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노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노미는 무법, 무질서 상태를 의미하는 용어로, 프랑스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에 의해 근대 사회학에서 재조명되었다. 뒤르켐은 사회 분업의 심화와 규범의 부재가 개인의 사회적 소외와 무목적성을 초래한다고 보았으며, 그의 이론은 로버트 킹 머튼의 일탈 이론, 세바스찬 드 그라치아의 아노미 유형 분류, 현대 사회의 사회적 무질서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아노미는 개인의 무력감, 불안, 자기 상실감을 증폭시켜 일탈 행동과 퇴행 현상을 유발하며, 대도시의 익명성, 급격한 사회 변화, 문화적 가치관의 혼란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2. 어원

무법, 무질서의 상태, 신의(神意)나 법의 무시를 뜻하는 그리스어 아노미아(anomia|아노미아grc)가 어원이다.[27] 중세 이후 사용되지 않다가, 에밀 뒤르켐이 《사회분업론》(1893)과 《자살론》(1897)을 통하여 언급한 이후 머턴, 드 그라지아 등이 재해석하며 근대사회학에서 부활된 용어이다.[28]

'아노미'라는 용어는 프랑스어 차용으로, 프랑스식 철자인 'anomy'로 표기되었으며,[13] anomía|아노미아|lit=무법grc에서 유래했다.[14][15] 즉, 무능 접두사 접두사 (''a-'', '없이')와 ''nomos'' (νόμος|노모스|lit=법grc)에서 유래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nomos''와 ''arché'' (ἀρχή|아르케|lit=시작 규칙, 공리, 원칙grc)를 구분했다. 예를 들어, 군주는 단독 통치자이지만, 여전히 현행법, 즉 ''nomos''의 적용을 받으며 면제되지 않을 수 있다. 최초의 폴리스 민주주의에서 다수결의 원칙은 ''arché''의 한 측면이었는데, 규칙 기반의 관습법 시스템이었으며, 이는 법을 제정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었다, 즉 ''nomos''였다. 따라서, ''아노미''의 원래 의미는 법에 반하거나 법 밖에 있는 모든 것 또는 법이 적용되지 않아 불법성 또는 무법 상태가 초래되는 조건을 정의했다.

3. 뒤르켐의 아노미 이론

아노미(Anomie)는 사회가 해체되면서 인간의 행동을 규제하는 공통의 가치나 도덕적 기준이 약해지거나 사라져 무규제 상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 이로 인해 개인은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 욕구불만이나 불안에 빠지고, 인격 분열을 일으키거나 반사회적 또는 비사회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26]

한국의 경우 19세기 말 개항기,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1960∼1970년대 산업화 시기에 발생한 가치 갈등과 교체는 아노미의 전형적인 예이다. 일본의 경우에는 2차대전 패전 이후 발생한 가치의 갈등과 교체가 전형적인 예이다. 이러한 시기에는 신흥 종교가 많이 생겨나기도 한다.[28]

아노미는 그리스어 아노미아(anomia)에서 유래되었으며, '무법', '무질서', '신의(神意)나 법의 무시'를 뜻한다.[27] 중세 이후 사용되지 않다가, 에밀 뒤르켐이 《사회분업론》(1893)과 《자살론》(1897)에서 언급하면서 사회학에서 다시 사용되기 시작했다.[28] 뒤르켐은 아노미를 사회 구성원의 행위를 규제하는 공통의 가치나 도덕적 규범이 상실된 혼돈 상태로 정의했다.

1938년, 로버트 K. 머튼은 아노미를 일탈과 연결하여, 문화와 구조 사이의 불연속성이 사회 내에서 일탈을 초래하는 기능 부전적 결과를 낳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제도화된 수단의 수용 또는 거부에 따라 5가지 유형의 일탈을 설명했다.[12]

19세기 프랑스의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은 프랑스 철학자 장마리 귈로로부터 '아노미'라는 용어를 빌려왔다.[16] 뒤르켐은 아노미가 경제 상황의 급격한 변화(좋든 나쁘든)나 이념적 이론과 실제 생활에서 달성 가능한 것 사이의 불일치가 있을 때 흔히 발생한다고 보았다. 이는 자살이 개인의 부정적인 사건과 임상적 우울증에 의해 촉발된다는 이전의 자살 이론과는 반대되는 주장이었다.

