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밀 뒤르켐의 《자살론》은 사회적 요인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사회학 고전이다. 뒤르켐은 사회 통합과 도덕적 규제의 불균형에 따라 이기적 자살, 이타적 자살, 아노미적 자살, 숙명적 자살 등 네 가지 유형으로 자살을 분류했다. 그는 연구를 통해 남성, 독신, 개신교 신자, 군인, 전쟁 시기보다 평화 시기에 자살률이 높다는 결론을 내렸다. 뒤르켐의 연구는 생태학적 오류와 종교적 요인에 대한 해석 등 비판을 받았지만, 자살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7년 책 -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은 이사벨라 버드 비숍이 19세기 말 조선을 여행하며 겪은 경험과 당시 조선 사회의 여러 측면을 기록한 기행문으로, 조선의 열악한 환경, 부패, 계급 제도, 여성의 지위 등을 비판적으로 묘사하고 당시 혼란스러운 상황을 담아낸 책이다. - 자살에 관한 책 - 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
《나는 가해자의 엄마입니다》는 콜럼바인 고등학교 총기 난사 사건 가해자의 어머니가 쓴 회고록으로, 사건 전후의 상황과 심경 변화를 담아 학교폭력, 총기 규제 등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의를 촉발했다. - 자살에 관한 책 - Final Exit
데릭 험프리의 저서 《Final Exit》는 자살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자살 방법의 장단점, 자결 계획 시 법적·재정적 고려 사항, 헬륨 가스 사용법 등을 다루어 자살 조장 논란, 자기 결정권과 생명 윤리 간의 충돌, 안락사 방조의 윤리적 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논쟁을 야기했다.
자살론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서지 정보 | |
제목 (원제) | Le Suicide: Étude de sociologie |
제목 (번역) | 자살론: 사회학 연구 |
저자 | 에밀 뒤르켐 |
삽화가 | 해당사항 없음 |
표지 미술가 | 해당사항 없음 |
국가 | 프랑스 |
언어 | 프랑스어 |
시리즈 | 해당사항 없음 |
주제 | 자살, 사회학 |
출판일 | 1897년 |
미디어 유형 | 인쇄물 |
ISBN | 해당사항 없음 |
이전 작품 | 해당사항 없음 |
다음 작품 | 해당사항 없음 |
영어 출판일 | 1952년 (Routledge & Kegan Paul) |
원어 코드 | fr |
번역가 | 존 A. 스폴딩 및 조지 심슨 |
인용문 | |
내용 | 자살이라는 용어는 피해자 자신의 적극적 또는 소극적 행위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모든 사망 사례에 적용되며, 그는 이러한 행위가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
관련 링크 | |
위키문헌 (프랑스어) | fr |
2. 뒤르켐의 자살 유형
에밀 뒤르켐은 자살을 사회 통합과 도덕적 규제의 불균형 정도에 따라 이기적 자살, 이타적 자살, 아노미적 자살, 숙명적 자살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4] 그는 사회 집단에 미치는 다양한 위기의 영향에 주목했는데, 예를 들어 전쟁은 이타심의 증가로 이어지고, 경제 호황이나 재앙은 아노미에 기여한다고 보았다.[2]
2. 1. 이기적 자살
'''이기적 자살'''은 공동체에 속하지 못한다는, 즉 통합되지 못한다는 오랜 감정을 반영한다. 이는 자살자가 자신이 묶여 있는 밧줄이 없다고 느끼는 데서 기인한다. 이러한 부재는 무의미함, 무관심, 우울함, 우울증을 야기할 수 있다.[3]뒤르켐은 이러한 소외를 "과도한 개별화"라고 부른다. 사회 집단(그리고 잘 정의된 가치, 전통, 규범 및 목표)에 충분히 묶여 있지 않은 개인은 사회적 지원이나 지침을 거의 받지 못했으며, 따라서 자살할 가능성이 더 높았다. 뒤르켐은 특히 미혼 남성과 같이 미혼인 사람들 사이에서 자살이 더 자주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그는 그들이 안정적인 사회적 규범과 목표에 묶이고 연결될 만한 것이 더 적다고 보았다.[4]
2. 2. 이타적 자살
이타적 자살은 집단의 목표와 신념에 압도되는 감정으로 특징지어진다.[5] 이는 통합 수준이 높은 사회에서 발생하며, 개인의 필요는 사회 전체의 필요보다 덜 중요하게 여겨진다. 따라서 이타적 자살은 이기적 자살과는 반대되는 통합 척도에서 발생한다.[4] 개인의 관심사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기 때문에, 뒤르켐은 이타적인 사회에서는 사람들이 자살할 이유가 거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 가지 예외를 설명했는데, 개인이 사회를 위해 스스로를 죽여야 할 경우이다. 예를 들어 군 복무가 이에 해당한다.2. 3. 아노미적 자살
