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 시벨리우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시벨리우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는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리는 권위 있는 바이올린 콩쿠르이다. 1차, 2차, 결선 라운드로 진행되며, 각 라운드마다 다음 라운드 진출자를 선정한다. 결선에서는 시벨리우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포함한 두 곡의 협주곡을 연주하며, 최종 순위는 각 라운드의 연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된다. 1965년에 시작되어 5년마다 개최되었으며, 2022년에는 대한민국 양인모가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 시벨리우스 - 라우리 포라
    라우리 포라는 핀란드 출신의 베이시스트, 작곡가, 지휘자이며, 스트라토바리우스 멤버로 활동하며 솔로 앨범 발매, 다양한 음악 프로젝트 참여, Nordisk Popularauktors NPU 상 수상, 반타 팝스 오케스트라 예술 감독 등을 역임했다.
  • 장 시벨리우스 - 시벨리우스 (소프트웨어)
    시벨리우스는 벤 핀처와 조나단 핀처가 1986년에 개발한 음악 작곡 및 악보 제작 소프트웨어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다양한 악기 지원, 자동 레이아웃, 음원 재생 등의 핵심 기능을 제공하며 클라우드 게시 및 실시간 악보 공유를 지원한다.
  • 바이올린 경연회 -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
    차이콥스키 국제 콩쿠르는 냉전 시대 소련의 문화적 과시를 목적으로 시작되어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성악, 관악기 부문으로 확장된 4년마다 열리는 세계적인 클래식 음악 콩쿠르로, 세계음악콩쿠르연맹에서 제명되었지만 여전히 권위 있는 콩쿠르로 평가받는다.
  • 바이올린 경연회 - 롱티보 크레스팽 국제 콩쿠르
    롱티보 크레스팽 국제 콩쿠르는 자크 티보와 마르그리트 롱이 설립한 롱-티보 재단에 의해 1943년 시작된 국제 음악 콩쿠르이며, 피아노, 바이올린, 성악 부문으로 운영되고, 아시아 출신 연주자들의 활약이 두드러진다.
장 시벨리우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대회 정보
이름장 시벨리우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로마자 표기Jang Sibelliuseu Gukje Baiollin Kongkureu
영어 이름International Jean Sibelius Violin Competition
분야바이올린
창설1965년
위치핀란드 헬싱키
주최시벨리우스 협회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역대 우승자
1965년기돈 크레머
1970년파벨 코간, 리디아 슈트르바
1975년유진 폴리
1980년일리야 그링골츠, 안네 소피 무터
1985년올렉 카간
1990년니콜라이 즈나이더
1995년비크토르 트레티아코프
2000년세르게이 하차투랸
2005년알리나 이브라기모바
2010년크리스토프 바라티
2015년승주 강
2022년다니엘 로자코비치

2. 대회 구조

국제 얀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콩쿠르는 1차, 2차, 결선 라운드로 구성된다. 각 라운드를 거쳐 다음 라운드 진출자가 선정되며, 결선 라운드 후 최종 순위가 결정된다. 콩쿠르 참가를 위해서는 예선 심사를 위해 연주 샘플을 제출해야 한다.[5] 2005년에는 175건의 지원서가 접수되었으며, 58명의 경쟁자가 참가 허가를 받아 이 중 50명이 콩쿠르에 참가했고, 8명이 결선 라운드에 진출했다.[5]

2. 1. 1차 라운드

1차 라운드 프로그램은 바흐의 작품, 모차르트의 소나타, 파가니니의 카프리치오로 구성된다.[5] 바흐는 준비성을, 모차르트는 스타일 이해도를, 파가니니는 기술적 능력을 측정한다고 한다.[5]

2. 2. 2차 라운드 (준결승)

2차 라운드는 흔히 준결승으로 불리며,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시벨리우스의 몇 곡, 현대 핀란드 작품, 그리고 비르투오소 작품으로 구성된다.[5] 2005년에는 175건의 지원서가 접수되었으며, 58명의 경쟁자가 참가 허가를 받았고, 이 중 50명이 콩쿠르에 참가, 20명이 2차 라운드로 진출했다.[5]

