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바르스 1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바르스 1세는 아랍샤 왕조의 칸으로, 1511년 우르겐치를 정복한 후 칸으로 추대되어 1518년 사망할 때까지 호라즘 지역을 통치했다. 그는 칭기스 칸의 후예인 샤이반 가문 출신으로, 사파비 왕조의 이스마일 1세가 화레즘을 점령하자 바지르 주민들의 요청으로 화레즘에 진출했다. 일바르스는 우즈베크 부족들을 이끌고 화레즘을 정복했으며, 아랍샤 왕조는 17세기 말까지 호라즘을 지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18년 사망 - 카비르
    카비르는 15세기경 인도에서 활동한 시인이자 성자로, 힌두교와 이슬람교의 위선을 비판하며 내면의 성찰을 강조했고, 그의 사상은 카비르 판트 종교 공동체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1518년 사망 - 잔 자코모 트리불치오
    잔 자코모 트리불치오는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초반에 활동한 밀라노 출신의 콘도티에로이자 프랑스 원수로, 여러 세력을 섬기며 전쟁에서 활약했고 밀라노 총독을 지냈으며 예술 후원가로서도 활동했다.
  • 히바 칸국의 칸 - 압둘라 칸
  • 히바 칸국의 칸 - 무사 칸
    무사 칸은 역사, 주요 내용, 쟁점 및 논란, 한국 사회 영향, 관련 인물 및 단체, 전망과 과제를 상세히 설명하는 문서이다.
  •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우즈베키스탄의 역사 - 코칸트 칸국
    코칸트 칸국은 1709년 샤흐룩이 부하라 칸국에서 독립하며 건국되어 18세기 후반 최대 영토를 확장했으나, 19세기 러시아 제국의 남진과 내부 분열로 쇠퇴하여 1876년 러시아에 의해 멸망, 러시아 투르키스탄에 편입되었으며 청나라와 조공 관계를 맺고 갈등과 분쟁을 겪었다.
일바르스 1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히바 칸국의 칸
본명알 수 없음
재위1511년 ~ 1518년
대관식1511년 우르겐치
다른 이름알 수 없음
별명알 수 없음
종교알 수 없음
출생일알 수 없음
출생지알 수 없음
사망일1518년
사망지히바 칸국 우르겐치
매장지알 수 없음
배우자알 수 없음
자녀알 수 없음
부친부레크 술탄
모친알 수 없음
전임자알 수 없음
후임자술탄 하지 칸
왕가알 수 없음
왕조아랍샤히드 왕조
묘호알 수 없음
시호알 수 없음
연호알 수 없음
서명알 수 없음

2. 혈통

일바르스 1세가 세운 왕조는 아랍샤 왕조라 불리는데, 이는 그들의 조상 중 한 명인 아랍샤 이븐 풀라드에게서 기원한 것이다.[5] 아랍샤는 칭기스 칸의 맏아들 주치의 5번째 아들인 샤이반의 후예이다.[5] 풀라드의 또 다른 아들 이브라힘 오글란은 아불 하이르 칸의 할아버지로, 그를 통해 또 다른 칭기스 왕조인 샤이바니 왕조가 성립되었다.[5] 15세기에 아랍샤 왕조는 야드가르 칸의 네 아들 부래캐(또는 뷔르개), 아불랙, 아미내크, 아바크의 지도하에 있었다.[5]

2. 1. 샤이반 가문

일바르스 1세가 세운 왕조는 아랍샤 왕조라 불리는데, 이는 그들의 조상 중 한 명인 아랍샤 이븐 풀라드에게서 기원한 것이다.[5] 아랍샤는 칭기스 칸의 맏아들 주치의 5번째 아들인 샤이반의 후예이다.[5] 풀라드의 또 다른 아들 이브라힘 오글란은 아불 하이르 칸의 할아버지로, 그를 통해 또 다른 칭기스 왕조인 샤이바니 왕조가 성립되었다.[5] 15세기에 아랍샤 왕조는 야드가르 칸의 네 아들 부래캐(또는 뷔르개), 아불랙, 아미내크, 아바크의 지도하에 있었다.[5]

