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대학교는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 위치한 음악 및 공연 예술 대학교이다. 1841년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서거 50주년을 기념하여 설립된 '모차르테움'은 1914년 음악원으로 발전했고, 이후 여러 단계를 거쳐 1998년 현재의 대학교가 되었다. 이 대학은 그로써 잘(Großer Saal)과 비너 잘(Wiener Saal) 등 주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앨리스 사라 오트 등 저명한 동문과 교수진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의 음악 학교 - 빈 국립음악예술대학교
빈 국립음악예술대학교는 오스트리아 빈에 위치한 세계적인 국립 예술 대학교로,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25개의 학과와 국제 콩쿠르를 운영하며 음악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 오스트리아의 연주회장 - 빈 음악협회
빈 음악 협회는 1870년에 완공된 무지크페라인을 운영하며, 요하네스 브람스 등 저명한 음악가들을 회원으로 두고, 빈 필하모닉 신년 음악회가 열리는 황금 홀 등 총 6개의 홀에서 다양한 공연을 개최하며, 베토벤 등의 자필 악보를 소장한 자료실도 운영한다. - 오스트리아의 연주회장 - 빈 콘체르트하우스
빈 콘체르트하우스는 오스트리아 빈에 있는 공연장으로, 세 개의 홀에서 다양한 공연과 축제가 열린다. - 1841년 개교 - 바틀렛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바틀렛은 1841년 UCL에 설립된 영국 최초의 건축 및 건설 환경 학교로, 건축, 조경 건축, 도시 계획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학제적 학부이며, 과거 인종차별 및 성차별 논란 이후 문화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1841년 개교 - 포덤 대학교
포덤 대학교는 1841년 뉴욕 가톨릭 대교구에서 세인트 존스 칼리지로 설립되어 1907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명된 예수회 계열의 사립 대학교로서 뉴욕시에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학부 및 대학원 과정과 학생 활동을 제공하며, 역사적인 건물과 아름다운 캠퍼스를 자랑한다.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모차르테움 대학교 잘츠부르크 |
원어 명칭 | Universität Mozarteum Salzburg |
다른 이름 | MOZ 모차르테움 모차르테움 음악대학 |
로마자 표기 | Mochaeureuteaum Daehakgyo Jaltseubeurekeu |
학교 종류 | 국립 예술 학교 |
설립일 | 1841년 4월 22일 |
위치 |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
총장 | 엘리자베트 구트야르 |
웹사이트 | 모차르테움 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841년, 모차르트의 미망인 콘스탄체 베버 모차르트는 "대성당 음악 협회 및 모차르테움"을 설립했다. 이 기관은 19세기 동안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오케스트라의 전신으로 활동하며 도시 음악 생활의 중심이 되었다.
19세기 말에는 국제 모차르테움 재단이 설립되었다. 이 재단은 1910년부터 1914년까지 리하르트 베른들의 설계로 슈바르츠슈트라세에 Großer Saal|그로써 잘de과 Wiener Saal|비너 잘de 콘서트 홀을 포함한 건물을 건설했다. 재단은 모차르트 관련 박물관 운영과 매년 모차르트 주간 축제를 개최한다.
