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경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경증은 1769년 윌리엄 컬렌에 의해 처음 정의된 용어로, 신경계의 장애로 인한 감각 및 운동 장애를 의미했다. 20세기 초 칼 융과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용어의 의미를 재정의했으며, 프로이트는 신경증과 정신병을 구분하여 정신분석 치료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하지만, 1980년 DSM-III에서 신경증이라는 용어는 폐지되었으며, 현재는 불안 장애, 강박 장애 등 세부적인 진단명으로 대체되어 사용된다. 신경증은 심리적 고통, 무의식적 갈등, 불안 등의 증상을 보이며, 정신분석, 인지 행동 치료 등의 치료법이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경증성, 스트레스 연관 및 신체형 장애 - 광장공포증
    광장공포증은 공황 발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공포를 느끼고, 그러한 장소를 회피하는 불안 장애로, 심계항진, 맥박 가속, 발한 등의 신체적 증상과 통제력 상실에 대한 공포를 동반하며, 유전적, 환경적 요인과 관련이 있고, 인지행동치료나 약물 치료 등의 치료법이 존재하며, 여성에게 더 흔하게 나타난다.
  • 신경증성, 스트레스 연관 및 신체형 장애 - 공황장애
    공황장애는 예기치 않은 공황 발작과 이에 대한 불안, 상황 회피를 특징으로 하며, 심계항진,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을 동반하고, 인지 행동 치료와 약물 치료를 통해 치료한다.
  • 질병 - 만성질환
    만성질환은 암, 심혈관 질환, 당뇨병 등 장기간 지속되는 건강 문제로, 식습관, 생활 습관, 사회경제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 습관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 질병 - 황색포도상구균
    황색포도상구균은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그람 양성 구균으로, 인구의 약 30%가 보균하고 있으며 항생제 내성이 널리 퍼져 있어 효과적인 백신 개발과 항생제 내성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정신분석학 - 분석심리학
    분석심리학은 융이 정립한 심리학 이론으로 개인 및 집단 무의식, 원형을 중심으로 심리를 탐구하며, 콤플렉스, 심리 유형론, 공시성 등의 핵심 개념을 포함하고, 꿈, 신화, 종교 등을 활용해 자기실현을 목표로 하지만 과학적 검증 어려움과 비판도 존재한다.
  • 정신분석학 - 죽음 충동
    죽음 충동은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제시한 정신분석학적 개념으로 무의식적인 자기 파괴적 욕구 또는 자기 처벌적 경향을 가리키며, 다양한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재해석되고 논쟁의 대상이 되지만 인류의 자기 파괴적 잠재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신경증
신경증
기본 정보
이름신경증
동의어정신신경증
신경성 장애
진료 분야정신의학, 임상심리학
질병 정보
언어별 명칭
영어neurosis
독일어Neurose
추가 정보
참고정신병과 구별
참고신경질과 구별

2. 신경증의 어원과 역사

18세기 스코틀랜드의 의사 윌리엄 컬렌은 "신경계의 일반적인 증상"으로 인한 "감각과 운동 장애"를 설명하기 위해 신경증(neurosis)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컬렌은 생리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신경 계통의 장애와 증상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했다. 그러나 이 시기에는 신경증과 관련된 신체적 특성들이 이미 밝혀졌지만, 무릎반사, 구역반사와 피부문화증 소실과 같은 신체 진단 테스트는 20세기에 들어서야 사용되었다.

19세기 이전에는 뇌나 신체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데도 정신(신경)이 쇠약해지는 상태를 신경증이라고 불렀다.

20세기 초중반, 카를 융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신경증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재정의하였고, 이는 심리학철학에서도 계속 사용되었다. 프로이트는 신경증과 정신병을 엄격하게 구분하여 정신분석 치료의 가능성을 예측하려 했으며, 그 둘 사이의 경계례는 금기시되었다.[137] 치료 대상을 신경증으로 한정했기 때문에 정신병을 감별할 필요가 있었다. 프로이트는 1924년 "신경증 및 정신병에서의 현실 상실" 논문을 통해 그 구분을 시도했으며, 이는 초기 경계례 논의로 이어졌다.[137] 증상은 초자아나 항문기 고착 등 정신분석 이론으로 해석되었고, 심리치료(정신분석)가 주된 치료 방법이었다.

정신 장애의 전통적인 분류는 신경증과 정신병이었지만, 이 분류는 부정확한 진단을 초래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한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매뉴얼(DSM)』과 『국제질병분류(ICD)』가 등장하여 사용되고 있다. 1980년 DSM-III(제3판)에서는 신경증이라는 용어가 폐지되고, 신경증성 우울증의 대부분은 기분 조절 장애에 포함되었다.[138] 또한 DSM-III는 불안 신경증을 공황 장애와 범불안 장애로 분리했다.[139] 이는 공황 발작 유무와 지속적인 불안-걱정 유무에 따른 구분이다.[136] 따라서 신경증은 임상 진단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줄었고, 특히 정신의학계에서는 공개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등의 약물 치료가 효과적일 가능성이 있으며, 심인성이 아닌 생물학적 요인을 가정하는 움직임이 나타났다.[140]

신경증에 해당하는 독일어는 노이로제(Neurose)이며, 일본에서도 신경증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일반인이 "노이로제"라고 말하는 경우에는 훨씬 넓은 의미로 사용되는 경향이 강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기분이 가라앉았다" 또는 "어떤 것에 계속해서 고민하고 있다"라는 상태를 이 단어로 표현한다.

