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성환은 일제강점기 경성부 출생으로, 대한민국 공군의 창설에 기여한 군인이다. 그는 와세다대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공군에 입대하여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공군참모총장을 역임하며 제30방공관제단을 창설하는 등 전력 증강에 기여했다. 군 퇴임 후에는 주 태국 대사, 대한항공 사장, 교통부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2015년 9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방연구원 동문 - 김신 (군인)
독립운동가 김구의 아들인 김신은 대한민국 공군 창설 멤버로 공군 참모총장을 역임하며 공군력 강화에 기여했고, 주 중화민국 대사, 교통부 장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김구의 사상과 업적을 기리는 데 힘썼다. - 국방연구원 동문 - 김웅수
김웅수는 일제강점기 출생, 6.25 전쟁 참전, 5·16 군사 정변 반대 투옥, 미국 유학 후 정치학 전공, 유신 체제 반대 시위 참여, 가톨릭대학교 교수 재직, 한미장학재단 기여, 건양대학교 교수 활동 등의 생애를 살았으며 2006년 사망 후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고 회고록이 출간되었다. - 대한민국의 공군무관 - 장지량 (1924년)
장지량은 일제강점기 일본 육군사관학교와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공군 창설에 기여했으며, 공군참모총장, 외교관, 대한중석광업 사장,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1997년 대한민국 성우회 회장을 지내다 2015년에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공군무관 - 김두만 (1927년)
김두만은 대한민국의 군인, 기업인, 정치인으로 공군참모총장을 역임하고 대장으로 예편 후 기업 회장 및 사장, 정당 특임위원 및 고문 등을 지냈다. - 태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천병규
천병규는 일제강점기부터 대한민국에 이르기까지 금융인, 관료, 정치인, 외교관으로 활동했으며, 한국은행 부총재, 재무부 장관 등을 역임하고 6.10 통화 개혁을 주도하며 제10대 국회의원을 지내다 사망했다. - 태국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유재흥
유재흥은 일제강점기 일본군 장교로 복무 후 한국 전쟁에서 대한민국 국군 장성으로 활동하며 여러 전투를 지휘했으나, 잇따른 패전과 논란으로 비판받았고, 전쟁 후 국방부 장관 및 외교관직을 역임했으며 친일 및 친미 논란, 전시 작전통제권 문제에 대한 견해가 논쟁 대상이다.
장성환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장성환 |
한자 표기 | 張盛煥 |
로마자 표기 | Jang Seong-hwan |
출생일 | 1920년 10월 27일 |
사망일 | 2015년 1월 4일 |
출생지 | 경기도 경성부 |
소속 | 대일본제국 육군 대한민국 공군 |
최종 계급 | 중위 (일본 육군) 중장 (한국 공군) |
군 경력 | |
기타 |
2. 생애
1920년 10월에 서울에서 태어나, 1941년 와세다대학교 상학부를 졸업했다.
1964년 예비역으로 편입한 뒤 주 태국 대한민국 대사를 지냈다. 1967년 대한항공 사장이 되었고, 1968년 1월 대한항공협회 회장이 되어 제63회 국제항공연맹 총회에 대한민국 대표단을 최초로 파견하고, 뉴델리 대한민국 모형항공협회 산하 단체의 가입을 승인했다.[3] 1970년 국제관광공사 총재, 1971년 1월 교통부 장관을 역임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용산구-마포구 선거구에 민주공화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중선거구제임에도 신민당 복수공천을 받은 김원만, 노승환에 밀려 낙선하였다.
2. 1. 군 경력
1942년 일본 기후육군비행학교, 하마마쓰육군비행학교를 졸업하고 대한민국 국군 건군기에 육군에 입대하여 육군 항공대에서 근무하다가 공군이 창설되자 공군으로 전군했다.1948년 4월 대한민국 국군에 입대하여, 6월 15일 항공기지사령부에서 근무를 시작했다. 같은 해 9월 항공기지사령부 비행부대 소대장이 되었다. 1949년 9월 31일 비행단 비행대 제2중대장이 되었다.
1950년 11월, 대한민국 공군이 미 제5공군으로부터 수송기를 인수하게 되자 국군 최초로 공수 임무를 담당했다. 한국 전쟁 당시 노스아메리칸 P-51 머스탱을 조종한 최초의 한국 조종사였다.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F-51D 조종 요원으로 이타즈케에 파견되었으며, 같은 해 11월 공중수송반장이 되어 대한민국 공군 최초의 공수 임무를 수행했다.
1952년 7월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무관이 되었다.
1954년 9월 10일 제1훈련비행단장이 되었다.
1955년 10월 15일 제5혼성비행단장이 되었다.
1957년 2월 11일 공군본부 작전참모부장이 되었다.
1958년 6월 1일 공군대학교 총장이 되었다. 같은 해 9월 1일 공군본부 행정참모부장이 되었다.
1959년 군사휴전위원회 대표, 소장으로 임명되었다.
1960년 8월 2일 공군참모차장이 되었다.
1962년 8월 1일 공군참모총장(중장)으로 임명되었다. 재임 중 제30방공관제단(현 공군방공관제사령부)을 창설하는 등 전력 증강에 기여했다.
1964년 8월 1일 예비역 편입 후 주 태국 대한민국 대사가 되었다.

