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발은 땋은 머리를 의미하는 중국어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유목 민족과 만주족, 그리고 청나라 시기 한족에게 강요된 독특한 머리 모양을 지칭한다. 만주족의 지배를 공고히 하기 위해 청나라는 한족 남성에게 변발을 강요했고, 이는 정치적 복종과 저항의 상징이 되었다. 중화민국 수립 이후 단발령으로 변발은 사라졌으며, 오늘날에는 중국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문화적 상징으로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주족의 문화 - 삼궤구고두례
삼궤구고두례는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황제나 천신에게 행해지던 가장 숭고한 예절로, 청나라의 통치 권위 확립과 외교 관계에 영향을 미쳤으나 서구 열강의 거부와 청나라 멸망 후 폐지되었다. - 만주족의 문화 - 만주 이름
만주 이름은 만주족이 사용한 이름으로, 개인 이름과 족외혼 단위인 무쿤으로 이루어진 씨족 이름으로 구성되었으나, 청나라 시대를 거치면서 한족의 성씨를 채택하며 변화를 겪었다. - 머리 모양 - 장발
장발은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고 길게 기른 상태를 지칭하며, 생존에 유리한 기능과 건강 및 생식 잠재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역할, 그리고 권력, 부, 종교적 헌신 등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내포한다. - 머리 모양 - 삭발
삭발은 머리카락을 부분적 또는 완전히 제거하는 행위로, 종교적 의례, 사회적 지위, 형벌, 패션, 미용 등 다양한 목적과 의미를 지닌다. - 몽골족 문화 - 유르트
유르트는 중앙아시아 유목민의 이동식 주거 형태로, 나무 골조에 펠트 천을 덮어 만들며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유목 생활에 적합하고, 스키타이족 시대부터 사용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몽골족 문화 - 아르히
아르히는 몽골어로 술을 뜻하며 유제품을 발효·증류한 시민 아르히와 곡물로 만든 차간 아르히로 나뉘는데, 시민 아르히는 유제품 향이 나는 저도수 술로 최근 고도수 제품이 생산되어 중국에서도 소비되며, 차간 아르히는 몽골에서 가장 흔하게 소비되는 곡물 기반 술로 단순히 아르히라 칭하기도 하지만 저가 무허가 제품은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변발 | |
---|---|
머리 모양 정보 | |
![]() | |
만주어 | soncoho |
개요 | |
유형 | 머리 모양 |
문화권 | 만주족 여진족 |
명칭 | |
한자 (번체) | 辮髮 |
한자 (간체) | 辫发 |
병음 | biànfà |
광둥어 | bin1 zi2 |
민난어 (POJ) | pīⁿ-á (辮仔), mn̂g-bué-á/mn̂g-bé-á 또는 thâu-chang-bué/thâu-chang-bé |
만주어 (로마자 표기) | soncoho |
몽골어 | ᠰᠣᠨᠴᠣᡥᠣ, ᠭᠡᠵᠢᠭᠡ |
역사 및 문화적 의미 | |
기원 | 만주족의 전통적인 머리 모양 |
강요 | 청나라 시기 한족 남성에게 강제됨 |
상징 | 청나라에 대한 충성의 표시 |
중요 사건 | 신해혁명 이후 폐지 |
관련 문화 | 일부 종교적 이유로 현대에도 유지됨 |
설명 | 변발은 머리털의 일부를 삭발하고 나머지 머리카락을 땋아 늘어뜨리는 스타일이다. |
추가 정보 | 변발은 여진족과 만주족의 전통적인 머리 모양이었으며, 청나라가 중국을 지배하면서 한족 남성들에게 강요되었다. 이는 청나라에 대한 충성의 표시로 여겨졌으며, 변발을 거부하는 것은 반역으로 간주되었다. 신해혁명 이후 변발은 폐지되었지만, 일부 종교적인 이유로 현대에도 유지되는 경우가 있다. |
변발의 형태 | |
초기 형태 (금나라, 송나라 시기) | 삭발 범위가 넓지 않았음. 머리카락을 뒤로 땋아 늘어뜨리는 형태. |
청나라 시기 형태 | 머리 앞부분을 완전히 삭발하고, 뒷머리만 남겨 땋음. 삭발 범위가 넓어짐. |
변발의 굵기 | 가늘고 길게 땋는 것이 일반적. |
변발에 대한 저항과 반발 | |
저항 운동 | 청나라의 변발 강요에 대한 한족의 저항이 끊이지 않았음. |
구호 | "머리를 자를지언정 변발은 할 수 없다" (留頭不留髮, Liú tóu bù liú fà) |
현대의 변발 | |
유지 이유 | 종교적인 이유 (예: 도교) |
변화 | 현대에는 전통적인 형태와는 다른 변형된 스타일이 나타나기도 함. |
기타 | |
관련 용어 | 삭발령 (剃髮令) |
2. 명칭
중국어에서 '변발'(辮髮, 辮发)은 '땋은 머리'라는 뜻이다. 따라서 중국 여자가 머리를 땋으면 그것이 중국에서는 변발이 된다. 한국어에서 말하는 변발은 중국어에서 '곤발'(髡髮, 髡发)이라고 더 정확하게 표현한다. 중국어에서는 변발 범주에 곤발이 속한다. 다만 한국어에서 변발이라는 한자어를 받아들일 때 '땋은 머리'라는 원래 뜻은 버리고 '오랑캐들의 머리 모양'이라고 받아들인 것이다.[1]
변발은 만주에 살던 몽골 계통 부족과 말갈 계통 부족이 즐겨하던 머리 모양이다. 몽골 계통인 선비족도 변발을 하였다고 하니, 변발의 역사는 짧게 쳐도 기원전 1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어에서는 흔히 한자 제한 때문에 '변발'이라고 상용한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중국어에서도 변발이라고 쓰지만, 가장 정확한 한자 표기는 髠髪|곤발중국어로, 발음은 '쿤파'이다.[1]
3. 역사
몽골 제국이 고려를 지배하던 시기에는 고려 지배 계층을 비롯한 일부 백성도 몽골 풍습을 따라 몽골식 변발을 하였다. 그 후 공민왕이 몽골식 변발을 금지하였다.
수발(변발)은 만주족보다 먼저 존재했다. 수발을 뜻하는 중국어 단어 '변(bian)'은 땋은 머리나 끈을 의미했다. 만주족 헤어스타일에 있는 땋은 머리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 '변'이라는 용어는 원래 한 왕조에서 흉노족에게 적용되었다.[8][9]
서하의 당구트족은 탁발족으로부터 헤어스타일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머리 꼭대기를 깎고 대머리를 남겨두어 얼굴을 옆과 이마에 머리카락으로 감쌌는데, 이는 승려의 헤어스타일과 비슷했지만 삭발과는 달랐다. 이것은 티베트인과 송나라 한족이 삭발한 당구트족과 구별되도록 했다. 서하 징종이 3일 이내에 머리를 깎지 않으면 목을 베겠다고 위협하며 강요했고, 황제가 처음으로 머리를 깎았다.[14] 당구트 서하의 삭발과는 달리, 수발을 하고 정수리를 깎는 여진족의 헤어스타일은 왕조의 황제가 발명한 것이 아니라 금나라에 복종하는 사람들을 보여주는 확립된 여진족 헤어스타일이었다. 이 여진족의 수발과 삭발 헤어스타일은 금나라에서 여진족의 가치관에 대한 반발로 처음에 시도한 후 한족에게 강요되지 않았다.[15] 금나라는 처음에는 여진족의 헤어스타일과 옷을 한족에게 강요하려고 했지만, 그 명령은 철회되었고 통혼도 금지했다.[16]
몽골 원나라를 무너뜨린 명나라의 첫 번째 황제 주원장은 1392년 9월 24일 모든 남성이 머리를 길게 기르고 이마의 일부를 깎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하는 강제 헤어스타일에 관한 법을 통과시켰다. 이는 몽골의 헤어스타일이었다. 머리카락을 자르는 이발사와 자른 사람, 그의 아들 모두 거세형에 처해졌으며, 가족은 국경으로 추방되었다. 이는 부분적으로 면도된 몽골 헤어스타일을 근절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3]
