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스카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안스카이는 청나라 말기와 중화민국 초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으로, 청나라의 신군을 창설하고 훈련하여 군사력을 강화했다. 그는 조선에서 청나라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청일 전쟁 직전 톈진으로 소환되었으며, 청일 전쟁 이후 신건육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군사적 기반을 다졌다. 신해혁명 이후 중화민국 임시 대총통에 취임했으나, 국민당을 탄압하고 독재를 강화했으며 황제 즉위를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사망했다. 그는 근대화 정책을 추진했으나 권력욕으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현재에도 논란의 대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안스카이 - 계축의 역
계축의 역은 신해혁명 후 위안스카이가 독재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사건들로, 그의 독재 시도에 쑨원 등 혁명 세력의 저항, 쑹자오런 암살 사건, 제2차 혁명 실패, 위안스카이의 황제 즉위 시도 등이 있으며 중국의 혼란을 야기하여 대한민국의 독립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 청나라의 내각총리대신 - 이쾅
이쾅은 청나라 말기 황족이자 관료로서 경친왕 작위를 받았으며, 총리아문 대신, 군기대신, 외무부 총리부사 등을 역임하며 외교와 정치의 중심인물로 활동했고, 베이징 의정서 체결에 관여하고 내각총리대신을 지냈으나, 관직 매매와 부정부패로 비판받았다. - 20세기 중국의 군주 - 광서제
광서제는 도광제의 손자이자 순친왕 혁현의 아들로, 1875년 청나라의 황제가 되었으며, 서태후의 섭정 아래 무술변법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유폐된 채 사망했다. - 20세기 중국의 군주 - 푸이
청나라 마지막 황제였다가 신해혁명으로 퇴위, 만주국 황제를 거쳐 소련군 포로가 되었고,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수감 생활 후 석방되어 평범한 시민으로 생을 마감한 푸이의 삶은 격동의 시대를 반영한다.
| 위안스카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위안스카이 |
| 원어 이름 | 袁世凱 |
| 한어 병음 | Yuán Shìkǎi |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Yüan² Shih⁴-k'ai³ |
| 민난어 | Uân Sì-khái |
| 광둥어 | jyun4 sai3 hoi2 |
| 객가어 | Yùhn Sai-hói |
| 월어 병음 | jyun4 sai3 hoi2 |
| 자(字) | 위팅 |
| 호(號) | 룽안 |
| 로마자 표기 | Yuan Shyhkae |
| 출생일 | 1859년 9월 16일 |
| 출생지 | 청나라 허난성 샹청 시 |
| 사망일 | 1916년 6월 6일 |
| 사망지 | 중화민국 베이징 |
| 서명 | Yuan Shikai Sign.svg |
| 황제 정보 | |
| 칭호 | 중화제국 황제 |
| 재위 기간 | 1915년 12월 12일 ~ 1916년 3월 22일 (즉위식은 거행되지 않음) |
| 연호 | 홍헌 |
| 수도 | 베이징 |
| 선임자 | 자신 (대총통) |
| 후임자 | 자신 (대총통) |
| 중화민국 대총통 정보 | |
| 직함 | 중화민국 대총통 |
| 임기 시작 | 1912년 3월 10일 |
| 임기 종료 | 1915년 12월 12일 |
| 선임자 | 쑨원 |
| 후임자 | 자신 (황제) |
| 부통령 | 리위안훙 |
| 총리 | 탕사오이 루정샹 자오빙준 돤치루이 (대리) 슝시링 쑨바오치 (대리) 쉬스창 |
| 임기 시작 | 1916년 3월 22일 |
| 임기 종료 | 1916년 6월 6일 |
| 선임자 | 자신 (황제) |
| 후임자 | 리위안훙 |
| 총리 | 쉬스창 돤치루이 |
| 청나라 내각총리대신 정보 | |
| 직함 | 내각총리대신 |
| 재위 기간 | 1911년 11월 2일 ~ 1912년 3월 10일 |
| 군주 | 선통제 |
| 선임자 | 이쾅 |
| 후임자 | 장쉰 (1917년) |
| 청나라 관직 정보 | |
| 관직 | 군기대신 |
| 군주 | 광서제 선통제 |
| 재위 기간 | 1907년 9월 4일 ~ 1909년 1월 2일 |
| 관직 | 외무부상서 |
| 군주 | 광서제 선통제 |
| 재위 기간 | 1907년 9월 4일 ~ 1909년 1월 2일 |
| 선임자 | 루하이환 |
| 후임자 | 량둔옌 |
| 관직 | 직례총독 겸 북양대신 |
| 군주 | 광서제 |
| 재위 기간 | 1901년 11월 7일 ~ 1907년 9월 4일 |
| 선임자 | 리훙장 |
| 후임자 | 양스샹 |
| 관직 | 산둥 순무 |
| 군주 | 광서제 |
| 재위 기간 | 1899년 12월 6일 ~ 1901년 11월 7일 |
| 선임자 | 위셴 |
| 후임자 | 장런쥔 |
| 정치 및 군사 정보 | |
| 정당 | 북양군벌 공화당 (중화민국) |
| 직업 | 군인, 정치인 |
| 소속 군대 | 북양군 |
| 계급 | 대원수 |
| 참전 전투 | 임오군란 갑신정변 청일전쟁 의화단 운동 신해혁명 제2혁명 백랑의 난 호국전쟁 |
| 복무 기간 | 1881년 ~ 1916년 |
| 충성 | 청나라 (1881년–1912년) 중화민국 (1912년–1915년, 1916년) 중화제국 (1915년–1916년) |
| 훈장 정보 | |
| 훈장 | 욱일동화대수장 적수리 훈장 |
| 가족 정보 | |
| 배우자 | 위씨 (정실) 심씨 (첩) 이씨 (첩) 김씨 (첩) 오씨 (첩) 양씨 (첩) 엽씨 (첩) 장씨 (첩) 곽씨 (첩) 유씨 (첩) |
| 자녀 | 위안커딩 위안커원 아들 15명 딸 15명 |
2. 청나라 말기 활동
1859년 9월 16일, 청나라 하남성 양성현 장영촌(張營村)의 유복한 원씨 가문에서 태어났다.[1] 원씨 가문은 관료와 군인을 많이 배출한 명문가였으며, 위안스카이는 전통적인 유교 교육을 받으며 자랐다.[2] 젊은 시절 그는 친구들과 어울려 승마, 사냥, 무술 등을 즐겼다.
