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합천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합천군은 경상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삼한 시대부터 가야, 신라, 고려, 조선을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가야 시대에는 다라국이 위치했으며, 신라 시대에는 대야주가 설치되어 군사적 요충지 역할을 했다. 고려 시대에는 합주로 승격되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합천군으로 개칭되었다. 주요 지형으로는 가야산, 황매산 등이 있으며, 낙동강과 황강이 흐른다. 주요 관광지로는 해인사, 가야산 국립공원, 황매산 등이 있으며, 해인사에는 팔만대장경이 보관되어 있다. 행정 구역은 1읍 16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 시설로는 초·중·고등학교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합천군 - 대양면
    대양면은 경상남도 합천군에 속하며, 과거 합천의 중심지였고,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현재의 대양면이 되었으며, 11개 리를 관할하고, 대양초등학교가 위치해 있고, 국도 등이 지나간다.
  • 합천군 - 합천도서관
    합천도서관은 1981년 개관하여 1995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경상남도 합천군에 위치한 공공 도서관으로,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합천군민에게 도서 대출 및 열람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 경상남도의 군 - 의령군
    의령군은 경상남도에 위치하며, 낙동강과 남강을 접하고 있으며, 삼국시대에는 임례국이 있었고, 곽재우 의병의 기원이자, 삼성그룹 창업자 이병철의 출신지이다.
  • 경상남도의 군 - 창녕군
    창녕군은 경상남도 중앙 북단에 위치하여 낙동강을 따라 비옥한 땅을 이루고 오랜 역사를 지닌 군으로, 우포늪과 부곡온천 등 관광자원이 풍부하며 충신과 학자를 많이 배출한 학문의 고장으로서 지역 경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 1413년 설치 - 괴산군
    괴산군은 충청북도 중앙 만곡부에 위치한 산지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현재의 모습이 갖춰졌으며, 1읍 10면으로 구성되어 농업, 광업, 제조업 등의 산업과 유기농 농업이 발달했고, 괴산 올갱이 축제와 산막이옛길 등의 관광 명소가 있다.
  • 1413년 설치 - 평안도
    평안도는 한국 역사 속에서 여러 왕조의 지배를 거쳐 조선 시대에는 행정 체제 하에 다양한 행정 구역으로 나뉘었으나, 농업 생산량 부족, 외세 침입 위협, 사회경제적 불균형 심화 등으로 갈등과 변화를 겪은 관서 지방이다.
합천군
지도
대한민국 내 위치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합천군
한자 표기
로마자 표기Hapcheon-gun
McCune-Reischauer 표기Hapch'ŏn-gun
위치영남
면적983.42 km²
인구 (2024년 9월)40,440명
인구 밀도61.2명/km²
하위 행정 구역1읍 16면
방언경상
군청 소재지합천읍 동서로 119 (합천리 337)
홈페이지합천군청 홈페이지
군목잣나무
군화매화
군조까치
행정구역 분류코드38400
상징
합천군 엠블럼
합천군 엠블럼
합천군 깃발
합천군 깃발
이미지
해인사
합천은 해인사 사찰로 알려져 있다.
가야산 해인사
가야산・해인사의 대적광전과 삼층 석탑 (정중탑)
하위 행정 구역
1
16
법정리192
행정리368
정치
군수김윤철(국민의힘)
국회의원신성범(국민의힘, 산청군·함양군·거창군·합천군)
인구 통계 (2021년)
총 인구42,935명
세대수24,213
인구 통계 (2023년)
총 인구41,203명
남자 인구20,132명
여자 인구21,071명

2. 역사

1914년 4월 1일 군면 통폐합으로 초계군삼가군의 일부(신지면·율원면 제외)가 '''합천군'''에 편입되고, 합천군의 일부(궁소면)가 의령군에 편입되었다. 이때 합천군에 합천면, 봉산면, 묘산면, 가야면, 야로면, 율곡면, 초계면, 쌍책면, 덕곡면, 청덕면, 적중면, 대양면, 백산면, 상백면, 삼가면, 가회면, 대병면, 용주면 등 18개 면이 설치되었다.[14]

1929년 4월 1일 백산면과 상백면이 통합되어 쌍백면이 신설되었다.[15]

1979년 5월 1일 합천면이 합천읍으로 승격되었다.[16]

1983년 2월 15일 적중면의 일부(묵방리·권혜리)가 의령군 부림면에 편입되었다.[17]

1987년 1월 1일 합천댐 건설로 행정구역이 재편되었다.[18]


  • 봉산면 죽죽리가 용주면에 편입되었다.
  • 봉산면 저포리가 계산리에 편입되었다.
  • 봉산면 노파리가 술곡리와 고삼리에 분할 편입되었다.
  • 대병면 창리가 회양리에 편입되었다.


