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로 파가니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로 파가니니는 1782년 제노바에서 태어난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작곡가이다. 그는 17세에 명성을 얻었으나 방탕한 생활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이후 이탈리아 각지와 유럽을 순회하며 바이올린 연주의 새로운 경지를 열었고, '악마에게 영혼을 팔았다'는 소문이 돌 정도로 뛰어난 기교를 선보였다. 파가니니는 24개의 카프리스, 바이올린 협주곡 등을 작곡했으며, 그의 연주 기법은 후대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1840년 니스에서 사망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그의 음악과 삶을 다룬 영화가 개봉되는 등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콜로 파가니니 -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광시곡은 라흐마니노프가 파가니니의 카프리스 24번 주제를 바탕으로 작곡한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광시곡으로, 24개의 변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18번째 변주는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 니콜로 파가니니 -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요하네스 브람스가 파가니니의 카프리스 24번 주제를 바탕으로 작곡한 피아노 작품인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은 두 권으로 구성되어 각 권마다 14개의 변주곡과 고도의 기교를 요구하는 종결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습곡의 성격을 갖도록 의도되어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피아노를 위한 연습곡: 변주곡"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고, 극심한 연주 난이도로 인해 '마녀 변주곡'이라고도 불린다. - 이탈리아의 클래식 바이올린 연주자 - 안토니오 비발디
안토니오 비발디는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의 작곡가이자 바이올리니스트로, 베네치아 피에타 고아원에서 다수의 작품을 작곡했으며, 바이올린 협주곡 《사계》로 널리 알려져 바로크 및 후대 음악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빈곤 속에서 사망 후 20세기에 재평가되었다. - 이탈리아의 클래식 바이올린 연주자 -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시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시는 18세기 이탈리아의 작곡가로, 오페라 부파 《마님이 된 하녀》와 종교 음악 《스타바트 마테르》 등을 작곡했으며, 26세의 젊은 나이에 결핵으로 사망했으나 사후에 더 큰 명성을 얻었다. - 바이올린 작곡가 - 카미유 생상스
카미유 생상스는 1835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오페라, 교향시, 협주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많은 작품을 남긴 19세기 후반 프랑스의 대표적인 작곡가이다. - 바이올린 작곡가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바로크 시대 독일의 작곡가이자 오르가니스트로, 뛰어난 대위법 기법과 독창적인 화성으로 서양 음악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다양한 장르에 걸쳐 1000곡이 넘는 작품을 남긴 거장이다.
니콜로 파가니니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니콜로 파가니니 |
출생 | 1782년 10월 27일 제노바 |
사망 | 1840년 5월 27일 니스 |
직업 | 바이올리니스트, 작곡가 |
활동 장르 | 낭만주의 음악 |
악기 | |
주요 악기 | 바이올린 |
로마자 표기 | |
이탈리아어 | Niccolò Paganini |
음성 |
2. 생애
파가니니는 5세 무렵부터 바이올린을 시작했으며, 13세에는 더 이상 배울 것이 없을 정도로 뛰어난 실력을 갖추게 되었다. 그는 아버지와 A. 콜라에게 잠시 배운 것을 제외하고는 놀라운 연주 기술을 독학으로 익혔다. 아버지의 가혹한 지도 방식은 파가니니의 열정을 더욱 불태웠다고 한다.
10대 초, 파가니니는 이미 대부분의 연주 기법을 통달했고, 15세부터 하루 10시간 이상 연습하며 독자적인 기법을 익혔다. 1799년 17세에 북이탈리아에서 성공적인 데뷔를 하여 명성과 부를 얻었으나, 자만심에 빠져 방탕한 생활과 도박으로 건강을 해치고 빚을 지기도 했다. 1801년부터 1804년까지는 토스카나에서 한 귀부인과 동거하며 건강 회복과 새로운 연주법 개발에 힘썼는데, 이 시기에 하모닉스, 중음주법, 스타카토 등의 새로운 주법을 개척했다.
1804년 22세 때 제노바로 돌아와 다시 연주 활동을 시작한 파가니니는 이전보다 더 큰 칭송을 받았다. 나폴레옹의 누이 동생에게 초대되어 루카의 궁정 가극장에서 3년간 지휘 생활을 하기도 했다. 1808년부터 1828년까지 20년간 이탈리아 각지를 돌며 연주 여행을 하며, 이전의 바이올린 연주 기법을 훨씬 뛰어넘는 신기에 가까운 기술을 선보여 청중에게 큰 감명을 주었다. 그의 명성은 이탈리아를 넘어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갔다.
1828년부터 5년간 파가니니는 빈, 베를린, 파리, 영국 등 유럽 각지를 순회하며 열광적인 환영을 받았다. 1832년 귀국 후 파르마에 정착했다. 말년에는 이탈리아와 프랑스를 오가며 연주 활동을 했고, 자작 작품을 출판하려 했으나 인세 문제로 생전에 출판된 작품은 극히 적다. 이는 파가니니가 자신의 연주 기법이 공개되는 것을 꺼렸기 때문이기도 하다.
1834년 베를리오즈에게 비올라 협주곡 작곡을 의뢰했으나, 완성된 작품("이탈리아의 해롤드")이 마음에 들지 않아 직접 연주하지 않았다. 이 무렵부터 파가니니의 건강은 악화되어 1840년 5월 27일 인후 결핵으로 니스에서 57세로 사망했다.
