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협주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협주곡은 '함께 연주하다'는 의미의 이탈리아어 '콘체르토'에서 유래했으며, 독주 악기와 관현악이 함께 연주하는 기악곡을 일컫는다. 바로크 시대에 합주 협주곡이 등장했고, 고전 시대를 거치며 독주 협주곡이 발전했다. 낭만 시대에는 독주자의 기교를 강조하는 경향과 교향곡적 경향으로 나뉘었으며, 20세기 이후에는 다양한 악기와 실험적인 형식이 시도되었다. 협주곡은 독주 악기의 수, 악기의 종류, 시대에 따라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3악장으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협주곡 - 랩소디 인 블루
    조지 거슈윈이 작곡하고 폴 화이트먼 악단이 초연한 랩소디 인 블루는 재즈와 클래식 음악의 융합, 클라리넷 글리산도 도입부, 다채로운 선율과 리듬 변화가 특징인 곡으로, 발표 당시부터 큰 반향을 일으키며 거슈윈의 대표작이자 대중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 협주곡 - 피아노 협주곡 2번 (브람스)
    피아노 협주곡 2번은 요하네스 브람스가 이탈리아 여행에서 영감을 받아 1881년 완성한 4악장 구성의 협주곡으로, 그가 직접 초연했으며, 낭만주의 시대 협주곡과 달리 스케르초 악장이 포함된 점과 피아노 기교와 오케스트라의 조화가 특징이다.
  • 음악에 관한 - 음악가
    음악가는 작곡, 편곡, 연주, 지휘 등 음악 관련 활동을 하는 사람을 통칭하며, 작곡가, 연주자, 가수, 지휘자,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분류된다.
  • 음악에 관한 - 합창
    합창은 여러 명이 함께 노래하는 음악 형식으로, 작곡가가 가사와 인간 목소리를 고려하여 작곡하며, 서양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지휘자의 지휘 아래 여러 성부로 구성되어 악기 반주 또는 아카펠라로 노래하며,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협주곡
음악 장르
음악 장르클래식 음악
협주곡
협주곡솔로 악기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음악 작품
특징일반적으로 3개의 악장으로 구성됨
솔로 악기의 기교를 선보이는 것이 특징
역사바로크 시대에 시작되어 고전 시대, 낭만 시대, 현대 음악에 이르기까지 발전함
형태빠른 악장 - 느린 악장 - 빠른 악장
소나타 형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음
주요 작곡가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루트비히 판 베토벤
펠릭스 멘델스존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관련 용어카덴차
더블 콘체르토
트리플 콘체르토
유명 협주곡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
차이콥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2. 어원

협주곡의 이탈리아어 표현인 'concerto'는 '함께 참여하다', '경연하다'라는 뜻의 중세 라틴어(concertarela)에서 유래했다. 이는 음악가들의 집합(consort영어)으로 해석될 수 있다. 협주곡을 라틴어 'concertare'에 기반하여 해석하면, 여러 음성 간의 경연으로 풀이할 수 있으며, 이 뜻이 16세기 이후 바로크 시대의 협주곡에 사용된 이래 현대 협주곡의 일반적인 의미로 통용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음성은 사람의 목소리를 포함한 악기 소리를 의미한다.

3. 종류

협주곡은 독주 악기의 종류와 수, 시대, 형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바로크 시대에는 두 대 이상의 악기가 함께 연주하는 합주 협주곡이 많이 등장했다. 합주 협주곡은 같은 종류 또는 다른 종류의 악기 두 개 이상이 오케스트라나 앙상블과 협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4]

작품 이름은 "○○(독주 악기명) 협주곡" 또는 "○○과 관현악·현악·관악을 위한 협주곡"과 같이 붙여진다. 단일 악장으로 구성된 소규모 협주곡은 콘체르티노(concertino|소협주곡it)라고 부른다.

독주와 관현악의 조합에 의한 작품 전체를 넓은 의미에서 협주곡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좁은 의미의 협주곡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협주적 작품"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베토벤의 로망스 2번, 사라사테의 『치고이네르바이젠』 등이 대표적이다.

3. 1. 독주 악기에 따른 분류

협주곡은 독주 악기에 따라 피아노 협주곡, 바이올린 협주곡, 첼로 협주곡 등으로 나뉜다. 그 외에도 비올라, 플루트, 클라리넷, 호른, 바순, 오보에, 트럼펫 등 다양한 악기를 위한 협주곡이 존재한다.

바로크 협주곡은 주로 현악기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드물게 아모레 바이올라 또는 하프) 또는 관악기 (플루트, 리코더, 오보에, 바순, 호른, 트럼펫)를 위해 작곡되었다.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두 대의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도 작곡했다.[4] 바로크 시대에는 피아노가 발명되기 전이었으므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파이프 오르간과 일부 하프시코드 협주곡을 제외하고는 건반 협주곡은 비교적 드물었다.[5]

3. 2. 독주 악기 수에 따른 분류

협주곡은 독주 악기의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독주 협주곡''': 하나의 독주 악기와 관현악이 협연하는 형식이다. 고전파 이후의 독주 협주곡은 원칙적으로 3개의 악장으로 구성된다.[5] 교향곡과 마찬가지로 제1악장은 기본적으로 소나타 형식이며, 종악장도 소나타 형식인 경우가 많지만, 소나타 형식으로서의 전개가 응축되기보다는 독주자의 기교를 보여주기 위한 구절이 여러 곳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강하며, 독주자와의 다양한 주고받음이 포함된다. 낭만주의 음악 이후에는 협주곡에서도 자유로운 악장 구성을 볼 수 있게 되었으며, 리스트피아노 협주곡 2번처럼 악장이 하나뿐인 경우나, 브람스피아노 협주곡 2번처럼 악장이 4개인 대규모 작품도 있다.

