함께 실운용되고 있는 IMP의 대수도 감소해 갔다. 1990년에는 NSFNET의 점유율 증가를 이유로 ARPANET이 폐지되었으며, ARPANET에서 운용되던 극소수의 IMP는 폐기되거나 MILNET으로 이관되었다.

3. BBN 보고서 1822

''BBN 보고서 1822''는 밥 칸이 작성했으며, 호스트 컴퓨터를 IMP에 연결하는 방법과 그 프로토콜을 명시한다. 이 연결과 프로토콜은 보고서 번호인 ''1822''로 불린다.[11] 1822L과 같은 1822 프로토콜의 후속 버전은 및 후속 문서에 설명되어 있다.

3. 1. 1822 프로토콜

밥 칸에 의해 작성된 ''BBN 보고서 1822''는 호스트 컴퓨터를 IMP에 연결하는 방법을 명시하고 있다. 이 연결과 프로토콜은 일반적으로 보고서 번호인 ''1822''로 불린다.[11]

호스트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네트워크 상의 다른 호스트의 숫자 주소(인터넷상의 IP 주소와 유사)와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구성하여 1822 인터페이스를 통해 IMP로 전송한다. IMP는 인터넷 라우터에 의해 채택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대상 호스트로 라우팅한다. 메시지는 총 8159비트의 길이를 저장할 수 있었으며, 그 중 처음 96비트는 헤더("리더")로 예약되었다.[22]

인터넷을 통해 전송되는 패킷은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1822 메시지는 주소 지정된 목적지로 신뢰성 있게 전송되도록 보장되었다.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 IMP는 전송 호스트에 전달 실패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보냈다. 그러나 실제로 호스트가 메시지 손실 보고를 놓치거나 IMP가 실제로 수신된 메시지를 손실된 것으로 보고하는 (드문) 상황이 있었다.

이 규격은 교대 비트 프로토콜을 통합했으며,[23] 이는 1968년 도널드 데이비스 팀이 NPL 네트워크를 위해 제안한 유형의 프로토콜이다.[24]

1822L과 같은 1822 프로토콜의 후속 버전은 후속 문서에 설명되어 있다.

3. 2. 신뢰성 보장

1822 메시지는 주소 지정된 목적지로 신뢰성 있게 전송되도록 보장되었다. 메시지를 전달할 수 없는 경우, IMP는 전송 호스트에 전달 실패를 알리는 메시지를 보냈다. 그러나 실제로 호스트가 메시지 손실 보고를 놓치거나 IMP가 실제로 수신된 메시지를 손실된 것으로 보고하는 드문 상황도 있었다.[22]

이 규격은 교대 비트 프로토콜을 통합했는데,[23] 이는 1968년 도널드 데이비스 팀이 NPL 네트워크를 위해 제안한 유형의 프로토콜이다.[24]

3. 3. 후속 버전

1822L과 같은 1822 프로토콜의 후속 버전은 802 및 후속 문서에 설명되어 있다.

4. IMP 1호기

IMP 1호기는 1969년 허니웰미니컴퓨터 DDP-516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ARPA(방위고등연구계획국)에서 패킷 통신망 연구를 하던 로렌스 로버츠, BBN사밥 칸 등이 개발 중심에 있었다. ARPANET의 개발 취지(군사적 요구)에 따라 방폭형 케이스를 채택하여 외관은 금고와 비슷하며, 외형은 가정용 대형 냉장고에 가깝다.

1호기는 UCLA의 레너드 클레인록 교수의 연구실에 설치되었다.

4. 1. 특징

1969년 허니웰미니컴퓨터 DDP-516을 기반으로 IMP 1호기가 개발되었다. 개발의 중심이 된 것은 당시 ARPA(방위고등연구계획국)에서 패킷 통신망 연구를 하던 로렌스 로버츠, BBN사밥 칸 등이었다. ARPANET의 개발 취지(군사적 요구)에 따라 방폭형 케이스를 채택하여 외관은 금고와 비슷하며, 외형은 가정용 대형 냉장고에 가깝다.

