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불 하이르 칸 (우즈베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불 하이르 칸은 1412년에 태어난 칭기즈 칸의 후손으로, 우즈베크 부족을 통합하고 시비르 칸국을 건설한 인물이다. 그는 1428년 튜멘과 투라강 주변 지역에서 여러 유목 집단을 통합하기 시작하여 서시베리아 칸으로 선포되었으며, 호라즘과 시르다리야 지역을 침략했다. 1451년에는 티무르 왕조의 아부 사이드를 도왔으나, 1456년 칼마크와의 전투에서 패배하며 권위가 실추되었다. 1468년에 사망한 후 우즈베크 울루스는 분열되었고, 그의 아내 라비야 술탄 베김은 사마르칸트에서 울루그 베그의 딸로 그의 아들인 쿠츠쿤지 칸과 수윤치호자 칸의 어머니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비르 칸국 -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은 16세기 말부터 17세기에 걸쳐 모피 무역을 위해 이루어졌으며, 러시아 차르국은 제국주의적 팽창을 통해 야사크를 징수하고 원주민을 수탈하며 시베리아를 통치했다.
  • 1412년 출생 - 정소공주
    정소공주는 조선 세종의 첫째 딸로, 1412년에 태어나 공주로 봉해졌으나 1424년 완두창으로 사망했다.
  • 1412년 출생 - 희령군
    희령군은 조선 태종의 열 번째 아들로, 이름은 타이며, 1433년에 군에 봉해졌고, 어린 나이에 사망하여 세조가 예장으로 장례를 치르도록 명할 정도로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 1468년 사망 - 세조 (조선)
    세조는 조선의 제7대 왕으로서, 조카 단종을 폐위하고 왕위에 올라 왕권 강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육조직계제를 실시하고 경국대전 편찬을 시작하는 등 강력한 중앙집권 정책을 추진했다.
  • 1468년 사망 - 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
    시지스몬도 판돌포 말라테스타는 15세기 이탈리아의 콘도티에로이자 리미니의 영주로서 용병 대장으로 활약하며 템피오 말라테스티아노를 건설했지만, 잦은 배신과 폭력적인 행적으로 교황에게 파문당하는 등 논란이 많았던 인물이며 현대에는 문학과 예술 작품을 통해 재조명된다.
아불 하이르 칸 (우즈베크)
개요
아불 하이르 칸 그림, 1460년대
아불 하이르 칸 그림, 1460년대
칭호우즈베크 칸국의 칸
시비르 칸시비르 칸국의 칸
재위 기간1428년‒1468년
즉위1428년
본명(정보 없음)
출생1412년경
출생지백장 한국
사망1468년
사망지우즈베크 칸국
매장지(정보 없음)
배우자라비야 술탄-베김
자녀무함마드 샤이바니 (손자)
쿠치쿤지 칸 (아들)
수윤치호자 칸 (아들)
왕가보르지긴 가문
왕조샤이반 왕조
아버지(정보 없음)
어머니(정보 없음)
종교이슬람교
통치
이전 통치자무함마드 칸
후임 통치자셰이크 하이다르

2. 생애

아불 하이르 칸은 칭기즈 칸의 후손으로 주치의 다섯 번째 아들 시반의 후예였다.[2][4] 그는 백장베이였으며, 페르시아어를 사용했다.[5] 1428년 튜멘과 투라강 주변의 유목 집단을 통합하여 세력을 확장했고, 토볼강 전투에서 승리한 후 서시베리아 칸으로 선포되었다.[3]

1430년~1431년에는 호라즘을 공격하여 코네우르겐치를 점령하기도 했으나, 곧 후퇴했다.[3] 1446년 시르다리야 지역을 침략하여 티무르 왕조로부터 영토를 빼앗고 시그나크를 수도로 삼았다.[4]

1451년 티무르 왕조의 아부 사이드를 도와 사마르칸트 탈환에 기여했다.[3] 아부 사이드는 아불 하이르에게 울루그 베그의 딸 라비야 술탄 베김을 아내로 주었다. 라비야 술탄 베김은 쿠츠쿤지 칸과 Суюнчходжа-хан|수윤치호자 칸ru의 어머니가 되었으며, 1485년 사망하여 투르케스탄에 묻혔다.[8]

라비야 술탄 베김 영묘, 아불 하이르의 아내, 투르케스탄에 위치


1456년 칼마크 군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권위가 실추되기도 했다.[9] 1468년 (혹은 1469년, 1470년)에 사망했다.[3]