모차르테움은 여러 변화를 거쳐 1998년에 현재의 이름인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대학교가 되었다. 최근 미라벨플라츠 1번지에 신축 건물이 들어섰다.[4][1]
2. 1. 설립 배경 (1841년 이전)
1816년, 잘츠부르크는 오스트리아 제국에 병합되었다. 당시 황제 프란츠 1세는 잘츠부르크 궁정 관현악단의 재편을 원했으나, 경제적인 문제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 그 후 잘츠부르크 대성당을 중심으로 한 종교 의식에서 오케스트라는 아마추어 연주자들에 의해 명맥을 유지했지만, 정식 음악 교육 기관이 없었기 때문에 악기 교육은 개인적인 사제 관계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상황은 전문 음악가의 후계자 부족 문제로 이어졌다. 이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와 같은 세계적인 음악가를 배출한 도시의 명성에 걸맞은 전문적인 음악 교육 기관 설립의 필요성을 점차 높이는 배경이 되었다.2. 2. 대성당 음악 협회 및 모차르테움 설립 (1841년)
1816년, 잘츠부르크가 오스트리아 제국에 병합된 후, 당시 황제 프란츠 1세는 잘츠부르크 궁정 관현악단의 재편을 원했지만 경제적인 문제로 실현되지 못했다. 그 후에도 잘츠부르크 대성당을 중심으로 한 종교 의식에서는 오케스트라가 아마추어로서 연주 활동을 이어갔으나, 정식 음악 교육 기관이 없었기 때문에 악기 습득은 개인적인 사제 관계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후계자 부족 문제에 직면했다.이러한 상황 속에서 1841년,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서거 50주년을 기념하여 대성당 음악 협회와 모차르테움(Salzburger Dommusikvereines und Mozarteumde)이 잘츠부르크에 설립되었다. 설립에는 Friedrich Fürstde 추기경의 지원과 모차르트의 미망인인 콘스탄체 베버 모차르트(재혼 후 성은 뉘센)가 참여했다. 이 기관의 설립 목적은 "성음악과 콘서트와 관련하여 음악적 취향을 개선하는 것"이었다. 콘스탄체는 아들 프란츠 크사버 모차르트를 모차르테움의 학장으로 추천했지만, 국제적인 활동 부족과 건강상의 이유로 위원회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참고로 콘스탄체는 1842년 3월 6일에, 프란츠 크사버는 1844년 7월 29일에 사망했다. 모차르트의 또 다른 아들인 카를 토마스 모차르트는 아버지의 유산 대부분을 모차르테움에 기부하는 등 기관 발전에 기여했다.
1842년 9월 4일에 개최된 모차르트 음악제(Mozart Festde)는 모차르테움의 첫 번째 공식 사업이었다. 레지덴츠의 카라비니에리 홀에서 열린 이 콘서트에서는 모차르트의 레퀴엠 K.626과 미사곡 다단조 K.417d가 연주되었으며, 프란츠 크사버 모차르트가 아버지의 피아노 협주곡 제20번 라단조 K.466을 직접 연주했다.
대성당 음악 협회 및 모차르테움은 19세기 동안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오케스트라의 전신으로 활동하며 콘서트 및 관련 활동을 통해 잘츠부르크 도시 음악 생활의 중심 역할을 담당했다.
2. 3. 초기 활동 (1842년 ~ 1914년)
1816년 잘츠부르크가 오스트리아 제국에 병합된 후, 당시 황제 프란츠 1세는 잘츠부르크 궁정 관현악단의 재편을 원했으나 경제적인 문제로 실현되지 못했다. 이후 잘츠부르크 대성당을 중심으로 종교 의식에서 오케스트라 연주가 이루어졌지만, 대부분 아마추어 연주자였고 정식 음악 교육 기관이 없어 악기 연주법 습득은 개인적인 관계에 의존해야 했다. 이로 인해 전문 연주자 양성에 어려움을 겪었다.이러한 상황 속에서 1841년,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서거 50주년을 기념하여 '대성당 음악 협회와 모차르테움'(Salzburger Dommusikvereines und Mozarteumde)이 잘츠부르크에 설립되었다. 설립에는 프리드리히 퓌르스트(Friedrich Fürst|프리드리히 퓌르스트de) 추기경의 지원이 있었으며, 모차르트의 미망인인 콘스탄체 뉘센(재혼 후 성)도 참여하였다. 이 기관의 설립 목적은 "성음악과 콘서트와 관련하여 음악적 취향을 개선하는 것"이었다. 이 협회는 19세기 동안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오케스트라의 전신으로서 콘서트 및 관련 활동을 제공하며 도시 음악 생활의 중심 역할을 하였다.