오하구로#다른 지역
응우옌 후에가 후 레 왕조를 멸망시킨 후, 레 왕조의 고위 충신들과 마지막 레 황제 레 치에우 통은 청나라에 망명하기 위해 베트남을 탈출했다. 베이징에서 레 치에우 통은 한군 황색 두른 기에서 4품의 중국 관리로 임명되었다. 하위 충신들은 정부 토지를 경작하고 쓰촨과 저장 성에서 녹영군에 합류하도록 파견되었다. 그들은 청나라 의복을 입고 변발을 하여 청나라의 귀화된 백성이 되었으며, 베트남의 범인 인도 요구로부터 보호받았다. 일부 레 왕조 충신들은 우루무치의 중앙 아시아로도 보내졌다.[84][85] 레 왕조의 현대 후손들은 베트남 남부와 우루무치 신장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86][87][88]
만주족의 청나라에서 시작된 습관으로 알려져 있지만, 만리장성 이북의 여러 민족은 각각 머리를 깎는 풍습을 가지고 있었다. 변발이란 이러한 습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1851년 태평천국의 난에서 태평천국군은 청나라에 저항하기 위해 변발을 중단했지만, 청나라 조정은 홍수전을 수령으로 가톨릭을 받들고 반란을 일으킨 사람들을 '장발적'이라고 불렀다. 근대에 들어서면서 '반청'을 표방하는 증거로 변발을 자르는 자도 늘었다. 특히 구미에 유학한 청나라 사람들은 생활상의 이유로 단발하는 경우도 있었다. 미국 유학 중 변발을 자른 학생은 관비 유학 제도에서 제외되거나 강제 귀국 조치되기도 했다. 단발한 혁명파 학생이나 유학지에서 변발을 잘랐지만 청나라에 저항할 의지는 없는 이들이 귀국할 때 단속을 피하기 위해 변발 가발을 쓰기도 했으며, 루쉰도 일시 귀국 시 사용한 적이 있다.[110]
청나라에서는 신해혁명이 일어난 1911년까지 '변발 강제령'이 이어져, 출가하여 승려가 된 자와 대머리 외에는 변발을 하지 않으면 사형을 포함한 처벌을 받았다. 청나라 멸망 후, 중화민국이 발포한 '단발령'에 의해 변발 풍습은 사라졌지만, 농촌에서는 1950년대까지 변발을 하는 남성도 있었다. 실제 일상생활에서는 몸을 크게 움직일 때 변발이 땅에 닿아 더러워지거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밧줄 모양의 머리카락 부분을 옷깃에 감거나 헝겊 띠처럼 머리에 감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3. 1. 유목 민족의 변발
선비족과 오환족은 머리를 깎았다고 전해지며, 흉노족은 수발을 했다. 중국 역사 기록에 따르면, 선비족의 토발 또는 탁발 집단은 땋은 머리를 했다. 그들은 남중국인들에게 "땋은"이라고 불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의 헤어스타일은 그들이 착용했던 두건 때문에 묘사에서 가려져 있다. 유송 왕조의 기록은 그들을 "땋은 포로"인 '수오루(suolu)'라고 불렀고, 남제의 역사에서는 그들이 "머리카락을 뒤로 늘어뜨리고"(피파, pifa) '수토우(suotou)', 즉 "땋은 머리"를 했다고 전했다. 땋은 머리카락은 탁발 무덤인 자라이루오얼에서 발견되었다.[10]
한족은 또한 정복한 민족들에게 수발을 풀도록 했다. 수나라의 한족에게 복종하기 위해 투르판 (고창)의 사람들은 수발을 풀었고, 돌궐도 당나라에 항복하면서 수발을 풀었다. 헤어스타일은 부족 연맹 또는 왕조와의 관계를 보여주었다.[11] 서위의 둔황에 있는 모가오 굴 285호 동굴에서는 선비족 사람들이 목에서 작은 수발을 늘어뜨린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12]
여진족은 만주족과 같은 수발을 했고, 거란족은 타타르족 스타일로 머리를 땋았으며, 당나라 시대에는 서쪽의 부족들이 땋은 머리를 했다.[8][9] 만주족 여진족 남성은 수발을 했고, 몽골 남성은 귀 뒤로 머리카락을 쓸어넘겨 땋았으며, 튀르크 남성은 머리카락을 늘어뜨리고 흉노족 남성은 머리카락을 땋았다. 거란족 남성은 관자놀이에서 머리카락을 기르지만 머리 꼭대기를 깎았다. 요나라에 살았던 한족 남성은 청나라가 남성에게 만주족 헤어스타일을 착용하도록 의무화했던 것과는 달리, 거란족 남성이 민족성을 구별하기 위해 착용했던 삭발된 거란족 헤어스타일을 착용할 필요가 없었다.[17]
거란족 관료들은 황금 장식 리본을 사용하여 이마 주위의 머리카락 묶음을 만들고, 예용리(Yeh Lung-li)의 《거란국지(契丹國志)》에 따르면 펠트 모자로 머리를 덮었다. 거란족은 긴 옆머리를 하고 대머리를 깎았다.[19] 거란족 헤어스타일의 무덤 벽화는 목과 이마 근처에만 약간의 머리카락이 남아 있고 머리의 나머지는 깎여 있음을 보여준다.[20] 관자놀이에만 머리카락이 남아 있고 정수리는 깎였다.[21] 거란족 옷과 헤어스타일이 이전에는 거란족으로 확인된 기수 그림에 없다는 사실은 전문가들이 그들의 주장된 정체성에 의문을 제기하게 했다.[22] 거란족 남성은 깎은 이마에서 내려오는 작은 땋은 머리에 다른 패턴을 착용하여 계급을 구별했을 수 있다. 그들은 때때로 이마의 일부를 깎고 이마 앞머리와 함께 땋은 머리를 착용했다.[23]
몽골족은 앞머리와 좌우 측두부를 남겨 양쪽 귀 뒤로 두 가닥의 땋은 머리를 늘어뜨렸다. 그 스타일은 민족과 시대의 차이에 따라 다양하며, 튀르크계 제족에게도 공통적으로 보이는 풍습이었다. 변발이란 이러한 습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몽골족이 측두부를 남긴 데 반해, 만주족은 뒤통수만 머리카락을 남기고, 이것을 한 가닥으로 땋아 뒤로 늘어뜨렸다. 만주족의 변발은 서양인들에게서 피그 테일(pig tail)이라고 불렸다. 만주족의 전신을 형성하는 여진족 역시 만주족과 유사한 변발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12세기에 여진족의 금이 한족 왕조 송을 공격하여 휘종과 흠종을 비롯한 황실 사람들과 조정의 중신들을 붙잡아 본거지로 끌고 갔으며, 고종을 공격하여 강남 지역으로 몰아내고 중국 북반부를 점령했을 때, 영내의 한족에게 여진족 고유의 삭발을 강요한 것은, 북방 민족에 의한 변발 강제의 선례로 여겨진다.
3. 2. 청나라의 변발 강요
1644년 이자성의 난으로 명나라가 멸망하고, 만주족의 청(후금)이 산해관을 넘어 북경을 점령했다.[111]
순치제의 섭정 도르곤은 청의 중국 지배를 공고히 하고, 만주족 지배 권력에 대한 복종과 반역을 구별하기 위해 한족 남성에게 치발령(薙髮令)을 선포하여 변발을 강요했다.[111]
중화사상이 강했던 한족들은 크게 반발하여 정책이 일시 중단되었지만, 1645년 다시 치발령을 선포하고 변발을 강제했다. 이를 중국어로 치발이복(薙髮易服)이라 한다.
청 왕조는 변발을 거부하는 자에게 사형을 선고했고, "목을 남겨놓고 싶다면 머리털을 남겨두지 마라. 머리털을 남겨두겠다면 목을 남겨두지 않겠다"(留頭不留髮, 留髮不留頭)며 강제했다.[111]
유교 전통에서는 신체 훼손을 불효로 여겨 금기시했으므로 저항이 컸다. 그러나 청 왕조는 변발을 한 자에게는 기존 한족의 생활 방식을 인정하고 과거 응시 자격도 주었다.[112] 청 왕조는 한족이 변발을 싫어하는 것을 알았지만, '피아식별'을 위해 치발령을 다시 발령했다.[111] 한족 중에는 이를 「오랑캐 풍습」이라며 자결하는 사람도 있었다.
승려나 도사가 되는 자도 많았는데, 이들은 변발이 면제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도교 도사들은 한족의 전통 상투를 틀고 명나라 의복을 유지할 수 있었다.[113] 이는 십종십부종의 여섯번째 원칙[114]에 따른 것이며, 도교 지도자 장천사와 도사 왕상월(王常月)이 순치제를 설득하여 얻어낸 결과였다.
