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외거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외거래는 거래소 밖에서 당사자 간 직접 이루어지는 금융 거래를 의미한다. 장외계약은 미래의 거래에 대한 합의를 포함하며, 선도 계약, 스왑 등이 대표적이다. 장외시장은 이러한 장외거래가 이루어지는 금융 시장을 지칭하며, 주식, 파생 상품 등 다양한 상품이 거래된다. 장외 파생 상품은 위험 헤지에 유용하지만, 거래 상대방 위험, 정보 비대칭성, 사기 등의 위험이 존재한다. 2007-08년 금융 위기 이후, 거래 상대방 위험 관리가 중요해졌으며, 중앙 청산소 청산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장외 파생 상품 시장은 세계 금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1980년대 이후 급격히 성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리금융학 - 이자율
이자율은 자금의 시간 가치를 반영하는 금리로서, 대출 또는 차입 시 지불되는 이자의 비율이며, 통화정책, 기준금리, 만기, 신용도, 시장 수요 공급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 수리금융학 - 72의 법칙
72의 법칙은 복리 계산 시 투자 원금이 두 배가 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수익률로 나누어 어림수로 추정하는 방법으로, 투자 결정 시 참고 자료로 활용되며, 이자율 조건에 따라 다른 숫자를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할 수 있다. - 주식시장 - 서킷브레이커 (주식 시장)
서킷브레이커는 주식 시장의 급격한 가격 변동을 막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지수 하락 시 거래를 일시 중단하거나 종료하는 조치를 통해 투자자에게 냉정을 되찾을 시간을 주지만, 매도세 가속화나 가격 발견 지연의 비판도 존재하며, 한국은 코스피 및 코스닥 지수 하락폭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여 거래를 중단 또는 종료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선물 시장에는 사이드카 제도를 병행하고 있다. - 주식시장 - 내부자 거래
내부자 거래는 상장 회사 관계자가 미공개 정보를 이용하여 유가 증권을 거래하는 불법 행위로, 여러 국가에서 규제되고 있으며, 정보 비대칭성, 규제의 실효성 등 쟁점을 야기한다.
| 장외거래 | |
|---|---|
| 개요 | |
| 유형 | 거래 방식 |
| 설명 | 장외거래(場外去來, Over-The-Counter, OTC)는 거래소와 같은 공식적인 시장 외부에서 이루어지는 증권 또는 기타 금융 상품의 거래 방식이다. |
| 특징 | 이러한 거래는 일반적으로 두 당사자 간에 직접 이루어지며, 중개인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장외거래는 표준화된 절차와 규정이 적용되는 거래소 거래와는 대조적이다. |
| 상세 설명 | |
| 정의 | 장외거래(OTC)는 거래소와 같은 공식적인 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직접 이루어지는 거래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특히 주식, 채권, 파생 상품 및 상품과 같이 거래소에서 상장되지 않은 증권 거래에 적용된다. |
| 거래 방식 | 장외거래는 거래소의 중앙 집중식 시장 구조를 따르지 않고, 딜러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딜러는 매수 및 매도 호가를 제시하고, 거래는 전화, 이메일 또는 독점적인 전자 거래 시스템을 통해 협상된다. |
| 관련 시장 | 외환 시장 스왑 시장 파생 상품 시장 |
| 장점 | |
| 유연성 | 거래 조건, 규모 및 구조를 맞춤화할 수 있다. |
| 접근성 |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다양한 증권에 투자할 수 있다. |
| 낮은 비용 | 거래소 수수료 및 중개 수수료가 없을 수 있다. |
| 단점 | |
| 낮은 투명성 | 거래 정보가 제한적일 수 있다. |
| 높은 위험 | 상대방의 신용 위험 및 유동성 위험이 높을 수 있다. |
| 규제 부족 | 거래소 거래보다 규제가 덜 엄격할 수 있다. |
| 기타 | |
| 관련 용어 | 핑크 시트 다자간 거래 시설 (MTF) |
| 참고 자료 | |
| 참고 문헌 | Investopedia - 핑크 시트 리뷰 McCrank, Susan (2014). Gregory, Alan (2011). 국제 스왑 및 파생 상품 협회 (ISDA) 국제 결제 은행 (BIS) |
2. 장외거래의 정의 및 특징
장외거래(場外去來, Over-the-counter, OTC)는 거래소를 통하지 않고 중개인이나 딜러 간의 협상을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금융 거래를 말한다.
장외거래는 주로 온라인이나 전화를 통해 이루어지며, 거래 당사자들이 직접 거래 조건(가격, 수량, 결제 방법 등)을 결정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장외거래는 거래소 거래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유연성: 거래 당사자들이 거래 조건을 자유롭게 협상할 수 있어, 거래소 거래보다 유연하다.