2. 1. 어원

'neurosis'라는 단어 자체의 어원은 '신경'이라는 뜻의 그리스어 'νεῦρον|네우론grc'(neuron)과 '병에 걸린' 혹은 '비정상 상태'를 뜻하는 접미사 'ωσις|-오시스grc'(-osis)에서 유래하였다. 신경증이라는 의미의 'neurosis'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1769년 스코틀랜드 의사 윌리엄 컬렌이 "신경계의 일반적인 증상"으로 인한 "감각과 운동 장애"로서 neurosis를 정의하면서부터였다. 컬렌은 생리학적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신경 계통 장애와 증상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 용어를 사용하였다.

2. 2. 18세기 ~ 19세기: 신경증 개념의 등장

1769년 스코틀랜드 의사 윌리엄 컬런(William Cullen)은 '신경증(Neurosis)'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이는 '신경'을 뜻하는 그리스어 '네우론(νεῦρον, neuron)'과 '병에 걸린' 또는 '비정상 상태'를 의미하는 접미사 '-오시스(ωσις, -osis)'에서 유래했다.[2] 컬런은 생리학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신경계 장애와 증상들을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를 사용했다.[3]

윌리엄 컬런


프랑스 정신과 의사 필립 피넬(Philippe Pinel)은 컬런의 영향을 받아 자신의 저서 ''철학적 질병 분류 또는 의학에 적용된 분석 방법(Nosographie philosophique ou La méthode de l'analyse appliquée à la médecine)''(1798)에서 질병 분류 체계에 신경증을 포함시켰다. 피넬은 의학적 상태를 다섯 가지 범주로 나누었고, 그 중 하나가 "신경증"이었다. 신경증은 다시 멜랑콜리아, 매니아, 치매, 바보증의 네 가지 기본 유형으로 나뉘었다.[2]

1805년 독일 화학자 프리드리히 세르튀르너(Friedrich Sertürner)는 아편에서 모르핀을 처음으로 분리했다. 1817년 세 번째 논문 발표 후,[4] 모르핀은 신경증 및 기타 정신적 고통 치료에 사용되었다.[5][6] 그러나 세르튀르너는 모르핀의 중독성을 경고하며, "재앙을 막기 위해서" 이 물질의 끔찍한 영향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7]

1824년 독일 심리학자 요한 프리드리히 헤르바르트(Johann Friedrich Herbart)는 무의식적인 생각이 의식으로 들어오려고 경쟁한다는 개념을 설명하면서 억압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8]

1857년 영국 의사 찰스 로콕(Charles Locock)은 브롬화칼륨의 진정 효과를 공개적으로 언급했다. 이후 수십 년 동안 브롬화칼륨과 다른 브롬화물이 신경증 환자를 진정시키는 데 대량으로 사용되었으나,[6][9][10] 이로 인해 많은 브롬중독증 사례가 발생했다.

미국 의사 위어 미첼은 1875년 정신병이 아닌 정신 질환에 대한 안정 요법에 관한 논문을 처음 발표했다.[11] 1877년 그의 책 "지방과 피: 그리고 그것들을 만드는 방법(Fat and Blood: and how to make them)"[12]에서는 안정 요법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했다. 이 요법은 원래 여성을 침대에 격리하고, 쉬운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도록 훈련받은 간호사와만 소통하게 하며, 우유가 풍부한 고지방 식단, 마사지, 전기 적용 등을 포함했다.

2. 3.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 정신분석학의 발전

요제프 브로이어(Josef Breuer)는 1880년에서 1882년 사이에 히스테리 치료에 정신분석을 처음 사용했다.[13]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브로이어의 지도를 받았으며, 1895년 브로이어와 함께 쓴 책 "히스테리에 관한 연구"(Studien über Hysterie)를 통해 정신분석 분야를 확립했다. 이 책에서 프로이트는 신경증을 과거 심리적 외상에 대한 뇌의 방어 기제로 발생하는 정신 질환으로 설명했다.[42]

장-마르탱 샤르코(Jean-Martin Charcot)는 심리적 외상이 일부 히스테리의 원인이라고 보았다.[22] 프로이트는 1885년에서 1886년 사이에 샤르코의 제자였으며,[25] 1893년 샤르코가 "히스테리에 대한 이해와 지식에서 이루어진 모든 현대적 발전"의 근원이라고 인정했다.[26]

피에르 자네(Pierre Janet)는 1889년 자신의 책 "심리적 자동성"(L'automatisme psychologique)에서 심리적 외상의 주요 측면이 해리(현실로부터 의식적인 마음의 단절)라고 주장했다.[27]

폴 샤를 뒤부아(Paul Charles Dubois)는 1904년 "신경증과 그 도덕적 치료"(Les psychonévroses et leur traitement moral)라는 책을 출판했는데, 이 책은 1905년 "신경 장애의 정신 치료(신경증 및 그 도덕적 치료)"(Psychic Treatment of Nervous Disorders (The Psychoneuroses and Their Moral Treatment))로 영어로 번역되었다.[41] 뒤부아는 환자의 말을 주의 깊게 듣고 진실을 합리적으로 설득함으로써 신경증을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이것을 "합리적 정신 치료"라고 불렀으며, 이는 인지 행동 치료의 한 형태였다.