뒤르켐은 전통적인 종교가 아노미를 겪는 개인이 결여한 공유된 가치의 기초를 제공한다고 보았다. 또한 산업 혁명 이후 경제생활에 만연했던 분업이 개인이 공동선보다는 이기주의적 목적을 추구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로버트 킹 머튼 역시 아노미 개념을 채택하여 스트레인 이론을 발전시켰는데, 이는 사회적 목표와 합법적인 수단 사이의 불일치로 정의된다. 즉, 아노미를 겪는 개인은 사회의 목표를 달성하려 하지만, 구조주의적 한계로 인해 합법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없어 일탈 행동을 보이게 된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이 의미로 '아노미'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했다.

한 학술 조사에 따르면, 심리 측정 검사에서 아노미와 대학생들 사이의 학문적 부정직 사이에 연관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대학이 학생들 사이에서 윤리 강령을 육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했다.[17] 또 다른 연구에서는 아노미가 관광의 "푸시 요인"으로 간주되었다.[18]

웹스터 사전의 1913년 판에는 '아노미'가 "법을 무시하거나 위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9] 그러나 사회적 무질서로서의 '아노미'는 무정부주의와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아나키즘 지지자들은 무정부 상태가 반드시 아노미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계층적 명령이 오히려 무법성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한다. 일부 원시 무정부주의자들은 복잡한 사회, 특히 산업 사회와 탈산업 사회가 개인에게 자기 결정과 상대적으로 작은 참조 집단(밴드, 씨족, 부족 등)을 박탈함으로써 아노미와 같은 조건을 야기한다고 주장한다.

2003년, 호세 솔테로와 로메오 사르비아는 엘살바도르개신교가톨릭과 관련하여 아노미의 개념을 분석했다. 1970년대의 대규모 인구 이동, 경제 및 정치 위기, 폭력의 순환은 엘살바도르의 종교 구성을 급격하게 변화시켜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개신교적인 국가 중 하나로 만들었다. 솔테로와 사르비아는 개신교의 부상이 "가난한 사람들의 영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 가톨릭의 실패와 개신교의 "구원, 해방, 영생에 대한 더 깊은 탐구"에 의해 일어났다고 주장했다.[20] 그러나 그들의 연구 결과는 엘살바도르의 가톨릭 공동체는 높은 사회적 결속력을 누리는 반면, 개신교 공동체는 더 열악한 사회 통합, 내부 이주와 관련이 있으며, 엘살바도르 내전의 영향을 깊이 받는 경향이 있다는 아노미 가설과 일치했다.[20] 또한 엘살바도르의 가톨릭이 사회 활동, 해방 신학 및 좌파 정치와 연관되어 있는 반면, "일부 개신교 교회가 표현하는 우익 정치적 성향, 또는 적어도 소극적이고 내면적인 지향"과는 대조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20]

솔테로와 사르비아의 연구는 또한 개신교와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부족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했다.

3. 1. 사회 분업과 아노미

1893년, 에밀 뒤르켐은 ''아노미''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길드가 동질적인 구성일 때,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에 길드 노동이 제대로 부응하지 못하는 현상을 설명했다. 그는 동질적인 기술이 적응을 방해하는 관성을 가진 ''기계적 연대''와 같다고 보았다. 그는 이것을 구성의 차이에 기반한 분업의 자기 규제적 행동과 대조했는데, 이는 관성이 없어 필요한 변화에 민감한 ''유기적 연대''와 같다고 정의했다.[10]

뒤르켐은 진화된 유기적 분업과 동질적인 기계적 유형 사이의 갈등은 서로 공존할 수 없다고 보았다.[10] 연대가 유기적일 때, 상호적인 필요에 대한 민감성이 분업의 진화를 촉진하므로 아노미는 불가능하다.[10] 뒤르켐은 아노미의 조건을 기계적 연대로의 전환 이후 유기적 연대의 기능 부전의 결과로 보았다.[10]

뒤르켐이 사용한 ''아노미''는 자체 관성으로 인해 적응할 수 없는 대규모 규율화인 산업화 현상과 관련이 있었다. 더 구체적으로는 변화에 대한 저항은 충분한 힘이나 운동량을 축적하여 관성을 극복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집단 행동 (예: 경제)의 파괴적인 순환을 야기한다.