1989년 1월 1일 대양면 우산리의 일부가 의령군 풍수면에, 삼가면 외토리의 일부가 의령군 대의면에 편입되었다.[19]

1995년 12월 17일 청덕면 하회리가 가현리로, 적중면 말방리가 두방리로, 용주면 내가리가 가호리로 각각 개칭되었다.

2014년 12월 9일 봉산면 행정리가 도곡리로 개칭되었다.[20]

2. 1. 선사 시대

합천읍 교동, 대양면 대목리에서 석기류가 출토되었고, 합천다목적댐 건설 시 유적 발굴 결과 석기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1]

2. 2. 삼한 및 가야 시대

삼한시대 합천군은 변한에 속했으며, 대량국(합천지방), 초팔혜국(초계지방), 사이기국(삼가지방) 등의 부족국가가 있었다. 특히 대병면(창리, 하금, 대지), 야로면(금평, 월광), 삼가면(양전) 등 해당 지역에 많은 고분이 있으며, 쌍책면 성산리 옥전고분 발굴 결과 강력한 지배세력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

서기 1~2세기경 합천에 산재해 있던 부족국가들은 차례로 대가야국에 흡수되었다.[2] 가야의 일원인 다라국이 합천지방에 있었다고 전해진다.[3]

2. 3. 삼국 및 남북국 시대

562년 (신라 진흥대왕 23년) 가야국 멸망으로 신라에 귀속되었고, 백제에 대항하여 '''대야주(대량주)'''가 설치되고 도독부를 두어 군사적으로 강력한 요지인 대야성을 구축하였다.

642년 (신라 선덕대왕 11년) 의자왕의 명을 받은 윤충은 대야성을 함락시키고 주민 1천여 명을 사로잡아 백제의 서부 지역 고을에 나누어 살도록 했는데, 이때 대야성 성주로서 성이 함락되자 처자와 더불어 스스로 목숨을 끊은 김품석과 그 아내 고타소랑은 신라의 유력자였던 김춘추(金春秋)(훗날의 태종무열대왕)의 사위와 딸이었다.[25]

757년 (신라 경덕대왕 16년 12월) 주(州)에서 군(郡)으로 강등시켜 '''강양군'''으로 개칭하였다.

803년 (신라 애장대왕 3년) 순응대사, 이정대사가 해인사를 창건하였다.

2. 4. 고려 시대

1018년(고려 현종 9년) 강양군이 '''합주'''로 승격되고, 12속현(거창현, 함양현, 산음현, 가조현, 신번현, 초계현, 야로현, 가수현, 삼기현, 단계현, 안음현, 이안현)을 두어 지군사가 다스리게 하였다.[1]

1334년(충숙왕 3년) 현인 정순기, 변우성의 공적으로 초계현이 초계군으로 승격되고 지군사가 설치되었다.[2]

1373년(공민왕 22년) 삼기현에 감무가 설치되어 다스리게 하였으며, 별칭은 마장이었다.[3]

2. 5. 조선 시대 이후

1413년(태종 13년) '''합천군'''으로 개칭하고, 9개 면으로 축소되었다. 1893년 군청을 야로면 야로리에서 합천읍 합천리 789번지로 이전하였다. 1896년(고종 33년) 13도제를 시행하면서 경상남도 합천군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 군면 통폐합으로 초계군삼가군의 일부(신지면·율원면 제외)가 '''합천군'''에 편입되고, 합천군의 일부(궁소면)가 의령군에 편입되었다. 이때 합천군에 합천면, 봉산면, 묘산면, 가야면, 야로면, 율곡면, 초계면, 쌍책면, 덕곡면, 청덕면, 적중면, 대양면, 백산면, 상백면, 삼가면, 가회면, 대병면, 용주면 등 18개 면이 설치되었다.[14]

1929년 4월 1일 백산면과 상백면이 통합되어 쌍백면이 신설되었다.[15]

1979년 5월 1일 합천면이 합천읍으로 승격되었다.[16]

1983년 2월 15일 적중면의 일부(묵방리·권혜리)가 의령군 부림면에 편입되었다.[17]

1987년 1월 1일 합천댐 건설로 행정구역이 재편되었다.[18]

  • 봉산면 죽죽리가 용주면에 편입되었다.
  • 봉산면 저포리가 계산리에 편입되었다.
  • 봉산면 노파리가 술곡리와 고삼리에 분할 편입되었다.
  • 대병면 창리가 회양리에 편입되었다.