콘스탄체는 아들 프란츠 크사버 모차르트를 모차르테움의 초대 학장으로 추천했지만, 위원회는 그의 국제적인 활동 부족과 건강상의 이유로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콘스탄체는 1842년 3월 6일에 사망했고, 프란츠 크사버는 1844년 7월 29일에 세상을 떠났다. 한편, 모차르트의 또 다른 아들인 카를 토마스 모차르트는 아버지의 유산 대부분을 모차르테움에 기부하는 등 기관 발전에 기여하였다.
모차르테움의 첫 번째 공식 사업은 1842년 9월 4일에 개최된 모차르트 음악제(Mozart Fest)였다. 레지덴츠의 카라비니에리 홀에서 열린 이 콘서트에서는 모차르트의 레퀴엠 K.626과 미사곡 다단조 K.417d가 연주되었으며, 프란츠 크사버 모차르트가 직접 아버지의 피아노 협주곡 제20번 라단조 K.466을 독주하였다.
1880년에는 잘츠부르크 시민들이 주도하여 국제 모차르테움 재단이 설립되었다. 이 재단은 모차르트에 대한 국제적인 연구 기관으로서 활동을 이어갔다. 재단은 1910년부터 1914년까지 뮌헨의 건축가 리하르트 베른들(1875–1955)의 설계로 슈바르츠슈트라세에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우아한 사무실 건물을 건설하였다. 이 건물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그로써 잘'(Großer Saal|그로써 잘de, 정식 명칭)과 '비너 잘'(Wiener Saal|비너 잘de)이라는 두 개의 콘서트 홀이 포함되어 있다.
1914년, 모차르테움은 음악원으로 승격되어 현재의 대학으로 이어지는 전문 음악 교육 기관으로 발전하는 중요한 계기를 맞이하였다.
2. 4. 음악원 및 대학교로의 발전 (1914년 이후)
모차르테움은 1914년 음악원(Konservatorium Mozarteum)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쳤다. 1931년에는 제국 음악 대학(Reichshochschule Mozarteum), 1945년에는 음악 단과 대학(Musikhochschule Mozarteum)으로 바뀌었다. 이후 1953년에는 음악 및 공연 예술 아카데미(Akademie für Musik und darstellende Kunst "Mozarteum" in Salzburgger), 1970년에는 음악 및 공연 예술 단과 대학(Hochschule für Musik und darstellende Kunst "Mozarteum" in Salzburgger)으로 개칭되었다. 마침내 1998년에 현재의 이름인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대학교가 되었다.베른하르트 파움가르트너는 1917년부터 1938년까지, 그리고 1945년부터 1959년까지 모차르테움 학장을 역임하며 학교 발전에 기여했다. 세계적인 지휘자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역시 모차르테움을 11년간 다닌 졸업생이다.