뒤르켐은 저서 『사회 분업론』(1893년)에서 "아노미"의 개념을 제시했는데, 사회 분업에서 분화된 기능을 통합하는 상호 작용을 하지 않아 공통의 규범이 불충분한 상태를 나타낸다.

3. 2. 자살론과 아노미

에밀 뒤르켐은 1897년 저서 《자살론》에서 ''아노미''를 규범이 부족하거나 너무 엄격한 상태와 연관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규범 부재 또는 경직성은, 자기 규제를 통해 규범이 자연스럽게 진화하도록 하는 차별적 적응 부족으로 인한 아노미의 ''증상''이었다. 이는 규범이 없는 곳에 규범을 만들거나, 낡고 굳어진 규범을 바꾸기 위함이다.[10]

뒤르켐은 개신교 공동체가 가톨릭 공동체보다 자살률이 높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개신교에 만연한 개인주의와 사회적 응집력 부족 때문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통합되지 않은 사회는 개신교인들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긴밀한 공동체적 관계를 형성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반면, 가톨릭 신앙은 개인을 묶고 강한 사회적 유대를 만들어 자살 및 소외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하였다. 뒤르켐은 아노미적 자살과 관련하여 문화보다 종교가 훨씬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며, 사회적 응집력을 자살률과 연결했다.[11]

뒤르켐은 저서 《자살론》에서 자살을 다음 4가지 형태로 분류했다.

자살의 유형설명
자기 본위적 자살개인이 사회에 통합되지 못하고 고립될 때 발생
집단 본위적 자살개인이 집단에 지나치게 얽매여 발생
아노미적 자살급격한 사회 변동, 성적 자유화 등으로 인한 욕망의 과도한 증가로 인해 개인의 불만, 초조, 환멸 등의 갈등을 겪을 때 발생
숙명적 자살지나치게 엄격한 규율과 통제로 인해 개인이 억압받을 때 발생



이 중 아노미적 자살(suicide anomique프랑스어)은 사회 변화나 성적 자유화 등으로 욕망이 지나치게 커져 개인의 불만, 초조함, 환멸 등 갈등을 겪는 개인에게 일어나기 쉽다고 했다.

4. 뒤르켐 이후의 아노미 이론

에밀 뒤르켐이 《사회분업론》(1893)과 《자살론》(1897)을 통해 아노미 개념을 제시한 이후, 여러 학자들이 이를 재해석하며 근대 사회학에서 중요한 용어로 부활시켰다.[28]

1893년 뒤르켐은 길드가 동질적일 때 진화하는 사회적 요구에 길드 노동이 일치하지 않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아노미''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그는 동질적인(중복된) 기술을 적응을 방해하는 관성을 가진 ''기계적 연대''와 동일시하고, 구성의 차이에 기반한 분업의 자기 규제적 행동과 대조했다. 후자는 관성이 없어 필요한 변화에 민감한 ''유기적 연대''와 동일시되었다. 뒤르켐은 진화된 유기적 분업과 동질적인 기계적 유형 사이의 갈등은 서로 공존할 수 없다는 것을 관찰했다.[10] 연대가 유기적일 때, 상호적인 필요에 대한 민감성이 분업의 진화를 촉진하므로 아노미는 불가능하다고 보았다.[10]

뒤르켐이 사용한 ''아노미''는 자체 관성으로 인해 적응할 수 없는 대규모 규율화인 산업화 현상과 관련이 있었다. 변화에 대한 저항은 충분한 힘이나 운동량을 축적하여 관성을 극복해야 할 필요성 때문에 집단 행동 (예: 경제)의 파괴적인 순환을 야기한다.

1897년 자살 연구에서 뒤르켐은 ''아노미''를 규범의 부족 또는 너무 엄격한 규범의 영향과 연관시켰다. 이러한 규범 부재 또는 규범 경직성은 자기 규제로 인해 자연스럽게 규범이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차별적 적응의 부족으로 인한 아노미의 ''증상''이었다. 뒤르켐은 개신교 공동체가 가톨릭 공동체보다 높은 자살률을 보인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는 개신교인들 사이에 만연한 개인주의와 사회적 응집력 부족 때문이라고 보았다. 반면 가톨릭 신앙은 개인을 묶고 강한 사회적 유대를 구축하여 자살 및 소외의 위험을 감소시킨다고 주장했다. 뒤르켐은 아노미적 자살과 관련하여 문화보다 종교가 훨씬 더 중요하다고 보았다.