위안스카이는 관료가 되기를 희망하여 과거제에 두 차례 응시했으나 모두 낙방했다. 과거 시험을 포기한 그는 군인이 되어 정계에 입문하기로 결심했다. 당시 청나라 말기에는 친척들이 많이 복무하고 있던 회군(淮軍)을 통해 정계에 진출하는 것이 흔했으며, 그는 하급 관리 직책을 매수하여 경력을 시작했다.[3] 아버지의 인맥을 통해 산동성 등주로 가서 청나라 군대에서 직위를 얻었다. 1876년 유씨 여성과 첫 결혼을 했고, 1878년 첫 아들 위안커딩(袁克定)을 낳았다. 그는 평생 9명의 후궁을 더 두었다.[4]
1881년(광서제 7년)에는 리홍장의 회군에 들어가 조선으로 파견되었다. 조선에서 임오군란(1882)과 갑신정변(1884) 진압에 기여하며 청나라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데 역할을 수행했고, 이를 통해 조선 내에서 강력한 실권을 행사하게 되었다.
1894년 발발한 청일전쟁에서 청나라가 패배하자, 위안스카이는 근대화된 군대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전쟁 직후인 1895년 10월, 그는 정무군을 인수하여 서양식 훈련과 엄격한 군기를 도입한 신건육군 창설을 주도했다. 이 신건육군은 그의 핵심적인 정치적, 군사적 기반이 되었으며, 훗날 북양군벌의 중추 세력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 시기 단기서, 펑궈장, 왕스전 등 유능한 인재들이 그의 휘하로 들어와 그를 지지했다.
2. 1. 조선에서의 활동과 청일전쟁
1870년대 초, 조선은 흥선대원군이 이끄는 쇄국 세력과 명성황후 및 개화파 사이의 갈등을 겪고 있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적극적인 대외 정책을 펼치던 일본은 1876년 강화도 조약을 통해 조선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 시도하며 청나라와 대립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직례총독 리홍장은 조선에 군대를 파견했고, 1881년(광서제 7년) 위안스카이는 리홍장의 회군에 들어가 조선으로 파견되었다.위안스카이는 조선에서 발생한 임오군란(1882)과 갑신정변(1884) 당시 명성황후의 요청에 따라 이를 진압하는 데 기여하며 청나라의 입지를 강화했다. 이 공로로 1885년 그는 한성에 주재하는 청나라의 황실 거주 대표(Imperial Resident)로 임명되었다.[5] 이 직위는 명목상 대사와 비슷했지만, 실제로는 종주국의 최고 관리로서 조선 정부의 모든 정책 결정에 깊숙이 관여하는 최고 고문 역할을 수행했다. 이로 인해 조선 국왕조차 그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고, 청나라 내에서 평범한 무관이었던 위안스카이의 권세는 막강해졌다.
그러나 위안스카이의 강력한 영향력 아래 한성부의 사회 기반 시설과 치안 상태는 매우 열악했다.[41] 그의 통치 방식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청나라 조정은 외교 고문으로 마건상과 묄렌도르프를 파견했다. 이 시기 조선의 정치, 외교, 경제는 청나라에 의해 완전히 장악되어 사실상 식민지와 다름없는 상태가 되었다.[41] 위안스카이는 조선 내에서 청나라의 영향력을 정치·경제적으로 확대하고 경쟁 관계인 일본 세력을 배척하는 데 주력했으며, 특히 경제적인 측면에서는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었다.
한편, 조선에 대한 청나라의 영향력 강화에 불만을 품은 일본은 청나라와의 공동 종주권을 주장하며 조선 내 영향력 확대를 꾀했다. 심지어 조선 정부가 청나라 대신 러시아 제국의 보호를 받으려 한다는 내용의 위조 문서가 위안스카이에게 전달되기도 했는데, 그는 이에 분노하면서도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며 리홍장에게 조언을 구했다.
1894년, 계속되는 가난과 압제에 시달리던 조선 민중들이 동학 농민 운동을 일으켰다. 조선 정부는 이를 진압하기 위해 청나라에 군대 파병을 요청했고, 일본 역시 자국민 보호를 명분으로 군대를 파병했다. 일본이 군대 철수를 거부하고 북위 38도선 부근에서 해상 봉쇄를 시도하는 등 도발적인 행동을 감행하자 청나라와 일본 간의 긴장은 극도로 고조되었다. 리홍장은 전쟁을 피하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으나, 일본의 강경한 태도로 인해 결국 청일전쟁이 발발했다. 전쟁 발발 직전인 1894년 7월 19일, 위안스카이는 평민 복장으로 위장하여 한성부를 급히 빠져나와 7월 22일 톈진으로 소환되었다.[49]
청일전쟁은 청나라의 참패로 끝났고, 이 패배의 책임을 지고 리홍장은 실각했다. 위안스카이는 전쟁의 패배를 통해 구식 군대의 한계를 절감하고 근대화된 군대 육성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꼈다. 당시 청나라 군대는 군비 횡령과 병사들의 기강 해이 문제가 심각했다. 전쟁 직후인 1895년 10월, 위안스카이는 정무군을 인수하여 근대 무기를 갖추고 엄격한 규율을 적용하는 서양식 군대 훈련을 시작했다. 이렇게 창설된 군대를 신건육군이라 불렀으며, 이는 당시 서구 열강과 일본으로부터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위안스카이는 일본인 군사 고문 아오키 노리즈미의 도움을 받아 신건육군을 육성했으며, 그를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일본인"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이 신건육군은 이후 위안스카이의 핵심적인 정치적, 군사적 기반이 되었고, 훗날 북양군벌의 중추 세력으로 성장하게 된다. 단기서, 봉국장, 왕사진 등 북양군벌의 주요 인물들도 이 시기에 위안스카이 휘하로 들어왔다.