가장 최근에 재건된 대학교 본관은 미라벨 광장 1번지에 위치하고 있다.[1]
2. 5. 국제 모차르테움 재단 (1880년 설립)
국제 모차르테움 재단은 19세기 말에 설립되었다. 이 재단은 슈바르츠슈트라세에 뮌헨의 건축가 리하르트 베른들 (1875–1955)의 설계로 1910년부터 1914년 사이에 지어진 우아한 사무실 건물을 현재까지 소유하고 있으며, 이 건물에는 두 개의 콘서트 홀이 부속되어 있다. 큰 홀은 '모차르테움'으로도 알려진 Großer Saal|그로써 잘de이며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작은 홀은 Wiener Saal|비너 잘de이다. 재단은 이 건물을 유지하는 것 외에도, 모차르트에게 헌정된 두 개의 박물관 (작곡가의 생가인 Geburtshaus|게부르트하우스de와 잘츠부르크 주요 거주지인 Wohnhaus|보른하우스de)을 운영하며, 매년 1월에는 모차르트 음악을 주제로 한 모차르트 주간 축제를 개최한다.2. 6. 모차르테움 관현악단
모차르테움 관현악단은 1841년 설립된 '대성당 음악 협회와 모차르테움'(Salzburger Dommusikvereines und Mozarteumde)에서 시작되었다. 이는 1816년 잘츠부르크가 오스트리아 제국에 병합된 후, 프란츠 1세 황제가 궁정 관현악단 재편을 시도했으나 경제적 문제로 실패하고, 잘츠부르크 대성당 중심의 종교 음악 활동이 아마추어 수준에 머물며 후계자 양성에 어려움을 겪던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이다.[1] 설립에는 프리드리히 퓌르스트(Friedrich Fürstde) 추기경과 모차르트의 미망인 콘스탄체 뉘센 등이 참여했다.[1]초기에는 주로 잘츠부르크 대성당의 종교 의식을 위한 연주 활동을 했다. 이후 모차르테움이 전문 교육 기관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관현악단은 1939년 대학에 흡수되었다.[1] 그러나 1958년, 잘츠부르크 주와 잘츠부르크 시의 지원으로 재건되어 현재는 독립적인 프로 오케스트라로 활동하고 있다.[1]
3. 명칭의 유래
'''모차르테움'''이라는 이름은 당연히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이름에서 따왔다. 예술의 신 뮤즈(Muse)라는 단어에 라틴어식 어미가 붙어 박물관이나 미술관을 뜻하는 영어 단어 뮤지엄(museum)이나 독일어 단어 무제움(Museum)이 만들어진 것처럼, 모차르트(Mozart)라는 이름에서 모차르테움(Mozarteum)이라는 단어가 만들어졌다. 대략 "모차르트를 기념하는 건물" 또는 "모차르트가 모이는 곳"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4. 역대 학장
재임 기간 | 학장 |
---|---|
1841-1861 | 알로이스 타오크스 |
1861-1868 | 한스 슈뢰거 |
1868-1880 | 오토 바흐 |
1880-1907 | 요제프 프리드리히 훔멜 |
1907-1911 | 요제프 라이터 |
1911-1914 | 파울 그뢰너 |
1914-1917 | 프란츠 레드빈카 |
1917-1939 | 베른하르트 파움가르트너 |
1939-1945 | 클레멘스 크라우스 |
1946-1959 | 베른하르트 파움가르트너 |
1959-1964 | 에버하르트 프로이스너 |
1964 | 하인츠 숄츠 |
1965-1971 | 로베르트 바그너 |
1971-1979 | 파울 폰 실하프스키 |
1979-1983 | 프란츠 리히야 헤르프 |
1983-1991 | 귄터 바우어 |
1991-1995 | 볼프강 로셔 |
1995-2000 | 클라우스 아거 |
2000-2005 | 롤랜드 하스 |
2006 | 고트프리트 홀처-그라프 |
2006-2014 | 라인하르트 폰 구트차이트 |
2014-2016 | 지크프리트 마우저 |
2016 | 브리기테 휘터 |
2018- | 엘리자베트 구탸르 |
5. 주요 시설
국제 모차르테움 재단은 19세기 말 설립되었으며, 잘츠부르크 슈바르츠슈트라세에 주요 건물을 소유하고 운영한다. 이 건물은 뮌헨 출신 건축가 리하르트 베른들(1875–1955)의 설계로 1910년에서 1914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건물 내부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그로써 잘'(Großer Saal|그로써 잘de)과 '비너 잘'(Wiener Saal|비너 잘de)이라는 두 개의 콘서트 홀이 있다. 재단은 이 건물 외에도 모차르트의 생가(Geburtshaus|게부르트하우스de)와 그가 살았던 집(Wohnhaus|보른하우스de) 등 두 개의 박물관을 운영하며, 매년 1월 모차르트 주간 음악 축제를 개최한다.