청 왕조의 지배가 안정되면서 변발이 보급되어 19세기에는 한족 사회에서 변발이 「중국적인 관습」으로 여겨졌다. 만주족의 변발은 정수리 부분만 남기고 밀었지만, 청 왕조 말기에는 뒤통수를 덮을 정도로 머리를 남겼고,[115] 정수리를 깎지 않거나 땋은 머리를 자르는 등 많은 사람들이 청법을 위반했다. 그러나 대부분 땋은 머리 형태는 유지했다. 만주족의 변발이 한족의 변발에 가깝게 변해 갔다.[111] 명나라 멸망 후 명나라 의관 제도를 고수했던 조선의 연행사들은 한족들의 머리 모양을 오랑캐에 물들었다며 매도했다.[116]
여진족 남성들은 만주족 후손들과 마찬가지로 변발을 했다. 1126년, 여진족은 정복한 영토 내의 한족 남성에게 머리 앞부분을 깎고 여진족 복장을 착용하도록 명령했지만, 이 명령은 해제되었다. 일부 한족 반란군은 여진족 인구에 공포심을 주기 위해 여진족의 "변발"을 하고 여진족으로 위장했다.[26]
변발은 만주족이 착용했고, 이후 청나라 시대에 한족에게 강요된 남성 헤어스타일이었다.[27][28][29] 머리 앞부분의 머리카락은 열흘마다 관자놀이 위쪽에서 밀고 남은 머리카락은 긴 땋은 머리로 묶었다.[30]
만주족의 헤어스타일은 17세기 초 명청 교체기에 한족과 나나이족 등에게 강제로 도입되었다. 아이신 교로 씨족의 누르하치는 요동의 명나라 군대가 자신의 편으로 전향한 후 후금 왕조를 건립했고, 이후 중국의 청나라가 되었다. 푸순의 명나라 장군 이영방은 누르하치가 보상, 칭호, 누르하치 손녀와의 결혼을 약속한 후 투항했다. 요동의 다른 한족 장군들도 군대와 함께 누르하치에게 투항했고 아이신 교로 가문의 여성들과 결혼했다. 권력을 확고히 한 누르하치는 정복한 지역의 모든 남자들에게 만주족 헤어스타일을 따르도록 명령했다.
만주족 헤어스타일은 모든 민족이 청나라 통치에 복종함을 의미했으며, 청나라 지배를 거부한 한족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 헤어스타일은 모든 남성에게 의무적이었으며 불이행 시 반역죄로 처형되었다. 1912년 청나라 멸망 후, 중국인들은 더 이상 만주족 변발을 할 필요가 없었다. 장훈 등 일부는 전통으로 변발을 유지했지만, 푸이가 1922년에 변발을 자른 후 대부분 변발을 포기했다.[31]
나나이족은 처음에는 추장 소소쿠가 이끌고 누르하치와 만주족에 맞서 싸웠지만, 1631년 홍타이지에게 항복했다. 모든 남성의 머리 앞부분을 면도하는 것은 청나라에 정복된 나나이족 등 아무르족에게 강요되었다. 아무르족은 이미 머리 뒤쪽에 변발을 착용했지만 청나라가 복종시키고 면도하도록 명령하기 전까지 머리 앞부분을 밀지 않았다.[32] "머리를 깎은 사람들"이라는 용어는 울치족이 나나이족을 묘사하는 데 사용했다.[33]
변발령(剃髮令),[34][35] 또는 '삭발령'은 17세기에 청나라가 강제로 시행한 법률이었다. 1753년에는 타이완 원주민에게도 강요되었고,[36][37] 19세기 말에는 중국 북동부에 정착한 한인에게도 강요되었다.[38][39] 그러나 류큐 왕국의 류큐인은 중국의 조공국으로서 면제를 요청하여 허가받았다.
전통적으로 성인 한족은 철학적, 문화적 이유로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았다. 효경에 따르면, 공자는 "우리는 부모로부터 몸, 피부, 머리카락을 받았으니 훼손하지 말아야 한다. 이것이 효도의 근본이다."라고 말했다.
이러한 이념으로 남녀 모두 머리를 묶어 땋거나(상투)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유지했다.
한족은 머리카락을 길게 늘어뜨렸기 때문에 머리 뒤쪽에 변발을 하는 데는 반대하지 않았지만, 이마를 깎는 것에 격렬하게 반대했다. 이에 청나라는 이마를 깎도록 강요하는 데 집중했다. 청나라 초기에 청나라 헤어스타일에 반대했던 한족 반군은 변발을 했지만, 머리 앞부분을 깎으라는 명령을 거부했다. 한 사람은 앞머리를 깎는 것을 거부하여 처형되었지만, 머리 뒤를 땋았다. 서구화된 혁명가들이 변발을 뒤떨어진 것으로 보고 짧은 머리의 서양식 스타일을 채택할 것을 옹호한 것은 나중의 일이었다.[41] 태평천국 등 청나라에 반대하는 한족 반군은 뒷머리에 변발을 유지했지만, 머리 앞부분을 기르는 것으로 반항했다. 이로 인해 청나라는 뒷머리 땋기는 한족의 관습을 침해하지 않고 전통적인 한족도 반대하지 않았기 때문에 머리 앞부분을 깎는 것을 충성의 주요 징표로 간주했다.[42] 정성공은 깎은 머리가 파리처럼 보인다고 언급하며 청나라 헤어스타일을 비판했다.[43] 정성공과 부하들은 청나라가 정성공을 봉신으로 인정하는 대가로 삭발을 요구했을 때 삭발을 거부했다.[44] 청나라는 정경과 부하들에게 대만에서 삭발하고 봉토를 받을 것을 요구했다. 그의 부하들과 명나라 황족 주술계는 삭발에 격렬하게 반대했다.[45]
1644년, 베이징은 명나라 말기 관리 출신 농민 반란 지도자 이자성이 이끄는 반란군 연합에 함락되었다. 숭정제는 도시가 함락되자 자살하여 명나라의 종말을 알렸다. 한족 명나라 장군 오삼계와 군대는 청나라에 투항하여 산해관을 통과하도록 허용했다. 그들은 베이징을 점령하고 이자성의 순나라를 전복했다. 그 후 한족에게 복종의 표시로 변발을 하도록 강요했다.[46]
1년 후, 청나라 군대가 중국 남부에 도달한 후, 1645년 7월 21일, 섭정 도르곤은 모든 한족 남성에게 이마를 깎고 나머지 머리카락을 만주족과 동일한 변발을 하라는 칙령을 내렸다.[47] 청나라 만주족 왕자 도르곤은 처음에는 장성을 넘어 남쪽의 명나라 영토(1644년 이후 청나라에 편입된 지역)에 있는 모든 남성에게 삭발 명령을 취소했다. 산둥 출신의 한족 관리 손지섭과 이약린이 자발적으로 이마를 깎고 청나라 도르곤 왕자에게 모든 인구에게 변발을 강요할 것을 요구하여 변발령이 내려졌다.[48] 한족은 10일 안에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죽음에 직면했다. 도르곤은 유교 신자들이 반대할 근거가 있을 수 있음을 인정했지만, 대부분의 한족 관료들은 명나라의 전통적인 예악 제도를 저항의 이유로 제시했다. 이로 인해 도르곤은 그들의 동기에 의문을 제기했다. "관리들이 백성이 우리의 예악을 존중하지 않고 명나라의 것을 따라야 한다고 말한다면, 그들의 진정한 의도는 무엇인가?"[46]
칙령에서 도르곤은 만주족과 청나라 황제 자신이 모두 변발을 하고 이마를 깎았다는 사실을 강조하여, 변발령을 따르면 한족이 만주족과 황제처럼 보이게 된다고 했다. 이것은 백성이 황제의 아들과 같고 외모도 비슷해야 한다는 유교적 개념을 불러일으켰다.[49][50]
청나라가 채택한 슬로건은 "머리를 깎고 머리를 보존하라, (또는) 머리를 보존하고 머리를 깎아라"였다.[51] 이 명령을 거부하는 사람들은 치명적인 무력에 직면했다. 한족 반군은 산둥에서 도르곤에게 변발령을 제안한 청나라 관리를 고문하여 죽이고 그의 친척들을 죽였다.[52]
이 명령의 시행은 균일하지 않았다. 중국 전체가 이 명령을 준수하도록 군사적으로 집행하는 데 최대 10년이 걸렸고, 변발을 일반 대중에게 강요한 것은 청나라였지만, 항상 명령을 따르지 않는 사람들을 직접 처형한 것은 아니었다. 한족 투항병이 변발 착용을 거부하는 사람들을 상대로 대량 학살을 자행했다. 이성동은 명나라에서 복무했지만 청나라에 투항한 한족 장군으로, 부대에게 한 달 안에 가정에서 세 차례 학살을 자행하도록 명령하여 수만 명의 사망자를 냈다. 세 번째 학살로 살아남은 사람은 거의 없었다. 가정 구의 세 차례 학살은 가장 악명 높은 사건 중 일부로, 사망자 수는 수만 명에서 수십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강음 또한 약 10,000명의 청나라 군대에 대해 83일 동안 저항했다. 1645년 10월 9일, 마침내 성벽이 무너지자, 한족 명나라 투항병 유량좌가 이끄는 청나라 군대는 "칼을 집어넣기 전에 시체로 도시를 채우라"는 명령을 받고 인구 전체를 학살하여 74,000명에서 100,000명 사이의 사람들을 죽였다.[53]
1645년 한족 장군 홍승주 휘하의 한족 군인들은 강남 사람들에게 변발을 강요했고, 복주에서는 처음 시행되었을 때 한족 사람들에게 변발을 착용하도록 은화를 지급했다.[54][55]
변발은 청나라가 일반 한족에게 강요한 유일한 만주 문화였다. 청나라는 관료들에게 만주족 의복을 착용하도록 요구했지만, 다른 한족 민간인들은 한푸를 계속 착용하도록 허용했다. 그럼에도 대부분의 한족 민간 남성은 자발적으로 창산과 같은 만주족 의복을 채택했다.[56][57] 청나라 시대 내내 한족 여성들은 한푸를 계속 입었다.[58]
그러나 삭발 정책은 많은 소수 민족이 살고 있는 중국 남서부의 토사 자치 족장들에게는 시행되지 않았다. 한족 고캉족이 거주하는 고캉 세습령이 있었다.