조선에 머무는 동안 위안스카이는 3명의 조선인 후궁을 두었는데, 그중 김씨 성을 가진 후궁은 조선 왕족과 관련이 있는 인물이었다. 위안스카이의 자녀 15명은 이들 조선인 후궁에게서 태어났다.[6][7][8]
2. 2. 신군 창설과 군사력 강화
청일 전쟁 패배 이후 청나라 정부는 구식 군대의 한계를 절감하고 군대 현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10] 이러한 배경 속에서 리훙장의 지원을 받은 위안스카이는 1895년 10월, 후이펑으로부터 정무군을 인수받아 현대식 군대인 신건육군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9]위안스카이는 신건육군에 서구식 훈련 방식과 엄격한 군기를 도입하여 군대를 현대화하는 데 주력했다. 그의 지휘 아래 신건육군은 양무운동 시기 창설된 여러 신식 군대 중에서도 가장 훈련도가 높고 전투력이 뛰어난 부대로 평가받았으며,[11] 이는 당시 청나라를 방문했던 외국 관찰자들에게도 깊은 인상을 주었다. 특히 위안스카이의 요청으로 일본 공사관 소속 무관이었던 아오키 노리즈미가 군사 고문으로 참여하여 신건육군의 편제와 훈련에 기여하기도 했다. 이러한 체계적인 훈련과 규율 확립은 군대의 사기를 높이고, 단기서, 봉국장, 왕사진(훗날 북양삼걸로 불림) 등 유능한 장교들의 충성심을 확보하는 기반이 되었다.[10] 1901년까지 중국 7개 사단 중 5개 사단의 사령관을 포함한 대부분의 고위 장교들이 그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10]


이 강력한 군사력은 위안스카이가 중앙 정치 무대에서 영향력을 키우는 핵심적인 기반이 되었다. 1899년 산둥성 순무로 부임한 그는 의화단 운동(1899-1901)이 발발하자 자신의 관할 지역 내에서 의화단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압하며 신건육군의 강력함을 증명했다. 그는 리훙장, 장지동, 유곤일 등 다른 유력 총독들과 연대하여 열강과 동남호보(東南互保) 조약을 맺고, 의화단과 연합하여 서구 열강과 싸우라는 서태후 중심의 조정의 명령을 공공연히 거부했다.[12] 이를 통해 자신의 군사력과 지지 기반을 온전히 보존했으며, 의화단 운동 진압 이후 그의 정치적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더욱 강화되었다. 그는 또한 팔국 연합군이 베이징을 점령한 후 연합군의 의화단 잔당 소탕 작전을 지원하기도 했다.[13]
1901년 리훙장이 사망하자 위안스카이는 그의 뒤를 이어 직례총독 겸 북양통상대신(北洋通商大臣)의 직책을 계승하면서,[15] 신건육군을 기반으로 북양군을 공식적으로 창설했다. 북양대신은 현재의 허베이성, 랴오닝성, 산둥성 지역을 관할하는 막강한 자리였기에 그의 정치적 입지는 더욱 공고해졌다. 그는 외국 열강과의 관계를 활용하여 군비 확장을 위한 차관을 여러 차례 성공적으로 도입했고, 이를 통해 북양군을 약 7만 명 규모의 정예 군대로 확장시켜 청나라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 집단으로 만들었다.[17] 또한, 톈진에서는 신축조약에 따라 청나라 군대의 주둔이 금지되자, 1,000명에서 2,000명 규모의 경찰 조직을 창설하여 치안 유지 및 실질적인 통제력을 확보했으며,[15] 성선회로부터 철도 관리권을 넘겨받아 재정 기반을 확충하는 등 군사력 외적인 권력 기반 강화에도 힘썼다. 그는 교육부(學部)와 경찰부(巡警部) 창설 등 청나라 말기의 정치 개혁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자신의 영향력을 다방면으로 확대해 나갔다.[16]
이렇게 구축된 북양군의 강력한 군사력과 그에 대한 충성심은 위안스카이의 가장 중요한 정치적 자산으로 남았다. 1909년 그가 모든 관직에서 해임되어 안양의 환상촌(洹上村)으로 낙향했을 때에도 북양군 지휘관들은 여전히 그와의 관계를 유지했으며, 이는 훗날 그가 신해혁명 국면에서 다시 권력의 중심으로 복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3. 중화민국 건국과 대총통 취임
wikitext
1911년 10월 10일, 후베이성 우창 봉기로 신해혁명이 발발하자 남부 여러 성들은 청나라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북부 성들과 북양군은 관망하는 태도를 보였다. 당시 청나라 조정과 위안스카이 모두 북양군이 혁명 세력을 진압할 수 있는 유일한 군사력임을 인지하고 있었다. 실각 상태였던 위안스카이는 조정의 거듭된 복귀 요청을 "발병"을 핑계로 거절하며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 했다.[18] 결국 그는 1911년 11월 1일 내각총리대신에 취임하여 정권을 장악했다. 그는 즉시 섭정왕 재풍(載灃)을 정계에서 축출하고 한족 중심의 내각을 구성했으며, 만주족 인사는 단 한 명만 포함시켰다. 그의 영향력이 커지자 효정경황후(융륭 황태후)는 그에게 증국번만이 받았던 영예인 일등후(一等侯) 작위를 수여했다.
위안스카이는 군대를 동원하여 양하 전투에서 혁명군으로부터 한커우와 한양구를 탈환했지만, 혁명 세력을 완전히 진압하지는 않았다. 그는 혁명 세력을 완전히 제압하면 자신의 정치적 입지가 약화될 것을 계산하여 우창 공격을 멈추고 혁명파와 협상을 시작했다.