'''아노미적 자살'''은 극적인 사회적, 경제적 격변과 관련된 개인의 도덕적 혼란과 사회적 방향성의 결여를 반영한다.[6] 이는 도덕적 규제의 부재와, 개인의 양심에 의미와 질서를 부여할 수 있는 억제적인 사회 윤리를 통해 정당한 열망에 대한 정의가 결여된 결과이다. 뒤르켐은 이를 유기적 연대를 생산하는 데 있어 경제 발전과 분업의 실패를 나타내는 징후로 보았다. 사람들은 자신이 사회 내에서 어디에 속하는지 모르게 된다. 뒤르켐은 이것이 사람들이 자신의 욕망의 한계를 알지 못하고 끊임없이 실망하는 도덕적 혼란 상태라고 설명한다. 이는 재산의 극심한 변화를 겪을 때 발생할 수 있는데, 경제적 파탄뿐만 아니라 예상치 못한 이익도 포함된다. 두 경우 모두 이전의 삶에 대한 기대가 무시되고 새로운 상황을 새로운 한계와 관련하여 판단하기 전에 새로운 기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2. 4. 숙명적 자살
숙명적 자살은 개인이 과도하게 규제될 때, 즉 미래가 가혹하게 차단되고 열정이 억압적인 훈련에 의해 격렬하게 억눌릴 때 발생한다.[7] 이는 아노미적 자살의 반대이며, 거주자들이 살아남는 것보다 죽는 것을 선호하는 사회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일부 수감자는 끊임없는 학대와 과도한 규제가 있는 감옥에서 사는 것보다 죽는 것을 선호할 수 있다. 뒤르켐은 그가 개발한 다른 개념과 달리 숙명적 자살이 이론적이며 실제로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최근의 경험적 증거는 숙명적 자살이 현대 사회에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8][9][10][11][12][13][14]3. 뒤르켐의 연구 결과
뒤르켐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 남성이 여성보다 자살률이 높다. (단, 수년 동안 아이가 없는 결혼한 여성은 높은 자살률을 보였다.)
- 성관계를 갖는 사람보다 독신인 사람에게서 자살률이 높다.
- 아이가 없는 사람보다 아이가 있는 사람에게서 자살률이 높다.
- 가톨릭교도와 유대교도보다 개신교도에게서 자살률이 높다.
- 민간인보다 군인에게서 자살률이 높다.
- 전쟁 시기보다 평화 시기에 자살률이 높다. (예를 들어, 프랑스의 자살률은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쿠데타 이후 감소했다. 전쟁 또한 자살률을 감소시켰다. 1866년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 사이에 전쟁이 발발한 후 두 나라의 자살률은 14% 감소했다.)
- 스칸디나비아 국가에서 자살률이 높다.
그는 또한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개인이 자살을 선택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뒤르켐은 개인의 교육 수준보다 개인의 종교와 자살률 사이에 더 많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혀냈다. 유대인은 일반적으로 고등 교육을 받았지만 자살률은 낮았다.[27]
출판 당시 이 책에 대한 큰 반향은 없었고, 사회학의 "고전"이 되는 데에는 시간이 걸렸다.
셀레스탱 부글레는 ''L'Année socioologique''에 리뷰를 쓰는 것을 원치 않아, 폴 포코네가 담당했다. 셀레스탱 부글레가 처음에 지명한 귕스타브 베로는 1898년에 이 연구에 대한 리뷰를 발표했다.[28]
뒤르켐의 친구인 모리스 알바박스는 데이터를 재분석하여, 1930년에 비판적인 책 ''Les Causes du suicide''로 보충했다. 그는 특히 종교가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4. 비판
뒤르켐의 《자살론》은 출판 당시 큰 반향을 얻지 못했고, 사회학의 "고전"이 되는 데에는 시간이 걸렸다.[27] 셀레스탱 부글레는 ''L'Année socioologique''에 리뷰를 쓰는 것을 원치 않아 폴 포코네가 담당했으며, 셀레스탱 부글레가 처음에 지명한 귕스타브 베로는 1898년에 이 연구에 대한 리뷰를 발표했다.[28]
모리스 알바박스는 1930년에 뒤르켐의 데이터를 재분석하여 비판적인 책 ''Les Causes du suicide''를 출판하고, 종교가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4. 1. 생태학적 오류
뒤르켐은 생태학적 오류를 범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5][16] 뒤르켐의 결론은 (자살과 같은) 개인의 행동에 관한 것이지만, 집계 통계 (개신교와 가톨릭교도의 자살률)에서 도출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유형의 추론은 특정 사건("미시")을 통계 데이터("거시")로 설명하는 것으로, 심슨의 역설에서 보여지듯이 종종 오해를 불러일으킨다.[17]그러나 뒤르켐의 연구가 실제로 생태학적 오류를 포함했는지에 대해서는 상반된 견해가 존재한다. Van Poppel과 Day (1996)는 가톨릭교도와 개신교도 사이의 보고된 자살률의 차이가 두 집단이 사망을 기록하는 방식에 의해 완전히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개신교도는 "급사"와 "불분명하거나 명시되지 않은 원인에 의한 사망"을 자살로 기록하는 반면, 가톨릭교도는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뒤르켐의 오류는 논리적인 것이 아니라 경험적인 것이다.[18] 잉켈레스(1959),[19] Johnson (1965),[20] 및 Gibbs (1958)[21]는 뒤르켐이 "그의 이론은 특정 개인의 자살이 아닌 자살 발생률의 사회 환경 간의 변동을 설명하기 위한 것"임을 강조하면서, 전체론적 관점에서 자살을 단지 "사회학적으로" 설명하려 했다고 주장했다.[22]
더 최근에는, Berk (2006)가 뒤르켐 연구에 대한 비판의 근본적인 미시-거시 관계에 의문을 제기한다. 그는 다음과 같이 주목한다.
