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호 전투의 전투 서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진호 전투의 전투 서열은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으로 나뉘어 구성되었다. 유엔군은 더글러스 맥아더 육군 원수가 총사령관을 맡았으며, 에드워드 알몬드 중장이 지휘하는 제9(X)군단에 제1해병사단, 제3보병사단, 제7보병사단 등이 배속되었다. 중국인민지원군은 쑹스룬이 지휘하는 제9집단군이 참전했으며, 제20군, 제26군, 제27군 등이 예하 부대로 편성되었다. 주요 참전자로는 올리버 스미스, 체스티 풀러, 돈 페이스, 헨리 I. 호데스 등이 있으며, 이들은 훈장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전쟁의 전투 서열 - 6.25 전쟁의 미국 제8군 전투 서열
6.25 전쟁의 미국 제8군 전투 서열은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8군의 1950년 6월 25일, 7월 13일, 1953년 7월 27일의 부대 편성과 군단의 역할 및 주요 전투 참여 내용을 상세히 담고 있다. - 장진군 - 장진호 (호수)
장진호는 장진강에 댐을 건설하여 만들어진 인공 호수로, 장진강 수력발전소 운영을 위해 물을 흑림천으로 끌어오며, 장진호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 장진군 -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
신라 진흥왕이 동북 지역 순행을 기념하여 568년에 세운 황초령 진흥왕 순수비는 건립 배경, 진흥왕 업적, 순행 목적 등이 기록되어 있어 신라의 북방 영토 확장과 관직 체계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 장진호 전투의 전투 서열 | |
|---|---|
| 개요 | |
| 전투명 | 장진호 전투 |
| 다른 이름 | 초신 저수지 전투 |
| 교전 | 한국 전쟁 |
| 기간 | 1950년 11월 27일 ~ 1950년 12월 13일 |
| 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함경남도 장진호 |
| 결과 | 중공군의 전술적 승리, 유엔군의 전략적 철수 |
| 교전 세력 | |
| 교전국 1 | 유엔군 |
| 교전국 2 | 중국인민지원군 |
| 지휘관 및 지도자 | |
| 유엔군 지휘관 | 더글러스 맥아더 에드워드 알몬드 올리버 P. 스미스 |
| 중공군 지휘관 | 펑더화이 쑹스룬 타오용 |
| 병력 규모 | |
| 유엔군 병력 | 미국 제1해병사단 미국 제7보병사단 (일부) 영국 해병대 제41 코만도 대한민국 국군 (일부) |
| 중공군 병력 | 중국인민지원군 제9병단 (약 12만 명) |
| 피해 규모 | |
| 유엔군 사상자 | 전투 사망 및 실종: 약 4,500명 부상: 약 7,500명 동상: 약 12,000명 이상 |
| 중공군 사상자 | 사망 및 부상: 48,000명 추정 동상: 30,000명 추정 |
| 전투 서열 (유엔군) | |
| 미국 해병대 제1사단 | 사단장: 올리버 P. 스미스 소장 제1해병연대 제5해병연대 제7해병연대 제11해병연대 (포병) |
| 미국 육군 제7보병사단 | 사단장: 데이비드 G. 바 소장 제17보병연대 제31보병연대 전투단 (3대대) 제32보병연대 제1대대 제57포병대대 |
