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바 원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바 원인은 1891년 네덜란드 해부학 조교 외젠 뒤부아가 인도네시아 자바섬에서 발견한 화석으로,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뒤부아는 두개골과 대퇴골 화석을 발견하고 피테칸트로푸스 에렉투스(Pithecanthropus erectus)로 명명했는데, 이는 유인원과 인간의 중간 형태라는 의미였다. 발견 당시에는 학계에서 논쟁이 있었으나, 이후 베이징 원인(시난트로푸스 페키넨시스)의 발견과 함께 호모 에렉투스로 분류되었다. 자바 원인은 직립 보행을 했으며, 뇌 용량은 현대인보다 작고, 두꺼운 뼈와 턱, 눈썹뼈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1년 발굴 - 호모 에렉투스
    호모 에렉투스는 약 200만 년 전부터 10만 년 전까지 생존하며 직립 보행을 하고 아슐리안 석기를 제작했으며 불을 사용한 최초의 인류로 추정되는 종이다.
  • 인도네시아의 고고학 - 플로레스인
    플로레스인은 2003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에서 발견된 멸종된 인류의 일종으로, 작은 키와 뇌 용량 때문에 '호빗'이라고도 불리며 약 10만 년 전부터 5만 년 전까지 생존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기원과 진화 과정, 독립적인 종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인도네시아의 자연사 - 플로레스인
    플로레스인은 2003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에서 발견된 멸종된 인류의 일종으로, 작은 키와 뇌 용량 때문에 '호빗'이라고도 불리며 약 10만 년 전부터 5만 년 전까지 생존했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기원과 진화 과정, 독립적인 종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인도네시아의 자연사 - 수마트라의 열대우림 지역
    수마트라의 열대우림 지역은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섬에 위치한 25,000km2 규모의 열대우림 지역으로, 풍부한 생물 다양성과 멸종 위기 종의 서식지로서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으며 희귀 식물 종을 포함하고 있다.
자바 원인
기본 정보
자바 원인 (H. e. erectus)의 모식표본 화석, [[Naturalis]], [[레이던]]
자바 원인 (H. e. erectus)의 모식표본 화석, Naturalis, 레이던
화석 범위플라이스토세
사람속
호모 에렉투스
아종호모 에렉투스 에렉투스
멸종 여부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영장목
아목직비원아목
아목 계급 없음진원아목
하목협비하목
상과사람상과
사람과
아과사람아과
사람족
아족사람아족
발견
발견 장소자바 섬
발견 연도1891년
최초 발견자외젠 뒤부아
기타
비고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는 여기서 고려하지 않음.

2. 발견 과정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대학의 해부학 조교였던 외젠 뒤부아는 '미싱 링크' 화석을 찾기 위해 군의관으로 자원하여 네덜란드령 동인도(오늘날의 인도네시아)로 갔다.[26] 1889년부터 2년간 자와섬을 탐사한 끝에 현생인류에 속하는 화석을 발견했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고 계속 탐사를 진행했다. 1891년 자와섬 솔로 강변 트리니르 촌에서 작고 두꺼운 머리뼈와 이빨, 그리고 넓적다리뼈를 발견했다.[1] 1m 안쪽에서 발견된 이 세 화석을 조립한 결과, 두 발로 서서 걸었음이 확실해졌다. 그는 이 화석을 학회에 발표하고 피테칸트로푸스 에렉투스라 이름 붙였다.

1891~1892년에 발견된 자바 원인의 세 가지 주요 화석: 각기 다른 두 각도에서 본 두개골 조각, 어금니, 대퇴골.


뒤부아의 발견은 학계와 종교계에서 큰 논란을 일으켰다.[2] 찰스 다윈은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진화했다고 주장했지만, 찰스 라이엘과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 같은 과학자들은 동남아시아를 인류의 요람으로 지목했다. 뒤부아는 후자의 이론을 지지하여 이를 확인하려 했다.

뒤부아는 자신의 발견을 1894년에 처음 발표하면서 *피테칸트로푸스*가 유인원과 인간 사이의 잃어버린 고리라고 주장했다.[7] 그러나 많은 비평가들은 그 뼈가 직립 보행을 하는 유인원이거나 원시 인류의 뼈라고 주장했다. 당시에는 인류 진화에 대한 진화론적 관점이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주장은 타당했다. 이후 유럽에서 열린 학회에서 여러 과학자들이 화석을 검토한 후, 자바 원인이 전이 형태일 수 있다는 데 동의하기 시작했지만, 대부분은 유인원에서 진화했지만 인간으로 진화하지 않은 "멸종된 측계열"로 여겼다.