한편, 혁명파는 1911년 12월 29일 쑨원을 중화민국 초대 임시 대총통으로 선출했으나, 군사적으로는 열세였다. 결국 혁명파는 위안스카이와의 협상을 통해 그의 대총통직을 보장하는 조건으로 청나라 황제 선통제의 퇴위를 받아냈다.[5] 1912년 2월 12일, 효정경황후는 선통제 퇴위 조서를 반포했고, 이로써 청나라는 멸망했다. 푸이는 훗날 자서전에서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룡유 황태후는 궁궐의 한 곁방에서 난방용 침상(캉)에 앉아 손수건으로 눈물을 닦고 있었고, 뚱뚱한 노인(위안스카이)은 붉은 방석 위에 무릎을 꿇고 앉아 얼굴에 눈물을 흘리고 있었다. 나는 황태후의 오른쪽에 앉아 두 어른이 왜 울고 있는지 궁금해했다. 방에는 우리 세 사람 외에는 아무도 없었고, 모든 것이 매우 조용했다. 뚱뚱한 남자는 말하면서 코를 골았고, 나는 그가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이때 위안스카이가 직접 퇴위 문제를 제기했다.[19]
쑨원은 내부 논의 끝에 위안스카이의 대총통직 계승을 수락했지만, 수도를 난징에 둘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위안스카이는 자신의 군사적 기반이 있는 북방에 수도를 두기를 원했다. 그의 부하인 조곤이 베이징과 톈진에서 쿠데타를 일으켰는데, 이는 위안스카이가 수도를 옮기지 않을 명분을 만들기 위해 조작된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었다.[20] 결국 혁명파는 다시 양보하여 베이징을 새로운 공화국의 수도로 정했다. 1912년 2월 14일, 위안스카이는 난징 임시 참의원에서 중화민국 임시 대총통으로 선출되었고, 3월 10일 베이징에서 공식 취임했다.[21][22]
3. 1. 국민당 탄압과 독재 강화
1913년 2월, 중화민국 국민회의 선거에서 국민당(KMT)이 압승을 거두었다. 국민당의 실질적인 지도자였던 송교인은 의원내각제를 강력히 주장하며 총리 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되었고, 이는 대총통의 권한 강화를 추구하던 위안스카이의 이해와 정면으로 충돌했다. 송교인은 위안스카이의 야심을 공개적으로 비판하며 대립각을 세웠다.1913년 3월 20일, 송교인은 상하이에서 의문의 괴한에게 총격을 받고 이틀 뒤 사망했다. 암살의 배후로 위안스카이 정부의 내각 서기와 임시 총리 등이 지목되었으며, 당시 중국 언론은 위안스카이를 유력한 배후로 의심했다. 그러나 주요 용의자들이 암살되거나 실종되면서 증거 불충분으로 위안스카이의 직접적인 연루는 밝혀지지 않았다.[23]
송교인 암살 이후 위안스카이와 국민당의 갈등은 극으로 치달았다. 상황이 악화되자 쑨원은 1913년 8월 일본으로 망명하여 위안스카이에 대항하는 계축의 역(제2차 혁명)을 촉구했다.[25] 위안스카이는 군사력을 동원하여 국민당의 저항을 무력으로 진압했다. 그는 국가와 임시 의회를 해산하고, 상원과 하원을 자신이 통제하는 국가평의회(Council of State)로 대체했다. 또한 자신의 충실한 부하이자 북양군벌의 핵심 인물인 돤치루이를 총리로 임명했다.
위안스카이는 국민당을 반역 조직으로 규정하고 해산 명령을 내렸으며, 국회에서 국민당 소속 의원들을 모두 축출했다.[26][27] 국민당에 충성하던 지방의 총독들은 위안스카이에게 복종하거나 제거되었다. 제2차 혁명은 결국 실패로 끝났고, 이는 위안스카이의 권력을 더욱 공고하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왔다.[26][27]
1914년 1월, 중국 의회는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같은 해 5월, 위안스카이는 대총통의 권한을 대폭 강화한 '중화민국약법'(민국 3년 약법)을 공포하여 기존의 임시 헌법을 대체했다.[28] 이 새로운 약법은 대총통인 위안스카이에게 군사, 재정, 외교, 시민권 등 국정 전반에 걸쳐 거의 무제한적인 권한을 부여했다. 위안스카이는 정치적 분열과 혼란 속에서 대의 민주주의가 비효율적이라는 명분을 내세워 자신의 독재 강화를 정당화했다.[28]
권력 장악 후 위안스카이는 지방 정부를 재편성하여 각 성(省)에 자신의 군대를 통제하는 군사 총독(도독, 都督)을 두었다. 이는 문민 통치를 약화시키고 군사력을 중심으로 한 통치 체제를 구축한 것으로, 이후 수십 년간 중국을 혼란에 빠뜨린 군벌 시대의 토대를 마련한 조치로 평가받는다.