| 영국 해병 제41 코만도 | 지휘관: D.B. 드라이스데일 중령 |
| 전투 서열 (중공군) | |
| 중국인민지원군 제9병단 | 사령관: 쑹스룬 제20군 제26군 제27군 |
2. 유엔군
총사령관: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
- 지휘부: 제9(X)군단 - 군단장: 에드워드 M. "네드" 알몬드 중장
2. 1. 미 제10군단
에드워드 M. "네드" 알몬드 중장이 장진호 전투 당시 미 제10군단을 지휘했다.[1]- 지휘부
- * 제1헌병중대 - 대위 존 H. 그리핀
- * 제1수색중대 - 소령 월터 갤
- * 제41코만도 영국 해병대 (배속) - 소령 데니스 올드리지, RM (중좌 더글러스 B. 드라이스데일 RM 대신, 1950년 11월 29일 부상)
- * 제1해병연대 (RCT-1) - 대령 루이스 B. 풀러
- ** 제1해병연대 대전차 중대 - 대위 조지 E. 페트로
- ** 제1해병연대 4.2인치 박격포 중대 - 대위 프랭크 J. 포렉
- ** 제1해병연대 H&S 중대 – 대위 프랭크 P. 테이텀
- ** 제1대대 제1해병연대 - 중령 도널드 M. 슈머크
- ** 제2대대 제1해병연대 - 중령 앨런 서터
- ** 제3대대 제1해병연대 - 중령 토머스 L. 리지 (병행 지휘관, 하가루리 방어 부대)
제3대대 제1해병연대 G 중대 (배속, 드라이스데일 부대) - 대위 칼 L. 시터, 명예 훈장
- * 제5해병연대 (RCT-5) - 중령 레이먼드 L. 머레이
- ** 제5해병연대 대전차 중대 - 대위 렉스 O. 딜로
- ** 제5해병연대 4.2인치 박격포 중대 - 1Lt. 로버트 M. 루시
- ** 제5해병연대 H&S 중대 – 대위 잭 호손
- ** 제1대대 제5해병연대 - 중령 존 W. 스티븐스 2세
- ** 제2대대 제5해병연대 - 중령 해럴드 S. 로이즈
- ** 제3대대 제5해병연대 - 중령 로버트 D. 태플릿
- * 제7해병연대 (RCT-7) - 대령 호머 L. 리첸버그
- ** 제7해병연대 대전차 중대 - 1Lt. 얼 R. 드롱 (소령 월터 T. 워렌 대신, 1950년 12월 8일 부상)
- ** 제7해병연대 4.2인치 박격포 중대 - 소령 로드니 V. 레이가드
- ** 제7해병연대 H&S 중대 – 소령 로드니 V. 레이가드 (병행) (소령 월터 T. 워렌 대신, 1950년 12월 8일 부상)
- ** 제1대대 제7해병연대 - 소령 웹 D. 소이어 (중령 레이먼드 G. 데이비스 대신, 명예 훈장 (1950년 12월 8일 이동)
- ** 제2대대 제7해병연대 - 중령 랜돌프 S. D. 록우드
- ** 제3대대 제7해병연대 - 소령 워렌 모리스 (중령 윌리엄 F. 해리스 대신, 1950년 12월 6일 실종)
- * 제11해병연대 - 대령 칼 A. 영데일 (대령 제임스 H. 브라우어 대신, 1950년 11월 30일 NBC)
- ** 제11해병연대 본부 포대 - 1Lt. 윌리엄 C. 패튼
- ** 제11해병연대 지원 포대 - 1Lt. 조셉 M. 브렌트
- ** 제4.5인치 로켓 대대 C 포대, FMFPAC (배속) - 1Lt. 유진 A. 부셰
- ** 제1대대 제11해병연대 (105mm) (RCT-5에 배속) - 중령 하비 A. 피한
- ** 제2대대 제11해병연대 (105mm) (RCT-1에 배속) - 중령 메리트 아델만
- ** 제3대대 제11해병연대 (105mm) (RCT-7에 배속) - 중령 프랜시스 F. 페리
- ** 제4대대 제11해병연대 (155mm) (각 RCT에 1개 포대 배속) - 소령 윌리엄 맥레이놀즈
- * 제1수송대대, 제1해병사단 - 중령 올린 L. 벨