파가니니의 사인은 폐결핵 또는 후두암으로 알려져 있지만, 담당 의사의 진단과 기록된 증상(치은염, 진전, 시야 협착 등)으로 보아 수은 중독이 실제 사인으로 보인다.[37] 그의 뛰어난 연주 실력은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 얻은 것"이라는 소문을 낳았고, 이 때문에 그의 시신은 매장을 거부당하고 여러 곳을 떠돌다 1876년에야 파르마의 공동묘지에 안치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초기 활동
파가니니는 1782년 10월 27일 제노바에서 태어나[1]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에게 만돌린과 바이올린을 배웠다. 그는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빠르게 성장했고, 조반니 세르베토, 자코모 코스타 등 여러 스승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나 곧 그들의 실력을 뛰어넘었다. 파가니니는 파르마로 가서 알레산드로 롤라(Alessandro Rolla)에게 지도를 받으려 했으나, 롤라는 그의 연주를 듣고 페르디난도 파에르(Ferdinando Paer), 가스파로 기레티(Gasparo Ghiretti)에게 보내 가르침을 받게 했다.10대 초, 파가니니는 이미 대부분의 연주 기법을 통달했으며, 15세부터 하루 10시간 이상 연습하여 독자적인 기법을 익혔다. 1799년, 17세의 나이로 북이탈리아에서 성공적인 데뷔를 하였고, 명성과 부를 얻었다. 하지만, 급작스러운 성공에 도취된 그는 방탕한 생활과 도박으로 건강을 해치고 빚을 지기도 했다.
1801년부터 1804년까지는 토스카나에서 한 귀부인과 동거하며 건강 회복과 새로운 연주법 개발에 힘썼다. 이 시기에 하모닉스, 중음주법, 스타카토 등의 새로운 주법을 개척했다. 한편, 1796년 3월 프랑스의 이탈리아 북부 침공으로 제노바의 정세가 불안해지자, 파가니니 가족은 볼차네토 근처 로마이로네에 있는 시골집으로 피신하기도 했다. 이 시기에 파가니니는 기타 연주를 능숙하게 익혔으며, 기타를 자신의 콘서트 순회 공연에서 "늘 함께하는 동반자"라고 묘사하기도 했다.[3]
2. 2. 전성기: 유럽 순회 연주
1804년 22세 때 출생지 제노바로 돌아와 다음 해부터 다시 연주 활동을 시작하여 이전보다 더 큰 칭송을 받았다. 나폴레옹의 누이 동생에게 초대되어 보케리니의 출생지 루카의 궁정 가극장에서 3년간 지휘 생활을 했다.[4] 1808년부터 1828년까지 20년간 이탈리아 각지를 돌며 연주 여행을 하였으며, 이전의 바이올린 연주 기법을 훨씬 뛰어넘는 신기에 가까운 기술을 선보여 청중에게 큰 감명을 주었다. 그의 연주 기술은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유럽 각지로 퍼져나가, 파가니니의 이름은 온 유럽 음악 애호가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828년 파가니니는 처음으로 국외 연주 여행을 시작했다. 3월 말 빈에서의 연주회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어, 상점마다 "파가니니 스타일"이라는 양복, 모자, 장갑, 구두 등이 범람하였다. 다음 해 1829년 베를린에서도 이러한 성공을 거둔 파가니니는 독일 각지를 순회한 뒤 폴란드로 갔고, 1831년엔 파리와 영국으로 건너가 가는 곳마다 열광적인 환영을 받았다.[5][6][7] 1832년 가을, 5년간의 연주 여행을 마치고 귀국하여 북이탈리아의 파르마를 정착지로 삼았다.

2. 3. 말년과 죽음
1834년 1월, 파가니니는 파리에서 베를리오즈에게 비올라 협주곡 작곡을 의뢰했다. 그러나 완성된 작품인 "이탈리아의 해롤드"는 파가니니의 기대에 미치지 못해 그가 직접 연주하지는 않았다.[11] 이 무렵부터 파가니니의 건강은 급격히 악화되어 연주 활동이 뜸해졌다. 1840년 5월 27일, 그는 인후 결핵으로 니스에서 5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파가니니는 평생 만성 질환을 앓았다. 명확한 의학적 증거는 없지만, 후대에 마르팡 증후군[8][9]이나 엘러스-단로스 증후군[10]을 앓았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잦은 연주와 사치스러운 생활 방식도 그의 건강에 영향을 미쳤다. 1822년, 파가니니는 매독 진단을 받았고, 수은과 아편을 사용한 치료는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부작용을 초래했다. 1834년, 그는 파리에서 결핵 치료를 받기도 했다.
소년 시절부터 허약했던 파가니니는 1820년에 이르러 만성적인 기침 등 건강 악화를 호소하며 '독소 제거'를 위해 하제를 복용하기 시작했다. 1823년에는 매독 진단을 받고 수은 요법과 아편 투여를 시작했으며, 1828년경에는 결핵 진단을 받고 염화수은(I)(감홍)을 복용하기 시작했고, 계속해서 하제를 복용했다. 그 결과, 수은 중독이 심해져 점차 바이올린 연주가 불가능해졌고, 1834년경 결국 은퇴했다. 1840년, 파가니니는 수은 중독으로 인한 상기도염, 네프로제 증후군, 만성 신부전으로 니스에서 사망했다.
일반적으로 그의 사인은 폐결핵 또는 후두암으로 알려져 있지만, 담당 의사의 진단 결과 결핵이 아니었음이 밝혀졌다. 기록된 증상(치은염, 진전, 시야 협착 등)으로 미루어 보아 수은 중독이 প্রকৃত 사인으로 보인다.[37]
파가니니의 뛰어난 바이올린 연주 실력 때문에 "그가 악마에게 영혼을 팔아 기술을 얻었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 때문에 그의 연주회에는 진심으로 십자가를 긋는 사람이나, 그의 발이 땅에 닿는지 확인하려는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소문으로 인해 파가니니의 시신은 매장을 거부당했고, 방부 처리된 채 여러 곳을 떠돌다 여러 번의 이장 끝에 1876년에야 파르마의 공동묘지에 안치되었다.
