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울지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지공은 수나라 말기부터 당나라 초기에 활약한 무장이다. 수 양제 시대에 군에 종군하여 공을 세워 조산대부가 되었으며, 유무주 휘하에서 편장으로 활약하다가 이세민에게 투항했다. 이후 이세민을 도와 두건덕과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현무문의 변에서 이원길을 죽이는 공을 세워 당 태종의 즉위에 기여했다. 우무후대장군을 역임하고 돌궐을 격파하는 등 활약했지만, 조정 대신들과의 불화로 좌천을 거듭했다. 만년에는 선인의 길을 추구하며 658년에 사망했으며, 사후 사도와 병주도독으로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85년 출생 - 두여회
    두여회는 수나라 말에서 당나라 초의 인물로, 뛰어난 결단력을 바탕으로 이세민을 보좌하며 방현령과 함께 당나라 초기의 정치적 안정을 이끌어 정관의 치를 이룩하는 데 기여한 당나라의 재상이다.
  • 울지씨 - 규기
    규기는 당나라의 승려이자 유식학자로, 현장의 제자로서 《성유식론》 한역에 참여하고 독자적인 유식설을 정립하여 중국 법상종의 종조로 추앙받았으며, 그의 저서는 법상종의 주요 교리를 형성하고 한국 불교 발전에 기여했다.
  • 울지씨 - 울지형
    울지형은 선비족 출신으로 서위의 장군 위치기도의 아들이자 우문태의 조카이며, 금명공주와 결혼하여 부마가 되었고, 후경의 난을 평정하고 촉 지역을 정벌했으며, 북주에서 촉국공, 군부 장관, 태보, 태사를 역임했지만, 양견의 섭정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키다 자결했다.
  • 658년 사망 - 자장
    신라의 승려 자장은 진골 귀족 출신으로 당나라 유학 후 황룡사 9층 목탑 건립을 건의하고 통도사를 창건하는 등 신라 불교 발전에 기여했으며, 당나라 연호 사용과 의관 제도 도입을 건의하는 등 정치적으로도 활동한 인물이다.
  • 658년 사망 - 저수량
    저수량은 당나라 초기의 정치가이자 서예가로, 해서에 뛰어나 당 태종을 보좌하고 측천무후의 황후 등극을 반대하다 유배되어 사망했으며, 안탑성교서를 남겼다.
울지공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치경덕의 초상화, 《삼재도회》 수록
유치경덕의 초상화 (《삼재도회》 수록)
이름유치공 (尉遲恭)
경덕 (敬德)
시호악충무공 (鄂忠武公)
아버지유치 가 (尉遲嘉)
배우자소 무 (蘇 Wu)
다른 아내 1명
자녀유치 보린 (尉遲寶琳)
유치 소종 (尉遲紹宗)
유치 보기 (尉遲寶琪)
직업군사 장군
생애
출생585년
출생지평루구 삭주, 수나라
사망658년
사망지장안, 당나라
기타
다른 이름징더 (敬德)
악충무공 (鄂忠武公)

2. 생애

울지공은 수 양제 대업 말년에 종군하여 조산대부가 되었고, 617년 유무주의 반란에 가담하여 편장이 되었다. 619년 송금강과 함께 진주와 회주를 함락시키고 이효기가 이끄는 당나라 군대를 격파했다. 620년 이세민이 유무주를 정벌할 때 투항하여 621년 두건덕의 대군을 격파하는 데 공을 세웠다.[1][3]

626년 현무문의 변에서 이원길을 활로 쏘아 죽이고, 이연이 이세민을 황태자로 삼도록 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정관 원년(627년) 우무후대장군에 임명되었고, 돌궐의 침입을 격파하기도 했다. 그러나 장손무기, 방현령 등과 불화를 겪어 여러 지방으로 좌천되었다.[1]

643년 개부의동삼사가 되었고, 고구려-당 전쟁 이후 관직에서 물러나 선인의 길에 전념했다. 658년 74세로 사망 후 사도 및 병주도독으로 추증되었고, 시호는 충무(忠武)이며 소릉(昭陵)에 배장되었다.

2. 1. 수나라 시기

수 양제 대업 말년에 종군하여 적송백(翟松柏)과 유보강(劉寶强)을 토벌하는 등의 공을 세워 조산대부(朝散大夫)가 되었다.