19세기 프랑스의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은 프랑스 철학자 장마리 귈로에게서 '아노미'라는 용어를 빌려왔다.[16] 뒤르켐은 《자살론》(1897)에서 사회 자살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했는데, 이는 사회 규범이나 가치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현상과 관련된 사회적 소외와 무목적성을 특징으로 한다. 그는 '아노미'가 경제 상황의 중대한 변화나 이념적 이론과 실제 생활의 불일치가 있을 때 흔하게 발생한다고 보았다.

뒤르켐은 전통적인 종교가 아노미적 개인이 결여된 공유된 가치의 기초를 제공한다고 보았다. 또한 산업 혁명 이후 분업이 개인으로 하여금 이기주의적 목적을 추구하게 했다고 주장했다. 로버트 킹 머튼 역시 아노미 개념을 채택하여 스트레인 이론을 발전시켰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이 의미로 '아노미'라는 단어를 자주 사용한다.

한 학술 조사에 따르면, 심리 측정 검사에서 아노미와 대학생들 사이의 학문적 부정직 사이에 연관성이 확인되었으며, 대학이 윤리 강령을 육성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했다.[17] 또 다른 연구에서는 아노미가 관광의 "푸시 요인"으로 간주되었다.[18]

2003년, 호세 솔테로와 로메오 사르비아는 엘살바도르의 개신교와 가톨릭교와 관련하여 아노미 개념을 분석했다. 1970년대의 대규모 인구 이동, 경제 및 정치 위기, 폭력의 순환은 엘살바도르의 종교 구성을 급격하게 변화시켜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개신교적인 국가 중 하나로 만들었다. 솔테로와 사르비아는 개신교 부상이 가톨릭교의 실패와 개신교의 "구원, 해방, 영생에 대한 더 깊은 탐구"에 의해 일어났다고 주장했다.[20] 그러나 그들의 연구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지 않았으며, 개신교가 가난한 사람들 사이에서 더 인기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 않았다. 엘살바도르의 가톨릭 공동체는 높은 사회적 결속력을 누리는 반면, 개신교 공동체는 더 열악한 사회 통합, 내부 이주와 관련이 있으며, 엘살바도르 내전의 영향을 깊이 받는 경향이 있었다.[20] 또한 엘살바도르의 가톨릭교는 사회 활동, 해방 신학 및 좌파 정치와 연관되어 있는 반면, "일부 개신교 교회가 표현하는 우익 정치적 성향, 또는 적어도 소극적이고 내면적인 지향"과는 대조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20]

4. 1. 그라치아의 아노미 유형

미국의 정치학자 세바스찬 드 그라치아는 뒤르켐을 계승하여 아노미를 단순 아노미와 급성 아노미로 구분하고, 아노미에 따른 가치 갈등을 유형화했다.[1]

4. 2. 머튼의 긴장 이론

로버트 K. 머튼은 1938년에 ''아노미''를 ''일탈''과 연결하여, 문화와 구조 사이의 불연속성이 사회 내에서 일탈을 초래하는 기능 부전적 결과를 낳는다고 주장했다.[12] 그는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제도화된 수단의 수용 또는 거부에 따라 5가지 유형의 일탈을 설명했다.

로버트 킹 머튼은 논문 「사회 구조와 아노미」에서 문화적 목표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제도적 수단 사이에 격차가 존재할 경우 아노미가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긴장 이론"이라고 불린다.

