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 마리아 비스콘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잔 마리아 비스콘티는 1388년 아비아테그라소에서 태어난 밀라노 공작이다. 1402년 아버지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가 사망한 후 14세의 나이로 공작이 되었으며, 잔혹한 통치로 악명이 높았다. 그는 어머니 카테리나 비스콘티를 의심하여 감금하고, 사람을 죽이도록 훈련시킨 개를 키웠다. 1412년 밀라노에서 반란이 일어나 산 고타르도 교회 앞에서 암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23년 사망 - 정탁 (익경공)
정탁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고려 우왕 때 예의판서를 지냈으며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 1등과 정사공신 2등에 책록되었고, 태종 때 청성군에 봉해졌으며 세종 때 우의정까지 올랐다. - 1423년 사망 - 성석린
성석린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정치가로, 고려 공민왕 때 과거에 급제하여 왜구 격퇴에 공을 세웠고 조선 개국공신에 책록되었으며, 조선 건국 후 정치적 부침을 겪었으나 영의정에 이르렀고, 시문과 글씨에도 능했던 당대 명필이다. - 1338년 출생 - 샤를 5세
샤를 5세는 백년 전쟁 시기 섭정으로 즉위하여 에티엔 마르셀의 반란과 자크리의 난을 진압하고 잃었던 영토를 회복했으며, 상비군과 관료층을 확립하여 프랑스 절대왕정의 기초를 다졌다. - 1338년 출생 -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
원 순제와 기황후 사이에서 태어난 아유르시리다르 빌레그트 칸은 고려 출신 어머니의 배경으로 몽골 귀족의 반대에 부딪히며 권력 투쟁을 겪었고, 명나라의 대도 함락 후 북원을 건국하여 저항했으나 실패하고 카라코룸에서 사망했다. - 비스콘티가 -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는 밀라노 비스콘티 가문 출신으로, 1385년 밀라노의 지배권을 장악하여 밀라노 공국을 건설하고 롬바르디아 지역을 정복하며 세력을 확장했으며, 1395년 밀라노 공작 작위를 받았고, 군사력 강화와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나, 피렌체 정복에 실패하고 1402년 페스트로 사망한 인물이다. - 비스콘티가 -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는 1412년부터 1447년까지 밀라노 공작으로 재임하며 권력 강화를 위해 정략 결혼과 용병을 활용하여 영토를 확장하려 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비스콘티 가문의 남성 직계가 단절되었고, 그의 사생녀 비안카 마리아 비스콘티와 결혼한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밀라노 공작위를 계승했다.
잔 마리아 비스콘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반니 마리아 비스콘티 |
로마자 표기 | Giovanni Maria Visconti |
칭호 | 밀라노 공작 |
통치 기간 | 1402년 - 1412년 |
이전 통치자 |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
다음 통치자 |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 |
가문 | 비스콘티 가문 |
배우자 | 체세나의 안토니아 말라테스타 |
아버지 |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 |
어머니 | 카테리나 비스콘티 |
출생일 | 1388년 9월 7일 |
출생지 | 아비아테그라소 |
사망일 | 1412년 5월 16일 |
사망지 | 밀라노 |
![]() |
2. 생애
잔 마리아 비스콘티는 1388년 아비아테그라소에서 밀라노 공작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와 그의 사촌이자 아내인 카테리나 비스콘티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이름에 '마리아'가 포함된 것은, 부모가 아들을 얻게 해 준 성모 마리아에게 감사하는 의미로 서원했기 때문이다.[1]
1402년 아버지 잔 갈레아초가 페스트로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13세(혹은 14세)의 나이로 밀라노 공작위를 계승했다. 초기에는 어머니 카테리나가 섭정을 맡았으나, 잔 마리아는 곧 어머니를 몬차에 유폐시켰고, 카테리나는 1404년 그곳에서 사망했는데 살해된 것으로 추정된다.[4]
그의 통치는 극도의 잔인함으로 악명이 높았으며, 사람을 공격하도록 훈련시킨 사냥개를 이용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러한 독선적이고 잔혹한 통치는 밀라노 공국 내의 불안정을 심화시키고 잦은 반란을 초래했다.
1408년, 잔 마리아는 체세나의 안토니아 말라테스타와 결혼했으나[3][4][5] 둘 사이에 자녀는 없었다.[6]
결국 그의 폭정에 반발한 밀라노의 기벨린 귀족들이 음모를 꾸몄다. 당시 공국의 실권자였던 콘도티에로 파치노 카네가 파비아에서 병으로 자리를 비운 틈을 타, 1412년 잔 마리아는 밀라노의 산 고타르도 성당 앞에서 교회로 향하던 중 암살당했다.[4] 그의 사후, 임종 직전의 파치노 카네의 지지를 확보한 동생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가 밀라노 공작위를 계승했다.
2. 1. 초기 생애

잔 마리아 비스콘티는 1388년 아비아테그라소의 비스콘티 성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밀라노 공작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였고, 어머니는 베르나보 비스콘티의 딸인 카테리나 비스콘티였다. 잔 갈레아초와 카테리나는 1380년에 결혼했으나, 첫 아이는 출산 후 한 달 만에 사망했다. 오랫동안 기다려온 아들이자 후계자인 잔 마리아의 탄생은 큰 축복으로 여겨졌다. 그의 부모는 사촌 관계였다.
잔 마리아의 부모는 아들을 낳게 해준다면 성모 마리아에게 감사의 뜻으로 아들의 이름에 '마리아'를 넣겠다고 서원했다.[1] 이 서원에 따라 그의 이름은 잔 마리아가 되었으며, 그의 탄생을 기념하여 아비아테그라소에 바실리카 양식의 '산타 마리아 누오바 성당'이 세워졌다.
