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령 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는 재령 이씨 영해파 종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총 12종 403점의 고문서이다. 분재기, 호적단자, 명문, 소지, 예장지, 시권, 통문, 완문 등 다양한 종류의 문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1986년 10월 15일 보물 제876호로 지정되었다. 이 문서들은 조선 시대의 사회, 경제, 가족 관계 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품 - 수운잡방
수운잡방은 조선 전기 안동 지역 양반가의 음식 문화를 보여주는 한문 필사본 조리서로, 김유가 집필을 시작하여 그의 손자 김령이 보완 완성한 것으로 추정되며, 술, 식초, 장, 김치, 정과, 다식 등 121가지 조리법이 기록되어 조선 전기 양반가의 식생활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고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품 - 정탁 문적 - 약포유고 및 고문서
정탁 문적 - 약포유고 및 고문서는 조선 중기 문신 정탁 관련 유물로, 그의 문집과 고문서 등을 포함하며 임진왜란 시기 기록을 담아 당시 사회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아 보물 제998호로 지정되어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다. - 재령 이씨 - 이재오
이재오는 민주화 운동가 출신으로 보수 정당에서 5선 국회의원과 특임장관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그의 경력은 다면적인 평가를 받는다. - 재령 이씨 - 이규호 (1926년)
이규호는 1926년 경상남도 진주 출생으로, 한신대학교 학사 및 독일 튀빙겐 대학교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중앙대학교, 연세대학교 교수를 거쳐 국토통일원 장관, 문교부 장관, 대통령 비서실장, 주일대사 등을 역임하고 순신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 경상북도의 보물 - 봉화 한수정
봉화 한수정은 조선 선조 때 권래가 옛 거연헌 터에 세운 T자형 평면과 팔작지붕의 독특한 건축 양식을 지닌 정자로, 맑은 정신으로 공부하는 곳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주변 조경과 함께 안동 권씨 가문의 건축 및 조경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서 보물로 지정되었다. - 경상북도의 보물 - 안동 임청각
안동 임청각은 조선 시대 이명이 지은 99칸 규모의 고택으로, 독립운동가를 다수 배출한 역사적인 장소이며, 현재 복원 중인 한국 전통 건축의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유형 | 보물 |
지정 번호 | 876 |
지정일 | 1986년 10월 15일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
시대 | 알 수 없음 (제공된 정보 없음) |
관리 | 한국국학진흥원 |
수량 | 일괄 (12종) |
문화재청 ID | 12,08760000,37 |
2. 문서의 종류 및 내용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에서 소장하고 있는 문서들로, 총 12종 403점이다.
이것들은 대부분 고문서들로서 자녀들에게 재산을 나누어주면서 작성한 문서인 분재기 57점, 호구(戶口)사항을 적어놓은 호적단자 84점, 명문 179점, 일반 백성들이 관에 제출하는 진정서인 소지 49점, 남녀가 결혼할 때 양쪽 집안에서 주고 받는 글인 예장지 15점, 과거에 응시했던 시험지인 시권 4점, 한 집안에서나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끼리 공지사항을 전달하는 문서인 통문 3점, 관에서 일반 백성들에게 어떤 사실을 알리거나 특전을 부여할 때 확인하는 문서인 완문 3점 등이다. 이밖에도 소장된 문서는 사령장 입안을 요청하는 소지, 상량문 등 500여 건에 달한다.
이것들은 재령 이씨 가문을 파악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2. 1. 분재기 (分財記)
분재기는 자녀들에게 재산을 나누어주면서 작성한 문서로, 총 57점이 있다. 조선시대 재산 상속 제도와 가족 관계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2. 2. 호적단자 (戶籍單子)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중 호적단자는 호구(戶口)사항을 기록한 문서로, 총 84점이 있다. 조선시대 신분 제도와 가족 구성, 인구 변동 등을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2. 3. 명문 (明文)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중 명문(明文)은 매매, 소유권 등을 증명하는 문서로, 총 179점이다. 조선시대 경제 활동과 토지 소유 관계 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2. 4. 소지 (所志)
소지(所志)는 일반 백성들이 관에 제출하는 진정서로, 총 49점이 있다. 조선시대 사회 문제와 백성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2. 5. 예장지 (禮狀紙)
예장지는 남녀가 결혼할 때 양쪽 집안에서 주고받는 글로, 총 15점이 있다. 조선시대 혼인 풍습과 가족 관계를 연구하는 데 참고자료가 된다.2. 6. 시권 (試券)
과거에 응시했던 시험지로, 총 4점이 있다. 조선시대 과거 제도와 교육 제도를 연구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2. 7. 통문 (通文)
한 집안에서나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끼리 공지사항을 전달하는 문서로, 총 3점이 있다. 조선시대 정보 전달 방식과 사회 조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2. 8. 완문 (完文)
관에서 일반 백성들에게 어떤 사실을 알리거나 특전을 부여할 때 확인하는 문서로, 총 3점이 있다. 조선시대 행정 제도와 사회 통제 방식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2. 9. 기타 문서
완의(完議)문, 입안(立案)문, 입의(立議)문, 이문(移文) 등 500여 건의 문서가 있으며, 사령장 입안을 요청하는 소지, 상량문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들은 재령 이씨 가문을 파악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3. 지정 목록
wikitext
1986년 10월 15일, 재령 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12종이 보물 제876호로 지정되었다. 각 문서의 세부 목록은 다음과 같다.
번호 | 명칭 | 소재지 | 관리자(단체) | 지정일 | 참조 |
---|---|---|---|---|---|
876-1호 |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 명문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 한국국학진흥원 | 1986년 10월 15일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8760100,37] |
876-2호 |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 분재기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 한국국학진흥원 | 1986년 10월 15일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8760200,37] |
876-3호 |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 호적단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 한국국학진흥원 | 1986년 10월 15일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8760300,37] |
876-4호 |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 소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 한국국학진흥원 | 1986년 10월 15일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8760400,37] |
876-5호 |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 시권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 한국국학진흥원 | 1986년 10월 15일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8760500,37] |
876-6호 |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 예장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 한국국학진흥원 | 1986년 10월 15일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8760600,37] |
876-7호 |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 통문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 한국국학진흥원 | 1986년 10월 15일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8760700,37] |
876-8호 |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 완문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 한국국학진흥원 | 1986년 10월 15일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8760800,37] |
876-9호 |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 완의문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 한국국학진흥원 | 1986년 10월 15일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8760900,37] |
876-10호 |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 입안문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 한국국학진흥원 | 1986년 10월 15일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8761000,37] |
876-11호 |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 입의문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 한국국학진흥원 | 1986년 10월 15일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8761100,37] |
876-12호 |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 이문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 한국국학진흥원 | 1986년 10월 15일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2,08761200,37] |
4. 가치 및 의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