- ** 제7수송대대 A 중대, FMFPAC (배속) - 대위 아이라 N. 헤이즈
- * 제1해병사단 제1전차대대 일부 - 중령 해리 T. 밀른
- ** 제1전차대대 B 중대 - 대위 브루스 F. 윌리엄스
- ** 제1전차대대 D 중대 (드라이스데일 부대에 배속) - 대위 브루스 W. 클라크
- * 제1상륙정대대 (일부 분리 부대 제외) - 중령 어윈 F. 원 주니어
- * 제1공병대대, 제1해병사단 (일부 분리 부대 제외) - 중령 존 H. 파트리지
- * 제1의무대대, 제1해병사단 - 해군 중령 하워드 A. 존슨
- * 제1병기대대, 제1해병사단 (각 RCT에 분리 부대) - 소령 로이드 O. 윌리엄스
- * 제1근무대대, 제1해병사단 (각 RCT에 분리 부대) - 중령 찰스 L. 뱅크스
- * 제1해안경비대대, 제1해병사단 - 중령 헨리 P. 크로우
- * 제1신호대대, 제1해병사단 (각 RCT에 분리 부대) - 소령 로버트 L. 슈라이어
- * 대한민국 해병 제1연대
- * 대한민국 경찰 화랑부대

- * VMO-6 – 소령 빈센트 J. 갓셜크
- * VMR-152 – 중령 디앤 C. 로버츠
- * VMF-212 – 중령 리처드 W. 위차스키
- * VMF-214 – 소령 윌리엄 M. 런딘
- * VMF-312 – 중령 프랭크 콜
- * VMF-323 – 소령 아놀드 L. 런드
- * VMF(N)-513 – 중령 데이비드 C. 울프
- * VMF(AW)-542 – 중령 맥스 J. 볼칸섹
- * MTACS-2 – 소령 크리스찬 C. 리
- 제7보병연대 – 대령 존 S. 거스리
- * 제1대대 – 중령 찰스 하인리히
- * 제2대대 – 소령 사무엘 G. 카일
- * 제3대대 – 중령 토머스 오닐
- * 제10기갑야전포병대대 – 중령 월터 A. 다우닝
- 제15보병연대 – 대령 데니스 M. 무어
- * 제1대대 – 중령 로버트 블랜차드
- * 제2대대 – 중령 앨런 펙
- * 제3대대 – 중령 에드워드 파렐
- * 제58기갑야전포병대대 – 중령 해리 A. 스텔라
- 제65보병연대 – 대령 윌리엄 W. 해리스
- * 제1대대 – 중령 하워드 세인트 클레어
- * 제2대대 – 중령 허먼 댐머
- * 제3대대 – 소령 E.G. 앨런
- * 제39기갑야전포병대대 – 중령 로버트 B. 닐리
- * 제10공병전투대대 B중대
- * 제10공병전투대대 D중대
- 카투사 - 아래 대한민국 군대 참조.
- 사단 부사단장 – 준장 헨리 I. 호데스
- 제7사단 포병대
- * 제7사단 포병대 본부 포대
- * 제31야전포병대대
- * 제48야전포병대대
- * 제49야전포병대대
- * 제51야전포병대대
- 제17보병연대 – 대령 허버트 B. 파월
- * 제17보병연대 본부 중대
- * 제17보병연대 제1대대
- 제31보병연대 – 대령 앨런 D. 맥린
- 제31연대 전투단 일명 태스크 포스 맥린/태스크 포스 페이스
- * 제31보병연대 중박격포 중대
- * 제31보병연대 의무 중대
- * 제31보병연대 전차 중대 – 대위 로버트 E. 드레이크
- * 제31보병연대 제1대대 – {"B" 중대 드라이스데일 태스크 포스에 배속}
- * 제31보병연대 제3대대 – 중령 윌리엄 레이디
- * 제32보병연대 제1대대 – 중령 돈 페이스 (제31연대 전투단에 배속)
- * 제15대공포병 자동화기 대대 D포대 {1개 소대}
- * 제57야전포병대대 A 및 B 포대
- 제32보병연대 – 대령 찰스 M. 마운트 주니어
- * 제32보병연대 제1대대 – 중령 돈 페이스 {제31연대 전투단에 배속}
- * 제32보병연대 제3대대
- 카투사 - 아래 대한민국 군대 참조.
