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 이론 (심리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 이론은 쿠르트 레빈이 개발한 심리학 이론으로, 개인의 행동이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 작용의 결과라고 본다. 이 이론은 개인의 '생활 공간'을 강조하며, 행동은 이 생활 공간 내의 다양한 심리적 요인들의 함수로 표현된다고 주장한다. 레빈은 개인, 환경, 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며, 장 이론은 대인 갈등, 개인의 성격, 상황 변수를 설명하는 데 활용된다. 이 이론은 심리학의 초점을 아리스토텔레스적 관점에서 벗어나, 수학과 물리학의 개념을 차용하여 심리적 현상을 분석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리학 이론 - 인지주의
    인지주의는 인간의 인지 과정을 정보 처리 모델로 설명하며 지식 획득, 기억, 문제 해결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의미있는 학습을 위한 능동적 참여와 메타인지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계산적 설명에 대한 비판과 철학적 한계 또한 존재하며, 상황인지, 분산 인지 등의 새로운 이론으로 다각적인 이해를 시도한다.
  • 심리학 이론 - 성별 불일치의 원인
    성별 불일치의 원인은 유전적, 호르몬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며, 뇌 구조의 차이, 블랜차드의 유형학 등이 관련 연구로 제시된다.
장 이론 (심리학)
개요
레빈의 장 이론 다이어그램
레빈의 장 이론 다이어그램
분야사회심리학, 조직심리학
개발자쿠르트 레빈
영향 받은 학문게슈탈트 심리학
주요 개념
주요 개념생활 공간
행동(B) = 함수(개인(P), 환경(E))
동기 요인
긴장
욕구
원자가
장벽
벡터
갈등
목표
발달
집단 역학
응용 분야
응용 분야사회심리학
조직심리학
응용 행동 과학
그룹 다이내믹스
리더십
변화 관리
마케팅
교육
영향
영향사회심리학의 발달
조직심리학의 발달
응용 행동 과학의 발달
그룹 다이내믹스의 발달
리더십 연구
변화 관리 연구
마케팅 연구
교육 연구

2. 역사

레빈은 한 사람의 행동이 많은 다른 상호 작용으로 구성된다고 생각했으며, 사람들은 현재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행동을 변화시키는 역동적인 생각, 힘, 감정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2] 한편 환경으로서의 장 이론을 살펴보는 학습심리학에서는 장 의존적이거나 장 독립적일 수 있는 인지 행동에 주목함으로써 개인과 사회라는 거시적인 맥락을 상호 보완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2. 1. 초기 철학

초기 철학자들은 신체가 우리의 생각과 신체를 인도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합리적이고 내적인 본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우리의 영혼인 이 직관적인 힘은 우리의 전 존재를 지배하는 최고의 힘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17세기의 지적 혁명 동안 변화했다.[2] 데카르트, 로크, 칸트와 같은 사람들은 정신 대 신체의 문제에 큰 관심을 기울였으며, 이 개념은 끊임없이 진화했다. 한때 정신과 신체가 상호 작용한다고 믿었던 것에서 정신이 신체와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합리주의적이고 경험적인 관점은 이 현상에 대한 이해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었다.

2. 2. 쿠르트 레빈의 영향

쿠르트 레빈은 1890년 독일에서 태어났다. 그는 원래 행동주의를 추구하려 했지만, 1914년 독일 육군에 자원 봉사하면서 게슈탈트 심리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를린 대학교 심리학 연구소에서 막스 베르트하이머, 볼프강 쾰러와 함께 일했다.[1] 미국으로 이주한 후, 레빈은 현실 세계의 문제와 인간 행동을 이해하고 변화시킬 필요성에 더 깊이 관여하게 되었고, 게슈탈트 심리학에 대한 열망과 개인적인 참여는 그의 장 이론 개발로 이어졌다.[1] 레빈의 장 이론은 대인 갈등, 개인의 성격, 상황 변수를 강조했으며, 행동이 개인과 그들의 환경의 결과라고 주장했다.[3] 사람의 사회적 환경과 그것이 역학적 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서, 레빈은 또한 사람의 심리 상태가 그들의 사회적 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4]

심리학의 초점을 아리스토텔레스적 관점에서 벗어나 갈릴레오의 접근 방식으로 전환하고자 했던 그는 심리학이 물리학을 따라야 한다고 믿었다. 수학물리학에서 영감을 얻은 레빈은 개인의 경험, 개인적 욕구, 지형의 초점을 이용하여 공간적 관계를 매핑한 장의 개념을 만들었다. 레빈은 분석은 전체로 표현된 상황에서만 시작할 수 있다는 장 이론 규칙을 만들었으며, 따라서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전체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사람들이 자신을 성장시키고 발전시키려는 동일한 시도를 반복적으로 실패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에 대해, 장 이론은 이러한 반복이 우리 장 내의 힘에서 비롯된다는 결론을 내린다. 이러한 심리적 장을 나타내기 위해, 레빈은 상호 관련된 영역을 보여주고 사람들의 목표 방향을 나타내는 "위상 기하학적 지도"를 구성했다.[5]