5. 현대 사회와 아노미

현대 사회는 사회 해체로 인해 인간 행위를 규제하는 공통의 가치나 도덕적 기준이 약해지거나 사라지는 무규제 상태, 즉 아노미를 경험한다. 이러한 아노미 상태에서 인간은 불안정해지고 욕구불만과 불안에 빠져 인격 분열을 일으키거나 반사회적, 비사회적 행동을 하게 된다.[26]

한국은 19세기 말 개항기,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1960~1970년대 산업화 시기와 같이 급격한 사회 변화를 겪은 시기에 아노미 현상이 나타났다. 일본 또한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가치관의 혼란과 사회 변화로 인해 아노미를 경험했다. 이러한 사회적 혼란기에는 신흥 종교가 많이 생겨나기도 했다.[28]

5. 1. 대도시와 아노미

거대도시에서는 범죄, 비행, 매춘, 부랑, 신경증, 자살, 유기(遺棄), 이혼 등이 눈에 띄게 많이 나타난다. 이는 거대도시가 끊임없이 해체되고 변동하면서 다양한 가치기준이 대립하고 안정된 질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거대도시에서 사회관계 및 지역으로부터 소외되고, 나아가 이에 반항하는 지역적 저속문화의 자극은 가족, 이웃, 학교, 직장 등에서 규율과 상호감시를 약화시킨다. 또한 소비적인 자유를 누리면서 인간은 생활이나 마음의 의지할 곳을 잃고, 불안, 실의, 고독감, 고립감, 무력감, 자기상실, 붕괴감각, 방향과 목표 상실감 등을 겪으며 부적응 행동과 퇴행 현상을 보이게 된다.[26]

능률과 합리성을 중시하는 거대도시에서는 사회, 집단, 문화, 그리고 인간의 행동과 의식 차원에서 아노미를 유발하는 힘이 잠재되어 있다. 또한 인간을 매스화(mass化)하고 비합리화하며 정동화하는 유력한 환경 조건이 수없이 존재한다고 지적된다.[26]

5. 2. 사회적 무질서와 아노미

사회의 해체에 의해서 인간의 행위를 규제하는 공통의 가치나 도덕적 기준이 약해지거나 없어지는 무규제 상태가 생기고, 그로 인해 인간 자체도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 욕구불만이나 불안에 빠져서 인격의 분열을 일으키거나, 여러 가지 반사회적 또는 비사회적인 행동을 저지르게 되는 사태를 말한다.[26]

한국의 경우에는 19세기 말 개항기,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1960∼1970년대 산업화 시기, 일본의 경우에는 2차대전 패전 이후 등에 발생한 가치의 갈등과 교체 등이 전형적인 예이다.[28] 이 시기에는 신흥 종교가 많이 생겨나기도 한다.

거대도시에서 범죄나 비행, 매춘이나 부랑, 신경증이나 자살, 유기(遺棄)나 이혼 같은 것들이 눈에 띄게 많은 것은 거대도시가 계속해서 해체하고 변동하여 여러 가지 가치 기준의 대립을 가져오게 되고 안정된 질서를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거대도시에 있어서의 사회관계로부터의 소외와 지역으로부터의 소외, 나아가서는 거기에 반항하는 지역적 저속문화의 자극 등은 가족, 이웃, 학교, 직장 등에 있어서의 규율이나 상호감시의 약체화, 그리고 그런 의미에서의 소비적인 자유의 향수와 함께 인간의 생활이나 마음의 의지할 곳을 빼앗고 불안과 실의, 고독감과 고립감, 무력감과 자기상실, 붕괴감각, 방향과 목표의 상실감 등을 높이며 부적응 행동과 퇴행 현상을 불러일으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26]

능률과 합리성을 중시하는 거대도시에서는, 사회나 집단이나 문화의 차원에서도, 인간의 행동과 의식의 차원에서도 아노미를 가져오는 힘이 잠재해 있고 인간을 매스화하고 비합리화하며 정동화하는 유력한 환경 조건이 수없이 존재하고 있다고 지적된다.[26]

5. 3. 문화와 아노미

사회의 해체로 인해 인간의 행동을 규제하는 공통의 가치나 도덕적 기준이 약해지거나 사라져 무규제 상태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인간은 불안정한 상태에 놓여 욕구불만, 불안, 인격 분열, 반사회적 또는 비사회적 행동을 보인다.[26]

한국은 19세기 말 개항기,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1960~1970년대 산업화 시기에, 일본은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가치 갈등과 교체로 인해 아노미를 겪었다.[28] 이러한 상황에서 신흥 종교가 많이 생겨나기도 한다.