2. 4. 20세기 중반 이후: 진단 기준의 변화

카를 융은 신경증을 일종의 실존적 문제로 보았다. 그는 신경증이 개인의 성장과 발달을 저해하는 심리적 불균형 상태라고 설명했다. 카렌 호나이는 신경증의 기원을 초기 환경, 특히 어린 시절의 경험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강박적인 욕구에서 찾았다. 호나이는 개인이 기본적인 불안감을 극복하기 위해 방어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고, 이것이 신경증적 욕구로 이어진다고 보았다.[110]

1980년, 미국정신의학회는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DSM-III)에서 '신경증'이라는 범주를 삭제했다. 이는 신경증이라는 용어가 모호하고, 다양한 증상을 포괄하는 탓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어렵게 한다는 판단 때문이었다. 대신, '신경증'에 포함되었던 질환들은 불안 장애, 해리 장애, 신체형 장애 등 보다 세부적인 진단명으로 대체되었다.[117] 이러한 변화는 행동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함이었으나,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118]

1992년에는 세계 정신분석 협회가 설립되었다. 이 협회는 자크 라캉의 정신 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현재 가장 큰 라캉 학파 정신분석 기관이다.[121]

3. 신경증의 이론적 관점

칼 융은 사회 규범에는 잘 적응하면서도 실존과 관련된 질문에 문제가 있는 환자들을 파악하는데 특히 유용한 방식을 발견하였다. 융은 삶에 대한 질문에 엉뚱하거나 잘못된 답을 내놓고 만족하며 사는 사람들이 신경증 환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고 보았다.[133] 그의 환자들 대부분은 무언가를 믿는 사람이 아니라 믿음을 잃어버린 사람들이었다.[133] 융은 현대인들이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유능하게 행동하지만, 자신의 통제 밖에 있는 "힘"에 지배받는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악마는 사라지지 않고 새로운 이름을 얻었을 뿐이며, 현대인들을 불안, 초조, 다양한 정신병, 약물, 알코올, 담배, 음식에 대한 탐닉, 그리고 수많은 신경증으로 몰아넣는다고 보았다.[134]

융은 무의식이 사고, 감정, 감각, 직관과 같이 주로 인간의 심리적 기능을 통해 드러난다고 보았다. 신경증이 지배적 기능과 열등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심리 유형론(Psychological Types)》에서 다루어진다. 융은 정치에서도 집단 신경증(collective neuroses)을 발견했는데, "우리 세계는 말 그대로 신경증 환자처럼 해리되어 있다"고 말했다.[134]

카렌 호나이는 저서 『신경증과 성장-자기실현을 향한 투쟁(Neurosis and Human Growth: The Struggle Toward Self-Realization)』(한국어판 : 『내가 나를 치료한다』)에서 신경증의 기원과 역학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였다.[141] 호나이는 신경증을 세상과 자아를 왜곡되게 바라보는 방식으로 정의하며, 이러한 시각은 순수한 관심이 아닌 강박적 욕구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았다. 호나이는 신경증이 아이가 자란 초기 환경에서 비롯되며, 부모가 자신의 신경증적 욕구와 반응에 따라 아이를 대하면서 아이에게 불안정한 환경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142]

이러한 환경에서 자란 아이는 기본적인 불안을 발달시키고, 이를 다루기 위해 이상화된 자아상(idealized self-image)을 만든다.[143] 아이는 자신의 경험, 환상, 욕구, 능력을 바탕으로 자아상을 구축하며, 이를 통해 정체성과 일관성을 얻으려 한다. 순응은 선함, 공격성은 힘, 무관심은 지혜로 이상화되며, 결함은 가려진다.[143]

그러나 이상화된 자아상과의 동일시는 여러 부작용을 낳는다. 타인을 지배할 권리를 주장하고, 엄격한 기준을 부과하며, 근거 없는 자부심으로 상처받기 쉬워진다. 결국 자신의 한계 때문에 스스로를 경멸하는 악순환에 빠진다.

호나이는 가벼운 불안장애와 성격장애 모두 개인의 역동과 격렬한 정도에 따라 발생하는 신경증의 변형으로 보았다. 그는 신경증의 반대편에 '자기실현'이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불안에 의한 강박이 아닌, 마음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느낌으로 세계에 반응하는 상태이다. 호나이는 이 과정을 도토리가 나무로 성장하는 것에 비유하며, 개인은 타고난 잠재력을 실현하며 성장한다고 설명했다.

현대의 진단 분류에서는 느껴지는 불안만을 다루고, 경계선 인격 장애 논의에서는 처음 상정되었던 신경증과의 관련성을 떠나 성격이라는 관점에서 다루어짐에 따라, 신경증이라는 개념은 의미를 잃어갔다.

3. 1. 정신분석학적 이론 (프로이트)

정신분석 이론에 따르면, 신경증은 자아 방어 기제에 뿌리를 두고 있을 수 있지만, 두 개념이 동의어는 아니다. 방어기제는 일관된 자기 인식(즉, ''자아'')을 발달시키고 유지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삶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사고와 행동만을 ''신경증''이라고 부른다.

신경증 환자는 정서적 고통과 무의식적 갈등을 경험하며, 이는 다양한 신체적 또는 정신적 질환으로 나타난다. 결정적인 증상은 불안이다. 신경증적 경향은 흔하며, 급성 또는 만성 불안, 우울증, 강박 장애, 공포증 또는 성격 장애로 나타날 수 있다.

프로이트(Freud)의 1923년 저서 "정신분석학 개론"에서 제시한 신경증의 유형은 다음과 같다.
불안 히스테리
* 다양한 공포증
전환 히스테리
과대망상
피해망상
색정광
질투광

정신역동적 심리치료에서 신경증 개념의 배경에는, 느껴지는 불안이 아니라, 느껴지지 않는 “억압된 불안”이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는 작용이 상정되어 있다.