  • '''이중 협주곡''': 두 개의 독주 악기와 관현악이 협연하는 형식이다.

시대작곡가작품
바로크바흐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바로크비발디2대의 바이올린, 2대의 첼로, 2대의 만돌린, 2대의 트럼펫, 2대의 플루트, 오보에와 바순, 첼로와 바순을 위한 협주곡 등
고전모차르트피아노 협주곡 10번, 플루트, 하프,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낭만브람스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이중 협주곡
20세기쇼스타코비치피아노 협주곡 1번 (독주자: 피아노, 트럼펫)


  • '''삼중 협주곡''': 세 개의 독주 악기와 관현악이 협연하는 형식이다.

시대작곡가작품
바로크바흐브란덴부르크 협주곡 4번 (BWV 1049)과 5번 (BWV 1050)
고전모차르트피아노 협주곡 7번
낭만베토벤트리플 협주곡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 '''합주 협주곡''': 바로크 시대에 유행한 형식으로, 독주 악기군(콘체르티노)과 관현악(리피에노)이 번갈아 연주하며 대비를 이룬다. 바로크 시대에는 2대의 바이올린과 1대의 첼로가 콘체르티노를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4]

작곡가작품
아르칸젤로 코렐리12개의 합주 협주곡, 작품 6 (두 대의 바이올린과 첼로)
비발디
바흐


3. 3. 시대에 따른 분류

바로크 시대는 협주곡 양식이 처음 등장한 시대이다. 이 시대에는 합주협주곡 형식을 띠었다.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전반경에는 '합주협주곡'(콘체르토 그로소)이 중요했는데, 관현악이 콘체르티노(독주자 그룹, 보통 바이올린 2, 첼로 1, 쳄발로 1)와 리피에노(관현악 그룹)로 나뉘어 협주하는 형식이다. 코렐리는 합주 협주곡 양식을 처음 도입했고, 비발디는 독주 파트의 기교를 돋보이게 했다. 바로크 시대 협주곡은 쳄발로와 오르간을 위해 쓰인 곡이 많았다.

고전파 시대에는 합주 협주곡이 쇠퇴하고 독주 협주곡이 주류가 되었다. 하이든이나 모차르트 시대에 확립된 고전파 협주곡 형식에서 제1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독주 악기가 더해진 제시부에서는 제2주제가 딸림조(장조)나 나란한 장조(단조)로 나타났다. 재현부 후 코다에는 독주 악기가 즉흥 연주하는 '''카덴차'''가 도입되었다. 제2악장은 복합 3부 형식이나 변주곡 형식, 제3악장은 론도 형식이나 론도 소나타 형식으로 쓰였다.

낭만주의 음악 이후에는 협주곡에서도 자유로운 악장 구성을 볼 수 있게 되었다. 리스트피아노 협주곡 2번처럼 악장이 하나뿐인 경우나, 브람스피아노 협주곡 2번처럼 악장이 4개인 대규모 작품도 있다.

20세기에는 레인홀트 글리에르에 의해 콜로라투라 소프라노 협주곡이 작곡되기도 하였다.

4. 형식

협주곡은 악곡의 형식 면에서 독주악기(또는 독주악기군)와 관현악을 위한 소나타이다. 일반적으로 빠르게-느리게-빠르게의 3악장 구조를 가진다.[1] 각 악장의 일반적인 형식은 다음과 같다.


  • 제1악장: 소나타 형식을 따른다. 먼저 관현악이 두 개의 주제를 으뜸조로 제시하고, 이어서 독주악기가 이를 반복하며, 이때 제2주제는 딸림조 또는 병행조를 취하는 것이 고전적 협주곡의 원칙이다.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제4번은 예외이다.)[1]
  • 제2악장: 느린 템포로, 리트 형식이나 변주곡 형식을 취한다.[1]
  • 제3악장: 론도 형식이나 론도 소나타 형식을 취하며, 빠르고 경쾌한 분위기로 마무리된다.[1]


고전파 시대에 확립된 협주곡 형식에서 제1악장은 독주 협주곡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먼저, 오케스트라만으로 제1주제와 제2주제가 모두 으뜸조로 제시되며, 이 제시부가 반복될 때 비로소 독주 악기가 더해진다. 독주 악기가 더해진 제시부에서는 기본적으로 장조의 곡에서는 제2주제가 딸림조로, 단조의 곡에서는 나란한 장조로 나타난다.[6]

제2악장은 복합 3부 형식이나 때로는 변주곡 형식, 제3악장은 론도 형식 또는 론도 소나타 형식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6]