거대도시는 해체와 변동이 계속되어 가치 기준의 대립을 초래하고 안정된 질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범죄, 비행, 매춘, 부랑, 신경증, 자살, 유기, 이혼 등이 많이 발생한다. 거대도시의 사회관계 및 지역으로부터의 소외, 반항적인 지역적 저속문화의 자극은 가족, 이웃, 학교, 직장 등에서의 규율과 상호 감시를 약화시킨다. 또한 소비적인 자유의 향유는 인간의 생활과 마음의 의지할 곳을 잃게 하고, 불안, 실의, 고독감, 고립감, 무력감, 자기상실, 붕괴감각, 방향과 목표 상실감 등을 높여 부적응 행동과 퇴행 현상을 유발한다.[26]

거대도시는 능률과 합리성을 중시하여 사회, 집단, 문화, 인간 행동과 의식 차원에서 아노미를 유발하는 힘이 잠재되어 있다. 인간을 매스화하고 비합리화하며 정동화하는 환경 조건이 많이 존재한다고 지적된다.[26]

19세기 프랑스의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은 프랑스 철학자 장마리 귈로에게서 '아노미'라는 용어를 차용했다.[16] 뒤르켐은 저서 《자살론》(1897)에서 사회의 규범이나 가치가 급격히 변하는 현상(흔히 '무규범'으로 오인됨)과 관련된 사회적 소외와 무목적성을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했다. 그는 경제 상황의 중대한 변화(좋든 나쁘든)나 이념적 이론과 실제 생활에서 달성 가능한 것 사이의 불일치가 있을 때 아노미가 발생한다고 믿었다. 이는 자살이 개인의 부정적인 사건과 임상적 우울증으로 발생한다는 이전 이론과 반대된다.

뒤르켐은 전통적인 종교가 아노미적 개인이 결여한 공유 가치의 기초를 제공한다고 보았다. 그는 산업 혁명 이후 경제생활의 분업이 개인이 공동선보다 이기주의적 목적을 추구하게 한다고 주장했다. 로버트 킹 머튼은 아노미 개념을 스트레인 이론으로 발전시켜 사회적 목표와 합법적 수단 사이의 불일치로 정의했다. 아노미를 겪는 개인은 사회의 구조주의적 한계로 인해 합법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없어 일탈 행동을 보인다.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도 이 의미로 '아노미'를 자주 사용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심리 측정 검사에서 아노미와 대학생들의 학문적 부정직 사이에 연관성이 확인되어, 대학이 윤리 강령을 육성해야 함을 시사했다.[17] 다른 연구에서는 아노미가 관광의 "푸시 요인"으로 간주되었다.[18]

1913년 《웹스터 사전》은 '아노미'가 "법을 무시하거나 위반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고한다.[19] 그러나 사회적 무질서로서의 '아노미'는 무정부주의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아나키즘 지지자들은 무정부 상태가 반드시 아노미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계층적 명령이 무법성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한다. 일부 원시 무정부주의자들은 복잡한 사회, 특히 산업 및 탈산업 사회가 개인에게 자기 결정과 작은 참조 집단을 박탈하여 아노미를 야기한다고 주장한다.

2003년 호세 솔테로와 로메오 사르비아는 엘살바도르의 개신교와 가톨릭교와 관련하여 아노미 개념을 분석했다. 1970년대 인구 이동, 경제 및 정치 위기, 폭력의 순환은 종교 구성을 변화시켜 라틴 아메리카에서 가장 개신교적인 국가 중 하나로 만들었다. 솔테로와 사르비아는 개신교 부상이 가톨릭교의 실패와 개신교의 "구원, 해방, 영생에 대한 더 깊은 탐구"에 의해 일어났다고 주장했다.[20] 그러나 그들의 연구는 이를 뒷받침하지 않으며, 개신교가 가난한 사람들 사이에서 더 인기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지 않았다. 연구 결과는 아노미 가정을 확인했는데, 엘살바도르 가톨릭 공동체는 높은 사회적 결속력을 누리는 반면, 개신교 공동체는 열악한 사회 통합, 내부 이주와 관련이 있고, 엘살바도르 내전의 영향을 깊이 받는 경향이 있다.[20] 또한 엘살바도르 가톨릭교는 사회 활동, 해방 신학, 좌파 정치와 연관된 반면, "일부 개신교 교회가 표현하는 우익 정치적 성향, 또는 적어도 소극적이고 내면적인 지향"과는 대조적이다.[20] 그들은 개신교가 가난한 사람들의 영적 필요에 더 적절하게 반응하고 여성에게 더 매력적이라는 주장에 모순된다고 결론 내린다.