'''아미스테드 D. 미드''' 준장 태스크포스 도그/Task Force Dog영어
- 제3보병사단, 분견대 본부 (전술 지휘소에서 온 분견대)
- 제7보병연대, 3대대
- 제92기갑야전포병대대 (155 mm 자주포)
- 제52트럭수송대대
- 제10공병전투대대, A중대
- 제73공병전투대대, A중대
- 제3수색중대, 3소대
- 제3대항공기포병자동무기대대, 본부분견대
- 제3보병사단 병기폭발물해제부대, 분견대
- 제3보병사단 통신중대
- 전술항공관제반, 분견대
- 제65연대전투단, G중대 (종합지원)
- 제999야전포병대대 (종합지원증원)
2. 1. 1. 미국 해병대
'''제1해병사단''' - 소장 올리버 프린스 스미스[1]- 지휘부
- * 제1헌병중대 - 대위 존 H. 그리핀
- * 제1수색중대 - 소령 월터 갤
- * 제41코만도 영국 해병대 (배속) - 소령 데니스 올드리지, RM (중좌 더글러스 B. 드라이스데일 RM 대신, 1950년 11월 29일 부상)
- * 제1해병연대 (RCT-1) - 대령 루이스 B. 풀러
- ** 제1해병연대 대전차 중대 - 대위 조지 E. 페트로
- ** 제1해병연대 4.2인치 박격포 중대 - 대위 프랭크 J. 포렉
- ** 제1해병연대 H&S 중대 – 대위 프랭크 P. 테이텀
- ** 제1대대 제1해병연대 - 중령 도널드 M. 슈머크
- ** 제2대대 제1해병연대 - 중령 앨런 서터
- ** 제3대대 제1해병연대 - 중령 토머스 L. 리지 (병행 지휘관, 하가루리 방어 부대)
제3대대 제1해병연대 G 중대 (배속, 드라이스데일 부대) - 대위 칼 L. 시터, 명예 훈장
- * 제5해병연대 (RCT-5) - 중령 레이먼드 L. 머레이
- ** 제5해병연대 대전차 중대 - 대위 렉스 O. 딜로
- ** 제5해병연대 4.2인치 박격포 중대 - 1Lt. 로버트 M. 루시
- ** 제5해병연대 H&S 중대 – 대위 잭 호손
- ** 제1대대 제5해병연대 - 중령 존 W. 스티븐스 2세
- ** 제2대대 제5해병연대 - 중령 해럴드 S. 로이즈
- ** 제3대대 제5해병연대 - 중령 로버트 D. 태플릿
- * 제7해병연대 (RCT-7) - 대령 호머 L. 리첸버그
- ** 제7해병연대 대전차 중대 - 1Lt. 얼 R. 드롱 (소령 월터 T. 워렌 대신, 1950년 12월 8일 부상)
- ** 제7해병연대 4.2인치 박격포 중대 - 소령 로드니 V. 레이가드
- ** 제7해병연대 H&S 중대 – 소령 로드니 V. 레이가드 (병행) (소령 월터 T. 워렌 대신, 1950년 12월 8일 부상)
- ** 제1대대 제7해병연대 - 소령 웹 D. 소이어 (중령 레이먼드 G. 데이비스 대신, 명예 훈장 (1950년 12월 8일 이동)
- ** 제2대대 제7해병연대 - 중령 랜돌프 S. D. 록우드
- ** 제3대대 제7해병연대 - 소령 워렌 모리스 (중령 윌리엄 F. 해리스 대신, 1950년 12월 6일 실종)
- * 제11해병연대 - 대령 칼 A. 영데일 (대령 제임스 H. 브라우어 대신, 1950년 11월 30일 NBC)
- ** 제11해병연대 본부 포대 - 1Lt. 윌리엄 C. 패튼
- ** 제11해병연대 지원 포대 - 1Lt. 조셉 M. 브렌트
