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레미 삼각지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레미 삼각지구는 아누아크족 족장 일레미 아크원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케냐, 에티오피아, 수단 사이에 위치한 영토 분쟁 지역이다. 20세기 초 영국 식민지 시대의 불분명한 국경 설정에서 비롯된 이 분쟁은, 1907년 조약과 1931년 적선(글렌데이 선) 설정 등 여러 차례의 국경 획정 시도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불안정 및 경계 불명확성으로 인해 해결되지 않고 있다. 특히 이 지역의 유목민족인 투르카나족, 다사네치족, 냥가톰족 간의 갈등이 지속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에는 케냐와 남수단 간의 비밀 협약 의혹, 석유 발견 등 새로운 요인들이 분쟁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케냐의 영토 분쟁 - 미징고섬
    미징고섬은 빅토리아 호수에 위치한 어업 중심의 작은 섬으로, 과거 케냐와 우간다 간 영유권 분쟁 대상이었으나 현재는 공동 측량 및 국경 재획정을 통해 합의되었으며, 다양한 상업 시설과 나일 퍼치 어업을 기반으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일레미 삼각지구
지도
일반 정보
위치동아프리카
면적
관련 국가케냐, 남수단, 에티오피아
명칭
영어Ilemi Triangle
일본어イレミ・トライアングル
분쟁
분쟁 지역케냐남수단 사이의 분쟁 지역
통제현재 케냐가 사실상 통제
소유권 주장케냐, 남수단, 에티오피아
역사적 배경
기원불명확한 국경 획정으로 인한 문제
관련 조약1914년, 1930년대의 다양한 조약과 합의
주민
주요 부족투르카나족, 다사나크족, 니아가탐족 등 유목민족
생활 방식전통적인 유목 생활 유지, 잦은 부족 간 충돌 발생
자원
주요 자원물, 목초지
자원 부족극심한 물 부족, 식량 부족
기타
특이 사항복잡한 국제 관계와 부족 간 갈등이 얽힌 지역

2. 명칭

"일레미"는 아누아크족 족장 일레미 아크원(Ilemi Akwon)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3. 역사

일레미 삼각지구 분쟁은 20세기 초 영국 식민지 시대의 불명확한 국경 설정에서 비롯되었다.

일레미 삼각지구 남동쪽에서 에티오피아 황제 메넬리크 2세는 투르카나 호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호수 남쪽 끝에서 동쪽으로 인도양까지 이어지는 경계를 영국과 제안했다. 이는 영국과 에티오피아 정부가 1907년 조약을 체결하면서 북쪽으로 이동했으며, 1970년 에티오피아-케냐 조약에서 재확인되었다.

에티오피아-수단 경계인 "모드 선(Maud Line)"은 1902~03년 영국 왕립 공병대의 필립 모드 대위가 측량했다. 이 경계는 에티오피아와 영국령 동아프리카 간의 1907년 12월 6일 앵글로-에티오피아 협정 조약에 의해 채택되었다. 케냐-수단 국경의 정확한 위치에 대한 세부 사항은 불분명했지만, 일레미 전체가 에티오피아-수단 선의 서쪽에 명확하게 위치했다.

1914년 우간다-수단 경계 위원회 협정은 현재 건조된 샌더슨 만을 통해 수단이 일레미 남동쪽 모퉁이(당시 투르카나 호는 영국령 우간다와 케냐의 경계였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에티오피아는 냥가톰과 다사네치족을 무장시켰고, 전통적인 약탈은 수백 명이 사망하는 전투로 변했다.

이 분쟁은 이 지역의 주민인 유목민 투르카나족을 둘러싼, 영국 식민지 시대의 에티오피아 제국과 영국령 동아프리카와의 조약(1907년 12월 6일)의 모호한 조항에서 비롯되었다. 이 지역의 정치적 불안정 및 토지 경계선의 불명확성은 분쟁 해결을 지연시키고 있다.

1928년, 수단은 투르카나족을 다사네치족과 냥가톰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1914년 경계선을 넘어 케냐 군 부대의 통행을 허용하는 데 동의했으며, 이는 연간 3만 파운드의 비용이 들었다.[6][7] 1929년, 케냐는 수단이 이 지역을 점령하도록 보조금을 지급하기 시작했지만, 케냐는 이 지역의 무용성을 이유로 이를 지속하고 싶어하지 않았다. 1931년에는 수단이 케냐가 이 지역을 점령하도록 보조금을 지급하는 데 동의했다.