대학교 본관은 미라벨 광장 1번지에 위치하며, 최근 재건되었다.[1]
5. 1. 그로써 잘 (Großer Saal)
1914년 오스트리아의 리에거 오르겔바우에서 100랭크 규모의 대규모 콘서트홀 오르간을 제작했다. 이후 1970년에는 발커 오르겔바우에서 신고전주의 양식의 완전히 새로운 오르간을 설치했다. 이 오르간은 2008년에 해체되었다. 2010년에는 헤르만 오일레 오르겔바우 (바우첸)에서 50개의 스톱을 가진 트래커 액션 오르간이 새롭게 설치되었으며, 이때 1914년에 제작된 악기 전면부가 복원되었다.[2]5. 2. 비너 잘 (Wiener Saal)
비너 잘(Wiener Saal)의 파이프 오르간은 무대 위 보이지 않는 오르간 챔버에 위치해 있다. 이 오르간은 1914년 리에거가 25개의 스톱과 전기-공압식 액션으로 제작했다. 1941년에는 새 콘솔을 설치하고 일부 네오 바로크 양식의 개조를 포함하여 재건되었다. 현재 오르간은 상태가 좋지 않지만, 여전히 연주는 가능하다.5. 3. 미라벨플라츠 1번지
최근 미라벨플라츠 1번지에 신축 건물이 들어섰다.[4]6. 저명한 동문 및 교수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대학교는 세계적인 명성에 걸맞게 수많은 저명한 음악가를 동문으로 배출했으며, 세계적인 수준의 교수진이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저명한 동문
- 저명한 교수진
6. 1. 저명한 동문
- 게니아 큄아이어 (소프라노)
- 귄터 파신
- 기오르기 라자비제
- 케네스 길버트
- 노르마 벤델부르크 (1918–2016), 작곡가, 피아니스트, 학문적 교사
- 닐스 묀케마이어 (비올리스트)
- 다비드 프뤼르트 (바이올리니스트)
- 다비트 팀
- 랄프 커크패트릭
- 레오폴트 하거 (지휘자)
- 로슬 슈바이거 (1918–1970), 콜로라투라 소프라노
- 로타르 코흐
- 루이제 아돌파 르 보
- 마리오스 요안누 엘리아 (작곡가, 예술 감독)
- 마리 구트하일-쇼더
- 마르욘 람브릭스 (소프라노)
- 모나-아스카 오트
- 미즈타니 유코
- 바바라 보니 (소프라노)
- 베른하르트 파움가르트너
- 보그수아프 셰페르
- 볼프강 레너트 (오페라 지휘자)
- 빌리 슈바이거
- 사라 트라우벨 (소프라노)
- 사사키 노리코
- 사사키 오사무
- 사스키아 조르지니 (피아니스트)
- 샨도르 베그
- 안젤리카 키르히슐라거 (메조 소프라노)
- 안드라스 쉬프
- 알렉산더 뮐렌바흐 (작곡가, 피아니스트)
- 알로이스 브란트포퍼
- 앨리스 세라 오트 (피아니스트)
- 야시마 히로토
- 에곤 콜나우트
- 에리히 라인스도르프 (지휘자)
- 엔도 마리
- 오카다 마사시
- 요시자와 미노루
- 우스이 토시키
- 이르민 슈미트 (지휘자)
- 이고르 레비트 (피아니스트)
- 이고르 오짐
- 이자벨 판 큐렌
- 이토 메구미
- 이마가와 히로요
- 잉그리트 헤블러 (피아니스트)
- 자닌 미쇼
- 조르지 라초 (피아니스트)
- 체자르 브레스겐
- 카롤라 오버뮐러 (작곡가)
- 카를 오르프 (작곡가)
- 카밀라 닐룬드 (소프라노)
- 케르스틴 메이어 (메조-소프라노)
- 쿠르트 뢰델
- 크리스티아네 카르크 (소프라노)
- 타무라 히비키
- 타베아 치머만 (비올리스트)
- 토마스 체트마이어
- 파울 그레너
- 프랑크 필리프 슐뢰스만 (1963년 출생), 무대 및 의상 디자이너
- 프레데릭 페넬
- 피에르 조르지오 모란디 (지휘자)
- 하겐 현악 사중주단