- ** 제4.5인치 로켓 대대 C 포대, FMFPAC (배속) - 1Lt. 유진 A. 부셰
- ** 제1대대 제11해병연대 (105mm) (RCT-5에 배속) - 중령 하비 A. 피한
- ** 제2대대 제11해병연대 (105mm) (RCT-1에 배속) - 중령 메리트 아델만
- ** 제3대대 제11해병연대 (105mm) (RCT-7에 배속) - 중령 프랜시스 F. 페리
- ** 제4대대 제11해병연대 (155mm) (각 RCT에 1개 포대 배속) - 소령 윌리엄 맥레이놀즈
- * 제1수송대대, 제1해병사단 - 중령 올린 L. 벨
- ** 제7수송대대 A 중대, FMFPAC (배속) - 대위 아이라 N. 헤이즈
- * 제1해병사단 제1전차대대 일부 - 중령 해리 T. 밀른
- ** 제1전차대대 B 중대 - 대위 브루스 F. 윌리엄스
- ** 제1전차대대 D 중대 (드라이스데일 부대에 배속) - 대위 브루스 W. 클라크
- * 제1상륙정대대 (일부 분리 부대 제외) - 중령 어윈 F. 원 주니어
- * 제1공병대대, 제1해병사단 (일부 분리 부대 제외) - 중령 존 H. 파트리지
- * 제1의무대대, 제1해병사단 - 해군 중령 하워드 A. 존슨
- * 제1병기대대, 제1해병사단 (각 RCT에 분리 부대) - 소령 로이드 O. 윌리엄스
- * 제1근무대대, 제1해병사단 (각 RCT에 분리 부대) - 중령 찰스 L. 뱅크스
- * 제1해안경비대대, 제1해병사단 - 중령 헨리 P. 크로우
- * 제1신호대대, 제1해병사단 (각 RCT에 분리 부대) - 소령 로버트 L. 슈라이어
- * 대한민국 해병 제1연대
- * 대한민국 경찰 화랑부대
'''제33해병항공단''' – 대령 프랭크 C. 데일리 {1950년 11월 4일부터 12월 24일까지 제5공군 합동 작전 본부에서 X 군단으로 작전 통제}[2]
- * VMO-6 – 소령 빈센트 J. 갓셜크
- * VMR-152 – 중령 디앤 C. 로버츠
- * VMF-212 – 중령 리처드 W. 위차스키
- * VMF-214 – 소령 윌리엄 M. 런딘
- * VMF-312 – 중령 프랭크 콜
- * VMF-323 – 소령 아놀드 L. 런드
- * VMF(N)-513 – 중령 데이비드 C. 울프
- * VMF(AW)-542 – 중령 맥스 J. 볼칸섹
- * MTACS-2 – 소령 크리스찬 C. 리
2. 1. 2. 미국 육군
'''제3보병사단''' – 소장 로버트 소울- 제7보병연대 – 대령 존 S. 거스리
- * 제1대대 – 중령 찰스 하인리히
- * 제2대대 – 소령 사무엘 G. 카일
- * 제3대대 – 중령 토머스 오닐
- * 제10기갑야전포병대대 – 중령 월터 A. 다우닝
- 제15보병연대 – 대령 데니스 M. 무어
- * 제1대대 – 중령 로버트 블랜차드
- * 제2대대 – 중령 앨런 펙
- * 제3대대 – 중령 에드워드 파렐
- * 제58기갑야전포병대대 – 중령 해리 A. 스텔라
- 제65보병연대 – 대령 윌리엄 W. 해리스
- * 제1대대 – 중령 하워드 세인트 클레어
- * 제2대대 – 중령 허먼 댐머
- * 제3대대 – 소령 E.G. 앨런
- * 제39기갑야전포병대대 – 중령 로버트 B. 닐리
- * 제10공병전투대대 B중대
- * 제10공병전투대대 D중대
- 카투사 - 아래 대한민국 군대 참조.
