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잠수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잠수병은 잠수 시 수압 변화로 인해 체내에 질소 기포가 형성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는 고압 환경에서 저압 환경으로 급격하게 전환될 때 발생하며, 감압병, 케이슨병 등으로도 불린다. 원인으로는 헨리의 법칙에 따라 체내 질소 분압이 상승하고, 급격한 감압 시 질소 기포가 혈류를 막는 것이 있다. 증상으로는 피부 가려움, 관절통, 신경계 이상 등이 나타나며, 심각한 경우 마비나 의식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예방을 위해서는 천천히 상승하고, 안전 수칙을 준수하며, 헬륨 혼합 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는 고압산소요법이 핵심이며, 진통제 투여 및 수액 공급도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질병 - 만성질환
    만성질환은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 장기간 지속되는 건강 문제로, 식습관, 생활 습관,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 질병 - 신경증
    신경증은 윌리엄 컬렌이 처음 사용한 용어로, 정신분석학자들에 의해 심리적 외상 및 무의식적 갈등과 관련된 정신적, 신체적 증상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발전했으나, 현대 정신의학에서는 구체적인 진단명으로 대체되어 사용되지 않는다.
  • 응급의학 - 응급구조사
    응급구조사는 응급의료 현장에서 환자에게 응급처치를 제공하는 전문 인력이며, 1급과 2급으로 나뉘어 의료법에 따라 응급처치 업무를 수행한다.
  • 응급의학 - 응급실
    응급실은 생명이 위급하거나 급성 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신속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으로, 심폐소생술, 외과적 처치, 각종 검사 및 치료를 제공하며, 국가별로 운영 방식과 응급의료기관의 종류 및 기능에 차이가 있고, 과밀화, 의료진 폭력 등의 문제와 원격 의료 도입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잠수병
질병 개요
질병 이름감압병
다른 이름잠수병
벤즈
항공 색전증
케이슨병
분야응급의학
임상 정보
DiseasesDB3491
MeSHDecompression+Sickness
MeSH 번호C21.866.120.248
이미지 정보
감압 질환 치료를 위한 환자 치료 시연 중 병원 군인이 정맥 라인을 준비하는 모습이 담긴 비좁은 감압 챔버 내부의 사진.
미국 해군 수병 두 명이 감압 챔버 내부에서 감압병 치료를 시연하고 있다.
미국 해군 병사가 훈련을 위해 감압실에 들어가 있다.
미국 해군 병사가 훈련을 위해 감압실에 들어가 있는 모습
추가 정보
참고 자료잠수 장애, 재압 치료 (일반 사단법인 일본고기압환경・잠수 의학회)

2. 원인

감압병의 주된 원인은 1803년 윌리엄 헨리가 발견한 헨리의 법칙으로 설명된다. 헨리의 법칙에 따르면, 일정한 온도에서 액체에 용해되는 기체의 양은 기체의 부분압에 비례한다. 잠수 시 수압 증가로 인해 체내 질소 분압이 상승하고, 질소가 과량으로 조직에 녹아 들어간다. 급격한 상승(감압) 시 압력 감소로 인해 질소가 혈액 내에서 기포를 형성하며, 이 기포가 미세혈관을 막아 혈류를 방해한다.[2] 고고도 비행, 우주 유영 시에도 주변 기압 감소로 인해 동일한 현상이 발생한다.
등압 역확산등압 역확산은 서로 다른 불활성 기체 혼합물(예: 헬륨-질소) 간 전환 시, 일정한 압력에서도 기포가 형성될 수 있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잠수의 가장 깊은 부분에서 헬륨이 매우 풍부한 트라이믹스를 사용한 후, 상승하는 동안 헬륨은 점점 줄이고 산소와 질소는 점점 늘리는 혼합물로 전환하는 경우가 있다. 질소는 헬륨보다 2.65배 느리게 조직으로 확산되지만, 약 4.5배 더 잘 용해되기 때문에 "빠른" 조직(혈액 공급이 좋은 조직)의 총 불활성 기체 부하량이 실제로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종종 내이 감압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포 형성미세핵이 형성되거나 기포가 처음 생성되는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기포 형성의 가장 가능성이 높은 메커니즘은 두 표면이 접촉했다가 분리될 때(관절과 같이) 발생하는 삼핵화(tribonucleation)와 액체와 접촉하는 표면을 기반으로 기포가 생성되는 불균질 핵 생성(nucleation)이다. 액체 자체 내에서 기포가 형성되는 균질 핵 생성은 감압 시 발생하는 압력 차이보다 훨씬 큰 압력 차이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다. 일단 미세기포가 형성되면 압력 감소 또는 주변에서 기포로 기체가 확산됨으로써 성장할 수 있다. 신체에서 기포는 조직 내에 위치하거나 혈류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혈관 내 혈류 속도와 모세혈관으로의 혈액 공급률(관류(perfusion))은 용해된 기체가 조직 기포 또는 순환 기포에 의해 기포 성장을 위해 흡수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감압병의 주된 원인은 과도하게 용해된 기체로 인한 기포 형성이다. 포화 조직에서 충분한 압력이 갑자기 해방되면 세포 소기관이 완전히 파괴되는 반면, 더 점진적인 압력 감소는 더 적은 수의 더 큰 기포가 축적될 수 있으며, 일부는 임상 징후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지만 여전히 혈액/기체 계면과 기계적 효과를 특징으로 하는 생리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감압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환경적 요인


