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병역 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의 병역 제도는 에도 시대에는 모병제로 운영되었으나, 메이지 시대에 징병령 공포를 통해 징병제가 실시되었다. 1889년 일본 제국 헌법에 징병제가 명시되었으며, 1927년에는 병역법이 제정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조선과 대만에 징병제가 실시되었고, 1945년에는 의용병역법이 제정되어 국민의용전투대 소집이 이루어졌다. 일본의 항복 선언으로 징병제가 중단되었고, 병역법 폐지로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1945년 이전 병역 의무 대상자는 17~40세 남성 신민이었으며, 1945년 의용병역법에 의한 국민의용전투대 소집 대상자는 15~60세 남성 신민 및 17~40세 여성 신민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군 - 일본 군국주의
일본 군국주의는 메이지 유신 이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일본 사회를 지배한 군부의 팽창주의적 이데올로기로, 부국강병 정책, 서구 열강 경쟁 의식, 대공황 등의 배경 속에서 내셔널리즘 고조, 사상 통제, 군부의 독립적인 권력 행사 등의 특징을 보이며 침략 전쟁을 일으켰으나 태평양 전쟁 패배로 종말을 맞이했다. - 일본군 - 군인칙유
군인칙유는 메이지 천황이 1882년 육해군 장병에게 내린 칙유로, 군부의 동요를 막고 정신적 지주를 확립하기 위해 충절, 예의, 무용, 신의, 질소의 다섯 가지 덕목을 강조하며 군인의 정치 불관여를 명시하였다. - 징병제 - 이스라엘 방위군
이스라엘 방위군은 1948년 창설되어 유대인 준군사 조직을 통합, 이스라엘의 안보와 국토를 수호하며 중동 전쟁과 분쟁에 참여해 온 육군, 공군, 해군으로 구성된 국군으로, 높은 전투력을 유지하나 전쟁범죄 논란과 인권 침해 비판도 존재한다. - 징병제 - 징병제에 대한 반대
징병제에 대한 반대는 종교적, 정치적 신념, 징병 검사 및 입영 기피, 시위, 시설 점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역사적으로 징병제에 반대하는 운동이 전개되었다. - 일본의 군사 - 야스쿠니 신사
야스쿠니 신사는 일본의 국가적 위기와 전쟁으로 사망한 사람들을 기리기 위해 설립되었으나, A급 전범을 포함한 전쟁 관련 인물들의 합사로 인해 주변국들의 반발을 일으키며 과거사 논쟁의 중심에 있는 신사이다. - 일본의 군사 - 일본국 헌법 제9조
일본국 헌법 제9조는 전쟁과 무력 사용을 영구히 포기하고, 군사력 보유와 교전권을 부정하며, 정의와 질서에 기반한 국제 평화를 추구한다.
일본의 병역 제도 | |
---|---|
개요 | |
명칭 | 병역 제도 |
대상 | 남성 |
징병 대상 연령 | 만 18세 이상 |
병역 구분 | 징병제 |
일본 병역 제도 역사 | |
징병령 | 1873년 (메이지 6년) |
병역 의무 | 만 20세부터 3년간의 현역 복무 |
징병 면제 조건 | 호주가(戶主家)의 단 한 명의 아들 관공립 학교의 학생 신체 부적격자 |
징병 기피 증가 원인 | 사무라이 계급의 반발 농민들의 경제적 부담 |
혈세잇키(血税一揆) 발생 연도 | 1873년 |
징병 제도 변화 | 1889년: 징병 면제 조건 축소 1927년: 병역법 개정 (징병 연령 만 20세에서 만 19세로 하향)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으로 징병 제도 폐지 |
자위대 | |
창설 | 1954년 |
모집 방법 | 지원병제 |
역할 | 일본 방위 재해 파견 국제 공헌 활동 |
문제점 | 낮은 지원율 고령화 |
징병제 부활 논의 | |
논의 배경 | 주변국의 군사력 강화 자위대의 인력 부족 |
찬성 의견 | 국가 안보 강화 국민의 애국심 고취 |
반대 의견 | 개인의 자유 침해 사회적 비용 증가 군사주의 부활 우려 |
같이 보기 |
2. 역사
2. 1. 에도 시대 (1868년 이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병농분리 정책으로 부병제가 폐지되고 모병제가 실시되었다.2. 2. 메이지 시대 ~ 쇼와 시대 (1868년 ~ 1945년)
1873년 일본 육군성이 징병령을 공포하여 징병제를 실시하였다. 1889년 일본 제국 헌법 공포로 징병제가 헌법에 명시되었다. (일본 제국 헌법 제20조) 1927년에는 병역법이 제정 및 시행되었다.1943년 식민지 조선에 징병제가 실시되었는데, 이는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한국인들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긴 비극적인 사건으로, 강제 징병된 조선인들은 일본의 침략 전쟁에 동원되어 희생되었다. 1944년에는 식민지 대만에도 징병제가 실시되었다.
1945년 6월 23일에는 의용병역법이 제정되어, 만 15~60세의 남성, 만 17~4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국민의용전투대 소집이 실시되었다. 같은 해 9월 2일 일본 제국의 항복 선언으로 일본군이 무장해제 및 해체되면서 징병제가 중단되었고, 10월 24일 의용병역법 폐지, 11월 17일 병역법 폐지로 일본의 징병제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2. 3. 1945년 이전 병역 의무 대상자 및 연령
1945년(쇼와 20년) 징병제 폐지 이전 병역 의무 연령은 다음과 같았다.- 대일본제국의 17~40세 남성 신민은 1873년 징병령과 1927년 병역법에 의해 병역 의무자로서, 20세 이후 징병검사 대상 및 일본군 징집 대상자였다. 1943년부터 징병검사 및 징병 연령이 19세로 낮아졌다.
- 내지의 남성 신민 (1873년~1945년, 1890년대까지 홋카이도, 오가사와라, 오키나와 거주자는 징병이 면제되었다.)
- 외지 (조선, 대만 등의 식민지)의 남성 신민 (1940년대)
- 1945년 의용병역법에 의한 국민의용전투대 소집 대상자는 15~60세 남성 신민 및 17~40세 여성 신민이었다.
3. 현대
참조
[1]
법률
兵役法
https://hourei.ndl.g[...]
日本法令索引
[2]
간행물
官報、1945年(昭和20年)11月17日
https://dl.ndl.go.jp[...]
국립국회도서관디지털컬렉션
1945-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