'''제7보병사단''' – 소장 데이비드 G. 바
- 사단 부사단장 – 준장 헨리 I. 호데스
- 제7사단 포병대
- * 제7사단 포병대 본부 포대
- * 제31야전포병대대
- * 제48야전포병대대
- * 제49야전포병대대
- * 제51야전포병대대
- 제17보병연대 – 대령 허버트 B. 파월
- * 제17보병연대 본부 중대
- * 제17보병연대 제1대대
- 제31보병연대 – 대령 앨런 D. 맥린
- 제31연대 전투단 일명 태스크 포스 맥린/태스크 포스 페이스
- * 제31보병연대 중박격포 중대
- * 제31보병연대 의무 중대
- * 제31보병연대 전차 중대 – 대위 로버트 E. 드레이크
- * 제31보병연대 제1대대 – {"B" 중대 드라이스데일 태스크 포스에 배속}
- * 제31보병연대 제3대대 – 중령 윌리엄 레이디
- * 제32보병연대 제1대대 – 중령 돈 페이스 (제31연대 전투단에 배속)
- * 제15대공포병 자동화기 대대 D포대 {1개 소대}
- * 제57야전포병대대 A 및 B 포대
- 제32보병연대 – 대령 찰스 M. 마운트 주니어
- * 제32보병연대 제1대대 – 중령 돈 페이스 {제31연대 전투단에 배속}
- * 제32보병연대 제3대대
- 카투사 - 아래 대한민국 군대 참조.
2. 1. 3. 특수부대
'''제41 독립 코만도 영국 해병대''' - 중령 더글러스 B. 드라이스데일 태스크포스 드라이스데일}} {{미국 제1해병사단에 배속/Task Force Drysdale영어'''아미스테드 D. 미드''' 준장 태스크포스 도그/Task Force Dog영어
- 제3보병사단, 분견대 본부 (전술 지휘소에서 온 분견대)
- 제7보병연대, 3대대
- 제92기갑야전포병대대 (155 mm 자주포)
- 제52트럭수송대대
- 제10공병전투대대, A중대
- 제73공병전투대대, A중대
- 제3수색중대, 3소대
- 제3대항공기포병자동무기대대, 본부분견대
- 제3보병사단 병기폭발물해제부대, 분견대
- 제3보병사단 통신중대
- 전술항공관제반, 분견대
- 제65연대전투단, G중대 (종합지원)
- 제999야전포병대대 (종합지원증원)
2. 2. 항공부대



제21병력수송비행대대
제61병력수송비행대대
2. 3. 해상부대
지휘부는 제7함대였다. 제7함대 태스크포스 77과 극동해군 태스크포스 90이 참전했다.2. 4. 대한민국 국군
제1군단 - 군단장: 소장 김백일[28][6][7]- 수도사단 - 사단장: 준장 이종찬
- 제3사단 - 사단장: 준장 송요찬
- 대한민국 해병대 제1연대는 미국 제1해병사단에 배속되었다.
- 경찰 화랑부대는 제5해병연대 3대대에 배속되었다.
- 재일학도의용군은 미국 제3, 7보병사단에 배속되었다.
제1군단은 소장 김백일 지휘하에 있었으며, 장진호 전투에 직접 참전하지는 않았지만, 38도선 이북의 미국 10군단 조직에 속해 있었다. 예하 부대로는 준장 이종찬이 지휘하는 수도사단과 준장 송요찬이 지휘하는 제3보병사단이 있었다.
