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릭 카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릭 카간은 야미 카간의 아들로, 620년 형 출라 카간의 뒤를 이어 동돌궐의 카간이 되었다. 그는 당나라와 대립하며 군사적 충돌을 벌였고, 627년 설연타 등의 반란과 629년 당나라의 공격으로 동돌궐이 쇠퇴하면서 몰락했다. 630년 당나라에 항복하여 우위대장군 직위를 받았으나, 634년 사망했다. 태종은 그에게 귀의왕의 칭호를 추증하고 황왕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34년 사망 - 아부 바크르 알시디크
아부 바크르 알시디크는 메카 출신의 아랍인으로, 무함마드의 측근이자 초대 정통 칼리파로서 이슬람 세력 확장에 기여했으며, 순니파에서는 존경받지만 시아파에서는 부정적으로 평가받는다. - 동돌궐 - 시피 카간
시피 카간은 609년 또는 611년에 동돌궐의 카간이 되어 수나라 멸망 전 세력을 확장하고 당나라 건국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수나라 혼란을 틈타 세력을 키우고 수 양제를 포위하여 화친을 맺고 당 고조 이연을 지원했으나 619년 사망하여 동돌궐 제국에 혼란을 가져왔다. - 동돌궐 - 이넬 카간
이넬 카간은 돌궐 제2제국의 카간이자 카파간 카간의 아들이었으나 왕위 쟁탈전 중 퀼 티긴에게 살해되었으며 그의 죽음은 왕위 계승의 정당성 논란을 야기했다. - 돌궐의 카간 - 빌게 카간
빌게 카간은 716년부터 734년까지 동돌궐을 통치한 카간으로, 쿠데타로 즉위하여 튀르크족 부흥을 이끌었으며, 당나라와 관계 개선을 시도했으나 부이룩 초르에게 독살당했다. - 돌궐의 카간 - 시피 카간
시피 카간은 609년 또는 611년에 동돌궐의 카간이 되어 수나라 멸망 전 세력을 확장하고 당나라 건국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수나라 혼란을 틈타 세력을 키우고 수 양제를 포위하여 화친을 맺고 당 고조 이연을 지원했으나 619년 사망하여 동돌궐 제국에 혼란을 가져왔다.
일릭 카간 | |
---|---|
기본 정보 | |
칭호 | 제4대 튀르크 카간국의 카간 |
이름 | 일릭 카간 (頡利可汗) |
본명 | 아사나 퇼비 (阿史那咄苾) |
생애 | |
즉위 | 620년 |
퇴위 | 630년 |
사망 | 634년 2월 13일 |
아버지 | 야미 카간 |
어머니 | 포시 (婆施) |
배우자 | 의성공주 (義成公主) |
자녀 | 유크크 샤드 |
종교 | 텡그리 신앙 |
통치 | |
재위 기간 | 620년 - 630년 |
이전 통치자 | 추로우 카간 |
후임 통치자 | 없음 |
기타 | |
왕조 | 아사나 씨족 |
휘 (시호) | 황 (荒) |
2. 생애
야미 카간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돌궐의 바가투르 샤(莫賀咄設)가 되었다.
무덕 3년(620년)에 손윗형 출라 카간이 사망하면서 일릭 카간으로 즉위했으며, 레비라트 법에 따라 출라 카간의 부인이자 수나라의 공주였던 의성공주를 아내로 맞았고, 시피 카간의 적자인 조카 십팔필(什鉢苾)을 토리스 카간(돌리 카간)으로 삼았다. 또한 당에 사신을 보내 출라 카간의 사망을 알렸다.[15]
무덕 4년(621년) 4월, 일릭 카간은 직접 1만 기를 거느리고 당나라 마읍(馬邑)의 도적 원군장과 함께 안문을 공격했는데, 당의 종실인 정양왕 이대은에게 패했으나 당나라 귀족 20만 명을 끌고 갔다. 이듬해 2월, 이대은이 일릭 카간을 공격했을 때, 카간은 당나라에 항거하던 군벌 유흑달과 함께 이대은의 당군을 포위하여 이대은을 사로잡고 당나라 백성 12만 명을 끌고 갔다.