1989년 1월 1일 대양면 우산리의 일부가 의령군 풍수면에, 삼가면 외토리의 일부가 의령군 대의면에 편입되었다.[19]

1995년 12월 17일 청덕면 하회리가 가현리로, 적중면 말방리가 두방리로, 용주면 내가리가 가호리로 각각 개칭되었다.

2014년 12월 9일 봉산면 행정리가 도곡리로 개칭되었다.[20]

3. 지리

합천군은 경상남도 서북부의 산간 내륙 지역으로, 창녕군, 의령군, 거창군, 산청군,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과 접한다. 동부를 제외하고는 높고 험한 산지가 많으며, 동부는 낙동강이 흐른다. 북쪽 도 경계에는 가야산(1,430m)이 있고, 매화산(954.1m), 비계산(1,125.7m), 두무산(1,083.4m), 오도산(1,133.7m), 황매산(1,108m) 등이 솟아 있다. 그 외에도 악견산, 금성산, 허굴산, 의룡산, 가점산, 미숭산, 자굴산, 미타산 등의 봉우리들이 있다.

낙동강 지류인 황강거창군 덕유산에서 발원하여 봉산면에서 남쪽으로 굽이쳐 합천읍을 지나 군 중심부를 관통하고, 율곡면에서 사행한 뒤 청덕면 적포리에서 낙동강 본류에 합류한다. 지방하천인 회천은 가야산에서 발원하여 가야, 야로, 묘산면을 지나 경상북도 고령군 덕곡면으로 이어진다. 황강은 17개 읍면 중 6개 면을 남북으로 관통하여 강을 따라 행정구역과 생활권이 나뉘며, 강폭은 넓지만 수심은 얕다.[26]

3. 1. 지형

해인사에서 본 가야산


합천댐


합천군은 경상남도 서북부의 산간내륙 지대로, 동남쪽으로는 창녕군, 의령군과 서쪽으로는 거창군, 산청군과 접하며, 북쪽으로는 경상북도 고령군, 성주군에 접하고 있다. 동부를 제외하고는 높고 험한 산지가 중첩하며, 동부는 낙동강이 스쳐 흐르고 있다. 북쪽 도 경계에 솟아있는 가야산(1,430m)을 중심으로 매화산(954.1m), 거창군 경계의 비계산(1,125.7m), 두무산(1,083.4m), 오도산(1,133.7m), 산청군 경계의 황매산(1,108m)이 있다. 그 외에도 악견산, 금성산, 허굴산, 의룡산과 북부의 가점산, 미숭산, 두무산 남쪽 군 경계의 자굴산, 미타산 등의 봉우리들이 솟아있다. 이처럼 크고 작은 산맥이 북부에서 동남쪽으로 뻗어있어 경사는 완만하지만, 높낮이가 있는 산들이 많아 평야는 좁은 편이다.

합천의 주요 물길 중 낙동강의 지류인 황강거창군 덕유산에서 시작되어 여러 물줄기를 합쳐 봉산면에서 남쪽으로 굽이쳐 합천읍을 지나 군 중심부를 관통한다. 율곡면에서 굽이친 뒤 청덕면 적포리에서 낙동강 본류에 합류한다. 지방하천인 회천은 가야산에서 발원하여 가야, 야로, 묘산면을 지나 경상북도 고령군을 거쳐 덕곡면으로 이어진다.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황강은 17개 읍면 중 6개 면을 남북으로 가로지르기 때문에 강을 따라 행정구역과 생활권이 나뉘는 곳이 많으며, 강폭은 넓지만 수심은 얕은 편이다.[26]

3. 2. 기후

합천군은 내륙에 위치하여 한서의 차가 심한 편이다. 2005년 기준 연평균 기온은 13.5˚C, 최저 기온은 -14.8˚C, 최고 기온은 37.0˚C였다. 연간 강수량은 1,119.6mm이며, 이 중 75% 정도가 6월, 7월, 8월에 집중되어 때로는 집중호우로 풍수해를 입기도 한다.[27][28]