3. 중국인민지원군
장진호 전투에 참전한 제9집단군은 사령관과 정치위원 직책을 겸임하였던 쑹스룬이 지휘하였다. 제9병단의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4. 주요 참전자 및 서훈
4. 1. 미 해병대
올리버 스미스 소장은 제1 해병사단을 지휘했으며, 수훈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체스티 풀러 준장은 제1 해병 연대 지휘관으로 (다섯 번째) 해군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호머 리첸버그 대령은 제7 해병 연대 지휘관으로, 레이먼드 머레이 대령은 제5 해병 연대 지휘관으로 각각 해군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로버트 태블릿 대령은 제5 해병 연대 제3 대대 지휘관으로, 찰스 L. 뱅크스 중령은 제1 지원 대대 지휘관으로, 올린 비엘 중령은 RCT 31 생존자 구조로 각각 해군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레이 데이비스 중령은 제7 해병 연대 제1 대대 지휘관으로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윌리엄 F. 해리스 중령은 제7 해병 연대 제3 대대 지휘관으로 사후 해군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고, 해롤드 S. 로이즈 중령은 제5 해병 연대 제2 대대 지휘관으로 (두 번째) 해군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윌리엄 E. 바버 대위는 제7 해병 연대 제2 대대 폭스 중대 지휘관으로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존 H. 채피 대위는 제7 해병 연대 중대장으로, 이후 로데아일랜드 주지사, 해군 장관, 미국 상원 의원을 역임했다. 모스 L. 홀러데이 대위는 제1 해병 사단 (증강) 제1 지원 대대 본부 중대 지휘관으로, 밀턴 A. 헐 대위는 제7 해병 연대 제2 대대 도그 중대 지휘관으로 각각 해군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찰스 D. 마이즈 대위는 제5 해병 연대 제3 대대 조지 중대 지휘관으로 해군 십자 훈장 및 동성 훈장을 수여받았다. 에드워드 스탬포드 대위는 RCT 31 해병 전선 항공 통제관으로 활동하여 은성 훈장을 수여받았으며, 그는 처음에는 명예 훈장으로 추천되었다. 마이론 E. 토마스 주니어 대위는 VMF-115 소속 조종사로 해군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조셉 로널드 "불" 피셔 중위는 제1 해병 연대 제3 대대 I 중대 지휘관으로 해군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로버트 케네모어 상사는 제7 해병 연대 제2 대대 소속으로,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윌리엄 G. 윈드리치 상사는 제5 해병 연대 제3 대대 I 중대 소속으로, 사후 명예 훈장 및 퍼플 하트 훈장을 수여받았다. 제임스 E. 존슨 상사는 제7 해병 연대 제3 대대 J 중대 소속으로, 사후 명예 훈장 및 퍼플 하트 훈장을 수여받았다. 엑토르 A. 카페라타 주니어는 제7 해병 연대 제2 대대 소속으로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 마빈 "피트" 와슨은 제1 해병 사단 (증강) 대전차 중대 소속으로 해군 십자 훈장을 수여받았다.
4. 2. 미 육군
준장 헨리 I. 호데스는 제7보병사단 부사단장이었다.[14] 저수지 동쪽의 모든 미 육군 부대를 지휘한 대령 앨런 D. 맥클린은 RCT 31 지휘관으로서의 행동으로 사후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다.(맥클린 부대).[14] 중령 돈 페이스는 RCT 31 지휘관으로서의 행동으로 사후 명예 훈장을 받았다.(페이스 부대).[15] 제10군단 포병 중령 존 페이지는 고토리에서의 행동과 탈출 과정에서 사후 명예 훈장을 받았다.[15]로버트 E. 존스 소령은 1/32 보병 S-3였으며, 저수지 동쪽에서의 행동으로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다.(RCT 31).[15] 하비 스톰스 소령은 3/31 보병으로 사후 은성 훈장을 받았다. 얼 H. 조던 대위(M/31),[16] 조지 R. 코디 대위(HMC 31 보병)는[17] 저수지 동쪽에서의 행동으로 사후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다.(RCT 31). 제임스 C. 반스 소위는 48 FAB 및 1/32 보병의 포병 관측 장교였으며, 탈출 과정에서의 행동으로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다.[18] 알프레드 J. 앤더슨 소위(B/31)는 지옥불 계곡에서의 행동으로,[19] 존 E. 그레이 소위(M/31)는[20] 저수지 동쪽에서의 행동으로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다.(RCT 31). 알렉산더 헤이그 소위는 후에 장군으로 진급하여 유럽 연합군 최고 사령관 및 미국 국무 장관을 역임했다.