3. 2. 융의 분석심리학적 이론

칼 융은 사회 규범에는 잘 적응하면서도 실존과 관련된 질문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들을 분석하는 데 유용한 방식을 발견했다. 그는 삶에 대한 질문에 엉뚱하거나 잘못된 답을 내놓고 만족하며 사는 사람들이 신경증 환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고 보았다.[133] 그의 환자들 대부분은 무언가를 믿는 사람이 아니라 믿음을 잃어버린 사람들이었다.[133] 융은 현대인들이 합리적으로 사고하고 유능하게 행동하지만, 자신의 통제 밖에 있는 "힘"에 지배받는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악마는 사라지지 않고 새로운 이름을 얻었을 뿐이며, 현대인들을 불안, 초조, 다양한 정신병, 약물, 알코올, 담배, 음식에 대한 탐닉, 그리고 수많은 신경증으로 몰아넣는다고 보았다.[134]

칼 구스타프 융(Carl Jung)은 신경증에 대한 정신분석 이론을 발전시켰다.


융은 무의식이 사고, 감정, 감각, 직관과 같이 주로 인간의 심리적 기능을 통해 드러난다고 보았다. 신경증이 지배적 기능과 열등 기능에 미치는 영향은 그의 저서 《심리 유형론(Psychological Types)》에서 다루어진다. 융은 정치에서도 집단 신경증(collective neuroses)을 발견했는데, "우리 세계는 말 그대로 신경증 환자처럼 해리되어 있다"고 말했다.[134]

3. 3. 카렌 호나이의 신경증 이론

카렌 호나이는 자신의 저서 『신경증과 성장-자기실현을 향한 투쟁(Neurosis and Human Growth: The Struggle Toward Self-Realization)』(한국어판 : 『내가 나를 치료한다』)에서 신경증의 기원과 역학에 대한 이론을 제시하였다.[141] 호나이에 따르면 신경증은 세상과 자아를 왜곡되게 바라보는 방식이며, 이는 강박적 욕구에 따라 결정된다. 호나이는 신경증이 아이가 자란 초기 환경에서 비롯된다고 보았으며, 부모가 자신의 신경증적 욕구와 반응에 따라 아이를 대하면서 아이에게 불안정한 환경을 제공한다고 설명했다.[142]

이러한 환경에서 자란 아이는 기본적인 불안을 발달시키고, 이를 다루기 위해 이상화된 자아상(idealized self-image)을 만든다.[143] 아이는 자신의 경험, 환상, 욕구, 능력을 바탕으로 자아상을 구축하며, 이를 통해 정체성과 일관성을 얻으려 한다. 순응은 선함, 공격성은 힘, 무관심은 지혜로 이상화되며, 결함은 가려진다.[143]

그러나 이상화된 자아상과의 동일시는 여러 부작용을 낳는다. 타인을 지배할 권리를 주장하고, 엄격한 기준을 부과하며, 근거 없는 자부심으로 상처받기 쉬워진다. 결국 자신의 한계 때문에 스스로를 경멸하는 악순환에 빠진다. 성인이 되어서도 이러한 해결책은 더욱 강고해져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 확장형: 나르시시즘, 완벽주의, 복수심의 증상을 보인다.
  • 자기소멸형: 강박적으로 순응하며, 공의존 증상을 보인다.
  • 체념형: 분열성 경향을 보인다.


호나이는 가벼운 불안장애와 성격장애 모두 신경증의 변형으로 보았다. 그리고 신경증의 반대편에는 '자기실현'이 있다고 하였는데, 이는 불안에 의한 강박이 아닌, 마음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느낌으로 세계에 반응하는 상태이다. 호나이는 이 과정을 도토리가 나무로 성장하는 것에 비유하며, 개인은 타고난 잠재력을 실현하며 성장한다고 설명했다.

4. 신경증과 관련된 증상 및 질환

강박장애, 강박성 성격장애, 충동조절장애, 불안장애, 히스테리, 기타 다양한 공포증 등이 신경증의 종류로 언급된다. 여러 증상에 대해 포괄적으로 언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지만, 진단 체계에서는 직접적, 간접적 용어 사용은 제외되어 구체적인 정신질환과 대비되는 완화된 용어로 많이 활용된다.

"신경증"이라는 용어는 1980년 DSM-III 발행과 함께 DSM에서 제거되었으며, 2022년 ICD-11 발효로 ICD에서도 완전히 사라졌다. (ICD-10에서는 F48.8 항목에서 특정 경미한 질환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117]

DSM-III에서는 "신경증" 범주가 "불안 장애" 범주로 대체되었는데, 이는 편집자들이 숨겨진 심리적 메커니즘보다는 행동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는 논란의 여지가 있었다.[118] DSM-III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처음으로 포함되었으며, 이는 DSM-I의 "심각한 스트레스 반응"과 정의가 유사했다.[119]

DSM-III에서 불안 장애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 공포증 장애 (또는 공포증성 신경증)
  • * 광장 공포증과 함께 하는 공황 발작
  • * 공황 발작이 없는 광장 공포증
  • * 사회 공포증
  • * 단순 공포증
  • 불안 상태 (또는 불안 신경증)
  • * 공황 장애
  • * 광범위 불안 장애
  • * 강박 장애 (또는 강박 신경증)
  • * 급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 만성 또는 지연성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 특이한 불안 장애


적응 장애는 별도로 정의되었으며, 연령대 기반 하위 유형은 폐지되고 동반 질환 증후군(예: "우울 기분을 동반한 적응 장애", "불안 기분을 동반한 적응 장애")과의 조합으로 대체되었다.[119] 적응 장애는 단기적인 상태로 재분류되었다.

신체 형태 장애, 해리, 우울증, 건강염려증(이전에는 모두 신경증으로 간주됨)도 별도로 다루어졌으며, 신경쇠약(다른 설명할 수 없는 피로를 유발하는 신경증이었던)은 경증 우울증의 한 형태로 분류되었다.