낭만주의 시대가 되면서 더 자유로운 형식이 되었다. 한편, 18세기 중반까지 텔레만, 비발디, 하이든, 모차르트 등이 다양한 악기를 위해 협주곡을 작곡했지만, 낭만주의 시대에는 명기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필연적으로 피아노 협주곡과 바이올린 협주곡에 창작이 집중되었다. 이러한 악기만큼 고도의 표현력과 뛰어난 연주자를 갖추지 못한 다른 악기에는 협주곡이 만들어지는 경우는 드물었다. 또한 표제 음악이 성행한 시대에도 협주곡이 표제를 갖는 경우는 거의 없었다.[7]
카덴차제1악장 또는 끝악장의 코다 직전에 독주 악기 연주자가 즉흥적인 기교를 선보이는 부분이다. 카덴차에서는 독주자가 연주 기교를 발휘하여 "하이라이트"를 만들고, 딸림 7화음을 신호로 오케스트라가 종결부에 들어간다. 카덴차는 또한 종악장에서도 들어갈 수 있다.[1][6] 이전에는 연주자의 즉흥에 맡겨졌으나, 베토벤 이후로는 작곡가가 미리 작성하는 경우가 많아졌다.[1]

5. 시대별 협주곡의 양식

협주곡은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바로크 시대에는 합주 협주곡 형태가 주를 이루었으며, 코렐리, 비발디, 바흐, 헨델 등이 이 양식을 발전시켰다. 고전파 시대에는 모차르트가 독주 협주곡 양식을 확립했고, 베토벤은 독주자가 곡의 서두를 맡는 새로운 형식을 도입했다. 카덴차는 고전파 시대에 도입된 개념으로, 독주 악기의 즉흥적이고 기교적인 부분을 말한다.

낭만파 시대에는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가 조화를 이루는 협주곡이 많았으며, 리스트, 파가니니, 브람스, 차이콥스키 등이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19세기에는 기교적인 과시를 위한 수단으로 협주곡이 발전했으며, 점점 더 복잡하고 규모가 커졌다.

근대에는 협주곡의 형식이 고도로 발전되어 소나타 형식을 벗어나 교향곡, 환상곡, 광시곡 등의 형식을 취한 곡들이 등장했다.[6][7][8][9][10][11][12][13][14][15][16][17][18] 20세기 초 쇤베르크, 스트라빈스키 등 여러 작곡가들은 선법 사용, 무조성 및 신조성 개발, 불협화음 수용, 12음 기법 발명, 다조성과 복잡한 박자표 사용 등 음악 작곡 및 연주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칠 아이디어를 실험했다.

현대 협주곡은 오케스트라 편성이 기존과 다른 경우가 많으며, 불협화음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불안한 느낌을 주는 곡들도 많다. 타악기콘트라베이스처럼 독주 악기로 자주 쓰이지 않거나, 기타색소폰처럼 오케스트라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던 악기들도 주목받게 되었다.

5. 1. 바로크 시대

바로크 시대는 협주곡이라는 양식이 처음으로 등장한 시대이다. 이 시대에는 지금과는 달리 합주 협주곡 형식을 띠었다. 협주곡이라는 명칭이 붙은 곡은 16세기 전반 이탈리아에서 맨 처음 나타났으나, 17세기 중엽까지는 일정한 악곡 형식을 갖지 않았으며, 주로 기악 반주가 있는 성악곡을 뜻하였다. 이러한 것으로는 교회에서 연주하는 교회협주곡과 궁정에서 연주되는 실내협주곡이 있었다.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전반경에 기악만으로 된 협주곡이 생겼으나,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합주협주곡'(콘체르토 그로소)이라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관현악이 2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콘체르티노라고 하는 독주자 그룹(보통 바이올린 2, 첼로 1, 쳄발로 1)과, 리피에노 또는 그로소라고 하는 관현악 그룹이 서로 협주한다는 형식이다.

코렐리는 바로크 시대의 작곡가 가운데 가장 먼저 합주 협주곡 양식을 도입했고, 비발디는 기악 합주 협주곡 작곡에 능숙해서 독주 파트의 기교를 더욱 돋보이게 했다(이 양식은 후에 헨델, 바흐가 계승한다). 바로크 시대의 협주곡들은 대부분 쳄발로와 오르간을 위해 쓰였고, 바이올린이나 첼로 협주곡에도 오르간이나 쳄발로가 쓰일 정도로 이 두 악기의 영향력은 막강했다.

17세기에는 성악과 관현악을 위한 종교 음악 작품을 일반적으로 협주곡이라고 불렀으며, 이는 칸타타로 알고 있는 많은 작품에 대해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가 "협주곡"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데서도 알 수 있다.[3] "협주곡"이라는 용어는 처음에는 악기가 독립적인 파트를 갖는 성악과 기악을 포함하는 작품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는 성악을 반주하는 악기가 성악 파트를 단순히 중복하는 르네상스 시대의 일반적인 관행과는 대조적이었다.

협주곡은 후기 바로크 시대에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기 시작했으며, 이는 아르칸젤로 코렐리가 발전시킨 ''합주 협주곡'' 형식에서 시작되었다. 코렐리의 콘체르티노 그룹은 두 대의 바이올린, 첼로, 바소 콘티누오로 구성되었다.[4] 예를 들어, J. S. 바흐의 다섯 번째 브란덴부르크 협주곡에서 콘체르티노는 플루트, 바이올린, 하프시코드로 구성된다.