창조과학이라는 사이비과학에서는 근처에서 두 개의 사람 두개골을 발견했다는 주장을 하며, 과학자들이 자바 원인을 더 이상 진화의 과정으로 보지 않는다는 엉터리 주장을 펼치기도 하지만, 해당 주장은 전부 루머이며 과학계에서 자바 원인을 유인원으로 보지 않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26]

3. 역사와 중요성

외젠 뒤부아1891년 인도네시아 자바섬 트리닐에서 두개골 윗부분, 대퇴골, 그리고 몇 개의 이빨로 구성된 자바 원인을 발견했다.[2] 뒤부아는 이 뼈들이 직립 보행을 하는 유인원과 인간 사이의 전이 화석이라고 주장하며 '피테칸트로푸스 에렉투스' (직립 원인)라는 학명을 붙였다.[2] 하지만 이 뼈들이 같은 종에 속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1936년 베를린 출신의 고고학자 쾨니히스발트는 자바 중부 상지란 마을에서 뒤부아가 발견한 것과 유사한 두개골을 발견하여 자바 원인 연구에 중요한 진전이 있었다.

그러나 뒤부아의 발견은 창조설을 믿는 교회와 기존 학계의 반발로 인해 그의 생전에는 완전히 인정받지 못했다.[25] 찰스 다윈화석 증거가 부족했음에도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진화했다고 주장했다. 반면 찰스 라이엘과 알프레드 러셀 월리스 등은 긴팔원숭이오랑우탄 같은 유인원들이 동남아시아에 살았기 때문에 이 지역을 인류의 기원으로 보았고, 뒤부아는 이 이론을 지지하여 자바 원인을 발견했다.

이후 베이징 원인이 발견되면서, 자바 원인은 호모 에렉투스로 재분류되었다.

3. 1. 베이징 원인과의 비교

1927년, 캐나다의 데이비드슨 블랙은 베이징 근처 주구점에서 발견한 두 개의 화석화된 치아가 고대 인류에 속한다고 확인하고, 표본의 이름을 ''시난트로푸스 페키넨시스''(베이징 원인)라고 명명했다.[3] 1929년 12월, 같은 유적지에서 여러 두개골 중 첫 번째 두개골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자바 원인과 비슷하지만 약간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3] 1933년 블랙 사망 후 중국에서 그를 대신한 프란츠 바이덴라이히는 ''시난트로푸스'' 또한 유인원과 인간 사이의 중간 화석이며, 자바의 ''피테칸트로푸스''와 매우 유사하여 둘 다 인류과에 속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외젠 뒤부아는 이 가능성을 강하게 부정하고, 베이징 원인을 일종의 네안데르탈인으로, ''피테칸트로푸스''보다 인간에 더 가깝다고 일축하며, 피테칸트로푸스는 피테칸트로포이데아(Pithecanthropoidea)라는 독자적인 상과에 속한다고 주장했다.[3]

4. 특징

자바 원인은 키가 약 약 1.52m였으며, 대퇴골은 현생 인류처럼 직립 보행했음을 보여준다.[1] 대퇴골은 현생 인류보다 두꺼워 달리기를 많이 했음을 시사한다.[7] 두개골은 두꺼운 뼈와 후퇴하는 이마가 특징이며, 큰 치아는 턱을 크고 돌출되게 만들었다. 아래 입술이 아래턱의 아랫부분을 덮어 턱이 없는 인상을 주었다. 눈썹 뼈는 곧고 컸다. 뇌 용량은 900 cm³로 후기 ''호모 에렉투스'' 표본보다 작았다. 그러나 큰 송곳니를 가진 인간과 같은 치아를 가지고 있었다.[1]

두개골은 작고 뇌 용량은 약 900cc로 추정되었다. 눈확 위 융기는 크고, 이마는 현대인처럼 둥글게 부풀어 오르지 않고 낮고 뒤로 기울어지는 원시적인 특징을 보인다. 그러나 대퇴골은 곧고 길어 현대인과 매우 흡사하여, 두 유골이 다른 시대에 속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얼굴은 넓고 평평하며, 유럽의 동시대 원인(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과 비교했을 때 얼굴 폭이 작은 등 명확한 차이를 보인다.