4. 1. 증상

조지 보어리(C. George Boeree) 시펜스버그 대학 명예교수는 신경증의 증상으로 불안, 슬픔 혹은 우울, 분노, 과민성, 정신 착란, 낮은 자아존중감 등을 꼽았다. 행동 증상으로는 공포 회피, 불면증, 충동적 강박적 행동, 무기력 등이 있으며, 인지적 문제로는 불쾌하거나 불안한 생각, 반복적인 생각과 집착, 습관적인 공상, 부정적 성향과 냉소적 태도 등이 있다. 대인 관계에서는 의존성, 공격성, 완벽주의, 조현성 고립(schizoid isolation), 사회문화적으로 부적절한 행동 등을 보인다.[140] 신경증은 '자신이 처한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 부족, 생활 패턴 변화의 어려움, 더 풍부하고 복잡하며 만족스러운 성격 발달의 어려움'으로 정의되기도 한다.

심리적 원인으로 정신 증상이나 신체 증상이 나타나는 현상으로, 주로 두통, 가슴 두근거림, 불면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불안 신경증, 히스테리, 강박 신경증, 공포증, 망상 반응 등이 이에 해당한다.[140]

4. 2. 관련 질환 (DSM-IV 기준)

과거 신경증이라고 불렸던 질환들은 DSM-IV(제4판)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40]

4. 3. 관련 질환 (DSM-5 기준)

DSM-5(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5판)에서는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범주를 "불안 장애"에서 분리하였다. 이 범주에는 다음 질환들이 포함된다.[117]

  • 반응성 애착 장애
  • 탈억제 사회 관여 장애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
  • 급성 스트레스 장애
  • 적응 장애
  • 기타 특정된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 지연 발병을 동반하는 적응 장애 유사 장애
  • 신경과민 발작(Ataque de nervios)
  • 다트 증후군(Dhat syndrome)
  • 카얄 캡(Khyâl cap)
  • 쿠풍기시사(Kufungisisa)
  • 말라디 문(Maladi moun)
  • 신경증(Nervios)
  • 신경쇠약(Shenjing shuairuo)
  • 수스토(Susto)
  • 타이진쿄후쇼(Taijin kyofusho)
  • 지속적 복합 슬픔 장애(Persistent complex bereavement disorder)
  • 불특정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5. 신경증의 치료 및 예방

스트레스 관리, 심리적 회복력 증진, 사회적 지지,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조기 개입 등을 통해 신경증 및 관련 질환을 치료하고 예방할 수 있다.

도널드 마이켄바움이 개발한 스트레스 예방 접종 훈련은 이완, 부정적 생각 억제, 두려워하는 상황에 대한 실제 노출을 통해 강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불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122] 리처드 라자러스와 수전 폴크먼의 스트레스 및 대처 거래 모델은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개인의 반응과 대처 방식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급성 스트레스 장애(ASD) 환자는 인지 행동 치료를 통해 PTSD를 예방할 수 있으며,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도 스트레스 관리에 유용하다.[126] 에드먼드 제이콥슨이 개발한 진행성 근육 이완법(PMR)은 근육 긴장을 완화하여 불안감을 줄인다.[43][47] 외상적인 경험 직후 테트리스를 플레이하면 PTSD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27]

애런 안토놉스키는 회복력 있는 사람은 상황을 "의미 있고, 예측 가능하며, 질서 정연하다"고 평가한다고 보았다.[115] 마이클 러터는 위험 영향 감소, 부정적 연쇄 반응 감소, 자존감과 자기 효능감 확립 및 유지, 기회 확대를 통해 개인의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128]

교감 신경 반응을 조절하는 알파-1 차단제 프라조신은 이완을 돕고 수면을 개선하여 ASD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129] 외상 후 하이드로코르티손(코르티솔)은 조기 예방적 개입으로서 PTSD 발병을 늦추는 효과가 있다.[130]

스웨덴 보건 기술 평가 및 사회 서비스 평가청(SBU)의 2014년 체계적 문헌 검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업 환경 요인이 소진 장애 또는 우울 증상 발병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31]

'''작업 환경과 신경증'''
위험 요인보호 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 없음: 유사한 작업 조건에서 여성과 남성은 우울증 및 소진 장애 증상을 거의 동일하게 경험



스탠리 랙먼은 1980년에 신경증의 발병을 줄이는 전자와 신경증을 더욱 발생 가능하게 만드는 후자의 "감정 처리"를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요인 목록을 정리했다.[116]

5. 1. 치료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정신분석을 통해 신경증 치료를 시도했다. 1924년 그의 논문 "신경증 및 정신병에서의 현실 상실"은 신경증과 정신병을 구분하려는 시도였으며, 초기 경계례 논의로 이어졌다.[137] 정신분석 이론에서 신경증의 증상은 초자아나 항문기 고착 등으로 해석되었고, 심리치료(정신분석)가 주된 치료 방법이었다.