- 하이디 리차우어
- 하누슈 비한
- 한스 간슈
- 한스 라이그라프
- 헬무트 에데르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지휘자)
- 헤르베르트 빌리 (1956년 출생), 작곡가
6. 2. 저명한 교수진
- 게르하르트 뢰틀러 (하프시코드)
- 게르하르트 빔베르거 (지휘, 작곡)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지휘)
- 다니엘 콜젠파 (오르간)
- 데니스 러셀 데이비스 (지휘)
- 듀오 탈 & 그로이투이젠 (피아노)
- 라드반 블라트코비치 (호른)
- 라인하르트 괴벨 (바로크 바이올린, 지휘)
- 라인하르트 페벨 (작곡)
- 레오폴트 하거 (지휘)
- 로렌스 트라이거 (작곡)
- 루지에로 리치 (바이올린)
- 막심 벤게로프 (바이올린)
- 미하엘 기렌 (지휘)
- 바바라 보니 (성악)
- 베로니카 하겐-디 론자 (비올라)
- 베른하르트 파움가르트너 (지휘)
- 벤첼 푹스 (클라리넷)
- 볼프강 홀츠마이어 (리트 및 오라토리오)
- 브루노 바일 (지휘)
- 비토리오 겔미 (비올라 다 감바)
- 빌마 립 (성악)
- 시라이 미츠코 (리트)
- 쉴라 존스 함스 (성악)
- 아드리아나 횔츠키 (작곡)
- 안젤리카 키르히슐라거 (성악)
- 알렉세이 류비모프 (피아노)
- 알폰스 콘탈스키 (피아노)
- 에드가 크라프 (오르간)
- 엘리엇 피스크 (기타)
- 오트마어 수이트너 (지휘)
- 요하네스 마리아 슈타우트 (작곡)
- 요하네스 칼리츠케 (현대 음악 지휘)
- 이온 마린 (지휘)
- 이고르 오짐 (바이올린)
- 일디코 라이몬디 (성악)
- 잉그리드 헤블러 (피아노)
- 자크 루비에 (피아노)
- 카를 리히터 (오르간)
- 카를-하인츠 케머링 (피아노)
- 크리스토프 리스케 (피아노)
- 트리스탕 뮈라이유 (작곡)
- 파벨 길릴로프 (피아노)[3]
- 페테르 랑 (피아노)
- 펠릭스 페티레크 (작곡)
- 피에르 아모야르 (바이올린)
- 하겐 사중주단
- 하르트무트 헬 (리트)
- 하인리히 쉬프 (첼로)
- 한스 그라프 (지휘)
- 한스 라이그라프 (피아노)
- 헬무트 도이치 (리트)
- 히로세 료헤이 (작곡)
7. 명예 회원
- 빌헬름 박하우스
- 루치아노 베리오
- 체자르 브레스겐
- 요한 네포무크 다비트
- 파울 힌데미트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에른스트 크르제넥
- 한스 라이그라프
- 롤프 리버만
- 카를 오르프
- 베른하르트 파움가르트너
- 루지에로 리치
- 샨도르 베그
- 바바라 보니
- 페터 랑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참조
[1]
웹사이트
Universität Mozarteum
https://www.uni-moza[...]
[2]
웹사이트
Orgelbau Hermann Eule - Bau und Restaurierung von Orgeln
http://www.euleorgel[...]
2010-09-21
[3]
웹사이트
Fryderyk Chopin – Information Centre – Pavel Gililov – Biography
http://en.chopin.nif[...]
2018-04-07
[4]
웹인용
Universität Mozarteum
https://www.uni-moz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