- 다양성: 거래소에 상장되지 않은 다양한 금융 상품(주식, 채권, 파생 상품 등)이 거래될 수 있다.
- 비공개성: 거래 정보가 공개되지 않아, 대규모 거래를 비밀리에 진행할 수 있다.
장외거래가 이루어지는 금융시장을 장외시장(over-the-counter market)이라고 한다.
2. 1. 장외계약
장외계약(over-the-counter contract)은 양 당사자가 현재 또는 미래의 거래에 대한 합의를 체결하는 계약이다. 장외거래는 두 당사자(또는 중개인으로서의 브로커나 은행)가 특정 거래 또는 계약을 미래에 어떻게 결제할지 합의하는 쌍방 계약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투자은행에서 고객에게 직접 제공된다. 선도 계약과 스왑이 이러한 계약의 대표적인 예이다. 주로 온라인 또는 전화로 이루어진다. 파생 상품의 경우, 이러한 계약은 일반적으로 국제 스왑 및 파생 상품 협회(ISDA) 협정에 의해 규율된다. OTC 시장의 이 부분은 때때로 "제4시장"이라고 불린다. 비평가들은 OTC 시장을 가격이 종종 공시되지 않고 규제되지 않기 때문에 "암시장"이라고 칭했다.[4]장외 파생 상품은 특히 "완벽한 헤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위험을 헤지하는 데 중요하다.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계약의 경우 표준화로 인해 계약이 일괄적인 상품이기 때문에 위험을 헤지할 수 있는 유연성이 떨어진다. 그러나 OTC 파생 상품을 사용하면 기업은 계약 사양을 위험 노출에 가장 적합하도록 맞춤화할 수 있다.[4]
2. 2. 장외시장
장외거래가 이루어지는 금융시장을 장외시장(over-the-counter market)이라고 한다.3. 장외거래 상품
장외시장에서는 주식, 채권, 파생 상품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이 거래된다.
3. 1. 주식
미국에서 주식의 장외 거래는 마켓 메이커가 OTC Link (OTC Markets Group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같은 딜러 간 시세 서비스를 사용하여 수행된다.[2] 거래소에 상장된 주식은 제3시장에서 장외 거래될 수 있지만, 드문 경우이다.OTCBB에 시세가 표시된 주식은 미국 증권 거래 위원회(SEC) 보고 요건을 준수해야 한다.[2] SEC는 OTCQX 주식에 대해 더욱 엄격한 재무 및 보고 요건을 부과한다. 핑크 시트 증권 및 "그레이 마켓" 주식과 같이 보고 요건이 없거나 매우 낮은 장외 주식도 있어 투자 위험이 높다.[2]
월마트와 같이 장외 주식으로 시작하여 거래소에 상장되는 경우도 있다.[3] 1969년에 월마트 스토어스 (Wal-Mart Stores Inc.)가 설립되었다. 1972년 아칸소, 캔자스, 루이지애나, 오클라호마, 미주리를 포함한 5개 주에 매장을 둔 월마트는 장외(OTC) 주식으로 거래를 시작했다. 1972년까지 월마트는 10억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렸으며, 이는 이를 달성한 가장 빠른 회사였다. 1972년 월마트는 WMT라는 티커 심볼로 뉴욕 증권 거래소(NYSE)에 상장되었다.