로버트 G. 슈미트 소위(M/31)는[21] 저수지 동쪽에서의 행동으로, 세실 G. 스미스 소위(A/32)는[22] 탈출 과정에서의 행동으로 사후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다. 해럴드 P. 호글랜드 상사(D/15 AAA 대대),[23] 찰스 개리거스 상사(1/32 보병)는[24] 저수지 동쪽에서의 행동으로 사후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다.(RCT 31). 스탠포드 O. 코너스 상사(Med/A/57 FAB)는[25] 저수지 동쪽에서의 행동으로, 조지 H. 페인 상사(H/31)는[26] 고토리에서의 행동으로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다. 제임스 H. 고드프리 병장(D/32 보병)은[27] 저수지 동쪽에서의 행동으로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다.(RCT 31).
참조
[1]
서적
Chosin: Heroic Ordeal of the Korean War
Presidio Press
1990
[1]
간행물
U.S. Marine Operations in Korea, v.3: The Chosin Reservoir Campaign
Headquarters Marine Corps
1957
[2]
서적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June–November 1950)
UNITED STATES ARMY IN THE KOREAN WAR
[3]
웹사이트
The Forgotten War's Forgotten Task Force
http://www3.ausa.org[...]
Army Magazine,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Army
2002-07
[4]
서적
Miracle In Korea: The Evacuation of X Corps from the Hungnam Beachhead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92
[5]
간행물
Staff Operations: The X Corps in Korea, December 1950
Combat Studies Institute, U.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Fort Leavenworth, Kansas
1991-04
[6]
웹사이트
장진호 전투의 경찰 영웅들
https://www.police.g[...]
[7]
웹사이트
재일학도의용군 나라사랑기념관 - 장진호 전투
http://www.koreansvj[...]
[8]
citation
Ice and Blood, Changjin Lake (冰血长津湖)
Inner Mongolian People's Publishing Group (内蒙古人民出版社)
2007-04
[9]
서적
Chinese warfighting: The PLA experience since 1949
M.E. Sharpe
2003
[10]
문서
[11]
문서
[12]
웹사이트
Olin L. Beall
http://militarytimes[...]
Military Times
[13]
웹사이트
Valor awards for Marvin L. Wasson
http://valor.militar[...]
2017-11-11
[14]
웹사이트
Allan Duard MacLean
http://militarytimes[...]
Military Times
[15]
웹사이트
Robert Ellis Jones
http://militarytimes[...]
Military Times
[16]
웹사이트
Earle H. Jordan, Jr.
http://militarytimes[...]
Military Times
[17]
웹사이트
George R. Cody
http://militarytimes[...]
Military Times
[18]
웹사이트
James C. Barnes, Jr.
http://militarytimes[...]
Military Times
[19]
웹사이트
Alfred Julius Anderson
http://militarytimes[...]
Military Times
[20]
웹사이트
John Edward Gray
http://militarytimes[...]
Military Times
[21]
웹사이트
Robert G. Schmitt
http://militarytimes[...]
Military Times
[22]
웹사이트
Cecil G. Smith
http://militarytimes[...]
Military Times
[23]
웹사이트
Harold Peter Haugland
http://militarytimes[...]
Military Times
[24]
웹사이트
Charles Garrigus
http://militarytimes[...]
Military Times
[25]
웹사이트
Stanford Oscar Corner
http://militarytimes[...]
Military Times
[26]
웹사이트
George H. Paine
http://militarytimes[...]
Military Times
[27]
웹사이트
James H. Godfrey
http://militarytimes[...]
Military Times
[28]
웹인용
장진호 전투의 경찰 영웅들
https://www.police.g[...]
재일학도의용군 나라사랑기념관
2019-06-07
[29]
웹인용
장진호 전투
http://www.koreansvj[...]
재일학도의용군 나라사랑기념관
2023-07-01
[30]
문서
[31]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