1931년, 투르카나의 목초지 북쪽 경계를 나타내기 위해 적선(글렌데이 선)이 그어졌다.[6][7] "1929년부터 1934년까지 일련의 협정을 통해 영국-이집트 수단의 총독과 케냐 총독은 이 적선을 투르카나의 목초지 경계로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6][7]

이탈리아가 1936년 에티오피아를 침공한 후, 이탈리아는 잠시 일레미 삼각지구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1938년 케냐-수단 공동 조사팀은 수년 전 이 적선 경계선에 매우 근접한 "적선" 또는 "웨이크필드 선"을 획정하여 투르카나의 목초지 북쪽 한계를 표시했다.

이집트와 영국은 이에 동의했지만, 이탈리아는 동의하지 않았다. 다사네치족과 냥가톰족은 이탈리아 점령으로 고통을 겪었고, 투르카나를 공격하여 손실을 만회하려 했다. 1939년 7월 냥가톰족과 다사네치족의 습격으로 수백 명의 투르카나인이 사망했다. 이탈리아는 이후 일레미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고, 영국은 영국 공군의 지원을 받아 냥가톰족과 다사네치족에 대한 습격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동아프리카 전역 이후 1941년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의 영국군이 일레미를 점령했다.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는 에티오피아 남서부로 향하던 중 일레미를 통과했다. 1944년 영국 외무성은 "적선"보다 더 북서쪽에 있는 "청선"을 조사했다.

1950년 수단은 에티오피아 국경까지 자체 순찰선을 연장하여 케냐와 에티오피아 유목민들의 이동을 제한하고, 그 동남쪽 지역에 대한 치안 유지와 개발을 포기했다. 그러나 케냐-수단 간의 합의는 이 순찰선이 주권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국제 경계가 아니고, 케냐가 수단 영토를 순찰하기 위해 계속 돈을 지불한다는 점을 명시했다.[7] 1949년에서 1953년 사이에 수단이 이 선 뒤에 냥가톰을 유지하려 하면서 교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1956년 수단 독립 이후, 수단은 제1차 수단 내전으로 인해 일레미와 남부 지역 대부분을 통치하지 못했다.[7]

1964년 케냐와 에티오피아는 국경을 재확인했고, 나무루푸스에 대한 케냐의 주권을 확인했다.[7] 1967년 조모 케냐타 대통령 행정부는 일레미 삼각지구를 케냐에 할양하는 데 대한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영국에 접근했으나, 영국은 무반응이었고 그 결과는 미미했다.[7] 1972년 수단-에티오피아 국경 변경은 케냐가 관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레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지만, 에티오피아가 일레미 삼각지구에 대한 주장이 없음을 확인했다.[7]

1978년 케냐는 1938년 투르카나 목축선(웨이크필드 선)을 케냐와 수단 간의 국제 경계선으로 간주하기 시작했다.[7] 1986년 케냐는 일레미 삼각지구를 자국 영토의 일부로 표시하는 새로운 지도를 배포하기 시작했다.[7]

1990년대에 에티오피아는 칼라시니코프 자동 소총으로 다사네치족을 무장시켰는데, 이는 1978년 케냐 정부가 투르카나족을 무장시킨 것에 대한 대응으로 추정된다.[8] 1960년대부터 많은 케냐 지도에서 붉은 선을 이전의 점선 경계선 대신 케냐의 공식 경계선으로 표시해 왔으며, 최근에는 많은 케냐 지도에서 1950년 순찰선을 최북서 경계선으로 묘사하고 있다.[8] 케냐가 이 지역을 관할하도록 하고, 그 대가로 수단 내전에서 지원을 제공하는 비밀 협약이 케냐와 남수단 사이에 체결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8]

2011년 남수단 독립과 함께 일레미 삼각지대에 대한 수단의 주장은 주바에 있는 새로운 국가 정부로 이전되었다.[8] 최근 수십 년 동안 관련 국가들은 다른 우선순위를 가지게 되어 이 문제의 해결을 지연시켰으며, 최근 이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된 것도 문제 해결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8]

3. 1. 식민지 시대의 경계 획정 (1902년~1950년대)

1928년, 수단은 투르카나족을 다사네치족과 냥가톰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1914년 경계선을 넘어 케냐 군 부대의 통행을 허용하는 데 동의했으며, 이는 연간 3만 파운드의 비용이 들었다.[6][7] 1929년, 케냐는 수단이 이 지역을 점령하도록 보조금을 지급하기 시작했지만, 케냐는 이 지역의 무용성을 이유로 이를 지속하고 싶어하지 않았다. 1931년에는 수단이 케냐가 이 지역을 점령하도록 보조금을 지급하는 데 동의했다.