2. 3. 결선 라운드

결선 라운드에서는 결선 진출자들이 풀 편성 교향악단과 함께 두 개의 협주곡을 연주하며, 이 중 하나는 시벨리우스의 바이올린 협주곡 라단조로 지정된다.[5]

3. 역대 수상자

파벨 코간 || ''수상자 없음'' || 오토 아르민

|-

| 1975 || 유발 야론 || 일리아 그루베르트 || 유진 사르부

|-

| 1980 || 빅토리아 물로바 || 세르게이 스타들러 || 안드레스 카르데네스

|-

| 1985 || 일리아 칼레르
레오니다스 카바코스 || ''수상자 없음'' || 빌모스 사바디

|-

| 1990 || ''수상자 없음'' || 크리스티나 앙겔레스쿠 || 시그룬 에드발즈도티르
다나카 아키코

|-

| 1995 || 페카 쿠시스토 || 엘리자베스 바티아슈빌리 || 사토 마도카
니콜라이 즈나이더

|-

| 2000 || 세르게이 하차트랸 || 타마이 나쓰미 || 왕즈-지옹
구사카 사야코

|-

| 2005 || 알리나 포고스트키나 || 천자펑 || 신현수
웨이 원

|-

| 2010 || 니키타 보리소글레브스키 || 페테리 이이보넨 || 에스더 유

|-

| 2015 || 크리스텔 리 || 엠마누엘 체크나보리안 || 프리데리케 슈타클로프

|-

| 2022 || 양인모 || 네이선 멜처 || 드미트로 우도비첸코

|}

각 연도의 입상자에 관해서는 공식 웹사이트에 게재되어 있다.[6]

3. 1. 제1회 (1965년)

순위이름국적
1올레크 카간Олег Каган|올레크 카간ru (소련)
2조슈아 엡스타인יהושע אפשטיין|조슈아 엡스타인he (이스라엘)
3발레리 그라도프Валерий Градов|발레리 그라도프ru (소련)




3. 2. 제2회 (1970년)

Лиана Исакадзе|리아나 이사카제ru(소련)와 파벨 코간(소련)이 공동 1위를 차지하였고, 오토 아르민(캐나다)이 3위를 차지했다.[1] 2위는 수상자가 없었다.[1]

순위이름국적
공동 1위리아나 이사카제 소련
공동 1위파벨 코간 소련
2위수상자 없음
3위오토 아르민 캐나다


3. 3. 제3회 (1975년)

1975년에 열린 제3회 장 시벨리우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에서는 Yuval Yaron|유발 야론영어(이스라엘)이 1위를 차지했고, Ilya Grubert|일리아 그루베르트영어(소련)가 2위, Eugen Sarbu|유진 사르부영어(루마니아)가 3위를 차지했다.[1]

})

|-

| 2 || 소련 || 일리아 그루베르트 (Ilya Grubert|영어)

|-

| 3 || 루마니아 || 유진 사르부 (Eugen Sarbu|영어)

|}

3. 4. 제4회 (1980년)

제3회 장 시벨리우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수상자 (1975년)
순위국가이름
1 이스라엘유발 야론 ({{lang|en|Yuval Yaron|}
순위이름국적
1빅토리아 뮬로바 소련
2세르게이 스타들러 소련
3안드레스 카르데네스 미국


3. 5. 제5회 (1985년)

순위이름국적
공동 1위일리야 칼레르Илья Калер|일리아 칼레르ru 소련
공동 1위레오니다스 카바코스Λεωνίδας Καβάκος|레오니다스 카바코스el 그리스
2위수상자 없음
3위빌모스 사바디Szabadi Vilmos|빌모스 사바디hu 헝가리


3. 6. 제6회 (1990년)

순위국가이름
1위수상자 없음
2위 루마니아크리스티나 앙겔레스쿠
3위 아이슬란드시그룬 에드발즈도티르
일본다나카 아키코



1990년 제6회 콩쿠르에서는 1위 수상자가 없었다. 2위는 루마니아의 크리스티나 앙겔레스쿠가 차지했다. 3위는 아이슬란드의 시그룬 에드발즈도티르와 일본의 다나카 아키코가 공동 수상했다.