3. 파가니니의 연주 기법
파가니니는 4옥타브에 이르는 넓은 음역을 자유자재로 구사했으며, 스타카토(음을 하나하나 끊어 연주하는 기법), 피치카토(현을 손끝으로 튕겨 소리를 내는 기법), 하모닉스(현에 손가락을 가만히 대어 휘파람 같은 소리를 내는 기법), 이중 트릴(떨꾸밈음) 등 화려한 연주 기법을 개발했다.[5][6]
파가니니의 연주 기법은 피에트로 로카텔리와 오귀스트 뒤라누아스키의 영향을 받았다. 파가니니는 파르마에서 로카텔리의 24개 카프리스를 접했는데, 이 곡들은 기술적 혁신으로 인해 당대에는 외면받았지만 파가니니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조반니 바티스타 비오티의 제자였던 뒤라누아스키는 하모닉스와 왼손 피치카토 연주로 명성을 얻었으며, 파가니니는 그의 혁신적인 연주 기법과 쇼맨십에 감명을 받았다. 파가니니는 이러한 바이올린 연주 기법들을 부활시키고 대중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9]
파가니니는 유난히 긴 손가락을 가지고 있어 한 손으로 네 개의 현에 걸쳐 3옥타브를 연주할 수 있었다. 이는 오늘날의 기준으로도 놀라운 업적이다.[20] 그의 유연한 왼손은 혹독한 특훈의 결과였으며, 말판 증후군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 아이작 아시모프는 파가니니의 연주 기술이 말판 증후군 특유의 손가락 길이와 관절의 부드러운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하는 견해를 제시하기도 했다.
4. 평가와 영향
파가니니의 초절기교는 19세기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리스트, 브람스, 라흐마니노프 등은 파가니니의 멜로디를 차용하여 많은 피아노 난곡(難曲)을 작곡했다. 이는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기교가 피아노 연주 기법의 발전에도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준다.[5][6] 그의 대표작으로는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무반주 <24개의 카프리스>가 있다.
파가니니는 로돌프 크로이처, 조반니 바티스타 비오티 등 당대 작곡가들의 작품을 편곡하여 연주하기도 했다. 그의 연주와 작품은 슈만을 비롯한 여러 작곡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특히 '24개의 카프리스' 제24번과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제3악장 "종의 론도(라 캄파넬라)"는 다양한 변주곡으로 재탄생되었다.
4. 1. 대한민국에서의 평가
파가니니는 대한민국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의 기교와 음악성은 많은 연주자와 음악 애호가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2013년 영화 "파가니니: 악마의 바이올리니스트"가 대한민국에서 개봉되어 그의 삶과 음악이 대중에게 소개되기도 했다. 그의 작품은 클래식 음악 연주회에서 자주 연주되며, 특히 24개의 카프리스와 라 캄파넬라는 대중적으로도 인기가 높다.5. 작품 목록
파가니니는 자신의 독주회에서 연주하기 위한 작품들을 작곡했으며, 이 작품들은 모두 바이올린 연주 기법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805년에서 1809년 사이 바치오키 궁정에 있었던 시기에 작곡된 것으로 추정되는 24개의 카프리스를 비롯하여, 독주곡, 이중주 소나타, 삼중주, 기타를 위한 사중주 등을 작곡했다. 기타는 독주 악기 또는 현악기와 함께 사용되었으며, 이러한 실내악 작품들은 루카에서 출판된 보케리니의 기타 5중주곡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21]
파가니니의 작품들은 기술적으로 상상력이 풍부하여 악기의 음색을 크게 확장시켰다.[22] 다양한 악기와 동물의 소리를 모방한 "일 판당고 스파뇰로(Il Fandango Spanolo)"(스페인 춤), 연인의 한숨과 신음을 바이올린으로 묘사한 독주곡 "듀엣 아모로소(Duetto Amoroso)" 등이 대표적이다. "듀엣"의 악보는 남아 있으며 녹음되기도 했으나, "판당고"는 콘서트 포스터를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22]
외젠 이자이는 파가니니의 작품에 진정한 다성 음악의 특징이 부족하다고 비판했지만,[23] 예후디 메뉴힌은 파가니니가 피아노 대신 기타를 작곡 보조 도구로 사용했기 때문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16] 파가니니 협주곡의 오케스트라 파트는 독주자를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조반니 파이지엘로, 조아키노 로시니, 가에타노 도니체티 등 당대 이탈리아 작곡가들의 영향을 받았다.[24]
프란츠 리스트, 로베르트 슈만, 요하네스 브람스,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등 많은 작곡가들이 파가니니의 "라 캄파넬라"와 A단조 카프리스(24번)에서 영감을 받아 변주곡을 작곡했다.
5. 1. 바이올린 협주곡
파가니니는 1817년부터 1830년 사이에 바이올린 협주곡 6곡을 작곡했다.[21] 원래는 총 12곡이었다고 하며, 제3번부터 제6번까지는 20세기에 들어와서 발견되었다.-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D장조 작품 6, MS 21 (1815년)
-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B단조 작품 7, MS 48 (1826년)
- 바이올린 협주곡 제3번 E장조 MS 50 (1826년)
- 바이올린 협주곡 제4번 D단조 MS 60 (1829-30년)
- 바이올린 협주곡 제5번 A단조 MS 78 (1830년)
- 바이올린 협주곡 제6번(제0번) E단조 MS 75 (1815년경)
프란츠 슈베르트는 파가니니가 빈에 왔을 때 가재도구를 팔아 비싼 티켓을 구해 그의 연주를 들었는데, “아다지오에서는 천사의 목소리가 들렸어”라고 감격했다. 이때 슈베르트가 들었다고 전해지는 곡은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종의 론도가 포함된)이다.
프란츠 리스트는 첫사랑에 실패해 침울했던 20세 때 파가니니의 연주를 듣고 “나는 피아노의 파가니니가 될 것이다!”라고 결심하고 초절 기교를 연마했다는 일화가 있다. 리스트는 바이올린 협주곡 제4번을 들었다고 전해진다.