6월, 유흑달은 튀르크를 끌어들여 하북 지역을 약탈하였고, 일릭 카간은 다시 5만 기를 거느리고 남쪽으로 당나라 분주를 공격했으며, 수천 기를 보내 서쪽으로 령주, 원주 등지를 점령했다. 진왕(秦王) 이세민이 포주도를 따라 영주와 원주에서 튀르크를 공격했으나 실패하였고, 일릭 카간은 병주를 포위 공격하면서 병사를 나누어 분주, 노주(潞州) 등지를 다시 점령하여 5천 명 가까운 당나라 백성을 포로로 잡았다. 이세민의 병사가 포주로 향하고 있음을 알고 병사를 거느리고 장성을 넘었다.
무덕 6년(624년) 8월, 일릭 카간은 돌리 카간과 함께 군사를 동원해 당나라로 쳐들어왔다. 이세민이 이를 토벌하러 나서자 두 카간은 군사를 물렸는데, 그 뒤 일릭 카간은 토리스 카간과 협필 테긴(夾畢特勤) 아사나사마 두 사람을 당나라에 보내 화목을 청했다. 이에 따라 고조는 아사나사마를 당나라 화순왕(和順王)으로 봉하였다.
무덕 8년(625년) 7월, 일릭 카간은 10만 군사를 거느리고 삭주를 점령하고 10만 명의 백성을 끌고 갔다. 당나라 장수 장근을 태원에서 습격해 당나라 군대를 전멸시켰으며,[15] 진군하여 병주에 주둔하였다.
무덕 9년(626년) 일릭 카간은 다시 10만 기를 거느리고 무공으로 쳐들어왔는데, 이때 당나라 경사(京師)에서는 계엄 태세에 들어갔다. 돌궐군은 고릉을 치고, 당나라 행군총관(行軍總管) 좌무후대장군(左武候大將軍) 위지경덕과 경양에서 싸웠으나 패하여, 이르킨(俟斤) 관직 아사덕오몰철(阿史德烏沒啜)이 붙잡혔다. 일릭 카간은 심복 집실사력(執失思力)을 보내 당나라 조정에 입조시키며 다시 화목을 청했지만, 이세민은 그를 구금했다. 9월, 일릭 카간은 말 3만 필과 양 1만 마리를 당나라에 바쳤으나 고조는 받아들이지 않았고, 거꾸로 일릭 카간에게 지금까지 잡혀가 노예가 된 수백만의 중국인들을 모두 돌려보내라고 요구했다.
정관 원년(627년) 음산 북쪽의 설연타, 회흘, 발야고(拔也古) 등의 여러 부족이 잇따라 투르크에 반란을 일으켰고, 요크 샤(欲谷設)가 쫓겨왔다. 일릭 카간은 돌리 카간을 보내 이를 토벌하게 했지만 패하고 적은 기마부대만 거느린 채 돌아와야 했고, 일릭 카간은 노하여 돌리 카간을 열흘 넘도록 구금했다. 돌리 카간은 이 일로 원한을 품고 일릭 카간에게 모반할 계획을 꾸몄다. 정관 3년(629년)에는 설연타가 막북(漠北)에서 스스로 카간을 칭하고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외교관계를 맺었고, 동돌궐 내부에서도 일릭 카간에게서 이반하는 자들이 늘어났다. 당 태종은 조서를 내려 병부상서(兵部尚書) 이정과 대주도독(代州都督) 장공근, 병주도독 이적, 우무위장군(右武衞將軍) 구행공, 좌무위대장군(左武衞大將軍) 시소, 위효절, 설만철을 보내 동돌궐을 치게 했다. 이세민은 동돌궐 장수들에게 당나라 후궁과 쌀 등을 주며 회유하였고 12월, 일릭 카간위즈 샤드(郁射設), 설내 테긴(蔭奈特勤) 등은 투항했다.