솔테로와 사르비아의 연구는 개신교와 의료 서비스 접근성 부족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했다.

알베르 카뮈의 실존주의 소설 ''이방인''에서 권태롭고 소외된 주인공 뫼르소는 낡은 가치가 사라져가는 상황에 반응하며 개인적인 가치 체계를 구축하려 고군분투한다. 그는 무관심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주로 아노미 상태에 놓여 있는데, "Aujourd'hui, maman est morte. Ou peut-être hier, je ne sais pas|오늘 엄마가 죽었다. 어쩌면 어제일지도 모르지만, 모르겠다.프랑스어"라는 첫 문장에서 엿볼 수 있다.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는 소설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에서 아노미에 대한 우려를 표현한다. 대심문관은 신과 불멸의 삶이 부재할 경우 모든 것이 허용될 것이라고 말한다.[24] 즉, 어떤 행위라도 생각할 수 있게 되고, 도덕적 나침반이 존재하지 않아 무관심과 무감각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J. K. 롤링이 로버트 갤브레이스라는 필명으로 쓴 코모란 스트라이크 시리즈의 ''잉크 블랙 하트''에서 주요 적대자는 "아노미"라는 온라인 닉네임을 사용한다.[25]

6. 한국 사회와 아노미

한국의 경우 19세기 말 개항기,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1960~1970년대 산업화 시기 등에 발생한 가치의 갈등과 교체는 아노미의 전형적인 예시이다.[28] 이러한 혼란 속에서 신흥 종교가 많이 생겨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Sociology Pearson Canada 2010
[2] Dictionary.com anomie
[3] 서적 The Human Basis of the Polity: A Psychological Study of Political Men https://archive.org/[...] Aldine-Atherton 2019-10-27
[4] 서적 Foundations of Therapeutic Recreation: Perceptions, Philosophies, and Practices Human Kinetics 2019-01-24
[5] 학술지 Anomie: A Comparison of a Catholic and a Protestant Sample https://www.jstor.or[...] 1962
[6] 서적 Emile Durkheim and the Reformation of Sociolog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9-10-27
[7] 서적 Emile Durkheim and The Reformation of Sociology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1993
[8] 서적 Emile Durkheim: Law in a Moral Domai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9
[9] 서적 Digital Library Use: Social Practice in Design and Evaluation MIT Press 2003
[10] 서적 The Division of Labor in Society Free Press (publisher) 1964
[11] 서적 Applying Durkheim's Theory of Suicide: A Study of Altruism and Anomie Among Canadian Veterans of Afghanistan https://qspace.libra[...] Queen’s University 2015
[12] 학술지 Social Structure and Anomie 1938
[13] OEtymD anomie
[14] OEtymD anomy
[15]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https://www.perseus.[...] Perseus Project 1940
[16] 학술지 The Ethics of Anomie: Jean Marie Guyau and Émile Durkheim 1983
[17] 학술지 The effect of anomie on academic dishonesty among university students 2000
[18] 학술지 Anomie, ego-enhancement and tourism https://www.academia[...] 1977-03-01
[19] 학술지 Anomie, authoritarianism, and prejudice: a replication 1956
[20] 학술지 Dimensions of Social Stratification and Anomie as Factors of Religious Affiliation in El Salvador 2003
[21] 학술지 Old theories and new approaches: Evaluating Freda Adler's theory of low crime and its implications for criminology 2011
[22] 서적 Nations Not Obsessed with Crime https://books.google[...] F.B. Rothman 1983
[23] 서적 The Study of Lives: Essays on Personality in Honor of Henry A. Murray Atherton Prentice-Hall 1963
[24] 웹사이트 Can Civilization Survive Without God? A Conversation with Christopher and Peter Hitchens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0-10-12
[25] 웹사이트 The Ink Black Heart Book https://robert-galbr[...] Robert Galbraith—The Cormoran Strike Novels 2022-11-01
[26] 글로벌2 아노미
[27] 백과사전 아노미 두산백과
[28] 웹사이트 아노미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