4. 황제 즉위 시도와 실패
국민당과의 갈등 속에서 권력을 장악한 위안스카이는 1913년부터 국민당 탄압을 본격화하며 의회에서 국민당 세력을 축출하고, 중앙 및 지방 의회를 해산한 뒤 자신의 측근들로 구성된 국가평의회를 설치하는 등 권력 기반을 다졌다.[24] 쑨원 등 반대파는 일본으로 망명하여 제2차 혁명(계축의 역)을 시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고[25], 위안스카이는 군사력을 바탕으로 권력을 더욱 공고히 했다.[26][27] 그는 1914년 5월, 자신에게 거의 무제한적인 권한을 부여하는 새로운 '헌법 조약'을 공포하며 사실상의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28]
권력 기반이 안정되자 위안스카이의 측근들은 군주제 부활을 부추기기 시작했다. 특히 군주주의자 양두는 중국 대중이 오랫동안 군주 통치에 익숙했고, 공화정은 과도기적 단계였을 뿐이며, 오직 군주제만이 중국에 필요한 안정을 가져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정치학자 프랭크 존슨 구드나우(Frank Johnson Goodnow) 역시 비슷한 견해를 보였으며, 1915년 일본이 제시한 21개조 요구에 대한 협상 과정에서 일본 측이 위안스카이의 황제 즉위를 지지할 수 있음을 암시하기도 했다.[31] 위안스카이 자신도 청나라 황제가 천단에서 지내던 국가 제례 의식을 부활시켜 직접 거행하는 등 군주제 복귀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위안스카이는 1915년 11월 20일, 특별히 소집된 '대표회의'를 통해 만장일치로 황제 추대를 결정하게 만들었다. 형식적인 추대 절차를 거친 위안스카이는 12월 12일, 마침내 황제 즉위를 수락하고 국호를 '''중화제국'''(中華帝國|중화제국중국어), 연호를 '''홍헌(洪憲)'''으로 정하여 1916년 1월 1일부터 황제로서 통치할 것을 선포하였다.[3][21]
위안스카이와 그의 지지자들은 국내외에서 광범위한 지지를 받을 것으로 예상했으나[32], 현실은 정반대였다. 그의 황제 즉위 선포는 즉각적인 반발에 부딪혔고, 전국적으로 반대 여론이 거세게 일어났다. 1915년 12월 25일에는 윈난성의 군사 총독 차이에가 반란을 일으켜 호국전쟁의 시작을 알렸으며, 이는 위안스카이 정권의 몰락을 재촉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예상과 달리 일본을 포함한 열강들도 등을 돌리며 지지를 철회했고[33], 위안스카이는 급속도로 정치적 고립 상태에 빠지게 되었다.
4. 1. 몰락과 죽음
1915년, 위안스카이는 측근인 양도(楊度) 등에게 황제 즉위 운동을 지시하여 제정 부활을 시도했다.[42] 1916년부터 연호를 홍헌(洪憲)으로 정하고, 국호를 “'''중화제국'''”으로 개칭했다. 이러한 행동은 위안스카이 개인의 야심을 실현하려는 측면도 있었지만[42], 분열된 중국을 통합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입헌군주제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비롯되었다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결과는 예상과 달랐다. 베이징에서는 학생들이 비판 시위를 벌였고, 지방의 군벌들은 이를 구실 삼아 잇달아 반기를 들었다. 1915년 12월 25일, 운남의 군사 총독 채억이 반란을 일으켜 국민보호전쟁을 시작했으며, 귀주 총독은 1916년 1월에, 광서는 3월에 독립을 선포했다. 위안스카이의 기반인 북양군벌의 여러 장수들까지 공공연히 반발하며 그를 비난했다. 처음에는 관망하던 일본 정부도 즉위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음을 파악하고 강하게 비난하기 시작했다.
광범위한 반대에 직면하자 위안스카이는 반대 세력을 달래기 위해 즉위식을 여러 차례 연기했지만, 그의 권위는 회복 불가능할 정도로 손상되었고 각 성에서는 계속 반발이 이어졌다. 1916년 3월 1일에는 즉위식 자금이 삭감되었고, 결국 홍헌 원년(1916년) 3월 22일, 황제 자리에 오른 지 83일 만에 제정을 폐지하고 공화정을 복원했다. 이는 주로 반란의 확산과 요독증으로 인한 건강 악화 때문이었다.



하지만 제정 취소는 반대 세력에게 충분하지 않았고, 그들은 위안스카이의 대통령직 사퇴를 요구하며 더 많은 성들이 반란을 일으켰다. 결국 위안스카이는 1916년 6월 6일 오전 10시에 56세의 나이로 요독증으로 사망했다.[21][33]
위안스카이의 유해는 허난성 안양시의 고향으로 옮겨져 큰 묘에 안치되었다. 그러나 1928년, 풍옥상과 그의 군인들에 의해 북벌 중에 묘가 약탈당했다.
위안스카이 사후, 그의 부하였던 풍국장, 서세창, 단기서 등이 차례로 정권을 잡아 소위 베이징 정부로서 중화민국의 정식 정부로 존속했지만, 이들은 중국 대륙 전체를 통합할 힘을 갖지 못했다. 결국 중국은 각 지방을 근거지로 하는 군벌 할거 시대에 돌입했으며, 장개석의 북벌이 끝날 때까지 10년 남짓 이러한 상황이 계속되었다.
5. 평가와 유산

위안스카이 사후 중국은 통일된 중앙 정부 없이 군벌들이 할거하는 군벌 시대로 접어들었다. 이 때문에 그는 종종 "군벌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한다.[38] 그러나 그가 일본식 모델을 기반으로 현대식 군대 창설을 시도한 군사 개혁가였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그는 장교 인사, 군사 교육 등을 통해 현대적 군사 조직 구축에 대한 이해를 보였으나, 1911년 권력 복귀 후에는 이러한 이상을 희생하고 개인적인 야망을 위해 공화제의 이상을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는다.[38] 그의 통치 방식은 결과적으로 반대 세력이 군사적 기반을 통해 저항할 수밖에 없게 만들었고, 이는 중국의 정치적 분열을 심화시키는 데 기여했다.[38]
중국 역사학계에서는 대체로 그의 통치를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근대적 군대 양성 등 일부 근대화 업적에도 불구하고,[34][35] 거액의 외국 차관 도입, 일본의 21개조 요구 수용,[34][35] 황제 즉위 시도 등은 국가적 위신을 떨어뜨리고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다는 비판이 주를 이룬다. 그러나 조너선 스펜스와 같은 일부 서구 학자들은 그가 청나라 말기 개혁을 계승하여 강력하고 안정적인 정부를 위한 제도 구축을 시도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36] 중국 CCTV의 드라마 《주향공화》에서는 그를 유능한 행정가이자 정치적 조종자로 묘사하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신봉승 작가의 드라마 《조선왕조 오백년》에서 조춘이 위안스카이를 연기하며 1884년 갑신정변 당시 청나라 군대를 이끌고 일본군과 전투를 벌이는 모습이 그려졌다. 이는 위안스카이가 조선의 정치 상황에 개입했던 역사를 반영한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아내 1명과 첩 9명 사이에서 17남 14녀를 두었다. 장남 원극정은 아버지의 황제 즉위를 도왔으나 몰락했고, 차남 원극문은 안동 김씨 출신 어머니를 두었으며 황제 즉위에 반대하여 아버지와 갈등을 빚었다. 그의 아들 원가류는 물리학자로 활동했다.