정관 4년(630년) 당나라군은 이를 틈타 동돌궐을 습격했고, 일릭 카간은 천리마(한혈마?)를 타고 홀로 종질(從姪) 사발라(沙鉢羅)에게 달아났지만, 행군부총관(行軍副總管) 장보(張寶)가 사발라의 군영으로 가서 일릭 카간은 투항해 경사로 돌아왔다.
이세민에게서 우위대장군(右衞大將軍)의 지위를 받은 일릭 카간은 정관 8년(634년)에 경사에서 사망하였다. 당 태종은 조서를 내려 일릭 카간의 장례는 동돌궐 풍속대로 그 시신을 패수(灞水) 동쪽에서 화장하게 하였으며, 귀의왕(歸義王)이라 추증하고 시호를 황왕(荒王)이라 하였다. 훗날 동돌궐은 수도 장안을 점령하여 군대를 주둔시켰고 강나라에 대항하는 도호부의 반란을 안정시켰다.
훗날 고구려의 보장왕이 682년에 사망하였을 때 일릭 카간의 무덤 옆에 묻혔다.
2. 1. 초기 생애
야미 카간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토욕혼 출신 파시(婆施)였다.[3] 그는 토욕혼 장군 퀼릭 타르칸(胡祿達官)에 의해 길러졌다.[3] 성년이 된 후, '''바가투르 샤'''(莫賀咄設)라는 칭호를 받았다.2. 2. 즉위와 통치
620년, 형 출라 카간이 사망하자 일릭 카간으로 즉위하였다. 레비라트 풍습에 따라 형수 의성공주와 결혼하였다. 조카 아시나 시보비를 토리스 카간(돌리 카간)으로 임명하였다. 또한 당에 사신을 보내 출라 카간의 사망을 알렸다.[15]3. 당나라와의 관계
620년 출라 카간이 사망하면서 일릭 카간이 즉위했고,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이 사실을 알렸다. 일릭 카간은 즉위 초부터 당나라와 군사적 충돌을 겪었다. 초기에는 당나라에 공세를 취하여 여러 차례 침공하고 많은 수의 포로를 잡아갔다.
624년부터 626년까지 일릭 카간은 돌리 카간과 함께 당나라를 공격하기도 하고, 때로는 화친을 시도하기도 하는 등 복잡한 관계를 이어갔다. 625년에는 10만 군사로 삭주를 점령하고, 626년에는 경사(수도)를 위협하기도 했다. 그러나 울지공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이세민에게 심복을 사로잡히는 등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당 고조는 일릭 카간에게 포로 송환을 요구하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15]
3. 1. 초기 충돌 (621년 ~ 623년)
621년 4월, 일릭 카간은 직접 1만 기병을 이끌고 당나라 안문을 공격했으나, 당나라 정양왕 이대은에게 패배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당나라 귀족 20만 명을 포로로 잡아갔다.[4]622년 2월, 이대은이 일릭 카간을 공격해 오자, 카간은 유흑달과 함께 이대은의 당군을 포위하여 사로잡고 당나라 백성 12만 명을 포로로 잡아갔다. 6월에는 유흑달이 튀르크를 끌어들여 하북 지역을 약탈했고, 일릭 카간은 다시 5만 기병을 이끌고 남쪽으로 당나라 분주를 공격했으며, 수천 기병을 보내 서쪽으로 령주, 원주 등을 점령했다. 진왕 이세민이 포주를 따라 영주와 원주에서 튀르크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이 무렵 일릭 카간은 병주를 포위 공격하면서 병사를 나누어 분주, 로주 등을 다시 점령하여 5천 명 가까운 당나라 백성을 포로로 잡았다. 이세민의 병사가 포주로 향하고 있음을 알고 병사를 거느리고 장성을 넘었다.