청나라는 회족, 살라족 등 모든 민족에게 이마를 깎고 변발을 하도록 요구했지만, 위구르족, 살라족 등 일부 투르크계 무슬림 민족은 이미 문화의 일부로 머리 전체를 깎았고 대머리였기 때문에 가짜 변발 가발을 쓰지 않는 한 변발을 할 수 없었다. 조나단 니먼 립먼에 따르면 청나라는 살라족에게 변발을 착용하도록 요구했다.[59][60][61] 청나라 시대에 살라족 남성들은 머리를 대머리로 깎았고, 공공 장소에 갈 때는 인공 변발을 착용했다.[62] 위구르족 남성들은 청나라 시대에 머리를 대머리로 깎았다.[63] 현재 위구르족 남성들은 여름에 여전히 머리를 대머리로 깎는다.[64] 진성은 14~15세기 투르판과 쿠물에 있는 무슬림 투르크족은 머리를 깎았고, 비무슬림 투르크족은 긴 머리를 길렀다고 관찰했다.[65][66]
그러나 자한기르 호자가 카슈가르를 침략한 후, 신장의 투르키스탄 무슬림 베그와 관리들은 제국에 대한 충성을 보여주기 위해 변발을 착용하는 "특권"을 열렬히 쟁취했다. 고위 베그에게 이 권리가 부여되었다.[67]
변발령의 목적은 청나라에 대한 충성을 보여주는 것이었고, 머리를 깎는 것을 거부하는 것은 백련교도의 난에서 볼 수 있듯이 혁명적 이상을 상징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태평천국의 구성원들은 장모 또는 머리 반란군이라고 불렸다.[68]
청나라의 변발 강요에 대한 한족의 저항은 광범위하고 유혈 사태를 동반했다. 요동 반도의 한족은 의무적인 변발 시행에 반발하여 1622년과 1625년에 반란을 일으켰다. 만주족은 지식인 계층을 살해하고 한족과 만주족 사이의 더 엄격한 분리를 제도화함으로써 신속하게 대응했다.[69]
1645년, 만주족 통치자들은 변발 명령을 강화하여, 열흘 안에 만주족 머리 모양을 하지 않는 사람은 누구든지 처형하라는 칙령을 내렸다. 루쉰은 의무적인 만주족 머리 모양 시행에 대한 중국인들의 반응을 "사실, 그 당시 중국인들은 나라가 멸망 직전에 놓여서가 아니라 변발을 해야 했기 때문에 반란을 일으켰다"라고 요약했다. 1683년 정극상은 항복하고 변발을 했다.[69]
변발은 청나라의 상징이 되었고, 불교 승려를 제외한 모든 이들에게 강요되었다.[70][71][72] 일부 혁명가, 백일 신유 운동 지지자 또는 유학생들은 변발을 잘랐다. 1911년의 신해 혁명은 거의 하룻밤 사이에 머리 모양에 완전한 변화를 가져왔다. 변발은 쇠퇴한 정부와 연관되면서 인기를 잃었고, 이는 루쉰의 단편 소설 ''다완 속의 폭풍''에 묘사되어 있으며, 홍콩의 중국 시민들이 집단적으로 짧은 머리로 바꾼 사실로 입증된다.[73]
17, 18, 19세기에 베트남과의 광둥 해상 변경에서 광둥 지역의 불법 해적들은 면도를 강요하는 청나라 법에 반하여 머리를 길게 길렀다.[74]
청나라 말기에 많은 사람들이 머리에 대한 청나라 법을 위반했다. 일부 중국인들은 변발을 하되 정수리를 깎지 않는 것을 선택했고, 변발을 자르고 면도를 하지 않은 사람들은 혁명가로 간주되었으며, 다른 사람들은 변발과 정수리 삭발을 결합한 국가에서 강요한 머리 모양을 유지했다.[75]
3. 3. 중화민국 시기의 단발령
1911년 쑨원은 신해혁명을 일으켜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을 세웠다. 그와 함께 청나라 말기에 생겼던 변발을 자르자는 운동인 전변운동(剪辮運動)이 활발해졌다. 마침내 쑨원의 중화민국 임시정부는 1912년 3월 5일 공보(公報) 제29호(大總統令內務部曉示人民一律剪辮文: 대총통령내무부효시인민일률전변문)를 발표해 중국 전역에서 변발을 모두 자를 것을 명령했다.[76][77][78]
이에 많은 한족들은 환호했고, 중국 전역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변발을 잘랐다. 전변은 주로 군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혁명가들은 거리로 나가 선전과 교육을 실시하여 모두에게 땋은 머리를 자르도록 설득했다. 그럼에도 땋은 머리를 잘랐을 경우 청나라 정부에게 참수당할 것을 우려했던 사람들과 역사와 전통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여전히 많은 이들이 따르지 않았다. 이에 중화민국은 지속적으로 전변을 추진했고, 그 결과 변발은 점차 중국인들 사이에서 사라지게 되었다.[76][77][78]
4. 형태
몽골 계통 민족(동호족, 선비족, 거란족, 몽골족)은 앞 머리털을 약간 남기고 옆 머리털을 양측으로 내려서 땋고 나머지 가운데 머리털은 미는 머리매무새를 하였다. 말갈 계통 민족(여진족, 만주족)은 앞 머리털이고 가운데 머리털이고 옆 머리털이고 다 밀고 뒤 머리털만 아주 약간 남겨서 한쪽으로 내려서 땋았다. 몽골과 만주의 변발은 그 머리모양새가 두 갈래와 한 갈래로 달랐다. 탕구트족만 유일하게 변발을 했다.
만주족의 청나라에서 시작된 습관으로 알려져 있지만, 만리장성 이북의 여러 민족은 각각 머리를 깎는 풍습을 가지고 있었다. 거란족은 정수리만 남기고, 몽골족은 앞머리와 좌우 측두부를 남겨 양쪽 귀 뒤로 두 가닥의 땋은 머리를 늘어뜨렸다. 그 스타일은 민족과 시대의 차이에 따라 다양하며, 튀르크계 제족에게도 공통적으로 보이는 풍습이었다. 변발이란 이러한 습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몽골족이 측두부를 남긴 데 반해, 만주족은 뒤통수만 머리카락을 남기고, 이것을 한 가닥으로 땋아 뒤로 늘어뜨렸다. 만주족의 변발은 서양인들에게서 피그 테일(pig tail)이라고 불렸다. 만주족의 전신을 형성하는 여진족 역시 만주족과 유사한 변발을 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5. 사회적 의미
1644년 이자성의 난으로 명이 멸망하고 청(후금)이 중국 대륙을 차지하면서, 청 왕조는 한족 남성에게 변발을 강요하는 치발령(薙髮令)을 내렸다.[105] 이는 만주족 지배에 대한 복종을 확인하고, 반역 여부를 가리는 수단이었다. 베이징 입성 직후, 제3대 황제 순치제의 섭정 도르곤은 한족에게 '변발 강제령'을 발령했다. 당시에는 중화 사상의 뿌리 깊은 저항으로 인해 강제할 수 없어 철회했지만, 1645년에 '변발 강제령'을 재발령하고 변발을 강제했다.