  • 압력 감소 비율의 크기: 큰 압력 감소 비율은 작은 압력 감소 비율보다 감압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더 높다.
  • 반복 노출: 짧은 시간(몇 시간) 내에 반복되는 잠수는 감압병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비슷하게 짧은 시간 내에 5500m 이상의 고도로 반복적으로 상승하는 것도 고고도 감압병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 상승 속도: 상승 속도가 빠를수록 감압병 발생 위험이 커진다. 5500m 이상의 고속 감압(빠른 상승 속도)에 노출된 개인은 같은 고도에 노출되더라도 상승 속도가 느릴 때보다 고고도 감압병의 위험이 더 크다.
  • 노출 시간: 잠수 시간이 길수록 감압병의 위험이 커진다. 특히 5500m 이상의 고도로의 장시간 비행은 고고도 감압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 비행 전 수중 잠수: 잠수 후 곧 고도로 상승하는 잠수부는 잠수 자체가 다이빙 표의 안전 제한 내에 있더라도 감압병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 고도 여행 전 잠수: 예를 들어, 해안에서 2400m의 아스마라 고원으로 이동하는 에리트리아의 스쿠버 다이버처럼, 잠수 직후 육지의 고지대 지역으로 이동하면 비행 없이도 감압병이 발생할 수 있다.
  • 고고도 잠수: 해수면 압력보다 훨씬 낮은 수면 압력의 물에서 잠수하는 것 – 예를 들어, 티티카카 호수는 3800m에 있다. 300m를 초과하는 고도의 감압표 버전 또는 고고도 설정 또는 수면 압력 센서가 있는 다이브 컴퓨터를 사용하여 이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감압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개인적인 요인
좌우 분류를 보여주는 심방 중격 결손(PFO). 우좌 분류는 기포가 동맥 순환계로 이동할 수 있게 할 수 있습니다.

  • 탈수: 적절한 수분 유지를 권장한다.
  • 난원공 개존: 성인의 약 20%에서는 덮개가 완전히 닫히지 않아 기침을 하거나 가슴 압력을 높이는 활동 중에 구멍을 통해 혈액이 통과할 수 있다. 잠수 중에는 이로 인해 불활성 기체의 미세 기포가 포함된 정맥혈이 폐를 우회하여 직접 동맥계로 돌아갈 수 있다.
  • 나이: 고도 감압병의 위험이 나이가 들수록 높아진다는 몇몇 보고서가 있다.
  • 이전 부상: 최근 관절이나 사지 부상이 감압 관련 기포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징후가 있다.
  • 주변 온도: 매우 차가운 주변 온도에 노출되면 고도 감압병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몇 가지 증거가 있다.
  • 체형: 일반적으로 체지방 함량이 높은 사람은 감압병 위험이 더 크다.
  • 알코올 섭취: 알코올 섭취는 탈수를 증가시키므로 감압병에 대한 감수성을 높일 수 있다.

감압병 예방감압병은 혈전증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의 빠른 대사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감압에 천천히 시간을 들여 체외로 자연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

PADI 등의 지도 단체 교재에서는 수면에 부상하기 전에 수면 아래 수 미터 지점에서 정지시키고 있는데, 이것을 안전 정지라고 부른다.