이후 협주곡은 현대적인 형태에 접근하여, 콘체르티노는 보통 오케스트라와 함께 (또는 대조적으로) 연주하는 단일 독주 악기로 축소되었다. 바로크 협주곡의 주요 작곡가로는 토마소 알비노니, 안토니오 비발디 (예: ''조화의 영감'', ''라 스트라바간자'', 바이올린 협주곡 6곡, 작품 6, 협주곡 12곡, 작품 7, ''화성과 창의성의 시도'', 플루트 협주곡 6곡, 작품 10, 협주곡 6곡, 작품 11 및 바이올린 협주곡 6곡, 작품 12), 게오르크 필리프 텔레만,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피에트로 로카텔리, 장마리 르클레르, 주세페 타르티니, 프란체스코 제미니아니 및 요한 요아힘 퀀츠 등이 있다.

바로크 협주곡은 주로 현악기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드물게 아모레 바이올라 또는 하프) 또는 관악기 (플루트, 리코더, 오보에, 바순, 호른, 트럼펫)를 위해 작곡되었다. 바흐는 또한 두 대의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도 작곡했다. 바로크 시대에는 피아노가 발명되기 전이었으므로,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파이프 오르간과 일부 하프시코드 협주곡을 제외하고는 건반 협주곡은 비교적 드물었다.[5]

바로크 음악 후기인 17세기 말에는, 몇 개의 독주 악기와 현악 합주로 이루어진 합주 협주곡(콘체르토 그로소) 형태가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아르칸젤로 코렐리 등에 의해 만들어졌다. 이는 비발디, 헨델, J.S. 바흐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많은 곡이 리토르넬로 형식으로 쓰였다. 독주와 합주군이 대비되는 독주 협주곡 또한 합주 협주곡과 동시에 발전하여[53], 비발디의 『사계』나 바흐의 바이올린 협주곡 2번 등과 같은 바이올린 협주곡, 바흐의 쳄발로 협주곡이나 헨델의 오르간 협주곡 등이 작곡되었으며, 비발디 시대부터 "빠름-느림-빠름"의 3악장 형식이 확립되었다.

바로크 시대의 주요 협주곡은 다음과 같다.

작곡가작품
코렐리작품 6 《합주 협주곡집》(1712년 헌정, 1714년 출판)
토렐리작품 6 《4성부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1698년)
비발디협주곡 작품 3 《화성의 영감》, 작품 8 《화성과 창의성의 시도》(《사계》 포함), 작품 9 《라 체트라》, 작품 10 《플루트 협주곡집》(《바다의 폭풍》, 《밤》, 《금화조》를 포함한 총 6곡), 만돌린 협주곡, 비올라 다모레 협주곡 등
헨델하프 협주곡, 오르간 협주곡(작품 4, 작품 7)
J.S. 바흐브란덴부르크 협주곡 (6곡), 바이올린 협주곡 (2곡이 현존), 쳄발로 협주곡 (14곡),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등
텔레만합주 협주곡, 오보에 협주곡, 비올라 협주곡 등 다수


5. 2. 고전파 시대

이 시대에는 독주 협주곡이 발달하였다. 고전파 시대의 협주곡은 보편적으로 오케스트라가 동기를 제시하며 시작하였으나, 베토벤피아노 협주곡에서 처음으로 독주자가 곡의 서두를 맡으면서 새로운 형식이 탄생되었다.[4] 독주 악기로는 피아노, 첼로가 가장 많이 쓰이나, 그 밖에 비올라, 플루트, 클라리넷, 호른, 파곳, 오보에, 트럼펫 등도 많이 쓰였다. 이후 이 형식은 리스트, 슈만, 차이콥스키 등이 계승하게 된다.

고전파 시대에 들어 새롭게 도입된 개념으로 카덴차가 있다. 카덴차는 협주곡의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독주 악기의 즉흥적이고 기교적인 부분을 말한다. 대부분의 카덴차는 악장동기를 발전시키면서 진행된다. 고전파 시대의 카덴차는 주로 독주자 자신의 즉흥성에 의존했으며, 연주자에 따라 생략되기도 한다.

고전파의 협주곡 양식과 형식은 모차르트에 의해 확립되었다. 그는 모든 종류의 악기를 독주 악기로 사용하여 50여 곡의 협주곡을 썼다. 그중 약 절반은 피아노 협주곡이며, 그 밖에는 바이올린 협주곡 7곡, 호른 협주곡 4곡, 플루트, 파곳, 오보에, 클라리넷 협주곡 등이 있다. 베토벤제5번 협주곡 《황제》를 비롯하여 5곡의 피아노 협주곡바이올린 협주곡 1곡,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를 위한 3중 협주곡 1곡을 작곡했다.

고전파 시대에는 합주 협주곡이 쇠퇴하고 독주 협주곡이 주류를 이루었다. 원숙기의 하이든이나 모차르트 시대에 확립된 고전파 협주곡 형식에서 제1악장은 교향곡과 마찬가지로 소나타 형식으로 만들어졌지만, 독주 협주곡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먼저 오케스트라만으로 제1주제와 제2주제가 모두 으뜸조로 제시되며, 이 제시부가 반복될 때 비로소 독주 악기가 더해진다. 독주 악기가 더해진 제시부에서는 기본적으로 장조 곡의 경우 제2주제가 딸림조로, 단조 곡의 경우 나란한 장조로 나타난다. 또한 재현부 이후의 코다에서는 독주 악기가 반주 없이 즉흥적으로 음악을 연주하는 '''카덴차'''가 도입되었다. 카덴차에서는 독주자가 연주 기교를 발휘하여 "하이라이트"를 만들고, 딸림 7화음을 신호로 오케스트라가 종결부에 들어간다. 카덴차는 종악장에서도 들어갈 수 있다.