2. 1. 초기 생애

아불 하이르 칸은 1412년에 태어났다.[3] 그는 칭기즈 칸의 후손으로, 주치의 다섯 번째 아들 시반을 거쳐 태어났으며,[2][4] 백장베이였다. 그는 페르시아어 화자였으며, 튀르크어는 유창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다.[5] 그가 태어날 당시 시반의 ''울루스''(부족)는 여러 유목 집단으로 분열되었고, 그중 하나는 주마두크 칸이 이끌었다. 아불 하이르는 주마두크의 군대에서 복무했으며, 1427년 주마두크가 전투에서 사망했을 때 포로로 잡혔다.[3]

2. 2. 우즈베크 부족 통합과 시비르 칸국 건설

아불 하이르 칸은 1428년에 튜멘과 투라강 주변 지역에서 옛 샤이바니 울루스의 다양한 유목 집단을 통합하기 시작했다.[2] 토볼강 전투 이후 시비르 칸국의 칸인 카지 모하메드를 폐위시키고 살해했으며,[6] 이후 서시베리아 칸으로 선포되었다.[3] 이후 4년 동안 이 지역 전역에서 자신의 통제력을 강화했다.[3]

아불 하이르 칸은 백장 내 또 다른 부족인 망기트와 특히 에디구의 손자인 바카스 베이의 도움을 받아 통합을 추진했다.[7][2]

1430~1431년 아불 하이르는 바카스와 함께 호라즘을 공격하여 지역 수도 코네우르겐치를 점령했으나,[3] 우즈베크족은 도시를 지킬 수 없었고 1431년 여름에 후퇴했다. 아불 하이르의 군대는 초원으로 물러나 아스트라한 근처에서 두 명의 적대적인 칸을 격파했다. 1435~1436년 우즈베크 군대는 다시 호라즘을 공격했고, 몇 년 후 아스트라한을 습격했다.[3] 1446년부터 아불 하이르와 그의 군대는 시르다리야 지역을 침략하여 결국 티무르 왕조의 통제에서 일부 토지를 빼앗았다.[4] 시그나크는 아불 하이르의 새로운 수도가 되었고, 그곳에서 그는 나중에 마와라안나흐르(트란스옥시아나)로 공격을 감행했다.

2. 3. 호라즘 원정과 시르다리야 정복

1430년/1431년, 아불 하이르 칸은 티무르 왕조 영토 호라즘으로 원정하여 지역 수도 코네우르겐치를 점령했다.[3] 그러나 우즈베크족은 도시를 지킬 수 없었고, 1431년 여름에 후퇴했다. 아불 하이르의 군대는 초원으로 물러났고, 그곳에서 아스트라한 근처에서 두 명의 적대적인 칸을 격파했다. 1435년~1436년 우즈베크 군대는 다시 호라즘을 공격했고, 몇 년 후 아스트라한을 습격했다.[3]

1446년부터 아불 하이르와 그의 군대는 시르다리야 지역을 침략하여 결국 티무르 왕조의 통제에서 일부 토지를 빼앗았다.[4] 시그나크를 새로운 수도로 삼았고, 이후 마와라안나흐르(트란스옥시아나)로 공격을 감행했다. 같은 해, 아불 하이르 칸은 시르다리야 강 중류 유역의 오아시스 도시인 수그나크, 사우란, 우즈겐드를 점령하여 정치적·군사적 거점으로 삼는 동시에 경제적 기반을 다졌다. 그러나, 원래 시르다리야 강 중류 유역을 거점으로 삼았던 세력들이 토카 테무르 가문의 케레이와 자니베크를 옹립하여 아불 하이르 칸에게 반기를 들었고, 모굴리스탄(동투르키스탄) 변방으로 이주했다(이들을 카자흐라고 부른다).