유교 전통에서는 머리카락을 포함한 신체를 훼손하는 것을 '불효'로 여겨 금기였기 때문에 저항하는 자도 많았지만, 청나라는 변발을 한 자에게는 기존의 생활과 관습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과거 시험 자격도 부여했다.[106]
청나라의 지배가 안정되면서 변발이 널리 퍼져 19세기에는 '중국적인 풍습'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명나라 멸망 후에도 명나라의 의관 제도를 지키던 조선의 조선 연행사는 청나라 사람의 머리 모양을 오랑캐로 여기고 멸시했다.[108]
근대에 들어서면서 '반청'을 표방하는 증거로 변발을 자르는 자도 늘었다. 특히 구미에 유학한 청나라 사람들은 생활상의 이유로 단발하는 경우도 있었다. 미국 유학 중에 변발을 자른 학생은 관비 유학 제도에서 제외되거나, 강제 귀국 조치되기도 했다.[109]
5. 1. 정치적 복종과 저항
1644년 이자성의 난으로 명나라가 멸망하고, 만주족의 청(후금)이 산해관을 넘어 북경을 점령했다. 청나라 제3대 황제 순치제의 섭정 도르곤은 청나라의 중국 지배를 공고히 하고, 만주족 지배 권력에 대한 복종과 반역을 구별하기 위해 한족 남성에게 치발령(薙髮令)을 선포하여 변발을 강요했다.[111]중화사상이 뿌리 깊었던 한족들은 이 정책에 극심하게 반발하여 일시적으로 중단되었지만, 1645년 다시 치발령이 선포되어 변발이 강제되었다. 청나라는 변발을 거부하는 자에게 사형을 선고하며, "목을 남겨놓고 싶다면 머리털을 남겨두지 마라. 머리털을 남겨두겠다면 목을 남겨두지 않겠다"(留頭不留髮, 留髮不留頭)는 슬로건으로 변발을 강제했다.[111]
유교 전통에서는 신체를 훼손하는 것을 불효로 여겨 금기시했기 때문에 저항이 잇따랐다. 그러나 청나라는 변발을 한 자에게는 기존 한족의 생활 방식을 인정하고 과거 응시 자격도 부여했다.[112] 청나라는 한족이 변발을 싫어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치발령을 발령했는데, 이는 '피아식별'에 효과적이었다.[111] 한족 중에는 이를 오랑캐 풍습이라며 자결하는 사람도 있었고, 승려나 도사가 되는 자도 많았는데, 이는 승려나 도사에게는 변발이 면제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도교 도사들은 한족의 전통 상투를 틀 수 있었고 명나라 의복을 유지할 수 있었다.[113]
청나라의 중국 지배가 안정됨에 따라 변발이 보급되어 19세기에는 한족 사회에서 변발이 중국적인 관습으로 여겨질 정도였다. 만주족의 변발은 정수리 부분만 남기고 밀었지만, 청나라 말기에는 뒤통수를 덮을 정도로 머리를 남겨 두었고,[115] 많은 사람들이 머리카락에 관한 청법을 위반했다. 그러나 대부분 땋은 머리 형태는 유지했다. 만주족의 변발이 차츰 한족의 변발에 가깝게 변해 갔다.[111] 조선의 연행사들은 이러한 한족들의 머리 모양을 오랑캐에 물들었다며 매도하였다.[116]
변발령(剃发令|tìfàlìng중국어),[34][35] 또는 '삭발령'은 17세기에 청나라가 강제로 시행한 법률이었다. 1753년에는 타이완 원주민에게도 강요되었고,[36][37] 19세기 말에는 중국 북동부에 정착한 한인에게도 강요되었다.[38][39] 그러나 류큐 왕국의 류큐인은 중국의 조공국으로서 면제를 요청하여 허가받았다.
전통적으로 성인 한족은 철학적, 문화적 이유로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았다. 효경에 따르면, 공자는 "우리는 부모로부터 몸, 피부, 머리카락을 받았으니 훼손하지 말아야 한다. 이것이 효도의 근본이다."라고 말했다.()[40] 이러한 이유로, 남녀 모두 머리를 묶어 땋거나(상투) 다양한 헤어스타일을 유지했다.
한족은 머리 뒤쪽에 변발을 하는 데는 반대하지 않았지만, 이마를 깎는 것에 대해서는 격렬하게 반대했다. 청나라는 변발을 강요하기보다는 이마를 깎도록 강요하는 데 집중했다. 청나라 초기에 청나라의 헤어스타일에 반대했던 한족 반군은 변발을 했지만, 머리 앞부분을 깎으라는 명령을 거부했다. 한 사람은 앞머리를 깎는 것을 거부하여 처형되었지만, 머리 뒤를 땋았다. 서구화된 혁명가들이 변발을 뒤떨어진 것으로 보고 짧은 머리의 서양식 스타일을 채택할 것을 옹호한 것은 나중의 일이었다.[41] 태평천국과 같은 청나라에 반대하는 한족 반군은 뒷머리에 변발을 유지했지만, 머리 앞부분을 기르는 것으로 반항했다. 이로 인해 청나라는 머리 앞부분을 깎는 것을 충성의 주요 징표로 간주했다.[42] 정성공은 깎은 머리가 파리처럼 보인다고 언급하며 청나라의 헤어스타일을 비판했다.[43] 정성공과 그의 부하들은 청나라가 정성공을 봉신으로 인정하는 대가로 삭발을 요구했을 때 삭발을 거부했다.[44] 청나라는 정경과 그의 부하들에게 대만에서 삭발하고 봉토를 받을 것을 요구했다. 그의 부하들과 명나라 황족 주술계는 삭발에 격렬하게 반대했다.[45]
1644년, 베이징은 명나라 말기 관리 출신 농민 반란 지도자 이자성이 이끄는 반란군 연합에 함락되었다. 숭정제는 도시가 함락되자 자살하여 명나라의 공식적인 종말을 알렸다. 한족 명나라 장군 오삼계와 그의 군대는 청나라에 투항하여 산해관을 통과하도록 허용했다. 그들은 베이징을 점령하고 이자성의 단명한 순나라를 전복했다. 그 후 그들은 한족에게 복종의 표시로 변발을 하도록 강요했다.[46]
1년 후, 청나라 군대가 중국 남부에 도달한 후, 1645년 7월 21일, 섭정 도르곤은 모든 한족 남성에게 이마를 깎고 나머지 머리카락을 만주족과 동일한 변발을 하라는 칙령을 내렸다.[47] 청나라 만주족 왕자 도르곤은 처음에는 장성을 넘어 남쪽의 명나라 영토(1644년 이후 청나라에 편입된 지역)에 있는 모든 남성에게 삭발 명령을 취소했다. 산둥 출신의 한족 관리 손지섭과 이약린이 자발적으로 이마를 깎고 청나라 도르곤 왕자에게 모든 인구에게 변발 헤어스타일을 강요할 것을 요구하여 변발령이 내려졌다.[48] 한족은 10일 안에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죽음에 직면했다. 도르곤은 유교 신자들이 반대할 근거가 있을 수 있음을 인정했지만, 대부분의 한족 관료들은 명나라의 전통적인 예악 제도를 저항의 이유로 제시했다. 이로 인해 도르곤은 그들의 동기에 의문을 제기했다. "관리들이 백성이 우리의 예악을 존중하지 않고 명나라의 것을 따라야 한다고 말한다면, 그들의 진정한 의도는 무엇인가?"[46]
칙령에서 도르곤은 만주족과 청나라 황제 자신이 모두 변발을 하고 이마를 깎았다는 사실을 강조하여, 변발령을 따르면 한족이 만주족과 황제처럼 보이게 된다고 했다. 이것은 백성이 황제의 아들과 같고 외모도 비슷해야 한다는 유교적 개념을 불러일으켰다.[49][50]
청나라가 채택한 슬로건은 "머리를 깎고 머리를 보존하라, (또는) 머리를 보존하고 머리를 깎아라"였다.[51] 이 명령을 거부하는 사람들은 치명적인 무력에 직면했다. 한족 반군은 산둥에서 도르곤에게 변발령을 제안한 청나라 관리를 고문하여 죽이고 그의 친척들을 죽였다.[52]
이 명령의 시행은 균일하지 않았다. 중국 전체가 이 명령을 준수하도록 군사적으로 집행하는 데 최대 10년이 걸렸고, 변발 헤어스타일을 일반 대중에게 강요한 것은 청나라였지만, 항상 명령을 따르지 않는 사람들을 직접 처형한 것은 아니었다. 한족 투항병이 변발 착용을 거부하는 사람들을 상대로 대량 학살을 자행했다. 이성동은 명나라에서 복무했지만 청나라에 투항한 한족 장군으로, 부대에게 한 달 안에 가정에서 세 차례의 학살을 자행하도록 명령하여 수만 명의 사망자를 냈다. 세 번째 학살로 살아남은 사람은 거의 없었다. 가정 구의 세 차례 학살은 가장 악명 높은 사건 중 일부로, 사망자 수는 수만 명에서 수십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강음 또한 약 10,000명의 청나라 군대에 대해 83일 동안 저항했다. 1645년 10월 9일, 마침내 성벽이 무너지자, 한족 명나라 투항병 유량좌가 이끄는 청나라 군대는 "칼을 집어넣기 전에 시체로 도시를 채우라"는 명령을 받고 인구 전체를 학살하여 74,000명에서 100,000명 사이의 사람들을 죽였다.[53]
1645년 한족 장군 홍승주 휘하의 한족 군인들은 강남 사람들에게 변발을 강요했고, 복주에서는 처음 시행되었을 때 한족 사람들에게 변발을 착용하도록 은화를 지급했다.[54][55]
변발은 청나라가 일반 한족에게 강요한 유일한 만주 문화의 측면이었다. 청나라는 관료로 일하는 사람들에게 만주족 의복을 착용하도록 요구했지만, 다른 한족 민간인들은 한푸 (한족 의상)를 계속 착용하도록 허용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한족 민간 남성은 자발적으로 창산과 같은 만주족 의복을 채택했다.[56][57] 청나라 시대 내내 한족 여성들은 한푸를 계속 입었다.[58]
그러나 삭발 정책은 많은 소수 민족이 살고 있는 중국 남서부의 토사 자치 족장들에서는 시행되지 않았다. 한족 고캉족이 거주하는 고캉 세습령이 있었다.