1931년, 투르카나의 목초지 북쪽 경계를 나타내기 위해 적선(글렌데이 선)이 그어졌다.[6][7] "1929년부터 1934년까지 일련의 협정을 통해 영국-이집트 수단의 총독과 케냐 총독은 이 적선을 투르카나의 목초지 경계로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6][7]

이탈리아가 1936년 에티오피아를 침공한 후, 이탈리아는 잠시 일레미 삼각지구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1938년 케냐-수단 공동 조사팀은 수년 전 이 적선 경계선에 매우 근접한 "적선" 또는 "웨이크필드 선"을 획정하여 투르카나의 목초지 북쪽 한계를 표시했다.

이집트와 영국은 이에 동의했지만, 이탈리아는 동의하지 않았다. 다사네치족과 냥가톰족은 이탈리아 점령으로 고통을 겪었고, 투르카나를 공격하여 손실을 만회하려 했다. 1939년 7월 냥가톰족과 다사네치족의 습격으로 수백 명의 투르카나인이 사망했다. 이탈리아는 이후 일레미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고, 영국은 영국 공군의 지원을 받아 냥가톰족과 다사네치족에 대한 습격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 분쟁은 이 지역의 주민인 유목민 투르카나족을 둘러싼, 영국 식민지 시대의 에티오피아 제국과 영국령 동아프리카와의 조약(1907년 12월 6일)의 모호한 조항에서 비롯되었다. 이 지역의 정치적 불안정 및 토지 경계선의 불명확성은 분쟁 해결을 지연시키고 있다.

3. 2. 이탈리아의 점령과 제2차 세계 대전 (1936년~1945년)

1931년, 투르카나의 목초지 북쪽 경계를 나타내기 위해 적선(글렌데이 선)이 그어졌다. 1929년부터 1934년까지 일련의 협정을 통해 영국-이집트 수단의 총독과 케냐 총독은 이 적선을 투르카나의 목초지 경계로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6][7]

이탈리아가 1936년 에티오피아를 침공한 후, 이탈리아는 잠시 일레미 삼각지구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1938년 케냐-수단 공동 조사팀은 수년 전 이 적선 경계선에 매우 근접한 "적선" 또는 "웨이크필드 선"을 획정하여 투르카나의 목초지 북쪽 한계를 표시했다.

이집트와 영국은 이에 동의했지만, 이탈리아는 동의하지 않았다. 다사네치족과 냥가톰족은 이탈리아 점령으로 고통을 겪었고, 투르카나를 공격하여 손실을 만회하려 했다. 1939년 7월 냥가톰족과 다사네치족의 습격으로 수백 명의 투르카나인이 사망했다. 이탈리아는 이후 일레미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고, 영국은 영국 공군의 지원을 받아 냥가톰족과 다사네치족에 대한 습격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동아프리카 전역 이후 1941년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의 영국군이 일레미를 점령했다. 킹스 아프리카 소총대는 에티오피아 남서부로 향하던 중 일레미를 통과했다. 1944년 영국 외무성은 "적선"보다 더 북서쪽에 있는 "청선"을 조사했다.

3. 3. 냉전 시대의 분쟁 (1950년대~1990년대)

1950년 수단은 에티오피아 국경까지 자체 순찰선을 연장하여 케냐와 에티오피아 유목민들의 이동을 제한하고, 그 동남쪽 지역에 대한 치안 유지와 개발을 포기했다. 그러나 케냐-수단 간의 합의는 이 순찰선이 주권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국제 경계가 아니고, 케냐가 수단 영토를 순찰하기 위해 계속 돈을 지불한다는 점을 명시했다.[7] 1949년에서 1953년 사이에 수단이 이 선 뒤에 냥가톰을 유지하려 하면서 교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1956년 수단 독립 이후, 수단은 제1차 수단 내전으로 인해 일레미와 남부 지역 대부분을 통치하지 못했다.[7]

1964년 케냐와 에티오피아는 국경을 재확인했고, 나무루푸스에 대한 케냐의 주권을 확인했다.[7] 1967년 조모 케냐타 대통령 행정부는 일레미 삼각지구를 케냐에 할양하는 데 대한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영국에 접근했으나, 영국은 무반응이었고 그 결과는 미미했다.[7] 1972년 수단-에티오피아 국경 변경은 케냐가 관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일레미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지만, 에티오피아가 일레미 삼각지구에 대한 주장이 없음을 확인했다.[7]