3. 증상

감압병은 증상에 따라 유형 I, 유형 II, (유형 III)으로 분류된다.[2]


  • 유형 I (경증): 피부 가려움증, 발진, 대리석 모양 피부, 사지 부종, 관절통 등이 나타난다.[2]
  • 유형 II (중증): 척수형(지각 장애, 운동 장애 등), 뇌형(의식 장애, 경련 등), 폐형(흉통, 기침 등), 내이형(어지럼증, 구역질 등), 기타 전신 권태감 및 피로감이 나타난다.[2]
  • (유형 III): 동맥 가스 색전증(AGE)을 합병한 경우를 유형 III형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널리 받아들여지는 분류는 아니다.[2]


미국 해군 다이빙 매뉴얼 등에서 이러한 고전적인 분류를 채택하고 있다.[2] 그러나 신경 증상을 가진 경우가 모두 II형으로 분류되어 중증의 범위가 너무 넓기 때문에, 중증도 분류를 확립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2]

한국의 감압병 치료 전문 병원 중 하나인 서귀포의료원에서는 감압병, 영상소견(정맥기체색전증), 증상명(벤즈, 초크, 스태거, 히트)을 진단명으로 사용하지 않고, 다음과 같이 감압질환을 분류한다.[3]

  • 잠수스트레스증후군: 잠수의사의 진찰 후에도 다른 질환으로 분류되지 않는 불편감
  • 부비동 압력손상: 두통, 복시, 안구 주변의 멍(racoon eye sign), 시야 결손, 현훈
  • 중격동 압력손상: 흉통, 쉰 목소리(hoarse voice)
  • 이압성 관절염: 고관절, 견관절의 통증, 극심하고 불에 타는 듯한 무딘 통증으로 견딜 수 없는 통증이며 관절의 움직임과 상관이 없다는 점에서 잠수스트레스 증후군과 구별된다.
  • 이압성 척수염: 발목 이하 피부의 따끔거림, 양말을 신은 듯한 감각 이상(light tough 소실), 배뇨 장애, 몸통에서 편측/양측 허리 벨트 이하 통증과 아래 부위의 마비, 온도 감각 이상
  • 관상동맥 기체 색전증: 흉통, 호흡 곤란
  • 대뇌동맥 기체 색전증: 의식 상실, 편마비, 현훈
  • 이압성 현훈: 어지러움, 안구 진탕, 구토, 두통


감압병의 증상 발현 시간은 다양한데, 잠수 직후부터 수 시간 후까지 나타날 수 있다. 미국 해군과 기술 잠수 국제 기구(Technical Diving International)의 자료에 따르면, 감압병 증상 발현 시간은 다음과 같다.

감압병 증상 발현 시간
발현 시간사례 비율
1시간 이내42%
3시간 이내60%
8시간 이내83%
24시간 이내98%
48시간 이내100%



다음은 미국 해군에서 관찰한 감압병 증상의 상대적 빈도이다.

증상별 빈도
증상빈도
국소 관절통89%
팔 증상70%
다리 증상30%
어지럼증5.3%
마비2.3%
호흡 곤란1.6%
극심한 피로1.3%
실신/의식 상실0.5%



감압병은 신체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지만, 주로 어깨, 팔꿈치, 무릎, 발목에서 관찰된다. 관절통은 고고도 감압병 사례의 약 60~70%를 차지하며, 어깨는 고고도 및 바운스 다이빙에서, 무릎과 고관절은 포화 및 압축 공기 작업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신경계 증상은 감압병 사례의 10~15%에서 나타나며, 두통과 시각 장애가 가장 흔하다. 피부 증상은 약 10~15%의 사례에서 나타난다.

다음 표는 다양한 감압병 유형의 증상을 보여준다.

감압병의 징후 및 증상
감압병 유형기포 위치징후 및 증상 (임상적 증상)
근골격계주로 사지의 큰 관절 (팔꿈치, 어깨, 고관절, 손목, 무릎, 발목)
피부피부
신경계
신경계척수
전신성전신
청각 전정계내이


4. 대처 방안

무엇보다도 예방이 제일이다. 천천히 상승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수압이 높은 깊은 수심에서 오랜 잠수 후에 급하게 수면으로 상승하는 것은 잠수병의 발생 확률을 매우 높인다. 따라서 다이버는 안전 수심 이내에서 무감압 한계 시간 내에 다이빙을 마치고 안전한 속도를 지키면서 상승해야 한다.[1]

다이버가 사용하는 공기통에 (산소+질소) 혼합 기체 대신 (산소+헬륨) 혼합 기체를 사용함으로써 잠수병을 방지할 수 있다. 헬륨의 용해도가 질소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심해의 높은 압력에서 헬륨이 혈액 속으로 녹아 들어가는 정도가 작기 때문이다.[2]