그를 기리는 비희 석비는 허난성 안양시 화위안 공원에 세워졌다가 1993년 일부 복원되었다.[39]
5. 1. 긍정적 평가
위안스카이는 청나라 말기 중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군사 및 교육 분야에서의 개혁은 중요한 업적으로 꼽힌다.
군사 개혁과 신군 육성청일 전쟁의 패배 이후, 위안스카이는 근대화된 군대의 필요성을 절감했다.[41] 그는 1895년 리홍장의 추천으로 신식 군대인 신군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군대 양성 업무를 맡았다.[10] 그는 일본식 군사 제도를 참고하고 서양식 훈련 방식을 도입하여 군대의 현대화를 추진했다.[11][41] 위안스카이의 훈련 프로그램은 군대의 전투력을 향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병사들에게 자부심을 심어주었고 단기루이, 펑궈장, 왕스전과 같은 유능한 장교들의 충성심을 확보하는 기반이 되었다.[10][41] 이 신군은 당시 청나라 군대 중 가장 잘 훈련되고 효과적인 부대로 평가받았으며,[11] 이후 북양군의 핵심 전력이 되었다. 위안스카이는 장교 인사 관리, 군사 교육, 정기적인 보직 이동 등을 통해 현대적인 군사 조직을 구축하려는 이해를 보여주었다.[38] 또한 그는 외국으로부터 차관을 얻어 북양군을 중국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 집단으로 확장시켰다.[15]
교육 및 제도 개혁위안스카이는 군사 분야 외에도 교육 및 사회 제도의 근대화에 기여했다. 1899년 산둥성 순무로 부임한 후, 그는 서구식 교육 모델을 도입하여 지난에 산둥 대학의 전신인 산둥 대학당을 설립했다.[14] 또한 1905년, 서태후에게 건의하여 오랜 역사를 가진 과거 제도를 폐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6] 과거제 폐지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교육 제도를 모델로 한 근대적인 초중등학교 및 대학 시스템 도입으로 이어졌다.[16]
행정적으로는 톈진에서 중국 최초의 근대적 경찰 제도를 창설하여 도시 질서를 유지했으며,[15] 철도 건설 및 관리에도 관여하여 국가 인프라 확충에 기여했다.[15] 그는 청나라 말기 정치 개혁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교육부와 경찰부 설립을 주도했으며, 만주족과 한족 간의 차별 철폐를 주장하기도 했다.[15] 1908년에는 입헌군주제 도입을 목표로 한 흠정헌법대강 초안 작성에도 참여하여 헌정 준비에 기여했다.[16]
근대 국가 건설 노력미국의 중국사학자 조너선 스펜스는 위안스카이가 비록 독재적인 통치 방식으로 비판받지만, "자신의 나라와 자신 모두를 위해 야심 찬 인물"이었으며, "후기 청나라 개혁 시도를 바탕으로 건설하고 중국에 강력하고 안정적인 정부를 가져올 제도를 개발하려고 했다"고 평가했다.[36] 스펜스에 따르면, 위안스카이는 외국의 신뢰를 얻고 불평등 조약의 치외법권을 철폐하기 위해 사법 제도를 정비하고 외국인 고문을 초빙하여 형법 체계를 개혁하는 등 국가 시스템의 근대화를 추진했다.[36] 중국 CCTV에서 제작한 드라마 《주향공화》에서도 위안스카이는 초기에는 정치 상황을 능숙하게 다루는 유능한 행정가로 묘사되기도 했다.
이러한 개혁 노력들은 청나라 말기의 혼란 속에서 중국의 근대화를 추진하고 이후 중화민국 초기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일정 부분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5. 2. 부정적 평가
중국 역사학자들은 위안스카이의 통치를 대체로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그가 법률과 사회 분야에서 광범위한 근대화를 도입하고 중국 최초의 근대 군대 중 하나를 훈련 및 조직했지만, 그가 군대 내에 형성한 충성심은 그의 사후 와해되어 중앙 정부의 권위를 약화시켰다. 또한 거액의 외국 차관으로 정권을 유지했으며, 중국인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국제적 위신을 떨어뜨렸으며 일본이 중국에 대한 광범위한 양보를 얻도록 허용했다는 비판을 받는다.[34][35]1913년 2월 민주 선거에서 국민당(KMT)이 압승하자, 내각제를 주장하며 총리 후보로 유력했던 송교인은 위안스카이의 권력욕과 충돌했다. 송교인은 위안스카이의 야심을 공개적으로 비판했으며, 국민당의 승리는 위안스카이에게 큰 위협이었다. 결국 1913년 3월 송교인은 상하이에서 괴한의 총격을 받고 이틀 후 사망했으며, 정황상 위안스카이 정부가 배후로 의심받았으나 증거 불충분으로 위안스카이는 연루되지 않았다.[23]
위안스카이는 1913년부터 국민당 탄압을 시작하여 의원들을 탄압하고 매수했으며, 국민당 지지 성향의 주지사들을 해임했다.[24] 상황이 악화되자 쑨원은 1913년 8월 일본으로 망명하여 위안스카이에 맞선 제2차 혁명을 촉구했다.[25] 그러나 위안스카이는 군사력을 기반으로 정부를 장악하고 중앙 및 지방 의회를 해산했으며, 하원과 상원을 새로 설립된 "국무회의(Council of State)"로 대체했다. 그는 국민당을 반역 조직으로 규정하고 해산을 명령하며 의회에서 모든 국민당원을 축출했다. 국민당의 "제2차 혁명"은 위안스카이 군대에 의해 완전히 진압되었고, 이는 위안스카이의 권력을 더욱 공고히 하는 결과를 낳았다.[26][27]
1914년 1월, 중국 의회는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위안스카이는 같은 해 5월, 자신에게 군사, 재정, 외교, 시민권에 대한 거의 무제한적인 권한을 부여하는 "헌법 조약(constitutional compact)"을 공포하며 독재 체제를 강화했다. 그는 정치적 내분으로 인해 대의 민주주의가 비효율적이라고 주장하며 이러한 개혁을 정당화했다.[28]
1915년 1월, 일본은 베이징에 21개조 요구로 알려진 비밀 최후통첩을 보냈다.[9] 일본은 치외법권 확대, 일본 기업에 대한 특혜, 칭다오 양도, 재정 및 경찰에 대한 통제권 등을 요구했다. 이러한 요구가 공개되자 중국 내에서는 격렬한 반일 감정이 표출되었으나, 위안스카이는 영국과 미국의 지원을 받아 일부 요구를 철회시키는 데 그쳤고, 결국 일본의 요구 중 일부를 수용했다. 이는 중국의 주권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결정이었으며, 위안스카이 정부의 인기는 크게 하락했다.[30] 이 결정은 훗날 5월 9일이 중화민국(타이완)에서 '오구 국치일'로 불리는 계기가 되었다.