평균 기온 (℃)평균 최고 기온 (℃)평균 최저 기온 (℃)최고 기온 극값 (℃)최저 기온 극값 (℃)강수량 (mm)평균 강수일수 (0.1 mm)습도 (%)일조 시간
1월-0.27.0-5.917.7-16.919.74.060.5182.3
2월2.29.7-4.124.4-16.731.34.757.3185.3
3월7.314.60.527.8-10.154.06.856.5208.2
4월13.220.75.831.8-4.681.98.256.2213.8
5월18.225.611.336.21.794.18.960.5224.7
6월22.228.516.836.66.8146.79.766.7172.0
7월25.330.421.439.512.8289.514.474.3147.9
8월25.631.121.539.212.2294.814.074.8163.7
9월20.927.116.236.64.6158.69.574.2161.3
10월14.522.38.730.9-3.664.55.070.6190.4
11월7.815.62.026.4-9.934.75.267.3167.7
12월1.79.0-4.020.5-14.820.13.962.6172.4
13.220.17.539.5-16.91289.994.365.12189.7



자료: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3년~현재)[27][28]

3. 3. 지질

합천군에는 진주층에 발달한 합천배티세일동굴, 경상 분지 낙동층과 영남 육괴 편마암상 섬장암과의 경계에 위치한 황계폭포와 같은 지질유산이 있다.[1]

합천배티세일동굴

4. 행정 구역

합천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6면, 192개 법정리, 368개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983.47km2로 경상남도 전체의 9.4%를 차지하며, 이는 경상남도에서 가장 넓은 면적이자 서울특별시의 1.6배에 해당한다. 2010년 12월 31일 기준 인구는 23,896세대, 50,608명이었으며, 과거 인구 최고점은 195,943명이었다.[29]

읍·면한자세대인구면적(km2)
합천읍陜川邑5,06812,00953.04
봉산면鳳山面8941,57180.60
묘산면妙山面9431,70750.02
가야면伽倻面2,2574,635104.99
야로면冶爐面1,3942,69047.91
율곡면栗谷面1,3302,47072.30
초계면草溪面1,4052,73123.03
쌍책면雙冊面7861,37139.62
덕곡면德谷面52792226.61
청덕면靑德面1,0751,83257.50
적중면赤中面8941,58423.91
대양면大陽面9601,67057.12
쌍백면雙栢面1,1181,89463.30
삼가면三嘉面1,9163,56360.57
가회면佳會面1,0511,89770.93
대병면大幷面1,2022,20963.2
용주면龍洲面1,2912,40589.29
합천군陜川郡24,11147,160983.47



각 읍·면의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읍·면법정리
합천읍합천리, 김양리, 영창리, 내곡리, 서산리, 용계리, 외곡리, 장계리, 인곡리
봉산면압곡리, 도곡리, 봉계리, 금봉리, 술곡리, 루곡리, 양지리, 고삼리, 계산리, 송림리, 상현리, 권빈리
묘산면반포리, 안성리, 광산리, 산제리, 화양리, 거산리, 가산리, 관기리, 팔심리, 도억리, 봉곡리
가야면죽전리, 매화리, 이천리, 황산리, 소촌리, 사인리, 구원리, 가천리, 청현리, 매안리, 대전리, 가천리, 성기리, 구미리
야로면덕암리, 정주리, 묵촌리, 김평리, 매촌리, 하항리, 나대리, 하림리, 야로리, 구정리, 월광리, 청계리
율곡면기리, 내천리, 락민리, 노양리, 갑산리, 두사리, 와리, 항곡리, 율진리, 임북리, 제내리, 영달리, 본천리, 문림리
초계면댁리, 중리, 원당리, 신촌리, 대동리, 대평리, 관평리, 아막리, 유하리, 초계리, 상주리
쌍책면상신리, 덕봉리, 성산리, 다라리, 오서리, 진정리, 상포리, 사양리, 하신리, 건대리
덕곡면포두리, 본곡리, 율원리, 병배리, 학리, 장리, 율지리
청덕면가현리, 대부리, 두곡리, 무리, 미곡리, 삼학리, 성대리, 소례리, 영진리, 운봉리, 적포리, 초곡리
적중면황정리, 정토리, 죽곡리, 옥두리, 상부리, 루하리, 부수리, 양림리, 두방리
대양면정양리, 무곡리, 도리, 양산리, 함지리, 오산리, 백암리, 안금리, 덕정리, 대목리, 아천리
쌍백면대곡리, 평추리, 안계리, 외초리, 운곡리, 장전리, 죽전리, 삼리, 하신리, 백익리, 대현리, 평지리, 육리
삼가면동리, 일부리, 외토리, 용흥리, 어전리, 금리, 소오리, 두모리, 학리, 덕진리, 문송리, 하판리, 양전리
가회면월계리, 외사리, 장대리, 오도리, 둔내리, 중촌리, 함방리, 덕촌리, 도탄리
대병면상천리, 성리, 대지리, 장단리, 하금리, 양리, 역평리, 유전리, 회양리
용주면공암리, 황계리, 순목리, 용지리, 월평리, 고품리, 우곡리, 봉기리, 가호리, 죽죽리, 방곡리, 성산리, 팔산리, 평산리, 노리, 장전리