감압병의 발생은 쉽게 예측할 수 없지만, 많은 위험 요소들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환경적 요인 또는 개인적 요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환경적 요인들이 감압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압력 감소 비율의 크기: 큰 압력 감소 비율은 작은 압력 감소 비율보다 감압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더 높다.
  • 반복 노출: 짧은 시간(몇 시간) 내에 반복되는 잠수는 감압병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비슷하게 짧은 시간 내에 5500m 이상의 고도로 반복적으로 상승하는 것도 고고도 감압병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
  • 상승 속도: 상승 속도가 빠를수록 감압병 발생 위험이 커진다. ''미 해군 잠수 매뉴얼(U.S. Navy Diving Manual)''에 따르면 잠수 시 20m/min보다 빠른 상승 속도는 감압병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반면, 뷔흘만 표(Bühlmann tables)와 같은 레크리에이션 다이빙 표에서는 마지막 6m에 최소 1분을 사용하여 10m/min의 상승 속도를 요구한다. 5500m 이상의 고속 감압(빠른 상승 속도)에 노출된 개인은 같은 고도에 노출되더라도 상승 속도가 느릴 때보다 고고도 감압병의 위험이 더 크다.
  • 노출 시간: 잠수 시간이 길수록 감압병의 위험이 커진다. 특히 5500m 이상의 고도로의 장시간 비행은 고고도 감압병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 비행 전 수중 잠수: 잠수 후 곧 고도로 상승하는 잠수부는 잠수 자체가 다이빙 표의 안전 제한 내에 있더라도 감압병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다이빙 표는 잔류 과량 질소가 배출될 수 있도록 비행 전 수면 수준에서의 잠수 후 시간을 고려한다. 그러나 가압된 항공기 내부의 압력조차도 해수면 위 2400m 고도와 같은 압력일 수 있다. 따라서 다이빙 표의 수면 간격이 정상 대기압에서 발생한다는 가정은 해당 수면 간격 동안 비행함으로써 무효화되며, 그렇지 않으면 안전한 잠수가 다이빙 표의 제한을 초과할 수 있다.
  • 고도 여행 전 잠수: 예를 들어, 해안에서 2400m의 아스마라(Asmara) 고원으로 이동하는 에리트리아(Eritrea)의 스쿠버 다이버처럼, 잠수 직후 육지의 고지대 지역으로 이동하면 비행 없이도 감압병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감압병의 위험이 증가한다.
  • 고고도 잠수(Altitude diving): 해수면 압력보다 훨씬 낮은 수면 압력의 물에서 잠수하는 것 – 예를 들어, 티티카카 호수(Lake Titicaca)는 3800m에 있다. 300m를 초과하는 고도의 감압표(decompression table) 버전 또는 고고도 설정 또는 수면 압력 센서가 있는 다이브 컴퓨터(dive computer)를 사용하여 이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개인적인 요인들이 감압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 탈수: 월더(Walder)의 연구에 따르면, 등장성 식염수를 마셔 혈청 표면 장력을 높이면 조종사의 감압병을 줄일 수 있으며, 물의 높은 표면 장력은 일반적으로 기포 크기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적절한 수분 유지를 권장한다. 과다 수분 섭취가 어떤 이점이 있는지에 대한 확실한 증거는 없으며, 침수성 폐부종과 관련이 있다.
  • 난원공 개존: 태아의 심장 심방 사이의 구멍은 일반적으로 출생 시 첫 호흡과 함께 덮개에 의해 닫힌다. 그러나 성인의 약 20%에서는 덮개가 완전히 닫히지 않아 기침을 하거나 가슴 압력을 높이는 활동 중에 구멍을 통해 혈액이 통과할 수 있다. 잠수 중에는 이로 인해 불활성 기체의 미세 기포가 포함된 정맥혈이 폐를 우회하여(폐 모세혈관계에서 기포가 걸러지는 것을 우회하여) 직접 동맥계(뇌, 척수 및 심장으로 가는 동맥 포함)로 돌아갈 수 있다. 동맥계에서 기포(동맥 가스 색전증)는 훨씬 더 위험한데, 순환을 차단하고 경색(국소적인 혈류 손실로 인한 조직괴사)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뇌에서 경색은 뇌졸중을 유발하고, 척수에서는 마비를 유발할 수 있다.
  • 나이: 고도 감압병의 위험이 나이가 들수록 높아진다는 몇몇 보고서가 있다.
  • 이전 부상: 최근 관절이나 사지 부상이 감압 관련 기포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징후가 있다.
  • 주변 온도: 매우 차가운 주변 온도에 노출되면 고도 감압병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몇 가지 증거가 있다. 차가운 물에서의 잠수 후 감압 중 주변 온도를 높이면 감압병 위험을 줄일 수 있지만, 잠수부가 따뜻하고 말초 혈액 순환이 잘 될 때 기체를 흡입하고 잠수부가 차가울 때 감압하면 위험이 증가한다.
  • 체형: 일반적으로 체지방 함량이 높은 사람은 감압병 위험이 더 크다. 질소는 물보다 지방에 5배 더 잘 녹기 때문에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 체내에 용해된 질소의 총량이 많아진다. 지방은 건강한 성인의 체중의 약 15~25%를 차지하지만, 정상 압력에서 총 질소량(약 1리터)의 약 절반을 저장한다.
  • 알코올 섭취: 알코올 섭취는 탈수를 증가시키므로 감압병에 대한 감수성을 높일 수 있지만, 2005년 연구에서는 알코올 섭취가 감압병 발생률을 증가시킨다는 증거를 찾지 못했다.