3. 2. 파생 상품
거래소를 거치지 않고 당사자 간에 직접 거래하는 파생 상품 거래이다. 특히 금융 기관 간의 상대 거래 파생 상품 거래는 비상장 주식과는 달리 상당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장외 파생 상품은 국제 스왑 및 파생 상품 협회(ISDA) 협정에 의해 규율되는 경우가 많다.[4] 장외 파생 상품은 위험 헤지에 유용하지만, 거래상대방 위험이 존재한다.[4] 거래상대방 위험은 파생상품 거래의 상대방이 거래 만료 전에 채무 불이행하여 계약에 따라 현재 및 미래의 지급을 이행하지 못할 위험을 의미한다.[5] 2007-08년 금융 위기 이후, 거래 상대방 위험 관리가 중요해졌으며, 중앙 청산소(CCP) 청산이 확대되는 추세이다.[5][6]4. 장외거래의 위험 및 규제
장외거래는 거래 상대방 위험, 정보 비대칭성, 낮은 유동성 등의 위험을 수반한다. 정보 비대칭성으로 인해 미공개 주식을 이용한 사기 등 투자자를 현혹하는 사기 행위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9]
4. 1. 거래 상대방 위험
거래 상대방 위험은 거래 상대방이 계약을 불이행할 위험을 의미한다. 2007-08년 금융 위기로 인해 거래상대방 위험은 특히 중요해졌다. 거래상대방 위험은 파생상품 거래의 상대방이 거래 만료 전에 채무 불이행하여 계약에 따라 현재 및 미래의 지급을 이행하지 못할 위험을 의미한다.[5]거래상대방 위험을 제한하는 방법으로는 다각화, 상계, 담보화, 헤지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신용 익스포저를 관리하는데 중점을 둔다.[6] 최근 몇 년 동안 장외 거래의 중앙 청산소 청산이 더욱 보편화되었으며, 규제 당국은 장외 시장에 거래를 공개적으로 청산하고 표시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
4. 2. 정보 비대칭성 및 사기 위험
장외시장은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아 정보 비대칭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미공개 주식을 이용한 사기와 같이 투자자를 현혹하는 사기 행위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9]5. 장외거래의 중요성
장외거래는 1980년대 이후 금융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게 되었다. 정보 및 컴퓨터 기술의 발전은 장외 파생 상품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했다. 국제 금융 기관들은 장외 파생 상품 거래를 통해 수익을 얻고 있으며, 금융 시장 참여자들 역시 혜택을 보고 있다. 2000년에는 장외 거래의 성장이 상업 및 투자 은행의 현대화와 금융 세계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2] 다만, 1990년대 후반 국제 통화 기금(IMF)은 장외 파생 상품 시장의 특징으로 인해 시장 안정에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3]
5. 1. 금융 시장의 역할
1980년대 이후 장외 파생 상품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여 현대 금융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1] 정보 및 컴퓨터 기술 발전은 장외 파생 상품 시장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2]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금융 기관들은 장외 파생 상품 거래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으며, 금융 시장 참여자들은 이를 통해 혜택을 받고 있다.[2] 2000년에는 장외 거래의 성장이 "여러 면에서 상업 및 투자 은행의 현대화와 금융의 세계화를 가능하게 했다"고 평가받았다.[2]IMF은 1990년대 후반의 "혼란의 에피소드"가 "장외 파생 상품 및 시장의 특징에서 비롯된 시장 안정에 대한 위험을 드러냈다"고 경고했다.[3]
6. 일본의 장외 주식 시장
과거 도쿄 증권 거래소에서는 도야마현의 비상장 주식 중 그린 시트 이외의 장외 취급 유가 증권 종목을 지바 주식이라 부르며 거래했지만, 인지도는 낮았다. 2012년 5월, 시마다이 증권이 도쿄 증권 거래소를 흡수 합병하면서 주주 커뮤니티[8] 형태로 지바 주식 거래를 이어가고 있다. 커뮤니티 참가자 외에도 거래는 가능하지만, 투자 권유는 커뮤니티 참가자에게만 허용된다.
JC 증권에서도 장외 주식 주문을 받았으나, 2021년 9월 파산 절차가 시작되면서 현재는 취급하지 않는다.
일본에서 장외 취급 유가 증권 중 증권회사가 투자 권유를 할 수 있는 경우는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였다. 장외 취급 유가 증권은 그린 시트 종목(2018년 3월 31일 폐지) 또는 피닉스 종목(2016년 6월 30일 이후 존재하지 않음)으로 지정되거나, 유가 증권에 양도 제한이 있는 경우였다.
참조
[1]
웹사이트
A Review of Pink Sheet Stocks and How Investors Can Trade Them
https://www.investop[...]
2021-04-21
[2]
뉴스
U.S. 'pink sheets' in shakeup as securities regulator looks to stamp out fraud
https://www.reuters.[...]
2021-09-23
[3]
웹사이트
Penny Stocks: Why You Should Always Stay Away
https://www.kiplinge[...]
2017-11-15
[4]
웹사이트
chicagofed.org
http://chicagofed.or[...]
[5]
웹사이트
OTC Clearing 'FIX'ed Up
http://fixglobal.com[...]
[6]
간행물
A Focus on OTC Clearing Innovation
https://www.theice.c[...]
Intercontinental Exchange
2011-09-29
[7]
문서
ISDA 2012 Market Analysis drew on "information sources including [[LCH.Clearnet|LCH.Clearnet's SwapClear]], TriOptima, the [[Trade Information Warehouse|DTCC Trade Information Warehouse]], [[Markit]], [[Intercontinental Exchange|ICE]], [[Chicago Mercantile Exchange|CME]], ISDA's 2012 Margin Survey and other clearinghouses and trade vendors."
[8]
웹사이트
株主コミュニティのご案内
http://shimadai.com/[...]
[9]
웹사이트
未公開株購入の勧誘にご注意!~一般投資家への注意喚起~ : 金融庁
https://www.fsa.go.j[...]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