2. 2. 유무주 휘하

617년 유무주가 반란을 일으키자 울지공은 그의 휘하로 들어가 편장(偏將)으로 임명되었다.[1] 619년 송금강과 함께 남진하여 진주(晉州)와 회주(澮州)를 함락시킨 뒤 이효기가 이끄는 부대를 격파하고 독고회은과 당검 등을 포획하였다.[1]

2. 3. 당나라 귀순과 이세민 휘하에서의 활약

617년 유무주가 반란을 일으키자 휘하로 들어가 편장(偏將)으로 임명되었다. 619년 송금강과 함께 남진하여 진주(晉州)와 회주(澮州)를 함락시킨 뒤 이효기가 이끄는 부대를 격파하고 독고회은과 당검 등을 포획하였다.[3]

620년 이세민이 백벽(柏壁)에서 유무주를 정벌하자 잔당들을 이끌고 개휴(介休)를 사수하였으며, 이세민이 이도종우문사급을 사신으로 보내 투항을 권유하자 심상과 함께 투항하였다.[3] 621년 이적 등과 함께 두건덕의 대군에 대승하는 데 크게 공헌했으며, 왕세충의 조카 왕완(王琬)을 사로잡아 그의 말을 빼앗아 이세민에게 바치기도 했다.[3]

2. 4. 현무문의 변

626년 현무문의 변(玄武門之變) 당시 이원길을 화살로 쏘아 죽이는 등의 공을 세웠으며, 이연(李淵)이 이세민을 황태자로 삼고 양위하게 하는 데 일조하였다.

이세민은 이건성과 이원길을 선제 공격하는 것을 고려했지만 망설였다. 특히 울지공은 선제 공격을 적극 옹호했는데, 이원길이 먼저 울지공, 정지절, 진숙보, 단지현을 죽이려 한다는 소문이 이세민에게 보고되자, 울지공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사람은 누구나 죽음을 두려워합니다. 하지만 지금 저희는 저희 목숨을 바쳐 전하를 지지하려 하며, 이는 하늘의 뜻입니다. 큰 재앙이 곧 닥치려 하는데, 전하께서는 아무것도 걱정할 것이 없다고 생각하십니까? 전하 자신은 생각하지 않더라도, 제국의 미래와 황실 사당은 어찌하겠습니까? 만약 전하께서 제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으신다면, 저는 전하의 저택에서 도망쳐 황야를 떠돌 것입니다. 저는 여기에 머물면서 제 손이 묶이고 처형되기를 기다릴 수 없습니다!"[1]

울지공과 장손무기의 적극적인 옹호로 이세민은 행동하기로 결심했다. 이세민은 자신의 책사들인 방현령두여회를 소환하려 했는데, 이들은 이건성과 이원길의 고발로 인해 그의 저택에서 좌천되었다. 방현령과 두여회가 처음에는 저항하자 (고조의 분노를 두려워했기 때문에) 이세민은 울지공을 보내 그들을 소환하도록 했고, 만약 거절하면 죽이라는 지시를 내렸다. 울지공은 방현령과 두여회에게 이세민이 곧 행동을 취할 것이고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고 설득할 수 있었고, 이후 방현령과 두여회는 이세민의 저택에 따로 도착했다.[1]

한편, 이세민은 고조에게 이건성과 이원길이 고조의 후궁들과 간통하고 이세민을 죽이려 한다는 비밀 고발을 제출한 후, 고조의 궁궐 입구인 현무문에서 이건성과 이원길을 매복했다. 이건성과 이원길이 그들에 대한 혐의에 답변하기 위해 고조의 궁궐에 접근했을 때, 그들은 무언가 이상함을 느끼고 되돌아가려 했다. 그러나 이때 이세민은 그들을 함정에 가두었고, 화살로 이건성을 죽였다. 그 후 울지공은 70명의 병사를 이끌고 도착하여 이원길의 말을 죽여 이원길이 말에서 떨어지게 했다. 한편, 이세민의 말은 놀라서 숲으로 달려갔다. 이세민은 말에서 떨어졌고, 이원길은 활로 그를 목 졸라 죽이려 했다. 울지공이 도착했고, 이원길은 자신의 궁궐인 무덕전(武德殿)으로 도망치려 했다. 울지공은 그를 쫓아가 화살로 죽였다.[1]