1978년 케냐는 1938년 투르카나 목축선(웨이크필드 선)을 케냐와 수단 간의 국제 경계선으로 간주하기 시작했다.[7] 1986년 케냐는 일레미 삼각지구를 자국 영토의 일부로 표시하는 새로운 지도를 배포하기 시작했다.[7]

3. 4. 1990년대 이후 현재까지

1990년대에 에티오피아는 칼라시니코프 자동 소총으로 다사네치족을 무장시켰는데, 이는 1978년 케냐 정부가 투르카나족을 무장시킨 것에 대한 대응으로 추정된다.[8] 1960년대부터 많은 케냐 지도에서 붉은 선을 이전의 점선 경계선 대신 케냐의 공식 경계선으로 표시해 왔으며, 최근에는 많은 케냐 지도에서 1950년 순찰선을 최북서 경계선으로 묘사하고 있다.[8] 케냐가 이 지역을 관할하도록 하고, 그 대가로 수단 내전에서 지원을 제공하는 비밀 협약이 케냐와 남수단 사이에 체결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8]

2011년 남수단 독립과 함께 일레미 삼각지대에 대한 수단의 주장은 주바에 있는 새로운 국가 정부로 이전되었다.[8] 최근 수십 년 동안 관련 국가들은 다른 우선순위를 가지게 되어 이 문제의 해결을 지연시켰으며, 최근 이 지역에서 석유가 발견된 것도 문제 해결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8]

4. 주민

투르카나족은 케냐와 남수단에 걸쳐 거주하는 유목 민족이며, 다사네치족은 에티오피아에 거주하며 일레미 삼각지구 동쪽에 위치한다. 냥가톰족(인양가톰)은 남수단과 에티오피아 사이를 이동하는 유목 민족이다. 디딩가족은 남수단에 거주한다. 이외에도 아누악족, 누에르족 등 남수단 출신 기독교도 난민들이 포함된다.

유목민족인 토포사는 남수단과 케냐 사이의 지역에서 이동하며 주변 민족들의 공격에 취약하다. 이 지역의 다른 민족으로는 남수단의 디딩가족, 케냐의 투르카나족, 남수단과 에티오피아 사이를 이동하는 냥가톰족(인양가톰), 그리고 삼각지구 동쪽에 거주하는 에티오피아의 다사네치족이 있다.

이러한 유목민들은 역사적으로 가축 약탈을 해왔다. 과거에는 전통 무기를 사용했지만, 19세기 이후부터는 총기 사용이 흔해졌다.

4. 1. 민족 구성

일레미 삼각지구에는 여러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투르카나족은 케냐와 남수단에 걸쳐 거주하는 유목 민족이며, 다사네치족은 에티오피아에 거주하며 일레미 삼각지구 동쪽에 위치한다. 냥가톰족(인양가톰)은 남수단과 에티오피아 사이를 이동하는 유목 민족이다. 디딩가족은 남수단에 거주한다. 이외에도 아누악족, 누에르족 등 남수단 출신 기독교도 난민들이 포함된다.

4. 2. 언어 및 종교

일레미 삼각지구에서는 투르카나어/Turkana language영어, 아누아크어/Anuak language영어, 누에르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된다. 애니미즘,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가 존재하며, 누에르족은 쿠워스(쿠오스/Kuoth영어) 신앙을 믿는다.

5. 분쟁의 쟁점

6. 국제 사회의 노력

7. 한국의 입장

참조

[1] 문서 Forged from measure tool in Google Earth.
[2] 서적 African boundaries: a legal and diplomatic encyclopaedia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3] 논문 The Ilemi Triangle http://www.persee.fr[...] 2011-06-17
[4] 문서 Th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in recent works has included an Ethiopian claim, later removed due to lack of sources. The [[World Factbook]] confirms that Ethiopia does not claim the territory
[5] 웹사이트 Ilemi Triangle https://www.encyclop[...] 2023-08-21
[6] 서적 Council of Ministers: The Kenya/Sudan Boundary; Memorandum by the Minister for Defence UK National Archives, Kew, WO Papers 136; C.M. 62(3) 1/4/62
[7] 웹사이트 The Ilemi Triangle 'Sovereigntyscape' http://www.menas.co.[...]
[8] 서적 Civil wars and revolution in the Sudan: essays on the Sudan, Southern Sudan and Darfur 1962-2004 TSEHAI Publishers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