3. 7. 제7회 (1995년)

Pekka Kuusisto|페카 쿠시스토영어 (Pekka Kuusisto|fi)가 1위를 차지하였고, Elisabeth Batiashvili|엘리자베스 바티아슈빌리영어 (ელისაბედ ბათიაშვილიka)가 2위를 차지하였다. 佐藤 迪|사토 마도카일본어 (さとう まどか|일본어)와 Nikolaj Znaider|니콜라이 즈나이더da가 공동 3위를 차지하였다.

제7회 (1995년) 입상자
순위이름국적
1페카 쿠시스토 핀란드
2엘리자베스 바티아슈빌리 그루지야
공동 3사토 마도카 일본
공동 3Nikolaj Znaider|니콜라이 즈나이더da 덴마크


3. 8. 제8회 (2000년)

Սերգեյ Խաչատրյան|세르게이 하차투리안hy이 1위를 차지했으며, 玉井 菜採|타마이 나쓰미일본어가 2위, 王之炅|왕즈-지옹중국어과 日下 紗矢子|구사카 사야코일본어가 공동 3위를 차지했다.

순위이름국적
1세르게이 하차투리안 아르메니아
2타마이 나쓰미 일본
공동 3왕즈-지옹 중국
공동 3구사카 사야코 일본


3. 9. 제9회 (2005년)

순위이름국적
1알리나 포고스트키나 독일
2천자펑 중국
3신현수 대한민국
웨이 원 중국


3. 10. 제10회 (2010년)

순위이름국적
1니키타 보리소글레브스키 러시아
2페테리 이보넨 핀란드
3에스더 유 미국


3. 11. 제11회 (2015년)

순위이름국적
1Christel Lee|크리스텔 리영어 미국
2엠마누엘 체크나보리안 오스트리아
3Friederike Starkloff|프리데리케 슈타르클로프영어 독일

[1]

3. 12. 제12회 (2022년)

양인모 (대한민국)가 1위를 차지하였고, Nathan Meltzer영어 네이선 멜처 (미국)가 2위, Dmytro Udovychenkouk 드미트로 우도비첸코 (우크라이나)가 3위를 차지했다. 2020년에 개최될 예정이었던 제12회 콩쿠르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2022년으로 연기되었다.

4. 기타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2020년에 개최될 예정이었던 제12회 시벨리우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는 2022년으로 연기되었다. 단, 이 연기는 이후 개최 주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제13회 콩쿠르는 예정대로 2025년에 개최될 예정이다.[1]

참조

[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Music and Musicians of Finland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1997-12-30
[2] 서적 Modern Finland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6-10-07
[3] 서적 The Grants Register 2000 https://books.google[...] 1999-05-28
[4] 웹사이트 10th International Jean Sibelius Violin Competition Nov. 21 – Dec. 2, 2010 http://www2.siba.fi/[...] Sibelius Academy 2010-12-03
[5] 웹사이트 Rules http://www.sibeliusc[...] 2018-05-01
[6] 웹사이트 Historia https://sibeliuscomp[...] 2024-12-07
[7] Wayback 12th International Jean Sibelius Violin Competition Postponed Until Spring 2022 https://www.sibelius[...] 2020-09-27
[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Music and Musicians of Finland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1997-12-30
[9] 서적 Modern Finland https://books.google[...] 2016-10-07
[10] 서적 The Grants Register 2000 https://books.google[...] 1999-05-28
[11] 웹인용 12TH INTERNATIONAL JEAN SIBELIUS VIOLIN COMPETITION RULES https://www.sibelius[...] 2022-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