623년, 일릭 카간은 고개도, 유흑달과 함께 마읍(현재의 삭주, 산시)을 포위하여 점령했다.[4]
3. 2. 일시적 화친과 재충돌 (624년 ~ 626년)
624년 8월, 일릭 카간은 돌리 카간과 함께 군사를 동원해 당나라로 쳐들어왔다. 이세민이 이를 토벌하러 나서자 두 카간은 다시 군사를 물렸는데, 그 뒤 일릭 카간은 토리스 카간과 협필 테긴(夾畢特勤) 아사나사마(阿史那思摩) 두 사람을 당나라에 보내 화친을 청했다. 이에 따라 고조는 아사나사마를 당의 화순왕(和順王)으로 봉하였다.[15]625년 7월, 일릭 카간은 10만 군사를 거느리고 삭주를 점령하고 10만 명의 백성을 끌고 갔다. 태원에서 당나라 장수 장근을 습격해 당나라 군대를 전멸시켰으며,[15] 병주에 주둔하였다.
626년 일릭 카간은 다시 몸소 10만 기를 거느리고 무공으로 쳐들어왔는데, 이때 당의 경사는 계엄 태세에 들어갔다. 돌궐군은 고릉을 치고, 당의 행군총관(行軍總管) 좌무후대장군(左武候大將軍) 울지공(尉遲恭)과 경양에서 싸웠으나 패하여, 이르킨(俟斤) 관직 아사덕오몰철(阿史德烏沒啜)이 붙잡혔다. 일릭 카간은 자신의 심복 집실사력(執失思力)을 보내 당나라 조정에 입조시키며 다시 화친을 청했지만, 이세민은 그를 구금해버렸다. 9월에 일릭 카간은 말 3만 필과 양 1만 마리를 당에 바쳤으나 고조는 받아들이지 않았고, 거꾸로 일릭 카간에게 지금까지 잡혀가 노예가 된 수백만의 중국인들을 모두 돌려보내라고 요구했다.[15]
4. 동돌궐의 쇠퇴와 멸망
야미 카간의 셋째 아들로 태어난 일릭 카간은 620년 형 출라 카간이 사망하면서 카간 자리에 올랐다. 그는 수나라 공주였던 의성공주를 아내로 맞고, 조카 십팔필을 돌리 카간으로 삼았다.
일릭 카간은 621년부터 당나라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621년 1만 기병을 이끌고 당의 안문을 공격하여 당나라 귀족 20만 명을 끌고 갔다. 624년에는 돌리 카간과 함께 당나라를 공격했다가 물러났지만, 이후 화친을 청하기도 했다. 625년 7월에는 10만 군사를 이끌고 삭주를 점령하고 10만 명의 백성을 끌고 갔다. 626년에는 다시 10만 기병을 이끌고 당나라를 공격하여 수도 장안 근처까지 진격했으나, 울지공에게 패하고 물러났다.[15] 이후 당나라에 화친을 청했지만 거절당했고, 오히려 당나라는 일릭 카간에게 포로로 잡혀간 수백만 명의 백성들을 돌려보내라고 요구했다.
4. 1. 내부 분열
頡利可汗|힐리 카간중국어 정관 원년(627년) 음산 북쪽의 설연타, 회흘, 발야고(拔也古) 등의 여러 부족이 잇따라 투르크에 반란을 일으켰고, 요크 샤(欲谷設)가 쫓겨왔다.[12] 일릭 카간은 돌리 카간을 보내 이를 토벌하게 했지만 패배하고 적은 기마 부대만 거느린 채 돌아왔다. 일릭 카간은 노하여 돌리 카간을 열흘 넘도록 구금했고, 돌리 카간은 이 일로 원한을 품고 일릭 카간에게 모반할 계획을 꾸미게 되었다.정관 3년(629년) 설연타는 막북(漠北)에서 스스로 카간을 칭하고 당에 사신을 보내 외교관계를 맺었고, 동돌궐 내부에서도 일릭 카간에게서 이반하는 자들이 늘어났다.