과거에는 정신 장애를 신경증과 정신병으로 분류했지만, 이 분류는 부정확한 진단을 야기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매뉴얼』(DSM)과 『질병 및 관련 건강 문제의 국제 통계 분류』(ICD)가 사용되고 있다. 1980년 DSM-III에서는 신경증이라는 용어가 폐지되었고, 신경증성 우울증은 대부분 기분 조절 장애에 포함되었다.[138] 불안 신경증은 공황 장애와 범불안 장애로 분리되었는데, 이는 공황 발작 유무와 지속적인 불안-걱정 유무에 따른 구분이다.[139][136] 이에 따라 신경증은 임상 진단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줄었으며, 특히 정신의학계에서는 공개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등의 약물 치료가 효과를 보일 수 있다는 점에서, 심인성 요인 외에 생물학적 요인도 신경증의 원인으로 고려되고 있다.[140]

5. 2. 예방

스트레스 관리, 심리적 회복력 증진, 사회적 지지,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 조기 개입 등을 통해 신경증을 예방할 수 있다.
스트레스 관리: 도널드 마이켄바움이 개발한 스트레스 예방 접종 훈련은 이완, 부정적 생각 억제, 두려워하는 상황에 대한 실제 노출을 통해 강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불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122] 리처드 라자러스와 수전 폴크먼의 스트레스 및 대처의 거래 모델은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개인의 반응과 대처 방식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급성 스트레스 장애(ASD) 환자는 인지 행동 치료를 통해 PTSD를 예방할 수 있으며, 마음챙김 기반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도 스트레스 관리에 유용하다.[126] 에드먼드 제이콥슨이 개발한 진행성 근육 이완법(PMR)은 근육 긴장을 완화하여 불안감을 줄인다.[43][47] 외상적인 경험 직후 테트리스를 플레이하면 PTSD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127]
심리적 회복력 증진: 애런 안토놉스키는 회복력 있는 사람은 상황을 "의미 있고, 예측 가능하며, 질서 정연하다"고 평가한다고 보았다.[115] 마이클 러터는 위험 영향 감소, 부정적 연쇄 반응 감소, 자존감과 자기 효능감 확립 및 유지, 기회 확대를 통해 개인의 회복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128]
약물 치료: 교감 신경 반응을 조절하는 알파-1 차단제 프라조신은 이완을 돕고 수면을 개선하여 ASD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129] 외상 후 하이드로코르티손(코르티솔)은 조기 예방적 개입으로서 PTSD 발병을 늦추는 효과가 있다.[130]
작업 환경 요인: 스웨덴 보건 기술 평가 및 사회 서비스 평가청(SBU)의 2014년 체계적 문헌 검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작업 환경 요인이 소진 장애 또는 우울 증상 발병 위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31]

'''작업 환경과 신경증'''
위험 요인보호 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 없음: 유사한 작업 조건에서 여성과 남성은 우울증 및 소진 장애 증상을 거의 동일하게 경험


