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운잡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운잡방》은 상·하편으로 구성된 121가지 조리법을 담은 고문헌이다. 상편은 김유가 행서로, 하편은 김령이 초서로 작성했으며, 주류, 식초, 장, 김치, 저장법, 정과, 다식 등 다양한 음식 조리법을 포함한다. 이 책은 《음식디미방》보다 앞선 시기에 쓰여졌으며, 조선 전기 안동 지역 양반가의 식생활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품 -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는 조선 시대 사회, 경제, 문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호적단자, 명문, 소지, 예상지, 시권, 통문, 완문 등 다양한 형식의 고문서들로, 1986년 대한민국 보물로 지정되었다.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품 - 정탁 문적 - 약포유고 및 고문서
정탁 문적 - 약포유고 및 고문서는 조선 중기 문신 정탁 관련 유물로, 그의 문집과 고문서 등을 포함하며 임진왜란 시기 기록을 담아 당시 사회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아 보물 제998호로 지정되어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 및 관리하고 있다. - 요리 책 - 음식디미방
《음식디미방》은 조선시대 장계향이 쓴 한글 조리서로, 주식부터 술까지 다양한 음식의 조리법과 보관법을 상세히 기록하여 당시 상류층의 식생활과 조선시대 식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요리 책 - 도문대작
도문대작은 조선 시대 음식 관련 기록으로, 각 지방의 진미, 명물, 다양한 식품을 상세히 기록하고 품평하며, 과실류, 고기류, 생선류, 채소류, 조과류 등 다양한 음식 정보를 담고 있다. -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 의성향교
의성향교는 경상북도 의성군에 위치한 조선시대 향교로, 고려시대 공자묘에서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현재 위치로 옮겨졌으며, 임진왜란 이후 복원되어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의 기능과 건축적 특징을 보여준다. - 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 자계서원
자계서원은 조선 시대 문신 김일손을 기리기 위해 1518년에 창건되었으며, 사액을 받아 국가의 지원을 받았으나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폐쇄되었다가 복원되었고, 현재는 제사만 지내고 있다.
수운잡방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서지 정보 | |
이름 | 수운잡방 |
원어 (한자) | 需雲雜方 |
저자 | 김유 |
제작 시기 | 1540년경 |
문화재 지정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국가지정 문화재 (보물 제2134호) |
지정일 | 2021년 8월 24일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용상동 1189-6 (한국국학진흥원 위탁보관) |
수량 | 1책 |
2. 구성 및 내용
은 크게 상편과 하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21가지의 조리법을 담고 있다. 상편은 김유가 행서로 작성한 부분으로, 삼해주, 삼오주, 벽향주 등 30여 가지가 넘는 다양한 종류의 술 제조법과 식초, 장, 김치, 채소 재배, 음식 저장법, 정과 및 다식 조리법 등이 간략하게 소개되어 있다. 하편은 김령이 초서로 작성한 부분으로, 상편에 없는 새로운 주류와 비주류 조리법을 포함한다.