2. 2. 군 퇴임 후 활동
군에서 은퇴한 후 장성환은 주 태국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했다.[1] 1967년에는 대한항공 사장이 되었고, 1968년 1월에는 대한항공협회 회장이 되어 제63회 국제항공연맹 총회에 대한민국 대표단을 최초로 파견하고, 뉴델리 대한민국 모형항공협회 산하 단체의 가입을 승인했다.[3] 이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사장(1970년), 교통부 장관(1971년 1월)을 역임했다.2. 3. 사망
장성환은 2015년 1월 자연사로 사망하였다. 향년 94세였다.[1]3. 학력
연도 | 학교 및 학위 |
---|---|
1941년 | 기후 육군비행학교 졸업[1] |
1942년 | 육군항공통신학교 졸업[1] |
1943년 | 하마마쓰 육군비행학교 졸업[1] |
1947년 | 조선경비사관학교 3기[1] |
1948년 | 조선경비보병학교 수료[1] |
1949년 | 육군참모학교 수료[1] |
1950년 | 공군사관학교 2기[1] |
1951년 | 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수료[1] |
1952년 | 미국 버지니아 종합군사학원 졸업[1] |
1953년 | 미국 미주리 종합군사학원 졸업[1] |
1957년 | 공군방공포병학교 1기 졸업[1] |
1960년 | 국방연구원 행정학 석사[1] |
1970년 | 일본 와세다 대학교 대학원 산업공학과 공학석사[1] |
4. 경력
장성환은 1948년 4월 대한민국 국군에 입대하여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고, 이후 대한민국 공군의 주요 직책을 역임하였다. 군에서 예편한 후에는 외교관, 기업인, 정부 기관의 장 등을 역임하였다. 1952년 주 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무관, 1954년 제1훈련비행단장, 1955년 제5혼성비행단장, 1957년 공군본부 작전참모부장, 1958년 공군대학교 총장 및 공군본부 행정참모부장, 1959년 군사휴전위원회 대표, 1960년 공군참모차장을 거쳐 1962년 공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 1964년 예비역 편입 후 주 태국 대한민국 대사, 1967년 대한항공 사장, 1968년 대한항공협회 회장, 1970년 국제관광공사 총재, 1971년 교통부 장관을 역임했다.
4. 1. 군 경력
장성환은 한국 전쟁 당시 노스아메리칸 P-51 머스탱을 조종한 최초의 한국 조종사였다.1948년 4월 대한민국 국군에 입대했다. 같은 해 6월 15일 항공기지사령부에서 근무를 시작했고, 같은 해 9월 항공기지사령부 비행부대 소대장이 되었다. 1949년 9월 31일 비행단 비행대 제2중대장이 되었다.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F-51D 조종 요원으로 이타즈케에 파견되었다. 같은 해 11월 공중수송반장이 되었고, 대한민국 공군 최초의 공수 임무를 수행했다.
직책 | 기간 |
---|---|
주미대사관 공군무관 | 1952년 |
제1훈련비행단장 | 1954년 9월 10일 |
제5혼성비행단장 | 1955년 10월 15일 |
공군본부 작전참모부장 | 1957년 2월 11일 |
공군대학교 총장 | 1958년 6월 1일 |
공군본부 행정참모부장 | 1958년 9월 1일 |
군사휴전위원회 대표, 소장 | 1959년 |
공군참모차장 | 1960년 8월 2일 |
제7대 공군참모총장(중장) | 1962년 8월 1일 ~ 1964년 8월 1일 |
1962년 8월 1일 제7대 공군참모총장(중장)으로 임명되었다. 재임 중 제30방공관제단(현 방공관제사령부)을 창설하는 등 전력 증강에 기여했다. 1964년 8월 1일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
4. 2. 사회 경력
군에서 은퇴한 후 주 태국 대한민국 대사를 역임하였다.[1] 1967년 대한항공 사장이 되었다. 1971년 교통부 장관을 역임하였고, 이후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사장을 역임했다.[1]연도 | 직책 |
---|---|
1964년 | 주 태국 대한민국 대사 |
1967년 | 대한항공 사장 |
1968년 | 대한항공협회 회장 |
1970년 | 국제관광공사 총재 |
1971년 | 교통부 장관 |
1976년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사장 |
1985년 | 국민대학교 행정학과 겸임교수 |
1968년 1월 대한항공협회 회장으로서 제63회 국제항공연맹 총회에 대한민국 대표단을 최초로 파견하고, 뉴델리 대한민국 모형항공협회 산하 단체의 가입을 승인했다.[3]
5. 수상
연도 | 훈장 및 표창 |
---|---|
1952년 | 미국 공로훈장 |
1956년 | 무성 을지무공훈장, 무성 충무무공훈장, 무성 화랑무공훈장 |
1962년 | 미국 공로훈장, 중화민국 운휘훈장 |
1963년 | 1등 근무공로훈장 |
1964년 | 미국 공로훈장, 중화민국 대수운휘훈장[4], 대통령 공로표창 |
참조
[1]
뉴스
Former Air Force chief of staff dies at 94
https://www.koreatim[...]
2015-01-05
[2]
웹사이트
인동 장씨(제자 초정 권창윤)
https://www.joongang[...]
2022-08-17
[3]
웹사이트
歴史
http://www.fkaero.or[...]
大韓民国航空会
2018-01-27
[4]
뉴스
劉馭萬大使代表政府贈勳張盛煥中將
https://photo.cna.co[...]
2015-12-22
[5]
뉴스
공군의 최초 전투기 F-51 인수.출격 재연식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1-1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