5. 역대 군수

합천군수 문서와 합천군수 선거 문서를 참고하라.

6. 정치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부터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까지 31년간 민주정의당, 신한국당, 한나라당(새누리당의 전신)이 국회의원을 석권해 왔다.

현직 국회의원은 경상남도지사를 지냈던 김태호 의원이다.

7. 관광

합천군에는 다양한 관광 명소와 즐길 거리가 있다.

합천호는 산청군과 인접한 관광지로, 1988년 낙동강 종합개발계획에 따라 조성된 인공호수이다. 황매산과 맞닿아 있어 산 정상에서 호수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4] 합천호에서는 매년 봄(3월 초) 백리 벚꽃길에서 벚꽃마라톤대회가 열린다.[4]

합천에서는 패러글라이딩도 즐길 수 있다. 다만, 2007년 군 패러글라이딩 선수권 대회 중 사망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5]

이 외에도 가야산(가야산국립공원), 해인사(세계유산·해인사장경판전) 등이 주요 명소로 꼽힌다. 2017년 8월 6일에는 한국 거주 피폭자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여 원폭기념관이 개관하였다.

7. 1. 세계 유산

해인사 팔만대장경

해인사는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 중턱에 있는 사찰로서 팔만대장경이 세계기록유산으로,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장경판전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12교구 본사로 150여 개의 말사를 거느리고 있으며, 불교의 삼보사찰 중 ‘법보사찰’로 유명하다.

7. 2. 산

가야산

경상북도 성주군경상남도 합천군에 걸쳐 있는 산이다. 1972년 10월 13일 국립공원 제9호로 지정되었으며, 지질은 화강편마암 및 화강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해인사와 신촌락(新村落)이 있는 치인리골과 홍류동계곡은 화강암 침식곡이다. 주봉인 칠불봉과 우두봉, 남산, 단지봉, 남산제1봉, 매화산 등 1000m내외의 연봉과 능선이 둘러 있다. 예로부터 "조선팔경"의 하나로 알려진 가야산은 산세가 변화무쌍하게 펼쳐진다.

황매산

경상남도 산청군과 합천군에 걸쳐있는 산이다. 가을에 900m 지점 황매평원에 억새 군락지가 펼쳐져 있어, 관광객 방문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명산 중 21번째 명산으로 지정된 바 있으며, 2012년에는 CNN이 선정한 '한국에서 가봐야 할 50선'에 선정됐다. 2015년 산림청에서 발표한 한국 야생화(자주쓴풀, 쑥방망이, 억새 등) 군락지 100대 명소에도 선정됐다.[30]

  • 남산제일봉 매화산의 제1봉(1010m)
  • 악견산 (634m)
  • 오도산휴양림, 오도산(1134m)
  • 금성산
  • 허굴산

7. 3. 문화재


  • 영암사지 (사적 제131호)
  • 삼가향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9호)
  • 홍제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56호)
  • 합천향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8호)
  • 강양향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10호)
  • 미숭산성 (경상남도 지방기념물 제67호)
  • 함벽루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9호)

함벽루

  • 옥전 고분군 (사적 제326호)
  • 호연정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98호)
  • 초계향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27호)
  • 연호사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8호)
  • 해인사 - 합천군에 있는 유명한 사찰.
  • 가야산 (가야산국립공원)
  • 해인사 (세계유산·해인사장경판전)
  • 원폭기념관 - 2017년 8월 6일 개관. 한국 거주 피폭자가 많다.