청나라는 회족과 살라족과 같은 모든 민족의 모든 백성에게 이마를 깎고 변발을 하도록 요구했지만, 위구르족과 살라족과 같은 일부 투르크계 무슬림 민족은 이미 문화의 일부로 머리 전체를 깎았고 대머리였기 때문에 가짜 변발 가발을 쓰지 않는 한 변발을 할 수 없었다. 조나단 니먼 립먼에 따르면 청나라는 살라족에게 변발을 착용하도록 요구했다.[59][60][61] 청나라 시대에 살라족 남성들은 머리를 대머리로 깎았고, 공공 장소에 갈 때는 인공 변발을 착용했다.[62] 위구르족 남성들은 청나라 시대에 머리를 대머리로 깎았다.[63] 현재 위구르족 남성들은 여름에 여전히 머리를 대머리로 깎는다.[64] 진성은 14~15세기 투르판과 쿠물에 있는 무슬림 투르크족은 머리를 깎았고, 비무슬림 투르크족은 긴 머리를 길렀다고 관찰했다.[65][66]
그러나 자한기르 호자가 카슈가르를 침략한 후, 신장의 투르키스탄 무슬림 베그와 관리들은 제국에 대한 흔들리지 않는 충성을 보여주기 위해 변발을 착용하는 "특권"을 열렬히 쟁취했다. 고위 베그에게 이 권리가 부여되었다.[67]
변발령의 목적은 청나라에 대한 충성을 보여주는 것이었고, 머리를 깎는 것을 거부하는 것은 백련교도의 난에서 볼 수 있듯이 혁명적 이상을 상징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태평천국의 구성원들은 때때로 장모(長毛|zhǎngmáo중국어) 또는 머리 반란군 (髮逆|fà nì중국어)이라고 불렸다.[68]
청나라의 변발 강요에 대한 한족의 저항은 광범위하고 유혈 사태를 동반했다. 요동 반도의 한족은 의무적인 변발 시행에 반발하여 1622년과 1625년에 반란을 일으켰다. 만주족은 지식인 계층을 살해하고 한족과 만주족 사이의 더 엄격한 분리를 제도화함으로써 신속하게 대응했다.[69]
1645년, 만주족 통치자들은 변발 명령의 시행을 한층 더 강화하여, 열흘 안에 만주족의 머리 모양을 하지 않는 사람은 누구든지 처형하라는 칙령을 내렸다. 지식인 루쉰은 의무적인 만주족 머리 모양 시행에 대한 중국인들의 반응을 "사실, 그 당시 중국인들은 나라가 멸망 직전에 놓여서가 아니라 변발을 해야 했기 때문에 반란을 일으켰다"라고 요약했다. 1683년 정극상은 항복하고 변발을 했다.[69]
변발은 청나라의 상징이 되었고, 불교 승려를 제외한 모든 이들에게 강요되었다.[70][71][72] 일부 혁명가, 백일 신유 운동 지지자 또는 유학생들은 변발을 잘랐다. 1911년의 신해 혁명은 거의 하룻밤 사이에 머리 모양에 완전한 변화를 가져왔다. 변발은 쇠퇴한 정부와 연관되면서 인기를 잃게 되었고, 이는 루쉰의 단편 소설 ''다완 속의 폭풍''에 묘사되어 있으며, 홍콩의 중국 시민들이 집단적으로 짧은 머리로 바꾼 사실로 입증된다.[73]
17, 18, 19세기에 베트남과의 광둥 해상 변경에서 광둥 지역의 불법 해적들은 면도를 강요하는 청나라 법에 반하여 머리를 길게 길렀다.[74]
청나라 말기에 많은 사람들이 머리에 대한 청나라 법을 위반했다. 일부 중국인들은 변발을 하되 정수리를 깎지 않는 것을 선택했고, 변발을 자르고 면도를 하지 않은 사람들은 혁명가로 간주되었으며, 다른 사람들은 변발과 정수리 삭발을 결합한 국가에서 강요한 머리 모양을 유지했다.[75]
5. 2. 민족 정체성
1644년 이자성의 난으로 명이 멸망하고 만주족의 청(후금)이 중국 대륙을 차지하면서, 청 왕조는 한족 남성에게 변발을 강요하는 치발령(薙髮令)을 내렸다.[111] 이는 만주족 지배에 대한 복종을 확인하고, 반역 여부를 가리는 수단이었다.중화사상에 익숙한 한족들은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을 불효로 여겨 심하게 반발했지만, 청은 "목을 남겨놓고 싶다면 머리털을 남겨두지 마라. 머리털을 남겨두겠다면 목을 남겨두지 않겠다"며 강경하게 변발을 강제했다.[111] 청은 변발을 하는 자에게는 기존 생활 방식을 인정하고 과거 응시 자격도 주었다.[112]
승려나 도사는 변발이 면제되었기 때문에, 많은 한족들이 승려나 도사가 되었다. 특히 도교 도사들은 한족의 전통 상투를 유지하고 명나라 의복을 입을 수 있었다.[113]
시간이 지나면서 변발은 점차 한족 사회에 퍼져 19세기에는 "중국적인 관습"으로 여겨질 정도가 되었다. 그러나 만주족의 변발은 정수리 부분만 남기고 밀어버리는 형태였던 반면, 청 말기 한족들은 뒤통수를 덮을 정도로 머리를 남겨두는 등 변형된 형태를 따랐다.[115] 오히려 만주족의 변발이 한족의 변발에 가깝게 변해갔다.[111] 조선의 연행사들은 이러한 한족들의 변발을 오랑캐에 물들었다며 비판했다.[116]
5. 3. 근대화와 탈피
1911년 쑨원은 신해혁명을 일으켜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을 세웠다. 이와 함께 청나라 말기에 나타난 변발을 자르자는 운동인 '전변운동(剪辮運動)'이 활발해졌다. 1912년 3월 5일, 쑨원의 중화민국 임시정부는 중국 전역에 변발을 자를 것을 명령하는 공보를 발표했다.[69]이에 많은 한족들이 환영하며 변발을 잘랐다. 전변은 주로 군대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혁명가들은 거리에서 사람들에게 변발을 자를 것을 설득했다. 그러나 청나라 정부의 보복을 두려워하거나 전통을 지키려는 사람들은 변발을 유지하기도 했다. 중화민국 정부는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변발을 점차 사라지게 했다.[69]
청나라의 변발 강요에 대한 한족의 저항은 컸으며, 이로 인해 유혈 사태도 발생했다. 요동 반도의 한족들은 변발 강요에 반발하여 1622년과 1625년에 반란을 일으켰다. 만주족은 지식인 계층을 살해하고 한족과 만주족을 엄격히 분리하는 정책으로 대응했다.[69]
1645년, 만주족 통치자들은 변발을 하지 않는 사람을 처형하라는 칙령을 내려 변발 강요를 더욱 강화했다. 지식인 루쉰은 "사실, 그 당시 중국인들은 나라가 망하기 직전이라서가 아니라 변발을 해야 했기 때문에 반란을 일으켰다"라고 말했다.[69] 1683년 정극상은 항복하고 변발을 하였다.[69]
변발은 청나라의 상징이 되었고, 불교 승려를 제외한 모든 사람에게 강요되었다.[70][71][72] 일부 혁명가, 백일 신유 운동 지지자, 유학생들은 변발을 잘랐다. 1911년 신해 혁명 이후 변발은 쇠퇴한 정부와 연관되어 인기가 없어졌고, 이는 루쉰의 단편 소설 ''다완 속의 폭풍''에도 묘사되어 있다. 홍콩의 중국 시민들은 집단적으로 머리를 짧게 잘랐다.[73]
17, 18, 19세기에 베트남과의 광둥 해상 변경에서 광둥 지역의 불법 해적들은 청나라의 강요에 반하여 머리를 길게 길렀다.[74] 청나라 말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청나라의 법을 어겼다. 일부는 변발을 하되 정수리를 깎지 않았고, 변발을 자르고 면도를 하지 않은 사람들은 혁명가로 간주되었다. 또 다른 사람들은 변발과 정수리 삭발을 결합한 국가에서 강요한 머리 모양을 유지했다.[75]

18세기 유럽 군인들은 전통적으로 긴 머리를 "솔저 큐(soldier's queue)"라고 불리는 변발 스타일로 연출했다. 1678년 루이 14세가 머리를 뒤로 묶고 사냥하는 모습이 처음 묘사되었고, 1730년대에 이르러 변발은 군대에서 시작되어 민간인들 사이에서도 널리 퍼졌다.[89][90][91] 1697년 부르고뉴 공작의 결혼식에서 왕실 근위병의 모습이 묘사되었는데, 이 헤어스타일은 루이 14세의 통치 기간 동안 프랑스가 자주 전쟁을 벌이면서 민간 패션에도 영향을 미쳤다.