6. 한국 사회와 신경증

신경증한국어은 한국 사회에서 중요한 정신 건강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참조

[1] 백과사전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ahdictionary[...] HarperCollins Publishers
[2] 학술지 A history of the concept of neurosis, with a memoir of William Cullen 1970-07-01
[3] 서적 Demonstrations of physical signs in clinical surgery J. Wright and Sons
[4] 학술지 Ueber das Morphium, eine neue salzfähige Grundlage, und die Mekonsäure, als Hauptbestandtheile des Opiums https://zenodo.org/r[...] 1817-01-01
[5] 학술지 Über das Morphium, eine neue salzfähige Grundlage, und die Mekonsäure, als Hauptbestandteile des Opiums https://zenodo.org/r[...] 1817-01-01
[6] 서적 Lectures on some points in th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neuroses https://books.google[...] Appleton 1890-01-01
[7] 학술지 God's Own Medicine 2017-03-01
[8]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Studies on Hysteria https://archive.org/[...]
[9] 학술지 Remarks on the use of the Bromides in the treatment of Epilepsy and other Neuroses 1869-07-01
[10] 학술지 The Abuse and Use of Bromides https://zenodo.org/r[...] 1877-07-01
[11] 웹사이트 The Project Gutenberg eBook of Fat And Blood:, by S. Weir Mitchell, M.D., LL.D. Harv.. https://www.gutenber[...] 2024-04-22
[12] 웹사이트 Fat and blood: and how to make them - Digital Collections -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ttps://collections.[...] 2024-04-22
[13] 서적 Five Lectures on Psycho-Analysis Penguin 1995-01-01
[14] 서적 Studien über Hysterie https://books.google[...] e-artnow 2020-08-01
[15] 서적 Jahrbuch der Psychoanalyse Hans Huber 1978-01-01
[16] 서적 Bertha Pappenheim: Freud's Anna O. Congregation Solel 1968-01-01
[17] 학술지 The case of Anna O.: a neuropsychiatric perspective 1987-01-01
[18] 서적 Freud Evaluated - The Completed Arc Elsevier 1990-01-01
[19] 서적 Why Freud Was Wrong: Sin, Science, And Psychoanalysis Basic Books 1996-01-01
[20] 학술지 O Anna: being Bertha Pappenheim--historiography and biography 2004-03-01
[21] 서적 Clinical Lectures on Mental Diseases https://books.google[...] Lea Brothers 1897-01-01
[22] 서적 Lectures on the Diseases of the Nervous System: Delivered at La Salpêtrière http://archive.org/d[...] The New Sydenham Society 1889-01-01
[23] 학술지 Two Cases of Hysteria https://archive.org/[...] 1883-01-01
[24] 학술지 Jean-Martin Charcot's contributions to the interface between neurology and psychiatry 1997-08-01
[25] 웹사이트 Jean-Martin Charcot https://www.pbs.org/[...] Public Broadcasting Service (PBS) 2008-10-13
[26] 학술지 On the Psychical Mechanism of Hysterical Phenomena (1893) https://pep-web.org/[...] 1956-01-01
[27] 웹사이트 The Dissociation Theory of Pierre Janet https://www.onnovdha[...] 2023-08-23
[28] 서적 Metapsychology: The Theory Of Psychoanalysis Penguin 1984-01-01
[29] 서적 The Neuroses of Development: Being the Morrison Lectures for 1890 https://books.google[...] Oliver and Boyd 1891-01-01
[30] 서적 Studies On Hysteria http://archive.org/d[...] Basic Books
[31] 서적 Thérapeutique des névroses http://archive.org/d[...] Paris: O. Doin 1894-01-01
[32] 서적 Psychiatrie: ein Lehrbuch für Studirende und Aerzte http://archive.org/d[...] Leipzig: J. A. Barth 1899-01-01
[33] 웹사이트 Pierre Janet, 1859-1947 philosophe devenu médecin et psychologue http://classiques.uq[...] 2023-04-13
[34] 서적 Névroses et idées fixes http://archive.org/d[...] Paris: Librairie Félix Alcan 1914-01-01
[35] 학술지 Janet's Obsessions and Psychasthenia: a synopsis 1984-12-01
[36] 웹사이트 Accueil SFP https://www.sfpsy.or[...] 2023-07-08
[37] 웹사이트 Pierre Janet https://francearchiv[...] 2023-07-08
[38] 논문 The history of barbiturates a century after their clinical introduction 2005-12-01
[39] 서적 The Major Symptoms of Hysteria: Fifteen Lectures Given in the Medical School ... http://archive.org/d[...] The Macmillan company 1907
[40] 웹사이트 Pierre Janet: French Neurologist and Psychologist https://www.simplyps[...] 2022-11-03
[41] 웹사이트 The psychic treatment of nervous disorders : (The psychoneuroses and their moral treatment) / by Paul Dubois ... ; translated and edited by Smith Ely Jelliffe ... https://hdl.handle.n[...] 2024-04-22
[42] 논문 Freud's Three Theories of Neurosis: Towards a Contemporary Theory of Trauma and Defense 2016-07-03
[43] 서적 Progressive relax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29
[44] 서적 The Restless Compendium Palgrave Macmillan 2016
[45] 서적 Progressive relaxa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8
[46] 논문 Técnicas cognitivo-conductuales de fácil aplicación en atención primaria (I) 2012-09-01
[47] 서적 Encyclopedia &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 allied health. Saunders 2005
[48] 웹사이트 APsaA Mission & Vision {{!}} APsaA http://www.apsa.org/[...] 2018-10-01
[49] 서적 Collected Works of C.G. Jung, Volume 4: Freud & Psychoanalysis
[50] 서적 Bodily changes in pain, hunger, fear, and rage Appleton-Century-Crofts
[51] 논문 Thomas W. Salmon: advocate of mental hygiene 2006-10-01
[52] 서적 The care and treatment of mental diseases and war neuroses ("shell shock") in the British army http://archive.org/d[...] New York City, War Work Committee of the National Committee for Mental Hygiene, Inc. 1917
[53] 서적 A General Introduction to Psychoanalysis http://archive.org/d[...] H. Liveright 1920
[54] 논문 OBITUARY 1941-03-22
[55] 서적 The Common Neuroses http://archive.org/d[...] Edward Arnold And Company 1949
[56] 서적 The Ego and the Id Hogarth Press 1955
[57] 서적 The letters of Sigmund Freud & Otto Rank: inside psychoanalysi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2
[58] 서적 Inhibitions, Symptoms and Anxiety https://books.google[...] Norton 1977
[59] 서적 Progressive relaxation; a physiological and clinical investigation of muscular states and their significance in psychology and medical practice http://archive.org/d[...] Chicago [Il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4
[60] 뉴스 The man who invented relaxation https://www.bbc.com/[...] 2015-11-04
[61] 서적 You must relax http://archive.org/d[...] New York : McGraw-Hill 1976
[62] 서적 The Wisdom of the Body W. W. Norton and Company 1932
[63] 서적 Standard classified nomenclature of disease https://catalog.hath[...]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38
[64] 서적 Health Psychology McGraw-Hill Ryerson 2012
[65] 논문 Psychoanalytic Investigation of and Therapy in the Border Line Group of Neuroses 1938-10-01
[66] 논문 The Social Background of Occupational Neuroses 1937-06-01
[67] 서적 Human Experience: Philosophy, Neurosis, and the Elements of Everyday Lif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68] 논문 The interpersonal expression of human spatiality: a phenomenological interpretation of anorexia nervosa. 2006
[69] 서적 A War of Nerves: Soldiers and Psychiatrists, 1914–1994 Jonathan Cape 2000