7. 4. 박물관

합천박물관은 2004년 12월 28일에 개관하였다. 옥전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을 보관, 전시하고 있다.

7. 5. 자연

황계폭포와 편마암상섬장암


합천군에는 다음과 같은 자연 명소가 있다.

  • 묘산소나무 (천연기념물 제289호)
  • 황계폭포 : 합천군의 지질 문서 참조.
  • 홍류동계곡
  • 합천호: 합천댐이 준공되면서 생긴 호수로 면적은 7850000m2이다.
  • 백리벚꽃길
  • 해인사: 합천군에 위치한 유명한 사찰이다.
  • 합천호: 산청군과 인접한 관광지이다. 1988년 낙동강 종합개발계획에 따라 조성된 인공호수이다. 황매산과도 맞닿아 있으며, 산 정상에 오르면 호수의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4]
  • 패러글라이딩: 합천에서는 패러글라이딩도 가능하다. 2007년 군 패러글라이딩 선수권 대회 중 사망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5]
  • 가야산 (가야산국립공원)

7. 6. 축제

합천군에서는 계절마다 다양한 행사들이 개최된다. 매년 봄(3월 초) 합천호 백리 벚꽃길에서 벚꽃마라톤대회가 열린다.[4] 7월경에는 황강변의 백사장에서 황강 수중 마라톤 대회가 매년 개최되고 있다. 매년 가을(10월경)에는 합천 군민의 문화 행사인 대야 문화제가 열리며, 매년 겨울에는 합천호의 결빙 시기에 맞물려 빙어낚시 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 대장경 천년 세계문화축전
  • 황매산 철쭉제
  • 황강레포츠축제
  • 벚꽃마라톤대회
  • 군민의날 및 대야문화제

8. 교육

합천군에는 초등학교 18개교, 중학교 10개교, 고등학교 6개교가 있으며, 사립 중학교 및 고등학교도 있다.[1]

8. 1. 초등학교


8. 2. 중학교

합천군의 중학교
공립사립


8. 3. 고등학교

합천군 고등학교 목록
공립사립


8. 4. 도서관

공립
합천도서관


8. 5. 학생야영수련원

합천장전학생야영수련원

9. 교통

서흥여객은 합천군을 중심으로 운행하는 유일한 버스 회사이다.[1] 합천군의 농어촌버스를 운행한다.

10. 출신 인물


  • 전두환 (제11·12대 대통령): 12.12 군사반란과 5.18 민주화운동 유혈 진압을 주도했으며, 재임 기간 동안 언론 통제와 인권 탄압을 자행한 독재자이다.[1]

11. 자매 도시

합천군은 대한민국 내 여러 도시 및 해외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국가도시
대한민국화성시
대한민국통영시
대한민국장수군
대한민국부산진구
日本|일본일본어미토요시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샌디에이고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Official page
[3] 웹사이트 Official page of county
[4] 간행물 황매산 & 합천호 2007-10
[5] 뉴스 합천서 패러글라이더 2명 추락..1명 사망 http://news.naver.co[...] Yeonhap news 2007-05-27
[6] 웹사이트 기후자료극값(최대값) http://www.kma.go.kr[...]
[7] 웹사이트 일별자료극값 > 기후자료극값(최대값) > 국내기후자료 > 기후자료 > 날씨 > 기상청 http://www.kma.go.kr[...]
[8]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9] 웹사이트 ko: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10]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1-01
[1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2] 웹사이트 朝鮮支那地名辞彙 P269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2022-08-16
[13] 웹사이트 http://www.tokyo-np.[...]
[14] 법률 府令第111号 1913-12-29
[15] 법률 道令第11号 1928-12-27
[16] 법률 大統領令第9409号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17] 법률 大統領令第11027号 1983-01-10
[18] 법률 大統領令第12007号 1986-12-23
[19] 법률 大統領令第12557号 1988-12-22
[20] 법률 합천군 리 명칭 및 구역 확정에 관한 조례 2014-12-09
[21]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합천(285)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22]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합천(285)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2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5] 서적 삼국사기 1145-01-01
[26] 웹사이트 합천군의 지리 http://hc.go.kr/cont[...] 2012-08-06
[27]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합천(28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28]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합천(285)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29] 웹사이트 합천군의 기본 현황 http://hc.go.kr/cont[...] 2011-07-12
[30] 뉴스 '합천팔경' 황매산, 은빛 억새 물결 장관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16-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