4. 2. 당나라의 공격과 멸망 (629년 ~ 630년)
626년 당나라에서 현무문의 변으로 정권을 잡은 당 태종은 627년 음산(陰山) 북쪽의 설연타(薛延陀)와 위구르(迴紇) 등의 부족들이 동돌궐에 반란을 일으키자, 629년에 동돌궐에 대한 대대적인 공격을 명령했다.[15]당 태종은 병부상서(兵部尚書) 이정, 대주도독(代州都督) 장공근(張公謹), 병주도독 이적(李勣) 등을 파견하여 동돌궐을 공격하게 했다. 630년 당나라 군대는 동돌궐을 기습 공격했고, 이에 일릭 카간은 천리마를 타고 종질(從姪) 사발라(沙鉢羅)에게 도주했다.[12] 그러나 당나라 장수 장보(張寶)가 사발라의 군영으로 가자 일릭 카간은 항복하고 경사(京師)로 압송되었다.

5. 몰락 이후
당 태종에게 우위대장군(右衞大將軍) 직위를 받았다.[6] 634년 경사에서 사망하였고, 동돌궐 풍속대로 패수 동쪽에서 화장되었다. 귀의왕(歸義王)으로 추증되었고, 시호는 황왕(荒王)이다.[6] 682년 고구려 보장왕이 사망했을 때 일릭 카간의 무덤 옆에 묻혔다.
6. 가족 관계
- 아사나 뎨뤄즈(阿史那疊羅支)[7][4]
- 아사나 유곡[6]
- 아사나 뱌뤄먼(阿史那婆羅門)[6]
- 아사나 특근(阿史那特勤)[6]
- 아사나 젠(阿史那暕)[6]
- 아사나 간더(阿史那感徳)[8]
- 에트미쉬 베그: 제2 돌궐 카간국의 건국자 일테리쉬 카간은 일릭 카간의 후손이다.[4][9]
7. 등장 작품
참조
[1]
서적
Zizhi Tongjian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8
[3]
서적
New Book of Tang
https://zh.wikisourc[...]
[4]
서적
Gök-Türkler
Türk Tarih Kurumu Basımevi
1995-2004
[5]
서적
Li Shi Min, Founding the Tang Dynasty: The Strategies that Made China the Greatest Empire in Asia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13
[6]
웹사이트
Gök Türk Hsieh-li Kağan'ın (618-630) Oğlu A-shih-na P'o-luo-men'in Mezar Kitabesi Üzerine
http://mtad.humanity[...]
2018-07-27
[7]
웹사이트
唐史演義/016 - 维基文库,自由的图书馆
https://zh.wikisourc[...]
2018-07-27
[8]
간행물
「突厥「阿史那感徳墓誌」訳注考──唐羈縻支配下における突厥集団の性格──」『内陸アジア言語の研究』26, 2011, pp. 1-38.(The Study on the Epitaph of Ashina Gande 阿史那感徳 of the Türks (Tujue 突厥): The Characteristics of the Türks under the Loose Rein (Jimi羈縻) Control of Tang. In: Studies on the Inner Asian Languages 26, 2011, pp. 1-38)
https://www.academia[...]
[9]
웹사이트
Гумилев Л. Н. Древние тюрки. Генеалогические таблицы
http://gumilevica.ku[...]
2018-07-27
[10]
서적
Kniga dinastiĭ
AST
2006
[11]
문서
il(イル:国家)+lig(リグ:持つところの)すなわち“国家を持つところの可汗”の意。[[伊利可汗]]に同じ。
[12]
문서
クリャシュトルヌィによれば、「大切なもの、珍しいもの」を示すテュルク語「ヨクク yoquq」を音写したものであるという。(佐口・山田・護 1972,p225)
[13]
문서
일리가한 이라고도 한다.
[14]
문서
보통 Illiq 으로도 쓰인다.
[15]
문서
장근 자신은 가까스로 빠져나와 이정에게로 달아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