2. 2. 샤이바니 왕조와의 관계

일바르스 1세가 세운 왕조는 아랍샤 왕조라 불리는데, 이는 그들의 조상 중 한 명인 아랍샤 이븐 풀라드에게서 기원한 것이다. 아랍샤는 칭기스 칸의 맏아들 주치의 5번째 아들인 샤이반의 후예이다. 풀라드의 또 다른 아들, 이브라힘 오글란은 아불 하이르 칸의 할아버지로, 그를 통해 또 다른 칭기스 왕조인 샤이바니 왕조가 성립되었다.[5] 15세기에 아랍샤 왕조는 야드가르 칸의 네 아들, 부래캐(또는 뷔르개), 아불랙, 아미내크, 아바크의 지도하에 있었다.[5]

3. 생애

일바르스 1세가 속한 아랍샤 왕조는 무함마드 샤이바니 칸과 함께 트란스옥시아나를 정복하지 않고 아랄해 북부 초원 지대에 남아있던 우즈베크인 부족들의 지지를 받았다. 일바르스가 세운 아랍샤 왕조는 1511년부터 17세기 말까지 호라즘 지방을 지배했다.[1]

3. 1. 화레즘 진출 이전

1510년, 무함마드 샤이바니를 메르브 전투에서 격파한 사파비 왕조이스마일 1세화레즘 지방을 일시적으로 정복하자, 이 지역의 도시 바지르의 주민들이 사파비 왕조를 몰아내기 위해 일바르스를 불러들였다.[4] 이에 일바르스와 그의 형제 발바르스 술탄은 화레즘 지방으로 갔다. 1511년, 우르겐치를 정복한 후 일바르스는 칸으로 옹립되었다.[5]

이때 초원에 남아있던 아랍샤 왕조의 다른 구성원들이 일바르스에게 합류했다. 우즈베크인들은 화레즘 전체를 정복하고 화레즘 남쪽과 서쪽의 튀르크멘 부족들을 복종시켰다.[5] 일바르스 칸은 바지르에서 화레즘 지방을 지배했다.[6]

3. 2. 화레즘 정복과 칸 즉위

1510년, 무함마드 샤이바니를 격파한(메르브 전투) 사파비 왕조이스마일 1세화레즘 지방을 일시적으로 정복하자, 이 지역의 도시 바지르의 주민들이 사파비 왕조를 몰아내기 위해 일바르스 1세를 불러들였다.[4] 이에 일바르스와 그의 형제 발바르스 술탄은 화레즘 지방으로 갔다. 우르겐치를 정복한 이후인 1511년, 일바르스는 칸으로 옹립되었다.[5]

이때에 이르러 초원에 남아있던 아랍샤 왕조의 다른 구성원들이 일바르스에게 합류했다. 우즈베크인들은 화레즘 전체를 정복하고 화레즘 남쪽과 서쪽의 튀르크멘 부족들을 복종시켰다.[5] 일바르스 칸은 바지르에서 화레즘 지방을 지배했다.[6] 일바르스 칸은 1518년에 죽었다.[4]

3. 3. 사망

일바르스 칸은 1518년에 사망했다.[4]

참조

[1] 웹사이트 ILBĀRS KHAN https://iranicaonlin[...] Encyclopaedia Iranica Foundation 2012-03-27
[2] 웹사이트 ʿARABŠĀHĪ https://iranicaonlin[...] Encyclopaedia Iranica Foundation 2011-08-10
[3] 서적 An Historical Atlas of Central Asia https://brill.com/vi[...] Brill Academic Pub 2003-06-27
[4] 기타 ILBĀRS KHAN http://www.iranicaon[...] Encyclopædia Iranica 2012
[5] 기타 ʿARABŠĀHĪ http://www.iranicaon[...] Encyclopædia Iranica 2011
[6] 서적 An historical atlas of Central Asia Brill 2003
[7] 문서
[8] 문서
[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