2. 4. 티무르 왕조와의 관계

1430년/1431년, 아불 하이르 칸은 티무르 왕조 영토 호라즘으로 원정하여 약탈을 감행했고,[3] 1446년에는 실 강 중류 유역의 오아시스 도시 수그나크, 사우란, 우즈겐드를 점령하여 정치적·군사적 거점으로 삼는 동시에 경제적 기반을 다졌다.[4] 그러나, 원래 실 강 중류 유역을 거점으로 삼았던 세력들이 토카 테무르 가문의 케레이와 자니베크를 옹립하여 아불 하이르 칸에게 반기를 들었고, 모굴리스탄(동투르키스탄) 변방으로 이주했다(이를 카자흐라고 부른다).[9]

1451년, 아불 하이르 칸은 티무르 왕조의 아부 사이드(재위: 1451년 - 1469년)의 구원 요청에 응해 사마르칸트 탈환을 지원했다.[9] 그러나 아부 사이드는 아불 하이르를 두려워하여 밖에 머물게 하고 막대한 선물과 울루그 베그의 딸 라비아 술탄 베김을 하사하여 돌려보냈다.[3]

1456년, 아불 하이르 칸은 중앙 아시아로 진출한 칼마크(오이라트) 군과 싸워 패배하여 그 권위가 실추되었으나, 종종 티무르 왕조의 내분으로 왕자들로부터 구원 요청을 받았다.

1468년, 티무르 왕조 헤라트 정권의 후세인 바이카라(재위: 1470년 - 1506년)는 일주일 동안의 술자리에서도 취하지 않았기 때문에, 마침내 아불 하이르 칸으로부터 원군 약속을 받아냈지만, 그 해에 아불 하이르 칸이 사망하여 약속은 실현되지 못했다.

2. 5. 몰락

1456년, 아불 하이르 칸은 중앙아시아로 진출한 칼마크 군과 싸워 패배하여 그 권위가 실추되었다.[9] 1468년에는 티무르 왕조 헤라트 정권의 후세인 바이카라가 원군을 요청했으나, 그 해에 아불 하이르 칸이 사망하여 약속은 실현되지 못했다.[9]

아불 하이르 칸 사후, 우즈베크의 울루스는 분열되었고, 그 대부분은 케레이 칸과 자니베크 칸이 이끄는 카자흐 칸국으로 흡수되었다.

3. 가족 관계

배우자
라비야 술탄 베김 - 티무르 왕조의 군주 울루그 베크의 딸[8]
자녀


4. 유산

아불 하이르 칸은 1468년에 사망했다(일부 자료에서는 1469년 또는 1470년이라고도 한다).[3] 그의 사후, 마와라 알나흐르와 호라즘 지역의 우즈베크 국가는 두 개의 분리된 계통으로 나뉘어 통치되었다.[4] 16세기 초, 그의 손자 무함마드 샤이바니는 우즈베크족을 통일하고 사마르칸트를 중심으로 샤이바니 제국을 세웠지만 오래가지 못했다.[4]

아불 하이르 칸의 아내이자 울루그 베그의 딸인 라비야 술탄 베김은 1485년에 사망하여 투르케스탄시에 묻혔다.[8] 그녀는 쿠츠쿤지 칸과 Суюнчходжа-хан|수윤치호자 칸ru의 어머니로, 이 두 아들은 후에 마와라안나흐르를 통치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Tūqmāq (Golden Horde), the Qazaq Khanate, the Shībānid Dynasty, Rūm (Ottoman Empire), and Moghūlistan in the XIV-XVI Centuries: from Original Sources https://www.eurasian[...] 2019
[2] 서적 Islamization and native religion in the Golden Horde: Baba Tükles and conversion to Islam in historical and epic tradition https://books.googl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4
[3] 백과사전 Abu'l-Kayr Khan http://www.iranicaon[...] Routledge & Kegan Paul 2008-10-22
[4] 서적 State and Tribe in Nineteenth-Century Afghanistan: The Reign of Amir Dost Muhammad Khan (1826–1863) https://books.google[...] Curzon 1997
[5] 서적 From the Khan's Oven Brill 2022
[6]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7] 문서 Tavārīkh-i guzīdah nuṣrat'nāmah
[8] 문서 O neissledovannykh pogrebeniyakh Guri Amir Arkheologiya, istoriya i kul'tura Sredney Azii 2002
[9] 서적 中央ユーラシア史 山川出版社 2000-10-25
[10] 서적 Islamization and native religion in the Golden Horde: Baba Tükles and conversion to Islam in historical and epic tradition http://www.google.co[...]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1994
[11] 백과사전 Abu'l-Kayr Khan http://www.iranica.c[...] Routledge & Kegan Paul 2008-10-22
[12] 서적 State and Tribe in Nineteenth-Century Afghanistan: The Reign of Amir Dost Muhammad Khan (1826-1863) http://books.google.[...] Curzon 1997
[13]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14] 문서 Tavārīkh-i guzīdah nuṣrat'nāma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