제2악장은 복합 3부 형식이나 때로는 변주곡 형식, 제3악장은 론도 형식 또는 론도 소나타 형식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았다.

고전파 작곡가에게 협주곡은 주요 활동 분야였다. 작곡과 연주를 모두 하는 음악가가 많았던 이 시대에, 특히 피아노 협주곡의 초연은 작곡가가 독주 악기를 맡아 진행하는 것이 의도되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모차르트는 27곡의 피아노 협주곡과 5곡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베토벤은 5곡의 피아노 협주곡을 남겼다.

작곡가주요 작품
C.P.E. 바흐플루트 협주곡 6곡
보케리니첼로 협주곡 12곡, 플루트 협주곡
하이든첼로 협주곡 (제1번, 제2번), 트럼펫 협주곡, 쳄발로 또는 피아노 협주곡 (3번, 4번, 11번)
모차르트피아노 협주곡 (27곡: 제9번, 제26번, 제27번 등), 바이올린 협주곡 (5곡: 제1번, 제2번, 제3번, 제4번, 제5번, 그 외 위작으로 의심되는 작품 2곡: 제6번, 제7번), 플루트 협주곡 (2곡: 제1번, 제2번), 오보에 협주곡, 클라리넷 협주곡, 호른 협주곡 (4곡), 바순 협주곡
베토벤피아노·바이올린·첼로를 위한 삼중 협주곡, 바이올린 협주곡, 피아노 협주곡 (5곡: 제1번, 제2번, 제3번, 제4번, 제5번 『황제』 + 내림 마장조 (피아노 파트만 현존))


5. 3. 낭만파 시대

낭만파 시대의 협주곡은 독주 악기와 오케스트라가 조화를 이루는 특징을 보인다. 오케스트라가 주제를 연주하면 독주 악기가 이를 발전시켜 연주하는 방식이다. 또한, 1악장부터 마지막 악장까지 쉬지 않고 연속되는 새로운 협주곡 형식이 나타났다.

낭만파 협주곡은 리스트, 파가니니, 루빈스타인, 차이콥스키처럼 독주자의 명인적인 기교를 과시하는 경향과 브람스와 같이 교향곡적인 경향으로 나뉘었다. 그 외에도 멘델스존, 슈만, 쇼팽, 프랑크, 스크랴빈, 거쉰, 코플런드 등 많은 작곡가들이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한편, 콘체르티노나 콘체르토 시튀크는 자유로운 1악장 형식의 소규모 곡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베버의 《클라리넷과 호른을 위한 콘체르티노》, 《피아노를 위한 콘체르토 시튀크》 등이 있다.

19세기에는 기교적인 과시를 위한 수단으로 협주곡이 발전했으며, 점점 더 복잡하고 규모가 커졌다. 베토벤은 피아노, 바이올린, 첼로, 오케스트라를 위한 삼중 협주곡을 작곡했으며, 19세기 후반에는 브람스가 바이올린, 첼로, 오케스트라를 위한 이중 협주곡을 썼다.

낭만 시대에는 첼로가 협주곡 악기로 많이 사용되었으며, 바이올린과 피아노는 여전히 가장 자주 사용되는 악기였다.

피아노 협주곡 연주


낭만주의 시대에는 명기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피아노 협주곡과 바이올린 협주곡 창작이 집중되었다. 표제 음악이 유행했지만, 협주곡이 표제를 갖는 경우는 드물었다.

베를리오즈의 교향곡 「이탈리아의 해럴드」는 비올라 협주곡의 일종, 댕디의 「프랑스 산인의 노래에 의한 교향곡」은 피아노 협주곡의 일종으로 간주되는 등 경계적인 작품도 있다. 라로의 「스페인 교향곡」은 형식이 변칙적이지만 사실상 바이올린 협주곡이다.

다음은 낭만파 시대의 주요 협주곡들이다.