2. 1. 상편
상편에는 삼해주, 삼오주, 벽향주 등 30여 가지가 넘는 다양한 종류의 술 제조법과, 고리 및 고리초 제조법, 즙장만들기를 포함한 식초 및 장, 청교침채법, 침백채, 고운대김치 등 여러 가지 김치 조리법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생가지 저장, 오이씨 심기 등 채소 재배와 어식해법, 배 저장 등 음식 저장법, 동아정과, 두부 만들기, 타락, 엿 만들기, 3가지 조장법 등 정과 및 다식 조리법도 간략하게 소개되어 있다.2. 1. 1. 주류
삼해주三亥酒|삼해주중국어, 삼오주三亥酒|삼오주중국어, 벽향주碧香酒|벽향주중국어 (2가지), 만전향주萬殿香酒|만전향주중국어, 두강주杜康酒|두강주중국어, 칠두주七斗酒|칠두주중국어, 소곡주小麯酒|소곡주중국어 (2가지), 감향주甘香酒|감향주중국어, 백자주柏子酒|백자주중국어, 호도주胡桃酒|호도주중국어, 상실주桑實酒|상실주중국어, 하일약주夏日藥酒|하일약주중국어 (2가지), 삼일주三日酒|삼일주중국어, 하일청주夏日淸酒|하일청주중국어, 하일점주夏日粘酒|하일점주중국어 (3가지), 진맥소주, 녹파주綠波酒|녹파주중국어, 일일주一日酒|일일주중국어, 도인주桃仁酒|도인주중국어, 백화주百花酒|백화주중국어, 유하주, 이화주조국법梨花酒造麴法|이화주조국법중국어, 이화주梨花酒|이화주중국어 (2가지), 오두주五斗酒|오두주중국어, 함향주, 백출주白朮酒|백출주중국어, 정향주丁香酒|정향주중국어, 십일주十日酒|십일주중국어, 동양주東陽酒|동양주중국어, 보경가주寶卿家酒|보경가주중국어, 동하주冬夏酒|동하주중국어, 남경주南京酒|남경주중국어, 진상주進上酒|진상주중국어, 별주別酒|별주중국어2. 1. 2. 식초 및 장
고리 및 고리초 제조법, 사절초, 병정초, 창포초, 목통초, 2가지 즙저, 즙장 만드는 법이 수록되어 있다.2. 1. 3. 김치
청교침채법(淸郊沈菜法), 침백채(沈白菜), 고운대김치, 침동아구장법(沈冬瓜韭醬法), 과저(瓜菹) (2가지), 수과저(水瓜菹), 노과저(老瓜菹), 치저(雉菹), 납조저(臘糟菹)2. 1. 4. 파종 및 저장법
생가지 저장법, 오이씨 심기, 생강 심기, 머위 심기, 참외씨 심기, 연금 심기, 어식해법, 배 저장법, 무김치, 파김치, 동치미에 대한 설명이 수록되어 있다.2. 1. 5. 정과 및 다식
동아정과, 두부 만들기, 타락, 엿 만들기, 3가지 조장법, 청근장, 기화장, 전시, 봉리군전시방, 더덕좌반, 육면, 수장법, 짜장면2. 2. 하편
하편은 상편에 비해 간략하게 기록되어 있지만, 상편에 없는 새로운 조리법들이 추가되어 있다.주류 | 비주류 |
---|---|
2. 2. 1. 주류
수운잡방에 소개된 주류에는 삼오주, 또 다른 삼오주, 오정주, 송엽주, 포도주, 애주, 황곡화주, 건주법, 지황주, 예주, 황금주, 세신주, 아황주, 도화주, 경장주, 칠두오승주, 오두오승주, 백화주가 있다.2. 2. 2. 비주류
향료방, 전약법, 생강정과, 장육법, 습면법, 모점이법, 서여탕법, 전어탕법, 전계아법, 향과저, 겨울나는 갓김치, 분탕, 심하탕, 황탕, 삼색어아탕, 조곡법, 전곽법, 다식법.3. 문화재적 가치
《음식디미방》보다 연대가 앞서는 조리서로, 재료의 사용과 가공법이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안동을 중심으로 한 조선 전기 양반가의 식생활 모습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크다.[1] 하지만, 24장 분량의 간략한 책으로, 서문(序文)과 발문(跋文)이 없어 저술 동기와 연대를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1]
3. 1. 지정 현황
《수운잡방》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1] 이 책은 조선 전기 안동 광산 김씨 설월당 종가에 소장되어 있으며, 안동 일대 양반가의 음식문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한문 필사본 조리서이다. 총 2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1]《음식디미방》보다 연대가 앞서며, 재료 사용부터 가공법까지 구체적으로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안동을 중심으로 한 조선 전기 양반가의 식생활 모습을 정확하게 알려준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매우 크다.[1] 그러나 24장으로 구성된 간략한 책으로서 서문(序文)과 발문(跋文)이 없고, 정확한 저술 동기와 연대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하기에는 미흡하다고 판단되어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