5. 2.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작품
파가니니는 자신의 독주회에서 연주하기 위한 작품들을 작곡했으며, 이 작품들은 모두 바이올린 연주 기법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21] 일반적으로 파가니니의 작품들은 기술적으로 상상력이 풍부했으며, 이러한 작품들 덕분에 악기의 음색이 크게 확장되었다.[22] 그의 협주곡의 오케스트라 파트는 종종 점잖고 모험심이 없었으며, 명백히 독주자를 지원하는 역할을 했다.[24]작품 번호 | MS 번호 | 제목 | 조성 | 작곡 연도 |
---|---|---|---|---|
- | 5 | 나폴레옹 소나타 | 변호장조 | 1805년 ~ 1809년 |
작품 8 | 19 | 마녀들의 춤 (슈스마이어의 발레 《베네벤토의 호두나무》 아리아에 의한 변주곡) | 니장조 | 1813년 |
- | 47 | 요제프 바이글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이 있는 소나타 | 호장조 | 1818년경 |
작품 12 | 22 | 로시니의 오페라 《신데렐라》의 「슬픔이여, 사라져라」에 의한 서주와 변주곡 | 변호장조 | 1818년 ~ 1819년 |
- | 23 | 모세 환상곡 (로시니의 오페라 《이집트의 모세》의 「네 별이 박힌 왕좌에」에 의한 서주와 변주곡) | 하장조 | 1818년 ~ 1819년 |
작품 13 | 77 | 로시니의 오페라 《탕크레디》의 「이렇게 가슴이 두근거리는데」에 의한 서주와 변주곡 | 이장조 | 1819년 |
- | 24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포프리 | - | 1819년 또는 1831년경 (분실?) |
- | 51 | 감상적인 당당한 소나타 | 가장조 | 1828년 |
작품 10 | 59 | 베니스의 사육제 (나폴리 가곡 「사랑스러운 어머니」에 의한 변주곡) | 가장조 | 1829년 |
작품 11 | 72 | 영원한 운동 | 다장조 | 1835년 |
- | 73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변주곡이 있는 소나타, 「봄」 | 가장조 | 1838년경 |
5. 3. 독주곡
파가니니는 자신의 독주회에서 연주하기 위한 작품들을 작곡했으며, 이 작품들은 모두 바이올린 연주 기법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24개의 카프리스는 1805년에서 1809년 사이 바치오키 궁정에 있었던 시기에 작곡된 것으로 추정된다.[21] 또한 이 기간 동안 그는 독주곡, 이중주 소나타, 삼중주, 기타를 위한 사중주를 대부분 작곡했는데, 기타는 독주 악기 또는 현악기와 함께 사용되었다. 이러한 실내악 작품들은 루카에서 출판된 보케리니의 기타 5중주곡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21] "마녀들(Le Streghe)", "베니스의 사육제", "내 마음속에 더 이상 느껴지지 않는다(Nel cor più non mi sento)"를 포함한 그의 변주곡들은 유럽 순회 공연 전에 작곡되었거나 적어도 초연되었다.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 6곡은 1817년부터 1830년 사이에 작곡되었다.[21]일반적으로 파가니니의 작품들은 기술적으로 상상력이 풍부했으며, 이러한 작품들 덕분에 악기의 음색이 크게 확장되었다.[22] 다양한 악기와 동물의 소리가 종종 모방되었다. 그러한 작품 중 하나는 "일 판당고 스파뇰로(Il Fandango Spanolo)"(스페인 춤)라는 제목으로, 일련의 유머러스한 농장 동물 흉내를 특징으로 한다. 더욱 파격적인 것은 연인의 한숨과 신음을 바이올린으로 생생하게 묘사한 독주곡 "듀엣 아모로소(Duetto Amoroso)"이다. "듀엣"의 악보는 남아 있으며 녹음되기도 했다.[22] "판당고"의 존재는 콘서트 포스터를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22]
외젠 이자이는 파가니니의 작품들이 진정한 다성 음악의 특징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23] 반면 예후디 메뉴힌은 이것이 파가니니가 작곡 보조 도구로 피아노 대신 기타에 의존했기 때문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16]
- 무반주 바이올린을 위한 24개의 카프리스 작품 1, MS 25 (1802-17년)
- 나폴레옹 소나타, 변호장조, MS 5 (1805-09년)
- 마녀들의 춤 (슈스마이어의 발레 《베네벤토의 호두나무》 아리아에 의한 변주곡), 니장조, 작품 8, MS 19 (1813년)
- 요제프 바이글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이 있는 소나타, 호장조, MS 47 (1818년경)
- 로시니의 오페라 《신데렐라》의 「슬픔이여, 사라져라」에 의한 서주와 변주곡, 변호장조, 작품 12, MS 22 (1818-19년)
- 모세 환상곡 (로시니의 오페라 《이집트의 모세》의 「네 별이 박힌 왕좌에」에 의한 서주와 변주곡), 하장조, MS 23 (1818-19년)
- 로시니의 오페라 《탕크레디》의 「이렇게 가슴이 두근거리는데」에 의한 서주와 변주곡, 이장조, 작품 13, MS 77 (1819년)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포프리, MS 24 (1819년 또는 1831년경, 분실?)