변발은 곱슬거리거나 실크 주머니(백 가발)로 덮여 있었으며, 다루기 힘든 큰 가발을 점차 대체했고, 1790년대의 의상 변화가 프랑스 혁명에 의해 이루어지기 전까지 남성 패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92] 일반 남성들에게는 루이 14세 사후 큐로 묶은 가발(tyewig)과 백 가발이 널리 퍼졌고, 밥 가발과 같이 변발이 없는 가발은 긴 가발을 살 여유가 없는 사람들이 선호했다. 가발의 종류는 사람의 계급, 직업, 정치적 성향을 나타내는 지표가 되었다.[93]
변발 착용을 군인들에게 금지한 최초의 서방 군대는 1780년대의 러시아 군대였다. 예카테리나 2세의 총애를 받던 러시아 정치가 그리고리 포툠킨은 러시아 군대의 군인들이 착용하는 조여진 군복과 불편한 분을 바른 가발을 혐오하여 이 두 가지 모두를 완전히 개정했다. 편안하고 실용적이며 잘 맞는 군복과 함께 그의 개혁은 가발, 분, 기름칠, 머리 묶기가 없는 깔끔하고 자연스러운 헤어스타일을 모든 사람에게 도입했다.[94]
프랑스 군대는 가발을 뒤에 리본으로 묶은 짧은 변발(프랑스어로 "꼬리"라는 뜻)로 땋았고, 영국군은 넥타이와 꼬리 끝에 검은 리본 두 개로 묶인 매우 긴 변발을 특징으로 하는 라밀리에 가발을 사용했다.[95] 프랑스 군대는 프랑스 통령 정부 시대(1799년-1804년)까지 변발을 유지했는데,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와 다른 장교들은 "알라 티투스"로 알려진 짧게 자른 머리를 장려했다. 나폴레옹 자신도 처음에는 변발로 긴 머리를 하고 있었지만, 1798년 이집트에서 헤어스타일을 바꾸고 머리를 짧게 잘랐다.[96] 그러나 프랑스 군대의 머리 규정은 통일되지 않았다. 근위 보병 연대와 같은 일부 연대는 한참 후에도 변발을 고수했고, 제2선 보병 연대는 1812년까지 변발을 유지했다. 짧은 머리는 제1제국 말기인 1815년 9월 25일의 칙령에 의해 비로소 의무화되었다.[97] 장 란 원수는 변발을 자르기를 거부하여 눈에 띄었다.[98][99]
18세기 영국 군인과 선원들도 머리를 변발로 했다. 항상 땋은 것은 아니었지만, 머리카락은 매우 꽉 묶여 가죽 조각으로 감싸고 리본으로 묶었다. 머리카락은 종종 가발과 유사한 방식으로 기름칠하고 분을 칠하거나, 선원의 경우 타르를 칠했다. 군인들의 머리카락은 너무 꽉 묶여서 나중에 눈을 감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고 한다. 영국 육군에서 흰색 머리 분을 사용하는 것은 1796년에 중단되었고, 4년 후 변발을 자르라는 명령이 내려졌다.[100] 영국 해군에서는 잠시 더 착용했는데, "피그테일"로 알려졌다. 장교들은 1805년까지 피그테일을 착용했고, 다른 계급은 1820년까지 계속 착용했다.[101]
프로이센 왕국 육군과 신성 로마 제국 내 다른 여러 국가의 육군에서는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통치 하에서 병사의 변발이 의무화되었다. 머리카락을 땋기에 너무 짧은 신병들에게는 인공 또는 "특허" 변발이 지급되었다. 이 스타일은 1807년 프로이센 육군에서 폐지되었다.[102]
미국 육군에서는 독립 전쟁 (1775년-1783년)부터 1801년까지 변발 또는 피그테일을 착용했다. 모든 변발을 제거하라는 명령은 1801년 4월 30일 제임스 윌킨슨 소장에 의해 내려졌다. 이 명령은 장교와 사병 모두에게 매우 인기가 없었고, 탈영과 사임 위협으로 이어졌다. 한 고위 장교인 토머스 버틀러 중령은 1803년 머리를 자르지 않아 군사 재판에 회부되었다.[103] 1817년 우호 시대로 알려진 기간 동안, 독립 전쟁 참전 용사였던 마지막 미국 대통령인 제임스 먼로는 전국적인 대규모 친선 투어를 진행했다. 투어에서 그는 독립 전쟁 장교의 제복을 입고, 18세기의 구식 스타일에 따라 길고 분을 바른 머리카락을 변발로 묶었다.[104]
6. 현대적 인식
현대 사회에서 변발은 다양한 방식으로 인식된다. 청나라 이전 한족에게 변발은 만주족의 낯선 풍습이었으나, 청나라의 강요로 인해 점차 중국인의 이미지와 결합되었다. 이 시기 중국과 교류한 외국인들은 변발을 붕어 수염과 함께 중국인의 대표적인 이미지로 인식하게 되었다.
6. 1. 대중문화
청나라 이전 한족에게 변발은 만주족의 낯선 풍습이었으나, 청나라의 강요로 인해 점차 중국인의 이미지와 결합되었다. 이 시기 중국과 교류한 외국인들은 변발을 붕어 수염과 함께 중국인의 대표적인 이미지로 인식하게 되었으며, 이는 일본 만화 라면맨(『투장!! 라면남』) 등에서도 나타난다.
프로레슬러 킬러 칸은 한때 변발을 한 적이 있으나, 이는 몽골 스타일의 기믹이었기 때문에 만주족의 변발과는 차이가 있었다.
참조
[1]
서적
Great Wall of China: Beijing & Northern China
https://books.google[...]
Bradt Travel Guides
2006
[2]
서적
Writing with Thread: Traditional Textiles of South Minorities : a Special Exhibition from the Collection of Huang Ying Feng and the Evergrand Art Museum in Taoyuan, Taiw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Art Gallery
2009
[3]
서적
Pre-modern East Asia: To 1800: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2006
[4]
서적
Beyond the Pass: Economy, Ethnicity, and Empire in Qing Central Asia, 1759–1864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8
[5]
서적
Sport Across Asia: Politics, Cultures, and Ident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6]
웹사이트
Hairy History
https://www.theworld[...]
2024-09-12
[7]
서적
Fashion, Identity, and Power in Modern Asia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8
[8]
서적
East 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9]
간행물
The End of the Queue: Hair as a Symbol in Chinese History
http://www.eastasian[...]
1994-12
[10]
서적
Ancient Mortuary Traditions of China: Papers on Chinese Ceramic Funerary Sculptures
https://books.google[...]
Far Eastern Art Council,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11]
서적
Political Frontiers, Ethnic Boundaries and Human Geographies in Chinese History
Routledge
2005
[12]
서적
Dunhuang Art: Through the Eyes of Duan Wenjie
https://books.google[...]
Indira Gandhi National Centre for the Arts
[13]
간행물
Ming Taizu's 'Placards' on Harsh Regulations and Punishments Revealed in Gu Qiyuan's 'Kezuo Zhuiyu.'
https://www.jstor.or[...]
2021-04-16
[14]
서적
China: A History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15]
서적
China: A History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1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6, Alien Regimes and Border States, 907–136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The Origins of the Chinese Nation: Song China and the Forging of an East Asian World Orde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18]
서적
A Social History of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19]
서적
Arts of the Sung and Yüan: Ritual, Ethnicity, and Style in Painting
https://books.google[...]
Art Museum, Princeton University
1999
[20]
서적
Gilded Splendor: Treasures of China's Liao Empire
https://books.google[...]
Harry N. Abrams
2006
[21]
서적
5000 years of Chinese costumes
https://books.google[...]
Commercial Press
[22]
서적
Tales from the Land of Dragons: 1000 Years of Chinese Painting
https://books.google[...]
Museum of Fine Arts
1997
[23]
서적
Women of the Conquest Dynasties: Gender and Identity in Liao and Jin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11
[24]
서적
Women of the Conquest Dynasties: Gender and Identity in Liao and Jin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11
[25]
간행물
China Review International, Volume 19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ʻi, Center for Chinese Studies and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2
[26]
문서
Sinor 1996
https://books.google[...]
[27]
웹사이트
宋金时代的“留发不留头”
http://news.xinhuane[...]
[28]
웹사이트
身体的争夺与展示
http://ccsh.nankai.e[...]
[29]
웹사이트
http://tw.myblog.yah[...]
[30]
웹사이트
http://news.guoxue.c[...]
[31]
웹사이트
彻底改变两百年官定习俗 民国初年剪辫轶话
http://www.ce.cn/cul[...]
[32]
서적
A History of the Peoples of Siberia: Russia's North Asian Colony 1581–199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33]
서적
Materials for the Study of Tungusic Languages and Folklor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1
[34]
서적
Zibuyu, "What The Master Would Not Discuss", according to Yuan Mei (1716–1798): A Collection of Supernatural Stories (2 vols)
https://books.google[...]