기본 개인용 다이빙 컴퓨터의 디스플레이는 수심, 다이빙 시간 및 감압 정보를 보여줍니다.


비디오: 다이빙 시작 시 다이빙 시계의 베젤을 설정하는 방법. 다이버들은 이것을 수심계와 감압표와 함께 사용하여 다이빙 중 안전한 잔여 다이빙 시간을 계산했습니다. 다이브 컴퓨터는 이 번거로운 절차를 불필요하게 만들었습니다.


감압병으로 이어질 수 있는 과도한 기포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다이버들은 상승 속도를 제한한다. 일반적인 감압 모델에서 권장되는 상승 속도는 분당 10m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감압 일정을 따릅니다. 이 일정에 따라 다이버는 특정 수심까지 상승하여 신체에서 충분한 불활성 기체가 제거될 때까지 그 수심에 머물러야 추가 상승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각 단계를 "감압 정지"라고 하며, 특정 바닥 시간과 수심에 대한 일정에는 하나 이상의 정지 또는 전혀 정지가 없을 수 있다. 감압 정지가 없는 다이빙을 "무정지 다이빙"이라고 하지만, 다이버들은 일반적으로 훈련 기관이나 다이브 컴퓨터에 따라 3m에서 6m 사이에서 짧은 "안전 정지"를 예정한다.

감압 일정은 감압표, 감압 소프트웨어 또는 다이브 컴퓨터에서 도출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압력 변화에 따른 신체의 불활성 기체 흡수 및 방출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PADI(Professional Association of Diving Instructors) 등의 지도 단체 교재에서는 수면에 부상하기 전에 수면 아래 수 미터 지점에서 정지시키고 있는데, 이것을 안전 정지라고 부른다. 고지대에서의 다이빙에서는 더욱 신중함과 더 높은 기술이 필요하다.

다이빙을 할 때는 일반적으로 스쿠버 다이빙을 하고 나서 24시간 동안은 비행기 탑승을 금지하고, 또 다이빙 직후에 고산에 오르는 것을 금지하는 등의 지도가 있다.

참고로, 잠수 직후의 음주는 대사를 혼란시키기 때문에 감압병을 일으키기 쉬운 위험이 있다.

5. 치료

고압산소탱크나 고압산소방에서 치료한다. 두통, 골관절 통증에는 진통제를 투여한다.[2] 고압산소 치료는 모든 의료기관에서 시행 가능한 것은 아니며, 관련 설비는 대학병원, 노동재해병원, 연안 지역 공립병원 등 잠수병 환자 방문 빈도가 높은 곳에 주로 설치되어 있다. 덕수회, 청인회 계열 의료법인처럼 경영 방침에 따라 고압산소치료 설비를 갖춘 곳도 있다. 한 번에 여러 환자를 치료하기 어려우므로, 방문 전 해당 기관의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2]

고압산소치료가 유일한 근본 치료법이며, 자연 치유는 되지 않는다. 후유증 최소화를 위해 발병 후 최대한 빨리, 특히 중증일 경우 즉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응급 처치로 다시 잠수하여 기포를 줄이는 방법(후카시)도 있지만 권장되지 않는다.[2]

응급 처치로 (상압) 순수 산소를 호흡시키면 혈관 폐쇄로 인한 저산소 상태에서 발생하는 장애와 후유증을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다. 잠수병이 의심되면 최대한 빨리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하거나 구급차를 불러 산소 흡입을 시작하고, 고압산소치료가 가능한 곳으로 이송해야 한다.[2]

국내에서 고압산소 탱크나 고압산소방을 운영하는 병원은 검색을 통해 알 수 있으며, 주로 남해안에 인접한 병·의원에 많다.