잔 마리아의 탄생은 아버지 잔 갈레아초의 밀라노 통치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잔 갈레아초는 1277년부터 밀라노를 다스려온 비스콘티 가문 출신이었지만, 그의 권력은 삼촌이자 전임자인 베르나보 비스콘티와 그의 두 형제를 몰아내고 투옥시킨 뒤 얻은 것이었다. 따라서 적법한 후계자의 탄생은 그의 지배력을 공고히 하는 데 필요했다.
1402년 아버지 잔 갈레아초가 페스트로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14세였던 잔 마리아는 밀라노 공작 지위를 물려받았다.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어머니 카테리나 비스콘티가 섭정을 맡아 밀라노 공국을 다스리기 시작했다.
1408년, 잔 마리아는 체세나의 영주 안드레아 말라테스타의 딸인 체세나의 안토니아 말라테스타와 결혼했다.[3][4][5] 하지만 두 사람 사이에는 자녀가 없었다.[6]
2. 2. 밀라노 공작 즉위와 섭정
1402년 아버지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가 페스트로 사망하자, 당시 13세였던 잔 마리아는 어머니 카테리나 비스콘티의 섭정 아래 밀라노 공작위를 계승했다. 그러나 밀라노 공국은 아버지 사후 혼란에 빠졌고, 여러 세력이 영토를 놓고 다투는 가운데 콘도티에로 파치노 카네가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잔 마리아는 점차 성장하면서 잔인한 성정을 드러냈고, 간신의 참언에 넘어가 섭정이었던 어머니 카테리나를 몬차에 유폐시켰다. 카테리나는 1404년 10월 17일 감옥에서 사망했는데, 잔 마리아에 의해 살해된 것으로 추정된다.[4] 공작은 사람을 죽이도록 훈련시킨 사냥개를 기르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1408년, 잔 마리아는 리미니의 군주 카를로 1세 말라테스타의 딸인 체세나의 안토니아 말라테스타와 결혼했다.[3][4][5] 하지만 둘 사이에 자녀는 없었다.[6]
잔 마리아의 독선적인 통치와 잔인함은 밀라노의 기벨린 세력의 반발을 샀다. 1412년, 파치노 카네가 파비아에서 병으로 위독해진 틈을 타 반대파 귀족들이 음모를 꾸몄고, 잔 마리아는 밀라노의 산 고타르도 교회 앞에서 교회로 가던 중 암살당했다.[4] 임종을 맞이한 파치노 카네는 자신의 부하들에게 잔 마리아의 동생인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를 지지하도록 유언했고, 필리포 마리아가 밀라노 공작위를 계승했다.
2. 3. 잔혹한 통치와 암살
아버지 잔 갈레아초 비스콘티가 1402년 페스트로 사망하자, 잔 마리아는 13세(또는 14세)의 나이로 어머니 카테리나 비스콘티의 섭정 아래 밀라노 공작이 되었다. 그러나 공국은 곧 여러 세력으로 분열되었고, 이 혼란 속에서 콘도티에로 파치노 카네가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다.잔 마리아는 잔혹한 성격으로 악명이 높았다. 그는 섭정이던 어머니 카테리나마저 의심하여 몬차에 감금했으며, 카테리나는 1404년 10월 17일 그곳에서 살해된 것으로 추정된다.[4] 또한 사람을 물어 죽이도록 특별히 훈련시킨 사냥개를 길렀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그의 독선적인 통치 방식은 부하 용병 대장들과의 잦은 마찰을 일으켰고, 영토 곳곳에서는 반란이 끊이지 않았다. 신변의 위협을 느낀 그는 암살을 두려워하여 성에 틀어박혀 지내는 일이 많았다.
1408년, 잔 마리아는 리미니의 군주 카를로 1세의 딸[3][4][5] 또는 체세나 영주 안드레아 말라테스타의 딸인 체세나의 안토니아 말라테스타와 결혼했지만, 둘 사이에 자녀는 없었다.[6]
밀라노의 기벨린 세력은 실권자 파치노 카네가 파비아에서 병으로 누워 있는 틈을 타 잔 마리아에 대한 음모를 꾸몄다. 결국 잔 마리아는 교회로 가던 중 밀라노의 산 고타르도 성당 앞에서 암살자들에게 습격당해 목숨을 잃었다.[4] 임종을 앞둔 파치노 카네는 자신의 부하들에게 잔 마리아의 동생인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를 지지하도록 맹세하게 했고, 그 결과 필리포 마리아가 공작위를 계승했다.
3. 암살 이후
4살 아래 동생인 필리포 마리아 비스콘티가 뒤를 이어 3대 밀라노 공작이 되었다. 필리포는 1343년부터 베네치아 공화국과 10년간 전쟁을 반복했다. 필리포 사후, 밀라노는 잠시 공화정 체제로 운영되었으나, 필리포의 용병이자 사위였던 프란체스코 스포르차가 밀라노를 점령하고 밀라노 공작이 되었다.
4. 대중문화
참조
[1]
서적
Early Music History: Studies in Medieval and Early Modern Music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03-19
[2]
서적
Bellarion the fortunate: a romance
Houghton Mifflin
[3]
웹인용
Giangaleazzo Visconti
http://www.kleio.org[...]
2010-11-06
[4]
서적
A defence of the constitutions of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gainst the attack of M. Turgot in his letter to Dr. Price, dated the twenty-second day of March, 1778
http://books.google.[...]
John Stockdale
2010-11-06
[5]
서적
Rimini
http://books.google.[...]
Orfanelli e Grandi
2010-02-22
[6]
서적
Ristretto di storia patria ad uso de'Piacentini
http://books.google.[...]
Maino
2010-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