권력을 더욱 공고히 하려는 야심 속에서 위안스카이는 1915년 말, 군주제 지지자인 양두(楊度) 등 측근들의 부추김과 일본의 지지 약속[31]을 등에 업고 황제 즉위를 선포했다. 그는 국호를 '중화제국', 연호를 홍헌으로 정하고 1916년 1월 1일 즉위식을 거행할 예정이었다.[3][21] 그러나 이는 시대착오적인 행위로, 국내외의 광범위한 반발을 샀다. 가장 가까운 지지자들과 북양 군벌의 연대마저 와해되었고, 전국적인 시위와 반란이 일어났으며, 외국 정부들도 등을 돌렸다.[33] 결국 위안스카이는 1916년 3월, 불과 83일 만에 제정을 취소할 수밖에 없었고, 같은 해 6월 실의 속에서 병사했다.[42]
위안스카이 사후, 중국은 중앙 정부의 권위가 약화되고 각 지방 군벌들이 할거하는 군벌 시대로 접어들었다. 그가 군사 개혁가로서 일본 모델을 기반으로 현대 군대를 건설하려 시도한 점은 인정되지만, 1911년 권력 복귀 후에는 공화 혁명 운동의 이상주의를 파괴하고 황제 야망을 위해 폭력과 뇌물을 결합한 통치를 펼쳤다는 비판을 받는다. 위안스카이를 반대한 세력들이 영토적 군사 기지를 중심으로 활동할 수밖에 없었기에, 총통과 황제로서의 그의 행보는 중국의 정치적 분열을 심화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러한 이유로 그는 때때로 "군벌의 아버지"라고 불린다.[38]
현재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양측 모두에서 위안스카이는 쑨원 등 혁명 세력을 탄압하고, 일본의 21개조 요구에 굴복했으며, 시대를 역행하여 황제에 즉위함으로써 공화정을 어지럽힌 인물로 평가받으며, 때로는 매국노라고까지 불린다. 시진핑 총서기의 임기 제한 폐지 시도 당시, 중국 인터넷에서는 그를 위안스카이에 비유하는 움직임이 일자, 이를 부정적으로 본 당국에 의해 "홍헌"[44][45]과 함께 "위안스카이"라는 단어 자체가 검열 대상이 되기도 했다.[46][47][48]
오카모토 류지(岡本隆司)는 위안스카이가 사교술은 능숙하지만 작은 과제는 처리할 수 있어도 중국 중앙을 다루는 데는 적합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43] 그의 아들 가정교사였던 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는 그가 겉으로는 애교가 넘쳤지만 사후 그 허위를 간파했다고 증언했다. 지방관으로서는 냉정하고 과단성 있게 보였을지 모르나, 최고 권력자 자리에 오른 후에는 추악함과 불쾌함을 드러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5. 3. 논란과 재평가
위안스카이에 대한 평가는 복합적이며 오늘날까지도 논쟁의 대상이다. 그의 사후 중국은 중앙 권위 부재 상태에 빠졌고, 군대는 경쟁하는 군벌 세력으로 분열되었다. 이 때문에 그는 종종 "군벌의 아버지"로 불리기도 한다.[38] 그러나 이는 그가 일본식 모델을 기반으로 현대식 군대를 창설하려 했던 군사 개혁가로서의 면모를 간과한 평가라는 지적도 있다. 그는 장교 인사, 군사 교육, 정기적 보직 이동 등을 통해 현대적 군사 조직을 구축하려 했으나, 1911년 권력 복귀 후에는 이러한 이상을 황제 즉위라는 개인적 야망을 위해 희생시키고 폭력과 매수로 통치하며 초기 공화주의 운동의 이상을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는다.[38] 그의 통치 방식은 결과적으로 반대 세력이 군사적 기반을 통해 저항할 수밖에 없게 만들었고, 이는 중국의 정치적 분열을 심화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중국 역사학계에서는 대체로 위안스카이의 통치를 부정적으로 평가한다. 법률과 사회 분야에서 근대화를 추진하고 현대식 군대를 양성한 공로는 인정되지만, 군대 내 사적 충성 관계는 그의 사후 군벌 할거로 이어져 중앙 정부의 권위를 약화시켰다는 점, 거액의 외국 차관 도입, 대화 21개조 요구 수용 등은 중국의 국익을 해치고 국제적 위신을 실추시켰다는 비판을 받는다.[34][35] 특히 대화 21개조 요구를 수용한 5월 9일은 현대 타이완(중화민국)에서 '''5·9 국치일'''(五九国恥|우지우 궈치중국어)로 불리며 국가적 치욕의 날로 기억되고 있다.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 양측 모두에서 위안스카이는 쑨원(손문) 등 혁명파를 탄압하고, 일본의 요구에 굴복했으며, 시대를 역행하여 황제에 즉위함으로써 공화제를 훼손한 인물로 비판받는다. 때로는 매국노라는 비난까지 받는다. 현대 중국에서는 시진핑 주석의 장기 집권 움직임과 관련하여 위안스카이가 부정적으로 언급되자, 중국 당국이 인터넷에서 "위안스카이" 및 그의 연호 "홍헌(洪憲)"을 검열 대상으로 삼기도 했다.[44][45][46][47][48] 오카모토 류지(岡本隆司)는 그가 사교술은 능하나 중앙 정부를 이끌기에는 부적합했다고 평가했으며,[43] 그의 아들 가정교사였던 요시노 사쿠조(吉野作造)나 사상가 기타 잇키(北一輝) 등도 그를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단선적인 부정적 평가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신건육군 창설, 과거제 폐지, 학교 제도 정비 등 근대화 정책을 추진한 역할과 함께, 그의 독재적 통치 방식이 당시 쑨원 등 혁명파에게도 일정 부분 공유되었던 시대적 한계 속에서 이루어졌다는 점, 특정 이념에 얽매이지 않고 권모술수를 구사하며 현실 정치 감각을 발휘했던 측면 등이 재조명되며 보다 공정한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조너선 스펜스(Jonathan Spence)는 위안스카이가 "자신의 나라와 자신 모두를 위해 야심 찬 인물"이었으며, 비록 헌법을 훼손했지만 청나라 말기 개혁을 계승하여 강력하고 안정적인 정부를 위한 제도 구축을 시도했다고 평가했다. 특히 외국의 신뢰를 얻고 치외법권 철폐를 위해 사법 제도를 강화하고 외국인 고문을 초빙하여 형법 제도를 개혁한 점을 긍정적으로 보았다.[36] 중국 CCTV에서 제작한 드라마 〈주향공화〉(원제: 走向共和)에서는 그를 유능한 행정가이자 뛰어난 정치적 조종자로 묘사하며, 황제 즉위는 아들 위안커딩 등 주변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그리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Yuan Shikai Qing Dynasty International Politics