- 감상적인 당당한 소나타, MS 51 (1828년)
- 베니스의 사육제 (나폴리 가곡 「사랑스러운 어머니」에 의한 변주곡), 이장조, 작품 10, MS 59 (1829년)
- 영원한 운동 하장조, 작품 11, MS 72 (1835년)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변주곡이 있는 소나타, 이장조, 「봄」, MS 73 (1838년경)
5. 4. 실내악곡
파가니니는 독주회에서 연주하기 위한 작품들을 작곡했으며, 이 작품들은 모두 바이올린 연주 기법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24개의 카프리스는 1805년에서 1809년 사이 바치오키 궁정에 있었던 시기에 작곡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 기간 동안 그는 독주곡, 이중주 소나타, 삼중주, 기타를 위한 사중주를 대부분 작곡했는데, 기타는 독주 악기 또는 현악기와 함께 사용되었다. 이러한 실내악 작품들은 루카에서 출판된 보케리니의 기타 5중주곡에서 영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마녀들(Le Streghe)", "베니스의 사육제", "내 마음속에 더 이상 느껴지지 않는다(Nel cor più non mi sento)"를 포함한 그의 변주곡들은 유럽 순회 공연 전에 작곡되었거나 적어도 초연되었다.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 6곡은 1817년부터 1830년 사이에 작곡되었다.[21]일반적으로 파가니니의 작품들은 기술적으로 상상력이 풍부했으며, 이러한 작품들 덕분에 악기의 음색이 크게 확장되었다. 다양한 악기와 동물의 소리가 종종 모방되었다. 그러한 작품 중 하나는 "일 판당고 스파뇰로(Il Fandango Spanolo)"(스페인 춤)라는 제목으로, 일련의 유머러스한 농장 동물 흉내를 특징으로 한다. 더욱 파격적인 것은 연인의 한숨과 신음을 바이올린으로 생생하게 묘사한 독주곡 "듀엣 아모로소(Duetto Amoroso)"이다. "듀엣"의 악보는 남아 있으며 녹음되기도 했다. "판당고"의 존재는 콘서트 포스터를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22]
파가니니는 1800년부터 1805년까지는 표면적인 활동을 중단하고 기타 작품을 많이 작곡했다. 이것은 피렌체의 여성 기타 연주자를 애인으로 삼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 나폴레옹 소나타, 변호장조, MS 5 (1805-09년)
- 마녀들의 춤 (슈스마이어의 발레 《베네벤토의 호두나무》 아리아에 의한 변주곡), 니장조, 작품 8, MS 19 (1813년)
- 요제프 바이글의 주제에 의한 변주곡이 있는 소나타, 호장조, MS 47 (1818년경)
- 로시니의 오페라 《신데렐라》의 「슬픔이여, 사라져라」에 의한 서주와 변주곡, 변호장조, 작품 12, MS 22 (1818-19년)
- 모세 환상곡 (로시니의 오페라 《이집트의 모세》의 「네 별이 박힌 왕좌에」에 의한 서주와 변주곡), 하장조, MS 23 (1818-19년)
- 로시니의 오페라 《탕크레디》의 「이렇게 가슴이 두근거리는데」에 의한 서주와 변주곡, 이장조, 작품 13, MS 77 (1819년)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포프리, MS 24 (1819년 또는 1831년경, 분실?)
- 감상적인 당당한 소나타, MS 51 (1828년)
- 베니스의 사육제 (나폴리 가곡 「사랑스러운 어머니」에 의한 변주곡), 이장조, 작품 10, MS 59 (1829년)
- 영원한 운동 하장조, 작품 11, MS 72 (1835년)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변주곡이 있는 소나타, 이장조, 「봄」, MS 73 (1838년경)
6. 파가니니를 주제로 한 작품
파가니니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주목할 만한 작품은 다음과 같다.
작곡가 | 작품명 |
---|---|
제이슨 베커(Jason Becker) | 카프리스 5번 |
마이크 캠피스(Mike Campese) | 카프리스 16번과 다양한 작품을 편곡한 "파가니니" |
훌리안 카리요(Julián Carrillo) |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파가니니에게 바치는 6개의 소나타" |
알프레도 카셀라(Alfredo Casella) | 파가니니아나 작품번호 65 (1942) |
마리오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Mario Castelnuovo-Tedesco) | 클래식 기타를 위한 카프리치오 디아볼리코 (파가니니에게 바치는 헌정곡, "라 캄파넬라" 인용) |
프레데리크 쇼팽(Frédéric Chopin) | 피아노 독주를 위한 파가니니의 추억 (1829; 사후 출판) |
이브리 기틀리스(Ivry Gitlis) |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협주곡 2번 작품번호 7 "라 캄파넬라" 1악장을 위한 카덴차 (1967) |
요한 네포무크 후멜(Johann Nepomuk Hummel) | C장조 피아노 판타지아 "파가니니의 추억", WoO 8, S. 190 |
프리츠 크라이슬러(Fritz Kreisler) |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D장조 파가니니 협주곡 (작품번호 6 협주곡의 1악장을 재구성한 각색) |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 피아노 독주를 위한 6개의 파가니니 대연습곡, S. 141 (1851) (5개의 카프리스와 바이올린 협주곡 2번의 "라 캄파넬라"를 포함한, 매우 뛰어난 기교를 요구하는 편곡) |
잉위 맘스틴(Yngwie Malmsteen) | 트라이얼 바이 파이어에서 "Far Beyond the Sun"의 도입부에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협주곡 4번 사용. 전쟁을 끝낼 전쟁 음반의 "Prophet of Doom"이라는 노래의 솔로 부분에 카프리스 24번 사용 |
내선 밀슈타인(Nathan Milstein) | 파가니니의 24번 카프리스의 주제를 바탕으로 한 변주곡 모음인 파가니니아나 (다른 카프리스의 모티브를 기반으로 변주) |
체사레 푸니(Cesare Pugni) | "베니스의 카니발" 파 드되 (또는 "사타넬라" 파 드되). 파가니니의 베니스의 카니발, 작품번호 10의 선율을 기반. 원래는 마리우스 프티파(Marius Petipa)가 자신과 발레리나 아말리아 페라리스(Amalia Ferraris)를 위한 독주곡으로 안무.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황실 볼쇼이 카멘니 극장(Bolshoi Kamenny Theatre)에서 처음 공연. |
조지 로크버그(George Rochberg) |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50개의 변주곡 카프리스 변주곡 (1970) |
마이클 로메오(Michael Romeo) | "B 단조 협주곡"은 파가니니의 B 단조 바이올린 협주곡 2번, 작품번호 7의 알레그로 마에스토소(1악장)를 각색 |
울리 욘 로스(Uli Jon Roth) | "Scherzo alla Paganini"와 "Paganini Paraphrase" |
로베르트 슈만(Robert Schumann) | 파가니니의 카프리스에 의한 연습곡, 작품번호 3 (1832; 피아노); 파가니니의 카프리스에 의한 6개의 콘체르트 연습곡, 작품번호 10 (1833, 피아노). 그의 피아노 작품 카니발 (작품번호 9)의 한 악장은 파가니니의 이름을 따서 명명 |
요한 세들라체크(Johann Sedlatzek) | ("플루트의 파가니니"로 알려진 19세기 폴란드 플루티스트) – "베니스의 카니발"에 대한 "파가니니를 위한 추억" 그랜드 변주곡 |
마릴린 슈루드(Marilyn Shrude) | 알토 색소폰과 피아노를 위한 신화의 갱신 |
스티브 바이(Steve Vai) | 영화 크로스로드의 "Eugene's Trick Bag". 카프리스 5번을 기반 |
필립 윌비(Philip Wilby) | 관악 합주와 금관악 합주를 위한 파가니니 변주곡 |
아우구스트 빌헬름(August Wilhelmj) |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D장조 파가니니 협주곡 (작품번호 6 협주곡의 1악장을 재구성한 각색) |
외젠 이자이(Eugène Ysaÿe)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파가니니 변주곡 |
- ''카프리스 24번'' A단조, 작품번호 1, (''주제와 변주'')는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Sergei Rachmaninoff)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를 포함한 많은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의 기반이 되었다.

