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나무는 높이 20~40m, 줄기지름 1.5m까지 자라는 나무이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는 4cm, 뒷면에 흰색 기공선이 있으며, 4월 하순에 꽃이 피고 10월 상순에 열매가 익는다. 한국 전역, 중국 동북부,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지에 분포하며, 목재, 크리스마스 트리, 약재 등으로 쓰인다. 전라북도 진안 천황사 전나무와 경상남도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상징 - 목련
    목련은 동아시아 온대·난대 지역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로, 이른 봄 흰색의 향기로운 꽃을 피우고 가을에 붉은 씨앗을 가진 열매를 맺으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한약재 및 여러 용도로 활용된다.
  • 대구광역시의 상징 - 독수리
    검독수리는 수리과에 속하는 대형 조류로, 몸길이 최대 120cm, 날개 길이 최대 3.1m에 달하며 유라시아 대륙 건조 지역에 서식하고 썩은 고기를 먹으며 개체 수 감소로 준위협종으로 분류된다.
  • 전나무속 - 구상나무
    구상나무는 한국 고유종으로 남부 지방 고산에서 자라는 늘푸른 바늘잎나무이며, 잎 끝이 두 갈래로 갈라지고, 솔방울 색에 따라 품종이 나뉘며, 관상용 및 크리스마스 트리로 활용된다.
  • 전나무속 - 분비나무
    분비나무는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침엽수이며, 더불어민주당의 이상적인 가치를 상징하는 나무로 여겨지기도 한다.
  • 1866년 기재된 식물 - 머위
    머위는 일본 원산의 여러해살이풀로, 이른 봄에 꽃이 피고 잎은 둥근 심장 모양이며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고, 쓴맛을 제거하여 섭취하며, 간독성 물질을 함유하여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 1866년 기재된 식물 - 산딸나무
    산딸나무는 층층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흰색 꽃턱잎이 십자가 모양을 이루는 꽃이 피고 딸기 모양의 붉은 열매가 열리며, 관상수, 식용, 약재 등으로 사용된다.
전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어린 나무의 잎
보존 상태취약근접종
분류
식물계
구과식물문
구과식물강
구과목
소나무과
전나무속
형태
나무 높이약 30 미터
나무 지름약 1 미터
잎 길이2 ~ 4 센티미터
잎 너비1.5 ~ 2.5 밀리미터
암꽃 길이12 ~ 14 센티미터
암꽃 지름4 ~ 5 센티미터
포린 길이8 ~ 9 밀리미터
수꽃 길이약 1.5 센티미터
기타
로마자 표기Abies holophylla
서식지동아시아
수령최대 800년 이상
관련 정보화순 만연사 들머리에 800년 된 전나무가 있음
외부 링크
IUCN 적색 목록Abies holophylla - IUCN 적색 목록
한국 산림청한국 자생 식물 영어 이름

2. 특징

전나무는 높이 20m~40m, 줄기 지름 1.5m 가량의 나무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 도는 암갈색으로 거칠며 비늘 조각 모양이다. 작은 가지는 회갈색이고 얕은 홈이 있다. 겨울눈은 난형이고 털이 없으나 수지가 약간 있다.

2. 1. 잎

잎은 선형이고 길이는 4cm, 너비는 2mm이다.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백색 기공선이 두 줄 있고, 횡단면에는 수지구(樹脂溝)가 있다.[3] 긴 가지에 난 잎은 전부 바닥면에서 위를 향해 솟아 있거나 휘어 있다. 짧은 가지에 자란 잎은 가지를 중심으로 모여 나 있어 솔을 연상케 한다.

2. 2. 꽃과 열매

수구화수(수꽃이삭)는 원통형이며 길이는 15mm, 황록색이고 꽃줄기는 길이가 4.5mm이다. 암구화수(암꽃이삭)는 2~3개가 서로 맞닿아 있는 채로 달려 있고 길이는 3.5cm이며 긴 타원형이다. 꽃줄기는 6mm 정도이다. 4월 하순에 꽃이 핀다.

구과(毬果)는 길쭉한 원통형이며 열매지름(果徑)은 길이가 7mm이다. 씨앗은 타원 형태의 삼각형이며 길이는 12mm, 너비는 6mm이다. 연한 갈색을 띠며 씨앗의 날개는 길이가 13.5mm, 너비는 12mm이다. 열매는 10월 상순에 익는다.

2. 3. 생태

비교적 높은 산지의 숲속과 능선부에 서식한다.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며, 중국 동북부, 러시아 우수리 지역 등에도 분포한다. 오염에 약해 공해가 심한 곳에서는 잘 심지 않는다.

3. 쓰임새

전나무 줄기는 마디 없이 곧게 자라 목재와 크리스마스 트리로도 쓰인다. 목재는 잘 썩지 않아 펄프 원료나 건축 자재, 가구 재료로 많이 이용된다.

민간에서는 잎을 끓여서 이로운 물질만 뽑아 액체로 만들어 약으로 쓴다. 류머티즘이나 감기에 걸렸을 때 그 액체를 물에 타서 목욕을 하면 낫는다고 하며, 실제로 관련 연구가 있다.[5] 이것을 졸인 것은 피를 멎게 하는 약으로도 쓴다.

4. 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전나무
명칭지정 번호위치비고
진안 천황사 전나무천연기념물 제497호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천연기념물 제541호경상남도 합천군


5. 사진

참조

[1] IUCN Abies holophylla 2021-11-12
[2]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s://web.archive.[...]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01-25
[3] 서적 Drzewa i krzewy iglaste (Coniferous trees and shrubs) Państwowe Wydawnictwo Naukowe (PWN)
[4] IUCN 2021-11-12
[5] 저널 전나무 부산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 박테리아 활성 http://www.medicinal[...] 한국약용작물학회 2018-04-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