IMP 1호기는 UCLA 레너드 클레인록 교수의 연구실에 설치되었으며, 현재도 UCLA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4. 2. 보존

1969년 허니웰미니컴퓨터 DDP-516을 기반으로 개발된 IMP 1호기는 UCLA 레너드 클레인록 교수의 연구실에 설치되었으며, 현재 UCLA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IMP -- Interface Message Processor http://www.livingint[...] 2007-06-22
[2] 웹사이트 Looking back at the ARPANET effort, 34 years later http://www.livingint[...] 2007-06-22
[3] 웹사이트 A Technical History of the ARPANET - A Technical Tour https://web.archive.[...] 2007-06-22
[4] 학회발표 The interface message processor for the ARPA computer network http://portal.acm.or[...] 2009-07-19
[5] 학회발표 The terminal IMP for the ARPA computer network http://portal.acm.or[...] 1971
[6] IETF RFC Host Software 1969-04-07
[7] 웹사이트 The ARPANET & Computer Networks https://web.archive.[...] 2016-04-13
[8] 서적 The History of Computer Communications
[9] 학술지 Notable computer networks 1986
[10] Podcast Computer Freaks https://www.inc.com/[...] Inc. Magazine 2023-06-22
[11] 서적 Where wizards stay up late: the origins of the Internet http://archive.org/d[...] Simon & Schuster 1996
[12] 뉴스 Frank Heart, Who Linked Computers Before the Internet, Dies at 89 https://www.nytimes.[...] 2020-04-03
[13] 보고서 A History of the ARPANET: The First Decade https://apps.dtic.mi[...] Bolt, Beranek & Newman Inc. 1981-04-01
[14] 학술지 The evolution of packet switching http://www.ece.ucf.e[...] 1978-11
[15] 서적 Inventing the Internet https://books.google[...] MIT Press 2000
[16] 학회발표 Proceedings of the May 5-7, 1970, spring joint computer conference on - AFIPS '70 (Spring)
[17] 서적 The Froehlich/Kent Encyclopedia of Telecommunications: Volume 1 - Access Charges in the U.S.A. to Basics of Digital Communications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0
[18] 학술지 The Origins of Packet Switching http://www.cs.man.ac[...] 2017-09-06
[19] 학회발표 NPL, Packet Switching and the Internet https://web.archive.[...] 2024-06-13
[20] 서적 Weapons Grade https://archive.org/[...] Carroll & Graf
[21] 학술지 Interface message processors for the ARPA computer network https://apps.dtic.mi[...] 2023-01-24
[22] 보고서 Specifications for the Interconnection of a Host and an IMP http://www.bitsavers[...] Bolt, Beranek, and Newman, Inc. 1976-01
[23] 서적 Computer networks and their protocols https://archive.org/[...] Chichester, [Eng.]; New York : Wiley 1979
[24] 학술지 Data Communications at the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1965-1975) https://archive.org/[...] 1987
[25] 학회발표 The interface message processor for the ARPA computer network http://dl.acm.org/ci[...]
[26] IETF RFC Prototypical implementation of the NCP https://www.rfc-edit[...] 1970-06
[27] IETF RFC A Simplified NCP Protocol https://www.rfc-edit[...] 1970-07
[28] IETF RFC Internet Protocol https://www.rfc-edit[...] 1981-09
[29] IETF RFC NCP/TCP transition plan https://www.rfc-edit[...] 1981-11
[30] IETF RFC DARPA Internet gateway https://www.rfc-edit[...] 1982-09
[31] IETF RFC Exterior Gateway Protocol implementation schedule https://www.rfc-edit[...] 1984-02
[32] IETF RFC Border Gateway Protocol (BGP) https://www.rfc-edit[...] 1989-06
[33] 웹인용 IMP -- Interface Message Processor http://www.livingint[...] 2007-06-22
[34] 웹인용 Looking back at the ARPANET effort, 34 years later http://www.livingint[...] 2007-06-22
[35] 웹인용 A Technical History of the ARPANET - A Technical Tour https://web.archive.[...] 2007-06-22
[36] 콘퍼런스 The interface message processor for the ARPA computer network http://portal.acm.or[...] 2009-07-19
[37] 콘퍼런스 The terminal IMP for the ARPA computer network http://portal.acm.or[...] 1971
[38] IETF Host Software 1969-04-07
[39] 웹인용 The ARPANET & Computer Networks http://www.packet.cc[...] 2016-04-13
[40] 콘퍼런스 The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Data Communications Network http://www.rogerdmoo[...] 2024-06-01
[41] 저널 Notable computer networks 1986
[42] Podcast Computer Freaks https://www.inc.com/[...] Inc. Magazine 2023-06-22
[43] 서적 Where wizards stay up late: the origins of the Internet http://archive.org/d[...] Simon & Schuster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