"뒤르켐은 사회 조직의 채널을 따라 흐르는 집단적 성향을 반영하는 '집단적 흐름'에 대해 이야기한다. 흐름의 강도는 자살의 양을 결정한다... 우울증과 같은 심리적 [즉, 개인적] 변수를 도입하는 것은 자살의 독립적인 [비사회적] 원인으로 보일 수 있는데, 이러한 변수가 더 큰 사회적 힘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이러한 힘이 없으면 그러한 개인 내에서 자살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는 뒤르켐의 개념을 간과하는 것이다."[23]
4. 2. 가톨릭과 개신교
에밀 뒤르켐은 개신교와 가톨릭 신자들의 자살률 차이를 분석하며, 가톨릭 신자들 사이의 더 강력한 사회적 통제가 더 낮은 자살률을 낳는다고 주장했다. 뒤르켐에 따르면 가톨릭 사회는 정상적인 수준의 사회 통합을 유지하는 반면, 개신교 사회는 낮은 수준의 사회 통합을 보인다.이러한 해석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왔다. 뒤르켐은 지나치게 일반화했을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그는 대부분의 데이터를 아돌프 바그너와 헨리 모르셀리를 비롯한 이전 연구자들로부터 가져왔지만, 그들은 데이터로부터 일반화하는 데 더 신중했다.[24] 실제로, 후대 연구자들은 개신교-가톨릭 간의 자살률 차이가 독일어 사용 유럽에 국한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는 다른 기여 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25]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뒤르켐의 자살에 관한 연구는 통제 이론 (사회학)의 지지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고전적인 사회학 연구로 자주 언급된다.[26]
5. 영향
출판 당시 이 책에 대한 큰 반향은 없었고[27], 사회학의 "고전"이 되는 데에는 시간이 걸렸다.
셀레스탱 부글레는 ''L'Année socioologique''에 리뷰를 쓰는 것을 원치 않아, 폴 포코네가 담당했다. 셀레스탱 부글레가 처음에 지명한 귕스타브 베로는 1898년에 이 연구에 대한 리뷰를 발표했다[28].
에밀 뒤르켐의 친구인 모리스 알바박스는 데이터를 재분석하여, 1930년에 비판적인 책 ''Les Causes du suicide''로 보충했다. 그는 특히 종교가 자살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참조
[1]
서적
Durkheim's Suicide: a century of research and debat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1-04-13
[2]
논문
Egoism, Altruism, Anomie, and Fatalism: A Conceptual Analysis of Durkheim's Types
[3]
서적
When the Center is on Fire : Passionate Social Theory for Our Times
University of Texas Press
[4]
서적
Emile Durkheim
https://archive.org/[...]
Tavistock Publications
[5]
서적
When the Center is on Fire : Passionate Social Theory for Our Times
University of Texas Press
[6]
서적
When the Center is on Fire : Passionate Social Theory for Our Times
University of Texas Press
[7]
서적
When the Center is on Fire : Passionate Social Theory for Our Times
University of Texas Press
[8]
논문
Totalitarianism and fatalistic suicide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9]
논문
A reworking of Durkheim’s suicide
Economy and Society
[10]
논문
Towards a theory of suicide: The case for modern fatalism
Omega (journal)
[11]
논문
Fate and the clinic: A multidisciplinary consideration of fatalism in health behaviour
Medical Humanities (journal)
[12]
논문
Fatalism and risk of adolescent depression
Psychiatry
[13]
논문
Adolescent Suicide
2008-10-26
[14]
간행물
Durkheim’s Greatest Blunder
2019
[15]
웹사이트
The Ecological Fallacy
https://www.stat.ber[...]
University of California
[16]
서적
Émile Durkheim : Selected Essays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17]
논문
Causal Modeling: New Directions for Statistical Explanation
[18]
논문
A Test of Durkheim's Theory of Suicide—Without Committing the Ecological Fallacy
[19]
서적
Sociological Today
Basic Books
[20]
논문
Durkheim's One Cause of Suicide
[21]
논문
A Theory of Status Integration and Its Relationship to Suicide
[22]
논문
Macro-Micro Relationships in Durkheim's Analysis of Egoistic Suicide
[23]
논문
Macro-Micro Relationships in Durkheim's Analysis of Egoistic Suicide
[24]
서적
Religion, Deviance and Social Control
https://books.google[...]
Routledge
[25]
논문
Sociology's One Law
[26]
논문
Religion, Culture, Economic and Sociological Correlates of Suicide Rates: A Cross-National Analysis
[27]
문서
Hocquard A, préface du livre Le Suicide, livre II, éditions Garnier-Flammarion
[28]
서적
[29]
문서
기든스 "현대" 제1장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