5. 연대 측정 및 분석

자바 원인의 연대는 생층서학적 방법과 방사성 동위원소 연대 측정법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연구되었다. 뒤부아가 수집한 화석은 네덜란드 자연사박물관으로 이전되었으며,[10] 두개골 화석(트리닐 2)은 주변 화석 동물군과의 비교를 통해 연대가 측정되었다.[10] 초기에는 약 70만 년 전, 즉 중기 플라이스토세 초기로 추정되었다.[10]

1980년대에는 뒤부아가 수집한 동물 화석을 재평가하여 자바 원인 화석의 연대를 90만 년에서 100만 년 전 사이로 추정하기도 했다.[10] 2014년 연구에서는 조개껍데기 퇴적물에 대한 Ar-Ar 및 루미네선스 연대 측정을 통해 최대 0.54 ± 0.10백만 년, 최소 0.43 ± 0.05백만 년 전으로 추정했다.[11]

자바 원인 연대 측정 연구 결과
연구 시기연대 추정방법비고
초기약 70만 년 전생층서학적 방법중기 플라이스토세 초기
1980년대90만 년 ~ 100만 년 전동물 화석 재평가트리닐 H. K. 동물군
2014년최대 0.54 ± 0.10백만 년 ~ 최소 0.43 ± 0.05백만 년 전Ar-Ar 및 루미네선스 연대 측정조개껍데기 퇴적물 대상



한편, 상기란에서 발견된 상기란 2 화석은 최대 166만 년 전, 모조케르토 아이는 최대 149만 ± 13만 년 전으로 추정되어 자바에서 호모 에렉투스가 더 이전에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자바 원인의 화석은 강물의 흐름에 의해 퇴적된 충적층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같은 종이나 개체에 속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독일의 병리학자 루돌프 피르호는 1895년에 대퇴골이 긴팔원숭이의 것이라고 주장했다.[3] 또한 트리닐 대퇴골은 현대 인류의 것과 유사하여 더 오래된 지층에 재퇴적된 화석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6. 물질 문화

자바 원인은 다른 호모 에렉투스와 마찬가지로 척추동물 고기를 식단의 중요한 부분으로 섭취했을 가능성이 높다.[12] 이들은 조개껍질 도구를 사용하여 고기를 자른 것으로 보인다.[13] 자바 원인의 동남아시아 확산 시기와 거대 거북 ''Megalochelys''의 멸종 시기가 일치하는데, 이는 자바 원인이 거북을 사냥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14]

자바 원인은 약 180만 년 전 유라시아에 도착한 호모 에렉투스의 일원으로 추정된다.[15] 이들은 습한 숲 환경, 특히 범람이 잦은 사바나 지역에서 서식한 것으로 보인다.[16] 트리닐 발굴 현장에서는 벼과, 고사리, 무화과나무, 쪽 등 저지대 열대 우림 식물이 발견되었다.[16]

자바 원인이 불을 사용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트리닐 지층에서 발견된 탄화된 나무 화석은 약 50만 년에서 83만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지만, 자연 화재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19] 그러나, 빈번한 자연 화재로 인해 자바 원인이 불을 "기회주의적으로 사용했을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21]

7. 태평양 전쟁 시기의 일화

태평양 전쟁 중, 일본군은 1942년부터 패전 때까지 자바를 점령하고 군정을 실시했다. 반둥에 있던 화석 인골은 일괄적으로 일본 측에 인계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래서 당시 자바에서 발굴 등에 종사하던 독일인 인류학자 랄프 폰 쾨니히스발트 등 관계자들은 모조품을 만들거나 숨기는 등으로 저항했다. 솔로인의 두개골 하나만 1942년 천황의 생일 선물로 일본에 보내졌다. 전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는 이것이 교토의 황실 컬렉션에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압수하여 뉴욕의 인류학자 프란츠 바이덴라이히에게 보냈다.[24]