Brill
2013
[35]
서적
The Last Emperors: A Social History of Qing Imperial Institution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8
[36]
웹사이트
清朝乾隆23年清政府令平埔族人學清俗
http://www.beautymou[...]
2009-07-09
[37]
웹사이트
清朝之剃髮結辮
http://www.shs.edu.t[...]
[38]
웹사이트
On Qing Government's Land Policy towards Chaoxian Reclamation People of Break Probibition
http://www.qinghisto[...]
[39]
웹사이트
论清朝对图们江以北朝鲜垦民的"薙发易服"政策
http://bbs.ltgx.net/[...]
2010-01-09
[40]
서적
Sources of Chinese Tradi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41]
간행물
The End of the Queue: Hair as Symbol in Chinese History
http://www.chinaheri[...]
China Heritage Project, ANU College of Asia & the Pacific (CAP),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1-09
[42]
서적
What Remains: Coming to Terms with Civil War in 19th 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3
[43]
서적
Conflict and Commerce in Maritime East Asia: The Zheng Family and the Shaping of the Modern World, c. 1620–172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44]
서적
Conflict and Commerce in Maritime East Asia: The Zheng Family and the Shaping of the Modern World, c. 1620–172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45]
서적
Conflict and Commerce in Maritime East Asia: The Zheng Family and the Shaping of the Modern World, c. 1620–172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46]
서적
Soulstealers: The Chinese Sorcery Scare of 1768
Harvard University Press
[47]
문서
Wakeman,1985,p=647; Struve,1988,p=662; Dennerline,2002,p=87 which calls this edict "the most untimely promulgation of [Dorgon's] career."
[48]
서적
Two Rulers in One Reign: Dorgon and Shun-chih, 1644–1660
https://books.google[...]
Faculty of Asian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89
[49]
서적
Hair: Its Power and Meaning in Asian Cultures
SUNY Press
1998
[50]
서적
Conflict and Commerce in Maritime East Asia: The Zheng Family and the Shaping of the Modern World, c. 1620–172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
[51]
서적
Alternate Identities: The Chinese of Contemporary Thailand
https://archive.org/[...]
Brill Publishers
[52]
문서
研堂見聞雜記
[53]
문서
Wakeman,1975b,page=83
[54]
간행물
The End of the Queue: Hair as Symbol in Chinese History
http://www.chinaheri[...]
China Heritage Project, The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1-09
[55]
서적
Social Life of the Chinese: With Some Account of Their Religious, Governmental, Educational, and Business Customs and Opinions. With Special But Not Exclusive Reference to Fuhchau
https://books.google[...]
Harpers
[56]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57]
문서
Twitchett, Denis; Fairbank, John K. (2008)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ume 9 Part 1 The Ch'ing Empire to 1800, pp. 87–88
[58]
서적
中国古代服饰史
中国戏剧出版社
[59]
서적
Familiar Strangers :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uw.manifold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7
[60]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11
[61]
서적
Familiar Strangers: A History of Muslims in Northwest China
https://muse.jhu.edu[...]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7
[62]
서적
Salar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63]
서적
Empire at the Margins: Culture, Ethnicity, and Frontier in Early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6
[64]
서적
Muslim Uyghur Students in a Chinese Boarding School: Social Recapitalization as a Response to Ethnic Integration
https://books.google[...]
Lexington Books
2008
[65]
서적
The Turfan Dialect of Uyghur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05
[66]
서적
Uyghur Nation: Reform and Revolution on the Russia-China Frontier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6
[67]
서적
Beyond the Pass: Economy, Ethnicity, and Empire in Qing Central Asia, 1759–1864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8
[68]
서적
Hair: Its Power and Meaning in Asian Culture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69]
웹사이트
鄭氏王朝的滅亡
http://www.taiwanus.[...]
[70]
웹사이트
"cutting tail"reflected the jiang nan social in guang xu dynasty two years
http://depthis.ccu.e[...]
2009-09-26
[71]
웹사이트
清代妖术恐慌及政府的对策:以两次剪辫谣言为例_历史千年
https://archive.toda[...]
2013-04-24
[72]
웹인용
頭可斷辮子不可剪 清朝留學生剪辮=偷了情
http://www.stnn.cc:8[...]
2011-10-03
[73]
서적
Old Hong Kong – Volume One
Text Form Asia books Ltd.
2003
[74]
논문
Violence and Predation on the Sino-Vietnamese Maritime Frontier, 1450–1850
https://www.jstor.or[...]
2021-04-16
[75]
서적
Modern Chinese Literature and Culture, Volume 19, Issue 1
https://books.google[...]
Foreign Language Publications
2007
[76]
서적
Manchus and Han: Ethnic Relations and Political Power in Late Qing and Early Republican China, 1861–1928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77]
서적
The Museum Journal
https://books.google[...]
The Museum
[78]
서적
John Chinaman: His Ways and Notions
https://archive.org/[...]
J. Gardner Hitt
[79]
서적
The Long White Mountain, or, A journey in Manchuria: with some account of the history, people, administration and religion of that country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and Co.
[80]
논문
The Dissolution of the Chinese Empire
1899
[81]
논문
America's Share in a Partition of China
1900
[82]
서적
China
http://library.um.ed[...]
1893-04-28
[83]
서적
What Remains: Coming to Terms with Civil War in 19th 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3
[84]
서적
China's Encounters on the South and Southwest: Reforging the Fiery Frontier Over Two Millennia
https://books.google[...]
Brill
2014
[85]
문서
Annam and its Minor Currency
http://art-hanoi.com[...]
[86]
웹사이트
新疆曾有大批越南皇室后裔,乾隆时期投靠中国并前往乌鲁木齐开荒
https://kknews.cc/hi[...]
2018-05-27
[87]
웹사이트
Con trai vua Lê Thế Tông ở đất Thanh Châu
https://baodanang.vn[...]
2019-04-24
[88]
웹사이트
After Minh Mang reigned Nguyen Dynasty, why he deported Le royal descendants to the Southern Vietnam?
http://danviet.vn/do[...]
2018-12-09
[89]
서적
Fashion in Costume, 1200–2000
New Amsterdam Books
2000
[90]
서적
European Costume and Fashion, 1490–1790
Dover Publications
2002
[91]
서적
Clothing and Fashion [4 Volumes] American Fashion from Head to Toe [4 Volumes]
ABC-CLIO
2015
[92]
서적
The Versailles Effect: Objects, Lives, and Afterlives of the Domain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20
[93]
논문
Personal Effects: Wigs and Possessive Individualism in the Long Eighteenth Century
2005
[94]
서적
Reforming the Tsar's Army. Military Innovation in Imperial Russia from Peter the Great to the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5]
서적
Hats and Headwear Around the World A Cultural Encyclopedia
ABC-CLIO
[96]
서적
Napoleon, The Path to Power 1769 - 1799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97]
서적
Napoleon's Infantry Handbook An Essential Guide to Life in the Grand Army
Pen & Sword Military
[98]
서적
Napoleon's Marshals
Cooper Square Press
2002
[99]
서적
Power and Propaganda in French Second Empire Theatre Playing Napoleon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23
[100]
간행물
A Familiar History of the British Army, from the Restoration in 1660 to the Present Time
https://archive.org/[...]
Edward Stanford
1871
[101]
간행물
The Royal Navy, 1790–1970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1977
[102]
간행물
The Life And Times of Louisa, Queen of Prussia With an Introductory Sketch of Prussian History: Volume II
https://books.google[...]
Adamant Media Corporation
1878
[103]
논문
Lore of the Corps – The True Story of a Colonel's Pigtail and a Court-Martial
https://books.google[...]
2022-05-20
[104]
문서
2008
[105]
문서
2000
[106]
문서
石橋(2000)pp.118-120
[107]
문서
愛新覚羅ウルヒチュン(1996)
[108]
문서
夫馬進(2015)p.458
[109]
간행물
19世紀後半のニューヘイブンにおける日米中異文化接触
https://doi.org/10.1[...]
2016
[110]
서적
断髪 近代東アジアの文化衝突
朝日新聞社
[111]
문서
石橋(2000)pp.118-120
[112]
문서
石橋(2000)pp.118-120
[113]
문서
만인과 한인은 모두 머리를 깎고 호복(胡服)을 입는데, 머리의 사면은 깎아 버리고 가운데 긴머리는 묶어서 뒤로 늘어뜨린다. 몽골은 머리를 모두 깎고 승니(僧尼)도 마찬가지이다. 유구(琉球 류큐. 현재 일본의 최남단에 있는 오키나와의 옛 이름)ㆍ회자(回刺)는 모두 머리를 깎지 않고 높이 상투를 틀며, 소위 도사(道士)라는 자들 역시 그렇게 한다.
[114]
문서
유종석도부종(儒從釋道不從) : 유가는 만주족을 따르되, 불교/도교는 원래 한족의 습관대로 하고 만주족을 따르지 않는다.
[115]
문서
愛新覚羅ウルヒチュン(1996)
[116]
문서
夫馬進(2015)p.45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