6. 관련 연구 및 역사

로버트 보일은 1670년에 주변 압력 감소가 생체 조직에서 기포 형성을 유발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진공 상태에 놓인 살무사의 눈에서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관찰했는데, 이는 감압병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다. 1803년, 윌리엄 헨리헨리의 법칙을 발견했다.

1841년에는 광산 기술자가 물을 막기 위해 가압된 갱도에서 작업하는 탄광부들 사이에서 통증과 근육 경련을 관찰했는데, 이는 감압병의 최초 기록 사례이다.

1870년대 브루클린 다리 건설 중에는 "케이슨병"이라 불리는 감압병이 발생하여, 프로젝트 책임자였던 워싱턴 루블링도 이 병에 걸려 무능력하게 되었다. 1878년, 폴 베르는 감압병의 기전이 질소 기포 형성에 의한 것임을 제시하였다.

1908년, 존 스콧 홀데인은 단계적 감압법을 제안했다.

1930년대에 앨버트 R. 벤케는 동맥 가스 색전증(AGE)의 증상을 감압병(DCS)의 증상과 구분했으며, 재압축 치료에 산소를 사용하는 실험을 했다.

1960년, F. C. 골딩(Golding) 등은 감압병(DCS)의 분류를 유형 1과 유형 2로 나누었다.

1980년대 이후, 다이브 컴퓨터가 개발 및 보급되면서 감압 상태 추적이 용이해졌고, 다양한 감압 모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2023년, 동물 권리 단체인 PETA는 해군에 동물 대상 감압병 실험 중단을 요구하는 로비를 벌였다.[1]

7. 기타

사회문화적 측면:감압병은 매년 미국 스쿠버 다이버 약 1,000명에게 영향을 미친다. 1999년, 다이버 알림 네트워크(Divers Alert Network, DAN)는 잠수 프로필 및 사고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프로젝트 다이브 탐험"을 만들었다. 1998년부터 2002년까지 50,150회의 잠수를 기록했으며, 그중 28회의 재압치료가 필요했다. 발생률은 약 0.05%이다.

2013년경, 온두라스는 원주민 미스키토족의 바닷가재 잠수에서 안전하지 않은 관행으로 인해 세계에서 감압 관련 사망 및 장애자 수가 가장 많았다. 이들은 심각한 경제적 압박에 직면해 있다. 당시 이 나라에서는 1970년대 이후 2,000명 이상의 잠수부가 부상을 입고 300명 이상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되었다.
경제적 측면:미국에서는 의료보험이 레크리에이션 다이빙으로 인한 잠수병 치료를 보장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스쿠버 다이빙은 선택적이고 "고위험" 활동으로 간주되며 감압병 치료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재압 챔버에서의 일반적인 체류는 응급 수송 비용을 포함하기 전에도 수천 달러가 쉽게 소요된다.

영국에서는 국민건강보험(NHS)이 DCS 치료를 제공한다. 이는 전문 시설이나 일반 병원 내 고압 산소 치료 센터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동물:동물들 또한 감압병에 걸릴 수 있으며, 특히 그물에 걸려 빠르게 수면으로 끌어올려진 동물들에게서 흔히 발생한다. 이는 바다거북에서 기록되었으며, 선사시대 해양 동물에게서도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현대 파충류는 감압병에 취약하며, 고래류와 물개와 같은 해양 포유류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 A. W. Carlsen은 우-좌 단락이 파충류의 심장에 존재하는 것이 인간의 난원공 개존과 같은 방식으로 파충류의 감압병 발생 위험을 높이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참조

[1] 뉴스 Navy Ends 'Gruesome' Testing on Sheep After PETA Protests https://www.military[...] 2023-02-03
[2] 웹사이트 潜水による障害、再圧治療 http://www.jshm.net/[...] 一般社団法人 日本高気圧環境・潜水医学会 2020-01-02
[3] 서적 잠수의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