- 1904년 제노바 음악원은 작곡가를 기념하여 "니콜로 파가니니 음악원(Conservatorio Niccolò Paganini)"으로 이름이 바뀌었다.[25] 이 음악원에서는 1954년에 창설된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인 파가니니 콩쿠르(Premio Paganini)가 개최된다.
- 파가니니는 여러 영화와 텔레비전 작품에서 다수의 배우들이 연기했다.
- 1946년 전기 영화 ''마법의 활(The Magic Bow)''에서는 스튜어트 그랜저(Stewart Granger)가 연기했다.
- 1945년 영화 ''기억의 노래(A Song to Remember)''에서는 록시 로스(Roxy Roth)가 연기했다.
- 1989년 영화 ''킨스키 파가니니''에서는 클라우스 킨스키(Klaus Kinski)가 파가니니를 연기했다.
- 1982년 소련 미니시리즈 ''니콜로 파가니니(Niccolo Paganini)''에서는 아르메니아 배우 블라디미르 므시랸(Vladimir Msryan)이 파가니니를 연기했다. 이 시리즈는 파가니니와 로마 가톨릭 교회와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 다른 소련 배우 아르멘 지가르하냔(Armen Dzhigarkhanyan)은 파가니니의 허구적인 라이벌이자 음흉한 예수회 관리를 연기했다. 이 시리즈의 정보는 일반적으로 거짓이며, 파가니니 생애 동안 널리 퍼진 신화와 전설을 반영하기도 한다. 기억에 남는 장면 중 하나는 파가니니의 적들이 중요한 공연 전에 그의 바이올린을 파괴하여 콘서트 중 한 개의 현을 제외한 모든 현이 끊어지는 장면이다. 그러나 굴하지 않고 파가니니는 세 개, 두 개, 마지막으로 한 개의 현으로 연주를 계속한다.[31] 실제로 파가니니 자신도 연주 중에 의도적으로 현을 끊어 자신의 기교를 더욱 과시하기도 했다. 그는 현에 일부러 흠집을 내어 약하게 만들어 연주 중에 끊어지도록 했다.
6. 1. 영화
데이비드 가렛이 파가니니: 사랑과 광기의 바이올리니스트(2013)에서 파가니니 역을 연기했다.[31]6. 2. 오페레타
프란츠 레하르가 작곡한 오페레타이다.6. 3. 연극/뮤지컬
돈 니그로(Don Nigro)의 풍자 코미디극 ''파가니니(Paganini)''(1995)에서 위대한 바이올리니스트는 자신도 모르게 악마에게 영혼을 팔았다고 주장하며 헛되이 구원을 추구한다.[32] 그는 한때 "변주 위에 변주"라고 외치며 "하지만 어떤 변주가 구원으로 이어지고 어떤 변주가 파멸로 이어질까? 음악은 답이 없는 질문이다."라고 말한다. 파가니니는 세 명의 연인을 죽이고 반복적으로 가난, 감옥, 술에 빠지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그는 악마가 다른 모습으로 나타나 파가니니의 바이올린을 돌려주어 연주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할 때마다 "구원"을 받는다. 결국 파가니니의 구원은 신과 같은 시계 제작자가 주관하며, 그는 큰 병에 갇혀 영원히 대중의 오락을 위해 음악을 연주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를 불쌍히 여기지 마십시오, 제 사랑." 시계 제작자는 파가니니의 살해된 아내 중 한 명인 안토니아에게 말한다. "그는 질문이 없는 답과 함께 홀로 있습니다. 구원받은 자와 저주받은 자는 같습니다."2022년 초연되고 2024년 재연된 뮤지컬 ''Cross Road''는 니콜로 파가니니를 주인공으로 등장시키는데, 아이바 히로키(2022년과 2024년), 미즈에 켄타(2022년), 기노우치 켄토(2024년)가 파가니니 역을 맡았다.[32] 이 이야기는 그가 음악의 악마인 암두시아스와 계약을 맺는 것에 관한 것이다. 두 공연 모두 나카가와 아키노리가 암두시아스 역을 맡았다. 이 뮤지컬은 후지사와 분오가 제작하고 무라나카 토시유키가 작곡했으며, 도쿄의 시어터 크리에이션에서 공연되었고, 2024년에는 전국 순회 공연을 가졌다.[33]
파가니니를 주제로 한 또 다른 뮤지컬이 한국에서 ''파가니니''라는 제목으로 제작되었다. 이 뮤지컬은 그의 아들 아킬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34][35]
7. 기타
파가니니는 기타 연주에도 능숙하여, 공개 연주보다는 친밀한 사적인 자리에서 연주하는 것을 선호했다.[3] 그는 기타를 자신의 콘서트 순회공연에서 "늘 함께하는 동반자"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파가니니는 엑토르 베를리오즈와 조아키노 로시니와도 절친한 친구였다. 특히 베를리오즈와는 기타에 대한 관심사를 공유하며 서로 기타를 선물하고 소리판(sound box)에 서명하기도 했다.[14]
7. 1. 악기
파가니니는 여러 명품 현악기를 소유했는데, 그중에서도 1743년산 과르네리 델 제수 "일 카노네 과르네리우스(Il Cannone Guarnerius)"(과르네리의 대포)를 애용했다.[16] 이 악기는 파가니니가 리보르노에서 십 대 시절, 리브론이라는 부유한 사업가가 공연을 위해 빌려준 것이었다. 파가니니의 연주에 감명을 받은 리브론은 악기를 돌려받지 않고 그에게 선물했다."일 카노네"는 파가니니 사후 그의 유언에 따라 제노바 시에 기증되었다.[16] 처음에는 유언대로 다른 사람에게 양도, 대여, 연주되지 않았으나, 1908년부터 정기적인 수리를 위해 바이올리니스트에게 대여하기 시작했다. 1937년 전면 수리를 거쳐 현재까지도 대여 및 연주가 이루어지고 있다.