8. 현대적 의의

랄프 폰 케니히스발트는 "어떤 고생물학적 발견도 이처럼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이토록 다양하고 상반되는 과학적 의견들을 낳지는 않았다"고 회상했다. 1890년대 말까지 ''피테칸트로푸스'' 화석들을 다룬 80편 가까운 논문이 나올 정도로 자바 원인의 발견은 논란의 대상이었다.[1]

1924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280만 년 전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 (탕 어린이)의 유해가 발견되기 전까지, 뒤부아와 케니히스발트가 발견한 자바 원인은 가장 오래된 인류 화석이었다. 당시 일부 과학자들은 자바 원인이 현생 인류와 다른 대형 유인원들과 공유하는 공통 조상 사이의 잠재적인 중간 형태라고 제안했다. 그러나 현재 인류학자들의 일반적인 견해는 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은 자바 원인이나 베이징원인과 같은 아시아 개체군이 아니라, ''호모 에렉투스''(''호모 에르가스터'')의 아프리카 개체군이라는 것이다.[2]

인도네시아 플로레스섬에서 발견된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는 약 1만 2000년 전까지 서식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소형 인류의 신종이라는 설도 있다.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를 호모 에렉투스의 후손으로 보는 견해도 있어 자바 원인과의 연관성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자바 원인의 화석은 네덜란드 라이덴에 있는 국립자연사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껫뽄(Gandung)에서 발굴된 자바원인은 자바 원인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다. 바이덴라이히(Weidenreich), 월포프(Wolpoff) 등은 현대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과 자바 원인이 매우 유사하다고 주장한다.

참조

[1] 백과사전 Java Man (extinct hominid) http://www.britannic[...] britannica.com 2013-06-05
[2] 서적 The Cambridge Dictionary of Human Biology and Evolution http://www.ured-dou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 웹사이트 Images of Trinil 2 http://humanorigins.[...] 2010-01-25
[4] 서적 The Human Fossil Record, Craniodental Morphology of Genus Homo (Africa and Asia) John Wiley & Sons 2005
[5] 웹사이트 Sangiran Early Man Site https://whc.unesco.o[...]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4-07-02
[6] 간행물 State of conservation of properties inscrib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https://whc.unesco.o[...] 2002
[7] 잡지 The Discovery of Java Man in 1891 https://web.archive.[...]
[8] 서적 Paleoanthropology: Morphology and Paleoecology Mouton & Co. 1975
[9] 저널 Homo erectus at Trinil on Java used shells for tool production and engraving https://www.nature.c[...] 2015
[10] 웹사이트 The Dubois collection: a new look at an old collection http://www.repositor[...] 2014-12-03
[11] 저널 Homo erectus at Trinil on Java used shells for tool production and engraving 2015-02-12
[12] 저널 A carnivorous niche for Java Man? A preliminary consideration of the abundance of fossils in Middle Pleistocene Java https://www.research[...] 2012
[13] 저널 Shell tool use by early members of Homo erectus in Sangiran, central Java, Indonesia: cut mark evidence 2007-01
[14] 서적 Conservation Biology of Freshwater Turtles and Tortoises Chelonian Research Foundation 2015-04-16
[15] 저널 Geriatric issues from the standpoint of human evolution 2014
[16] 저널 The Oldest Gibbon Fossil (Hylobatidae) from Insular Southeast Asia: Evidence from Trinil, (East Java, Indonesia), Lower/Middle Pleistocene 2014
[17] 웹사이트 Evidence That Human Ancestors Used Fire One Million Years Ago https://www.scienced[...] 2013-10-27
[18] 웹사이트 Archaeologists Find Earliest Evidence of Humans Cooking With Fire http://discovermagaz[...] 2013-12-16
[19] 저널 Hominid Use of Fire in the Lower and Middle Pleistocene: A Review of the Evidence https://web.archive.[...] 1989-02
[20] 서적 In Quest of Man: A Biological Approach to the Problem of Man's Place in Nature Elsevier 2013
[21] 저널 On the earliest evidence for habitual use of fire in Europe 2011
[22] 서적 「退化」の進化学 講談社
[23] 웹사이트 Homo erectus http://humanorigins.[...] Smithsonian Institution 2015-12-20
[24] 서적 「明石原人」とは何であったか 日本放送出版協会 1994-11-20
[25] 서적 원시인, 나타나다 자음과 모음
[26] 저널 Geological Evidence for the Earliest Appearance of Hominins in Indonesia https://link.sprin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