그 후 이세민은 울지공에게 병사들을 이끌고 고조의 궁궐로 들어가 고조를 보호하라고 지시했다. 울지공은 갑옷을 완전히 갖추고 창을 휘두르며 - 일반적으로 매우 부적절한 행동으로 여겨짐 - 고조 앞에 섰다. 고조는 배기, 소우, 진숙달과 같은 고위 관리들의 시중을 받고 있었다. 고조는 충격을 받고 "누가 반역을 저지르고 있느냐? 네가 여기 왜 왔느냐?"고 물었다. 울지공은 고조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1]

:"태자와 제왕이 반역을 저질렀습니다. 진왕이 군대를 동원하여 그들을 처형했습니다. 황상께서 충격을 받으실까 두려워 저를 이곳에 보내 황상 폐하를 보호하도록 했습니다."[1]

고조는 상황이 심각하다는 것을 깨닫고 배기, 소우, 진숙달에게 의견을 구했다. 소우와 진숙달은 이세민을 태자로 세울 것을 제안했고, 고조는 이에 동의했다. 이건성과 이원길의 군대가 이세민의 군대와 교전하고 있자, 울지공은 고조에게 싸움을 중단하고 모든 군대가 이세민의 지휘를 받도록 명령해 달라고 요청했다. 고조는 동의했다. 이세민의 부하들이 이건성과 이원길의 측근들을 학살하고 그들의 재산을 몰수하려 하자, 울지공은 이를 반대하며 이는 더 많은 혼란을 야기할 것이라고 말했고, 이세민은 동의했다. 그 후 이세민은 이원길의 보물을 울지공에게 하사하고 그를 주요 장군으로 승진시켰다.[1]

2. 5. 당 태종 시기

627년 우무후대장군(右武侯大將軍)에 임명되었다.[1] 돌궐의 침입을 받자 경주도행군총관(涇州道行軍總管)을 역임해 경양현(涇陽縣)에서 돌궐을 격파하였다.[1] 하지만 장손무기방현령 등 조정 내 대신들과의 불화로 인해 629년 양주도독(襄州都督),[1] 634년 동주자사(同州刺史),[1] 637년 선주자사(宣州刺史) 및 악국공(鄂國公)에 봉해졌고,[1] 이후 부주도독(鄜州都督), 하주도독(夏州都督) 등으로 차례로 좌천되었다.[1]

643년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가 되었으며,[1] 고구려-당 전쟁 이후 관직에서 물러났다.[1]

2. 6. 은퇴와 죽음

643년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가 되었으며, 고구려-당 전쟁 이후 관직에서 물러났다. 그 뒤에는 선인(仙人)의 길에 전념해 타인과의 교제를 끊고 방사술(房事術)을 수행하였다. 658년 7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으며, 사후 사도(司徒) 및 병주도독(幷州都督)으로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무(忠武)이며, 이세민의 무덤인 소릉(昭陵) 주변에 배장(陪葬)되었다.

3. 울지공이 등장한 작품

4. 평가

울지공은 용맹하고 과감한 무장이었으며, 당나라 건국과 이세민의 즉위에 큰 공을 세웠다. 강직한 성품으로 인해 장손무기, 방현령 등 조정 내 대신들과 불화가 잦았으나, 자신의 소신을 굽히지 않는 인물로 평가된다. 도교에 심취하여 신선술을 수행하는 등 독특한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5. 기타

능연각이십사공신(凌煙閣二十四功臣) 중 한 명이다. 중국 민간 신앙에서 문신(門神)으로 숭배되기도 한다.[2] 그의 이름 '공'은 구당서에만 기록되어 있으며, 묘지명에 따르면 그의 이름은 '용'이고 자는 경덕이다.

중국 고전 소설 《수호전》의 등장인물인 손립과 그의 형제 손신은 외모가 울지경덕과 닮아서 각각 "병위치"와 "소위치"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코에이에서 제작한 비디오 게임 《삼국지 11》에 특별 캐릭터로 등장하는 32명의 역사적 인물 중 한 명으로, 게임에서는 그의 정식 이름인 "울지공"이 사용된다.

싱가포르의 힐튼 호텔 외부에는 울지경덕과 그의 상대역인 진숙보의 조각상이 전시되어 있는데, 앞쪽 명판에는 그의 이름이 '웨이 치 징 데'(Wei Chi Jing De)로 잘못 표기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Old Book of Tang Emperor Gaozong's biography
[2] 간행물 关于《尉迟敬德墓志铭》中的几个问题 http://www.cnki.com.[...] CNKI 2017-12-26
[3] 서적 Jiu Tang Shu
[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