파가니니는 "일 카노네" 외에도 1600년산 안토니오 아마티(Amati) 바이올린, 1657년산 니콜로 아마티(Nicolò Amati) 바이올린, 1726년산 후바이(Hubay) 스트라디바리우스 바이올린 등 여러 악기를 소유했다.[17]
7. 2. 파가니니의 주제를 사용한 작품
파가니니의 연주와 작품은 프란츠 리스트, 로베르트 슈만 등 당시 작곡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고, 이후 많은 작곡가들이 그의 주제를 이용한 파라프레이즈와 변주곡을 작곡했다. 특히 24개의 카프리스 제24번과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제3악장 "종의 론도(라 캄파넬라)"는 반복적으로 사용되었다.파가니니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주목할 만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제이슨 베커(Jason Becker) – ''카프리스 5번''
- 마이크 캠피스(Mike Campese) – 카프리스 16번과 다양한 작품을 편곡한 "파가니니".
- 훌리안 카리요(Julián Carrillo) –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파가니니에게 바치는 6개의 소나타".
- 알프레도 카셀라(Alfredo Casella) – ''파가니니아나'' 작품번호 65 (1942)
- 마리오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Mario Castelnuovo-Tedesco) – 클래식 기타를 위한 ''카프리치오 디아볼리코''는 파가니니에게 바치는 헌정곡이며, "라 캄파넬라"를 인용하고 있다.
- 프레데리크 쇼팽(Frédéric Chopin) – 피아노 독주를 위한 ''파가니니의 추억'' (1829; 사후 출판)
- 이브리 기틀리스(Ivry Gitlis) –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협주곡 2번 작품번호 7 "라 캄파넬라" 1악장을 위한 카덴차 (1967)
- 요한 네포무크 후멜(Johann Nepomuk Hummel) – C장조 피아노 판타지아 "파가니니의 추억", WoO 8, S. 190.
- 프리츠 크라이슬러(Fritz Kreisler) –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D장조 파가니니 협주곡'' (작품번호 6 협주곡의 1악장을 재구성한 각색)
- 프란츠 레하르(Franz Lehár) – 파가니니를 허구적으로 그린 희가극 ''파가니니'' (1925)
-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 피아노 독주를 위한 6개의 ''파가니니 대연습곡'', S. 141 (1851) (5개의 카프리스와 바이올린 협주곡 2번의 "라 캄파넬라"를 포함한, 매우 뛰어난 기교를 요구하는 편곡)
- 잉위 맘스틴(Yngwie Malmsteen) – ''트라이얼 바이 파이어''에서 "Far Beyond the Sun"의 도입부에 파가니니의 바이올린 협주곡 4번이 사용되었다. ''전쟁을 끝낼 전쟁'' 음반의 "Prophet of Doom"이라는 노래의 솔로 부분에 카프리스 24번이 사용되었다.
- 내선 밀슈타인(Nathan Milstein) – 파가니니의 24번 카프리스의 주제를 바탕으로 한 변주곡 모음인 ''파가니니아나'', 다른 카프리스의 모티브를 기반으로 변주가 이루어진다.
- 체사레 푸니(Cesare Pugni) – ''"베니스의 카니발" 파 드되'' (또는 ''"사타넬라" 파 드되''). 파가니니의 ''베니스의 카니발'', 작품번호 10의 선율을 기반으로 한다. 원래는 마리우스 프티파(Marius Petipa)가 자신과 발레리나 아말리아 페라리스(Amalia Ferraris)를 위한 독주곡으로 안무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황실 볼쇼이 카멘니 극장(Bolshoi Kamenny Theatre)에서 처음 공연되었다.
- 조지 로크버그(George Rochberg) –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50개의 변주곡 ''카프리스 변주곡'' (1970)
- 마이클 로메오(Michael Romeo) – "B 단조 협주곡"은 파가니니의 B 단조 바이올린 협주곡 2번, 작품번호 7의 알레그로 마에스토소(1악장)를 각색한 것이다.