3. 주요 원리

장 이론은 개인의 행동이 현재 공존하는 요인, 즉 "생활 공간" 또는 "심리적 장" 내에서만 나타난다는 개념을 제시한다. 생활 공간은 특정 시점에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인의 조합이며, 행동은 생활 공간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다. (B=ƒ(LS))[6]

개인(P)과 환경(E)의 상호작용은 이러한 생활 공간을 생성한다. (B=ƒ(LS)=F(P,E))[6]

한편, 학습심리학에서는 환경으로서의 장 이론을 통해 장 의존적이거나 장 독립적일 수 있는 인지 행동에 주목함으로써 개인과 사회라는 거시적인 맥락을 상호 보완적으로 이해하기도 한다.

3. 1. 생활 공간 (The life space)

장 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행동은 현재 공존하는 요인, 즉 ''"생활 공간"''(또는 ''"심리적 장"'') 내에서만 나타난다. 생활 공간은 특정 시점에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인의 조합이다. 행동은 생활 공간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B=ƒ(LS)로 나타낸다. 개인(P)과 환경(E)의 상호작용은 이러한 생활 공간을 생성하며, B=ƒ(LS)=F(P,E)로 표현한다.[6]

두 사람이 대화를 나눌 때 특정 상황에 대한 경험이 하나로 합쳐질 수 있다는 것은 생활 공간 개념의 복잡성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같은 공간에 있더라도 서로 상호작용하지 않으면 이러한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두 사람이 더 많은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더 복잡한 생활 공간을 함께 만들어갈 때 이 결합된 공간은 "구축"될 수 있다.[9]

3. 1. 1. 환경 (Environment)

생활 공간에서 제시된 '환경'은 개인이 인지하고 행동하는 객관적인 상황을 의미한다. 생활 공간 환경(E)은 객관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개인의 특성(P)에도 의존하므로 각 맥락 내에서 완전히 주관적이다.[6] 개인의 생활 공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의식적, 무의식적 환경의 모든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1] 환경과 개인의 관점, 의식 및 무의식의 영향을 받는 결합된 상태는 전체로 간주해야 한다. 각 부분을 별도의 개체로 볼 수 있지만, 상황의 전체성을 관찰하려면 모든 입력을 고려해야 한다.[1]

3. 1. 2. 개인 (Person)

레빈은 "사람"이라는 용어를 세 가지 다른 방식으로 사용했다.[6]

# 개인의 속성/특성 (욕구, 신념, 가치관, 능력)

# 본질적으로 "생활 공간" 자체와 동일한 심리적 사실을 나타내는 방식

# "행동하는 자아"[6]

"행동하는 자아"는 개인이 지각하는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개인의 인식으로 볼 수 있다.[6]

사람의 발달은 필연적으로 생활 공간에 영향을 미친다. 사람이 신체적으로 변화를 겪거나 자아 이미지가 변하면 생활 공간 영역에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심리적 환경 또는 생활 공간의 불안정성은 사람의 불안정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7]

3. 1. 3. 행동 (Behavior)

심리적 법칙에 종속되는 생활 공간 내의 모든 변화를 행동으로 본다. 따라서 개인(P)의 행동 또는 그 행동의 결과로 인한 환경(E)의 변화는 '행동'(B)으로 간주될 수 있다.[6] 이러한 행동은 생활 공간 전체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장 이론은 행동이 공존하는 사실들의 총체에서 유래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공존하는 사실들은 "역동적 장[8]"을 구성하며, 이는 장의 어느 부분이든 그 상태가 다른 모든 부분에 의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정신적, 물리적 장뿐만 아니라 자기력과 중력과 같은 보이지 않는 힘도 포함된다. 힘이 작용하여 거리를 두고 영향을 미치는 것을 상상하면 이해하기 쉽다. 달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과 같이 멀리 떨어진 거리에서 작용하더라도 분명히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2] 행동은 과거 또는 미래가 아닌 현재의 장에 달려 있다.

4. 이론과 실험적 증거

학습심리학에서는 장 의존적이거나 장 독립적일 수 있는 인지 행동에 주목함으로써 개인과 사회라는 거시적인 맥락을 상호 보완으로 이해하기도 한다.[1]

4. 1. 장 이론 도식

Lewin's field theory
장 이론 이미지 1


Lewin's field theory
장 이론 이미지 2


장 이론에 따르면, 한 개인의 삶은 여러 개의 뚜렷한 공간으로 구성된다. 이미지 1은 전체 장, 즉 환경을 나타낸다. 이미지 2는 한 개인과 그 개인이 가진 목표를 보여준다. 이 이미지는 개인을 목표로 밀어내는 힘이 있음을 보여준다. 점선은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모든 것이며, 개인이 얼마나 많은 다른 공간을 거쳐야 하는지를 나타낸다. 개인은 동일한 목표를 가질 수 있지만,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장은 다를 수 있다. 삶에서 최대한의 것을 얻기 위해 개인의 장을 조정할 수 있다. 어떤 장은 삭제될 수 있고, 어떤 장은 추가될 수 있는데, 이는 모두 개인의 일생에서 발생하는 특정 사건에 달려 있다.[1]