작곡가작품
베버피아노 협주곡(3곡: 1번, 2번, 소협주곡), 클라리넷 협주곡(2곡: 1번, 2번, 소협주곡)
멘델스존바이올린 협주곡(2곡: 라단조, 마단조), 피아노 협주곡(3곡: 가단조, 1번, 2번), 2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2곡: 내림마장조, 내림가장조), 바이올린, 피아노와 현을 위한 협주곡
브루흐바이올린 협주곡(3곡: 1번, 2번, 3번), 스코틀랜드 환상곡
슈만피아노 협주곡, 첼로 협주곡, 바이올린 협주곡
뷔외탕바이올린 협주곡(7곡: 4번, 5번 등)
라로바이올린 협주곡(스페인 교향곡, 다른 3곡), 첼로 협주곡, 피아노 협주곡
브람스바이올린 협주곡, 피아노 협주곡(2곡: 1번, 2번),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이중 협주곡
라이네케피아노 협주곡(4곡), 플루트 협주곡
비에니아프스키바이올린 협주곡(2곡: 1번, 2번)
생상스바이올린 협주곡(3곡: 3번이 유명함), 피아노 협주곡(5곡: 1번, 2번, 3번, 4번, 5번), 첼로 협주곡(2곡: 1번이 유명함)
쇼팽피아노 협주곡(2곡: 1번, 2번)
리스트피아노 협주곡(3곡: 1번, 2번, 3번(유작))
차이콥스키피아노 협주곡(3곡: 1번이 유명함), 바이올린 협주곡
드보르자크바이올린 협주곡, 첼로 협주곡, 피아노 협주곡
그리그피아노 협주곡
시벨리우스바이올린 협주곡
닐센바이올린 협주곡, 클라리넷 협주곡, 플루트 협주곡
글라주노프바이올린 협주곡, 알토 색소폰 협주곡
부소니피아노 협주곡 (마지막 악장에 합창이 들어간다)
파가니니바이올린 협주곡(6곡: 1번, 2번이 유명함, 6번은 바이올린 파트만 현존)
라흐마니노프피아노 협주곡(4곡: 1번, 2번, 3번, 4번),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 (엄밀히는 협주곡이 아님)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바이올린 협주곡, 오보에 협주곡, 호른 협주곡 (2곡), 이중 협주곡, 기타


5. 4. 근대

이 시대에는 협주곡의 형식이 고도로 발전되었다. 이전 시대의 음악 양식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형식을 시도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대표적으로 협주곡의 소나타 형식을 벗어나 교향곡, 환상곡, 광시곡 등의 형식을 취한 곡들이 등장했다.[6][7][8][9][10][11][12][13][14][15][16][17][18]

20세기 초에 작곡된 협주곡 중 상당수는 낭만주의 후기 악파에 더 가깝다. 에드워드 엘가(바이올린 협주곡과 첼로 협주곡),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와 니콜라이 메트너(각각 4개의 피아노 협주곡과 3개의 피아노 협주곡), 장 시벨리우스(바이올린 협주곡), 프레데리크 딜리어스(바이올린 협주곡, 첼로 협주곡, 피아노 협주곡 및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이중 협주곡), 카롤 시마노프스키(2개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피아노를 위한 "심포니 협주곡"), 리하르트 슈트라우스(2개의 호른 협주곡, 바이올린 협주곡, 첼로를 독주자로 하는 음시 '돈 키호테', 그리고 후기 작품 중 오보에 협주곡)의 작품들이 대표적이다.

20세기 초 드뷔시, 쇤베르크, 베르크, 힌데미트, 스트라빈스키, 프로코피예프, 바르토크와 같은 여러 작곡가들은 음악 작곡 및 연주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칠 아이디어를 실험했다. 이러한 혁신에는 선법 사용, 서양 이외의 음계 탐구, 무조성 및 신조성 개발, 불협화음 수용, 12음 기법 발명, 다조성과 복잡한 박자표 사용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변화는 협주곡 형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음악적 언어에 대한 급진적인 영향 외에도, 새로운 확장된 기악 기술과 이전에는 무시되었던 음높이, 음색, 다이내믹스와 같은 음향적 측면에 초점을 맞춘 기교의 개념을 재정의했다. 경우에 따라 솔리스트의 역할과 오케스트라와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가져오기도 했다.

쇤베르크와 스트라빈스키는 모두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했다. 쇤베르크의 협주곡 소재는 베르크의 협주곡과 마찬가지로 12음렬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20세기,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첼로는 전례 없는 인기를 누렸으며, 그 결과 첼로 협주곡 레퍼토리는 양과 질 모두에서 피아노와 바이올린의 레퍼토리를 따라잡았다.

20세기는 또한 이전에 거의 사용되지 않았던 악기의 협주곡 레퍼토리 성장을 목격했으며, 라인홀트 글리에르의 무언가 콜로라투라 소프라노를 위한 협주곡도 있었다. 그 결과, 거의 모든 클래식 악기에는 이제 협주곡 레퍼토리가 있다. 앨런 호바네스의 작품 중에는 트럼펫과 현을 위한 '성 그레고리의 기도'가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의미의 협주곡은 아니다. 20세기 후반에는 맥스웰 데이비스와 같은 작곡가들이 협주곡 전통을 이어갔으며, 그의 스트래스클라이드 협주곡 연작은 솔리스트로 덜 친숙한 악기들을 활용한다.

20세기는 정통 협주곡 형식의 중심부에서 다양한 비전통적인 오케스트라 악기를 선보였다. 파울 힌데미트(1931년 ''트라우토니움과 현악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6] 앙드레 졸리베(1947년 ''옹드 마르트노 협주곡''),[7] 에이토르 빌라 로부스(1956년 ''하모니카 협주곡''),[8][9] 존 세리 시니어(1966년 ''베이스티 아코디언을 위한 C장조 협주곡''),[10][11] 아스토르 피아졸라(1979년 ''반도네온, 현악 오케스트라 및 타악기를 위한 협주곡'', "아콩카과"),[12] 피터 맥스웰 데이비스(1996년 ''피콜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Op. 182),[13][14]탄둔(1998년 ''물 타악기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15][16]이 대표적이다.