https://www.scribd.c[...]
2018-05-23
[2]
문서
Bonavia 34
[3]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W.W. Norton and Company
[4]
웹사이트
袁世凯:一妻九妾
https://web.archive.[...]
2008-06-06
[5]
서적
Communism in History and Theory
Praeger/Greenwood
[6]
서적
The Revival of China, Volume 1
https://books.google[...]
[7]
서적
Thorny Road to Dignity: Surviving Mao: A Chinese Psychiatrist Embraces a Miracle in America
https://books.google[...]
iUniverse
[8]
서적
Beijing Odyssey: Based on the Life and Times of Liang Shiyi, a Mandarin in China's Transition from Monarchy to Republic
https://books.google[...]
Mayhaven Publishing
[9]
서적
The Fear of Chinese Power: an International History
Bloomsbury Academic
[10]
문서
Spence, 1999 p. 274
[11]
논문
Yuan Shikai and the Significance of his Troop Training at Xiaozhan, Tianjin, 1895–1899
[12]
서적
Inheritance within Rupture: Culture and Scholarship in Early Twentieth 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Brill
[13]
서적
Warriors of the Rising Sun: A History of the Japanese Military
https://archive.org/[...]
[14]
서적
Yuan Shih-kʻai
https://books.google[...]
[15]
문서
Bonavia 35
[16]
서적
China: A History
Hackett Publishing
[17]
서적
To-morrow in the East
https://archive.org/[...]
G. Bell & Sons
2013-04-01
[18]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3-07-31
[19]
문서
Behr, 1987 p. 69
[20]
서적
China: How the Empire Fell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1]
서적
Autocratic Tradition and Chinese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문서
Spence, 1999 pp. 277–278
[23]
문서
Spence, 1999 pp. 275–277
[24]
문서
Spence, 1999 p. 277
[25]
논문
Sun Yat-sen and the Japanese: 1914–16
[26]
문서
Bonavia 36
[27]
논문
Makers of Modern China: II. The Strong Man: Yuan Shih-kai
[28]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W.W. Norton and Company
[29]
서적
袁大头. Yuan Shi-kai Dollar: 'Fat Man Dollar' Forgeries and Remints
https://web.archive.[...]
2013-04-25
[30]
논문
National humiliation and national assertion-The Chinese response to the twenty-one demands
https://www.jstor.or[...]
[31]
서적
Zhou Enlai: A Political Life
https://books.google[...]
Chinese University of Hong Kong
2011-03-12
[32]
논문
Britain's Men on the Spot in China: John Jordan, Yuan Shikai, and the Reorganization Loan, 1912–1914
[33]
문서
Spence, Jonathan D. (1999) The Search for Modern China, p. 282
[34]
문서
Bonavia 40
[35]
문서
Shan, (2018) pp. 3–9
[36]
서적
The Search for Modern China
W. W. Norton and Company
1999
[37]
서적
[38]
서적
[39]
웹아카이브
洹园里的破嘴龟 (The tortoise with a broken mouth in Huanyuan Park)
http://www.aynews.ne[...]
2012-02-04
[40]
논문
Unveiling China's Relinquished Marital Mode: A Study of Yuan Shikai's Polygamous Household
2019-07
[41]
서적
日本の植民地の真実
扶桑社
2003-10-31
[42]
문서
彼の皇帝即位への願望を示すエピソードはふんだんに残されているという。
[43]
서적
2015
[44]
뉴스
「習近平独裁」を中国人はなぜ歓迎するのか
http://ironna.jp/art[...]
2018-03-07
[45]
뉴스
「信女願一生吃素」也不行! 中國修憲忙禁敏感詞
http://news.ltn.com.[...]
2018-03-01
[46]
뉴스
中国ネット 改憲批判拡大 国家主席終身制「暗黒支持するな」
https://www.sankei.c[...]
2018-02-28
[47]
뉴스
“皇帝化”する習近平の中国「笑ってはいけない検閲事情」
https://bunshun.jp/a[...]
2018-03-05
[48]
뉴스
中国当局、なぜまたクマのプーさんを検閲? 主席任期延長案で
http://www.bbc.com/j[...]
2018-02-27
[49]
서적
군벌:중국의 군벌정치
도서출판 삼화
2018-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