4. 2. 경험의 다양성

장 이론은 모든 사람이 상황에 대해 서로 다른 경험을 가진다는 개념을 포함한다. 이는 두 사람의 사건 경험이 유사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역동적인 장은 끊임없이 변화하기 때문에 두 사람의 경험이 완전히 같을 수 없다.[9] 즉, 역동적인 장은 끊임없이 흐르면서 약간씩 변화하는 시냇물과 같다. 장 이론에서는 개인의 장의 어떤 부분도 무의미하게 볼 수 없다. 전체 장의 모든 부분은 가능한 의미와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 간주해야 한다. 이는 장의 일부가 아무리 무의미하거나 중요하지 않게 보이더라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9] 개인의 장의 전체성은 무한한 것으로 보이며, 연구에 따르면 심지어 제2차 세계 대전에 대한 유아의 경험도 장의 변화로 인해 훗날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9] 이는 장 이론이 얼마나 광범위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시인데, 개인의 전의식이 주요 발달 이전에 발생한 장 변화로 인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4. 3. 전체성

장 이론은 모든 사람이 상황에 대해 서로 다른 경험을 가진다는 개념을 포함한다. 이는 두 사람의 사건 경험이 유사하지 않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역동적인 장은 끊임없이 변화하므로 두 사람의 경험이 같을 수 없다는 생각으로 이어진다.[9] 역동적인 장은 끊임없이 흐르면서 약간씩 변화하는 시냇물과 같다. 장 이론의 또 다른 부분은 개인의 장의 어떤 부분도 무의미하게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전체 장의 모든 부분은 가능한 의미와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 간주해야 한다.[9] 장의 일부가 아무리 무의미하거나 중요하지 않게 보이더라도 고려해야 한다.[9] 개인의 장의 전체성은 무한한 것으로 보이며, 연구에 따르면 심지어 제2차 세계 대전에 대한 유아의 경험도 장의 변화로 인해 훗날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9] 이는 장 이론이 얼마나 광범위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시인데, 개인의 전의식이 주요 발달 전에 발생한 장 변화로 인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이다.

5. 학습심리학적 관점

학습심리학에서는 장 의존성 및 장 독립성 인지 행동에 주목하여 개인과 사회를 상호 보완적으로 이해하기도 한다.[1]

5. 1. 장 의존성/장 독립성

인지 행동에서 장 의존성, 장 독립성 개념을 살펴보면 개인과 사회라는 거시적인 맥락을 상호 보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6. 주요 출판물

쿠르트 레빈의 주요 출판물[1]
연도제목비고
1935년성격의 역동적 이론뉴욕: 맥그로힐
1936년위상 심리학의 원리뉴욕: 맥그로힐
1938년심리적 힘의 개념적 표현과 측정더럼, NC: 듀크 대학교 출판부
1951년사회 과학에서의 장 이론뉴욕: 하퍼


7. 한국 사회에의 적용

장 이론은 개인의 행동을 개인적 특성뿐만 아니라 그를 둘러싼 사회적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이해하려는 심리학적 접근이다. 한국 사회는 급격한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 그리고 개인주의와 집단주의가 공존하는 독특한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장 이론은 한국 사회의 여러 현상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틀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 사회의 높은 교육열은 개인의 성공을 중시하는 가치관과 더불어, 치열한 경쟁 사회에서 더 나은 지위를 확보하려는 사회적 압력의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가족 중심주의 문화는 개인의 의사 결정에 가족 구성원들의 기대와 영향력이 크게 작용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최근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세대 갈등, 젠더 갈등, 정치적 양극화 등의 현상 역시 장 이론의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다. 각 집단이 속한 사회적 환경과 그들이 추구하는 가치관의 차이가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갈등은 개인의 심리적 안정과 사회 통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장 이론은 한국 사회의 복잡한 역동성을 이해하고, 사회 구성원들의 심리적 안녕과 건강한 사회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Kurt Lewin's Field Theory: A Review and Re-evaluation 2013
[2] 웹사이트 Psychological Field Theories https://www.hawaii.e[...] 2014-10-13
[3] 웹사이트 Kurt Lewin Biography (1890-1974) http://psychology.ab[...] 2014-10-25
[4] 웹사이트 Field Theory- Kurt Lewin http://www.wilderdom[...] 2014-10-25
[5] 웹사이트 Kurt Lewin-Field Theory Rule http://www.tavinstit[...] 2014-10-25
[6] 서적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Vol. 1 1954
[7] 논문 Field Theory and Experiment in Social Psychology 1939-05
[8] 논문 What Is Field Theory? 2003-07
[9] 간행물 Reflections on Field Theory 199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