이 시대의 다른 작곡가들은 바로크 또는 낭만주의 시대에 협주곡 형식을 특징짓는 특정 특징을 거부하는 신고전주의를 채택했다. 그들 중 다수는 협주곡 구조 내에 재즈의 다양한 음악적 요소를 통합했다. 애런 코플런드(1926년 ''피아노 협주곡''), 모리스 라벨(1929년 ''왼손을 위한 협주곡''), 이고르 스트라빈스키(1945년 클라리넷과 재즈 밴드를 위한 ''에보니 협주곡'') 및 조지 거슈윈(1925년 ''F장조 협주곡'')[17]이 대표적이다. 또 다른 작곡가들은 오케스트라 자체가 협주곡 형식 내에서 주요 기교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했다. 이 접근 방식은 벨라 바르토크의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뿐만 아니라 월터 피스톤(1933), 코다이 졸탄(1939), 마이클 티펫(1962) 및 엘리엇 카터(1969)의 작품에서도 나타난다.[18]

관악 합주 협주곡에는 브라이언트(2007–2010), 포스(2002), 후사(1982), 제이콥(1974), 예거(1982)의 작품이 포함된다.

20세기에는 베베른의 아홉 개의 악기를 위한 협주곡, 스트라빈스키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이 작곡되었다.

5. 5. 현대

현대 협주곡은 오케스트라 편성이 기존과 다른 경우가 많으며, 불협화음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불안한 느낌을 주는 곡들도 많다. 동양 작곡가들은 동양 전통 악기를 위한 협주곡을 작곡하여 서양 악기로 표현함으로써 묘한 조화를 추구하기도 한다.

20세기에는 연주 기법과 악기 개량을 통해 악기의 표현력이 풍부해지면서 다양한 악기를 위한 협주곡 작곡이 활발해졌다. 타악기콘트라베이스처럼 독주 악기로 자주 쓰이지 않거나, 기타색소폰처럼 오케스트라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던 악기들도 주목받게 되었다. 라인홀트 글리에르와 같이 독주 악기 대신 성악을 사용하는 경우(콜로라투라 소프라노 협주곡)도 있었다. 그 외에도 (笙), 비파, 샤미센, 시타르, 사로드, 가믈란, 반조, 아프리카 드럼 등 세계 각지의 민속 악기나 근대 이후 발명된 옹드 마르트노, 일렉트릭 기타, 워터 퍼커션 등을 사용한 작품도 등장하였다.

다음은 20세기에 작곡된 주요 협주곡들이다.

반주 형태도 재즈 빅 밴드, 취주악, 현악 합주, 실내 앙상블 등 다양해졌다. 일본 일부 작곡가들은 일본 전통 악기만으로 협주곡을 제작하기도 했다.

힌데미트관현악을 위한 협주곡이라는 장르를 창시했는데, 이는 바로크 시대의 합주 협주곡을 현대 관현악에 되살린 것이라 할 수 있다. 이후 바르토크, 코다이, 루토스와프스키 등에 의해 크게 발전했다.