- 울리 욘 로스(Uli Jon Roth) – "Scherzo alla Paganini"와 "Paganini Paraphrase"
- 로베르트 슈만(Robert Schumann) – 파가니니의 카프리스에 의한 연습곡, 작품번호 3 (1832; 피아노); 파가니니의 카프리스에 의한 6개의 콘체르트 연습곡, 작품번호 10 (1833, 피아노). 그의 피아노 작품 ''카니발'' (작품번호 9)의 한 악장은 파가니니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요한 세들라체크(Johann Sedlatzek) ("플루트의 파가니니"로 알려진 19세기 폴란드 플루티스트) – "베니스의 카니발"에 대한 "파가니니를 위한 추억" 그랜드 변주곡
- 마릴린 슈루드(Marilyn Shrude) – 알토 색소폰과 피아노를 위한 ''신화의 갱신''
- 스티브 바이(Steve Vai) – 영화 ''크로스로드''의 "Eugene's Trick Bag". 카프리스 5번을 기반으로 함
- 필립 윌비(Philip Wilby) – 관악 합주와 금관악 합주를 위한 ''파가니니 변주곡''
- 아우구스트 빌헬름(August Wilhelmj) –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D장조 파가니니 협주곡'' (작품번호 6 협주곡의 1악장을 재구성한 각색)
- 외젠 이자이(Eugène Ysaÿe)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파가니니 변주곡''
- 요한 네포무크 훔멜 – 피아노를 위한 환상곡 「파가니니의 추억」
- 이그나츠 모셸레스 – 파가니니풍의 보석 (3곡)
- 요한 바티스트 크라머 – 파가니니의 회상
- 로베르트 슈만 – 파가니니의 기상곡에 의한 연습곡 작품 3 (6곡), 파가니니의 기상곡에 의한 6개의 연주회용 연습곡 작품 10 (6곡)
- 프란츠 리스트 – 파가니니에 의한 초절기교 연습곡집 S. 140 (6곡), 파가니니에 의한 대연습곡 S. 141 (6곡)
- 페르치오 부조니 – 파가니니풍의 서주와 카프리치오
- 루이지 달라피콜라 – 파가니니의 카프리치오에 의한 카논풍 소나티나
''카프리스 24번'' A단조, 작품번호 1, (''주제와 변주'')는 많은 다른 작곡가들의 작품의 기반이 되었다. 주목할 만한 예로는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Sergei Rachmaninoff)의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랩소디''가 있다.
7. 3. 대한민국 관련 내용
파가니니와 관련하여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행사, 공연, 음반 등에 대한 내용은 현재까지 명확하게 알려진 바가 없다.참조
[1]
서적
Paganini
Omnibus Press
1986
[2]
서적
Little Biographies: Paganini
Breitkopf
1922
[3]
서적
The Guitar and Mandolin
Schotts
1954
[4]
학술지
Paganini and the Princess
1934
[5]
서적
Paganini, Nicolo
1900
[6]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1911
[7]
서적
Mauro Giuliani, a life for the Guitar
GFA Reference
2013
[8]
학술지
Nicolo Paganini – Musical Magician and Marfan Mutant?
http://jama.ama-assn[...]
1978-01-02
[9]
학술지
Niccolò Paganini: the hands of a genius
[10]
학술지
Creativity and chronic disease. Niccolo Paganini (1782–1840)
2001-11
[11]
웹사이트
Kontski, Apollinaire de. [Apolinary Katski] (1826–1879) Autograph Musical Quotation, Inscribed to a Tolstoy
https://www.schubert[...]
2024-06-14
[12]
웹사이트
The Turbulent Life During Niccolò Paganini’s Last Years
https://interlude.hk[...]
2023-05-26
[13]
웹사이트
ztab1
http://www.voutsadak[...]
2024-06-14
[14]
웹사이트
SoundOn Player
https://player.sound[...]
2024-06-14
[15]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Music of Man
Methuen
1979
[17]
웹사이트
Mediatheque.cite
http://mediatheque.c[...]
Mediatheque.cite-musique.fr
2011-11-12
[18]
웹사이트
Guitare Nicolas Grobert - E.375
https://collectionsd[...]
2024-06-14
[19]
서적
Oxford History of Western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20]
학술지
Nicolò Paganini: Devil's violinist because of abnormal hands?--New investigations using a bronze cast from the right hand
https://pubmed.ncbi.[...]
2014
[21]
웹사이트
Niccolo Paganini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4-06-14
[22]
웹사이트
Grand Sonata for Guitar, Piano and Violin by Paganini
https://www.clearnot[...]
2024-06-14
[23]
서적
Ysaye
Paganiniana
1980
[24]
서적
Rossini
Omnibus Press
1987
[25]
서적
Il Paganini: Quaderno Del Conservatorio "N. Paganini" Di Genova. Numero Monografico La Store Del Conservatorio
https://www.conspaga[...]
Autorizzazione Tribunale di Genova via De Ferrari Editore
[26]
웹사이트
Biblioteca Casanatense.
http://www.casanaten[...]
2010-03-24
[27]
서적
Catalogo tematico delle musiche di Niccolò Paganini
Comune di Genova
1982
[28]
서적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Springer Verlag
[29]
서적
Paganini: The 'demonic' Virtuoso
https://books.google[...]
The Boydell Press
2013-06-20
[30]
웹사이트
Faked image of Nicolò Paganini
http://www.gegoux.co[...]
2017-02-26
[31]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Ultimate Reference Suite.
Encyclopædia Britannica
2011
[32]
웹사이트
シアタークリエ ミュージカル『CROSS ROAD~悪魔のヴァイオリニスト パガニーニ~』
https://www.tohostag[...]
2024-07-11
[33]
웹사이트
中川晃教、相葉裕樹が役を深め、新たな作品を魅せる ミュージカル『CROSS ROAD~悪魔のヴァイオリニスト パガニーニ~』ゲネプロレポート SPICE - エンタメ特化型情報メディア スパイス
https://spice.eplus.[...]
2024-07-11
[34]
웹사이트
더뮤지컬
https://www.themusic[...]
2024-07-11
[35]
웹사이트
Musical 'Paganini' : Korea.net : The official website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s://www.korea.ne[...]
2024-07-11
[36]
서적
中野京子と読み解く 名画の謎 対決篇
文藝春秋
[37]
서적
音楽と病 病歴に見る大作曲家の姿
法政大学出版局
[38]
웹사이트
Jean-Baptiste Vuillaume, Luthier Français
https://palomavaleva[...]
[39]
간행물
ロッキンf
立東社
1986-03-00
[40]
서적
Violin Playing as I Teach It
[41]
웹사이트
(2859) Paganini = 1973 AT1 = 1978 RW1 = 1980 DU5
https://minorplanetc[...]
MPC
2021-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