[70] 서적 Acute Stress Disorder: A Handbook Of Theory, Assessment, And Treatment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71] 웹사이트 PTSD from Armistice Day to DSM-5 - VA News https://news.va.gov/[...] 2013-11-07
[72] 웹사이트 American Journal of Psychoanalysis https://amjpa.org/ 2018-02-26
[73] 웹사이트 Former APA Presidents https://www.apa.org/[...] 2023-07-08
[74] 서적 dimensions of personality http://archive.org/d[...] routledge & kegan paul limited 1950
[75] 서적 The Abandonment Neurosis https://www.routledg[...] Karnac Books 2015
[76] 학술지 Communication: Its Blocking and Its Facilitation 1952
[77] 웹사이트 About NASAP https://www.alfredad[...] 2023-04-14
[78] 서적 DSM-1 Full PDF http://archive.org/d[...] US Army 1952
[79] 학술지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history and a critique 2010-10-01
[80]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Mental Hospital Service 1952
[81] 잡지 A brief history of antidepressants http://content.time.[...] 2014-10-19
[82] 서적 Foye's Principles of Medicinal Chemistr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8
[83] 서적 Exposure Therapy for Anxiety: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Guilford Press
[84] 학술지 Some anticonvulsant agents derived from 1, 3-propanediol
[85] 서적 The Age of Anxiety: A History of America's Turbulent Affair with Tranquilizers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86] 서적 The meaning of anxiety. http://content.apa.o[...] Ronald Press Company 1950
[87] 학술지 War & military mental health: the US psychiatric response in the 20th century 2007-12-01
[88] 서적 Rational Psychotherapy https://albertelli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56-08-31
[89] 학술지 Rational Psychotherapy and Individual Psychology 1957-05-01
[90] 웹사이트 Our Mission and History https://albertellis.[...] 2023-04-15
[91] 학술지 Dr Russell Barton, Belsen concentration camp and 1960s psychiatric hospitals in England: the controversy 2018-07-03
[92] 서적 Institutional Neurosis Butterworth-Heinemann 2013
[93] 서적 A Historical Dictionary of Psychiatry Oxford University Press
[94] 웹사이트 Valium had many ancestors https://www.latimes.[...] 2023-04-15
[95] 서적 Before Prozac: The Troubled History of Mood Disorders in Psychiat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10-28
[96] 학술지 Origenes historicos del concepto de neurosis; Valencia, Catedra e Instituto de Historia de la Medicina, 1963, p. 206 1966-07-01
[97] 서적 Historical Origins of the Concept of Neurosis
[98] 논문 A history and status report of Neurotics Anonymous, an organization offering self-help for the mentally and emotionally disturbed Barry University
[99] 서적 Odd man in; societies of deviants in America Quadrangle Books
[100] 서적 Positive disintegration http://archive.org/d[...] Boston, Little, Brown 1964
[101] 웹사이트 Behavior Analysis (Div. 25) https://www.apadivis[...] 2023-07-15
[102] 서적 The Causes and Cures of Neurosis: An Introduction to Modern Behaviour Therapy Based on Learning Theory and the Principles of Conditioning Routledge 2014
[103] 학술지 The Hopkins Symptom Checklist (HSCL): a self-report symptom inventory 1974-01-01
[104] 학술지 Family approach with grandchildren of Holocaust survivors 2003-01-01
[105] 웹사이트 ISTSS - History https://istss.org/ab[...] 2023-04-14
[106] 서적 Anxiety and Neurosis https://www.routledg[...] Routledge & CRC Press 2023-04-14
[107] 웹사이트 Psychologist McNeil Dies At 50 {{!}} Ann Arbor District Library https://aadl.org/nod[...] 2023-04-14
[108] 서적 Neuroses and Personality Disorders https://books.google[...] Prentice-Hall 1970
[109] 서적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10] 서적 Prisoners of Pain: Unlocking the Power of the Mind to End Suffering Anchor Press/Doubleday 1980
[111] 학술지 William W.K. Zung, MDiv, MS, MD 1992-08-00
[112] 학술지 A Rating Instrument For Anxiety Disorders 1971-11-00
[113] 학술지 Recent adva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of antidepressant drugs with serotonin and norepinephrine transporters
[114] 서적 Medical Toxicology https://books.googl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15] 서적 Health, Stress, and Coping https://archive.org/[...] Jossey-Bass Publishers
[116] 학술지 Emotional processing 1980-01-01
[117] 서적 The Loss of Sadness Oxford
[118] 학술지 DSM-III and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n psychiatry: a history 1993-03-00
[119] 서적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http://archive.org/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80
[120] 웹사이트 AAPCSW History {{!}} American Association for Psychoanalysis in Clinical Social Work https://www.aapcsw.o[...] 2023-06-29
[121] 서적 The Birth of Neurosis: Myth, Malady, and the Victorians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1984
[122] 서적 General principles and empirically supported techniques of cognitive behavior therapy https://psycnet.apa.[...] John Wiley & Sons, Inc. 2009
[123] 학술지 A Clinician's Guide to PTSD Treatments for Returning Veterans 2011-02-00
[124] 웹사이트 Stress Inoculation Training https://www.ptsd.va.[...]
[125] 서적 Bergin and Garfield's Handbook of Psychotherapy and Behavioral Change Wiley
[126] 학술지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as a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for healthy individuals: a systematic review 2014-10-00
[127] 보도자료 Tetris used to prevent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https://www.psych.ox[...] NIHR Oxford Health Biomedical Research Centre 2017-04-03
[128] 학술지 Psychosoci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s. 1987-07-00
[129] 서적 StatPearls StatPearls Publishing 2021-03-14
[130] 학술지 Pharmacological prevention and early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acute stress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9-12-00
[131] 웹사이트 Arbetsmiljöns betydelse för symtom på depression och utmattningssyndrom https://www.sbu.se/s[...] 2022-07-15
[132] 웹사이트 A Bio-Social Theory of Neurosis http://webspace.ship[...] 2009-04-21
[133] 서적 Memories, Dreams and Reflections Vintage Books 1989
[134] 서적 Man and his symbols Doubleday 1964
[135] 서적 Neurosis and Human Growth: The Struggle Toward Self-Realization W.W. Norton & Company, Inc. 1991
[136] 학술지 The Natural History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Review http://www.medscape.[...] 1997
[137] 서적 フロイト著作集6 人文書院 1970
[138] 서적 うつ病医療の危機 日本評論社 2014
[139] 학술지 The Natural History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Review http://www.medscape.[...] 1997
[140] 서적 心の臨床家のための必携精神医学ハンドブック 創元社 1998
[141] 서적 Neurosis and Human Growth: The Struggle Toward Self-Realization W.W. Norton & Company, Inc 1950
[142] 서적 Neurosis and Human Growth: The Struggle Toward Self-Realization W.W. Norton & Company, Inc 1950
[143] 서적 Neurosis and Human Growth: The Struggle Toward Self-Realization W.W. Norton & Company, Inc 195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