6. 협주곡, 연주회 구분

영어에서는 협주곡을 'concerto', 연주회를 'concert'라고 한다. 독일어에서는 일반적으로 '''Konzert'''라 부르지만, 혼동을 피하려면 협주곡은 'Instrumentalkonzert'라고 해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Library of Congress Copyright Office - Public Catalog 1978 - Present, "Concerto in C major for Free Bass Accordion" (Revised for Piano), Composer: John Serry Sr. https://cocatalog.lo[...] 2002
[2] 웹사이트 Eastman School of Music - University of Rochester - Sibley Music Library: John J. Serry Sr. Collection score "Concetro in C Major (1967) for Free Bass Accordion " Folder 15 & 16 p. 10 archived at the University of Rochester Eastman School of Music Sibley Music Library Special collections on esm.rochester.edu https://www.esm.roch[...]
[3] 웹사이트 Australian Chamber Choir fills church with uplifting sacred music https://www.smh.com.[...] 2024-03-27
[4] 서적 A history of the concerto https://www.worldcat[...] Amadeus Press 1994
[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oncerto https://courses.lume[...] 2021-07-21
[6] 서적 Electronic and Experimental Music: Pioneers in Technology and Composition. Concerto for Trautonium Paul Hindemit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2
[7] 서적 A History of the Concerto. Concerto for Ondes Martenot Andre Jolivet https://books.google[...] Amadeus Press 1994
[8]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Harmonnica. Villa-Lobos Concerto for the Harmonica https://books.google[...] Mel Bay Publications 2016
[9] 서적 A History of the Concerto. Villa-Lobos Concerto for the Harmonica https://books.google[...] Amadeus Press 1994
[10] 웹사이트 The Library of Congress Copyright Office - Public Catalog 1978 - Present, "Concerto in C major for Free Bass Accordion" (Revised for Piano), Composer: John Serry Sr. https://cocatalog.lo[...] 2002
[11] 웹사이트 Eastman School of Music - University of Rochester - Sibley Music Library: John J. Serry Sr. Collection score "Concerto in C Major (1967) for Free Bass Accordion " Folder 15 & 16 p. 10 archived at the University of Rochester Eastman School of Music Sibley Music Library Special collections on esm.rochester.edu https://www.esm.roch[...]
[12] 서적 World Music: Latin and North America,, Caribbean, India, Asia and Pacific. Astor Piazzolla Concerto for Bandoneon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2000
[13] 서적 Peter Maxwell Davies A Source Book. Peter maxwell Davies Concerto for Picollo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
[14] 서적 Peter Maxwell Davies Selected Writings. Peter Maxwell Davies Concerto for Picollo and Orchetr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
[15]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Music Signification. Tan Dun Concerto for Water Percussion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 2020
[16] 웹사이트 10 of the Best Concertos for Unusual Instruments https://www.classica[...] 2024-02-27
[17] 서적 The Harvard Dictionary of Music: Fourth Edition. 2oth Century Concertos for Orchestra https://books.googl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
[18] 서적 The Harvard Dictionary of Music: Fourth Edition. 2oth Century Concertos for Orchestra https://books.googl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3
[19] 웹사이트 The Library of Congress Copyright Office - Public Catalog 1978 - Present, "Concerto in C major for Free Bass Accordion" (Revised for Piano), Composer: John Serry Sr. https://cocatalog.lo[...] 2002
[20] 웹사이트 Viola Concerto in D major, Op.1 (Stamitz, Carl Philipp) - IMSLP: Free Sheet Music PDF Download https://imslp.org/wi[...]
[21] 웹사이트 Viola Concerto in E-flat major (Zelter, Carl Friedrich) https://imslp.org/wi[...]
[22] 웹사이트 Kammermusik No.6, Op.46 No.1 (Hindemith, Paul) - IMSLP https://imslp.org/wi[...] 2024-03-27
[23] RISM
[24] 웹사이트 Harp Concertos SACD https://www.classics[...]
[25] 웹사이트 Harp Concertos: Ginastera / Jolivet / Glière https://www.alicegil[...]
[26] 웹사이트 CD-recensie: Anneleen Lenaerts - Harpconcerten https://www.opusklas[...] 2015-01
[27] 웹사이트 Jongen: Harp Concerto https://www.prestomu[...]
[28] 웹사이트 Concerto for Harp and Chamber Orchestra (1952) https://www.prestomu[...]
[29] 간행물 Review: Milhaud Orchestral Works https://www.gramopho[...] 1993-02
[30] 웹사이트 Milhaud - Harp Concerto, Op. 323 https://www.prestomu[...]
[31] 웹사이트 Two Major Late Works Continue Rautavaara Survey https://classicalvoi[...] 2019-01-20
[32] 웹사이트 Rautavaara: Symphony No. 8; Harp concerto https://www.classics[...] 2001-05-12
[33] 웹사이트 Chris Thile's New Mandolin Concerto Is a Romp Through the Record Industry https://www.sfcv.org[...] 2024-03-27
[34] 웹사이트 Mandolin Concerto https://www.wisemusi[...] 2024-03-27
[35] 웹사이트 American Premiere: Tahir Aydoğdu performs Hasan Ferid Alnar's Kanun Concerto https://liberalarts.[...] 2024-03-27
[36] 웹사이트 Peter Maxwell Davies: Piccolo Concerto: Piccolo https://www.musicroo[...] 2022-04-18
[37] 웹사이트 Op.50 Concerto for Piccolo and Orchestra https://www.lowellli[...] 2022-04-18
[38] 웹사이트 English recorder concertos[sound recording] /Richard Harvey ; Malcolm Arnold ; Gordon Jacob. – National Library https://www.nlb.gov.[...] 2022-10-14
[39] 웹사이트 Takemitsu and Tanaka https://www.yourclas[...] 2017-11-09
[40] 서적 Bernd Aloïs Zimmermann https://www.larousse[...] Larousse Éditions 2005
[41] 백과사전 Leo Sowerby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2024-02-04
[4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Concerto https://courses.lume[...]
[43] 웹사이트 Piano Concerto - Details - AllMusic http://www.allmusic.[...]
[44] 서적 ''Library of Congress Copyright Office - Catalog of Copyright Entries: Third Series Music July-December 1968, Vol. 22, Part 5, Number 2, Section 1, published 1970, p. 1626 ''"Concerto in C Major for Bassetti Accordion" Op. 1 John Serry 1968, Solo Arrangement Jan. 1, 1968 No. EP247602'' https://books.google[...]
[45] 뉴스 Piazzolla: Sinfonia Buenos Aires; Concerto for Bandoneon; Las Cuatro Estaciones Porteñas https://www.theguard[...] 2010-09-23
[46] 학술지 Williams: "Tuba Concerto"; Tailleferre: "Harp Concertino"; Tomasi: "Saxophone Concerto"; Mayuzumi: "Xylophone Concerto" 2002
[47] 웹사이트 Works https://www.neyrosau[...] Emmanuel Berrido 2023-02-11
[48] 웹사이트 Harmonica Concerto, W524 (Villa-Lobos, Heitor) - IMSLP: Free Sheet Music PDF Download https://imslp.org/wi[...] 2021-05-13
[49] 웹사이트 10 of the best concertos for unusual instruments https://www.classica[...] 2024-03-27
[50] 웹사이트 Proms 2022: BBC Philharmonic; Shostakovich's Last Symphony and a Concerto for Theremin https://www.abc.net.[...] 2022-09-03
[51] 웹사이트 George Frideric Handel 1685-1759: Concerti a due cori, HWV 332, HWV 333, HWV 334 https://www.harmonia[...]
[52] 웹사이트 Program Notes: Sir Michael Tippett – Concerto for Double String Orchestra https://cso.org/uplo[...] 2010
[53] 서적 図解音楽事典 白水社 198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