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방십자인대부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방십자인대 부상은 무릎에서 "퍽" 소리와 함께 통증, 부종, 불안정성을 유발하는 흔한 부상으로, 전방십자인대(ACL)가 파열되어 발생한다. 급격한 방향 전환, 부자연스러운 착지, 무릎 직접 충격 등이 주요 원인이며, 여성 운동선수에게서 발생 빈도가 높다. 진단은 신체 검사, MRI, 관절경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손상 정도에 따라 1~3등급으로 분류된다. 치료는 비수술적 치료(보조기, 물리치료)와 수술적 치료(ACL 재건술)가 있으며, 재활을 통해 무릎의 기능 회복과 스포츠 복귀를 목표로 한다. 예후는 일반적으로 양호하나, 관절염 발생 및 재파열의 위험이 있으며, 미국에서 매년 약 20만 건의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발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골격계 질환 - 염좌
    염좌는 관절의 과도한 움직임으로 관절낭, 인대, 연부 조직이 손상되어 통증, 부종, 발열 등의 염증을 동반하며, 손상 정도에 따라 정도가 나뉘고, RICE 요법 등의 비수술적 치료나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와 재활을 통해 회복을 꾀한다.
  • 근골격계 질환 - 류마티스성 다발근통
    류마티스성 다발근통은 50세 이상 성인에게 주로 나타나는 염증성 질환으로, 목, 어깨, 엉덩이 등의 통증과 뻣뻣함이 특징이며, 면역 체계 이상 및 유전적 요인이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고, 스테로이드 약물로 치료한다.
전방십자인대부상
개요
무릎 다이어그램
오른쪽 무릎 다이어그램
진료과정형외과
증상뚜렷한 '뚝' 소리와 함께 통증, 무릎 불안정, 무릎 부종1
원인비접촉 손상, 접촉 손상2
위험 요인운동선수, 여성1
진단신체 검사, MRI1
예방신경근 훈련3, 코어 강화4
치료보조기, 물리 치료, 수술1
빈도미국에서 연간 약 20만 건2
추가 정보
관련 질환슬개건염
참고 문헌

2. 징후와 증상

전방십자인대(ACL)가 손상되면 무릎에서 "퍽" 하는 파열음이 들릴 수 있고, 심한 통증과 부기가 나타날 수 있다. 인대가 무릎 관절을 안정시키지 못하고 정강이가 앞으로 밀리는 것을 막지 못하므로, 걷거나 움직일 때 무릎이 불안정하게 느껴질 수 있다.[9]

무릎 운동 범위가 줄어들고 관절선을 따라 압통(누르면 아픈 증상)이 생기는 것 또한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흔한 증상이다. 통증과 부기는 저절로 가라앉을 수 있지만, 무릎은 불안정한 상태로 남게 되며, 치료 없이 운동을 다시 시작하면 더 큰 손상을 입을 수 있다.[2]

3. 원인

전방십자인대 손상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 신속하게 방향을 바꾸는 경우 (컷핑)
  • 점프 후 착지를 잘못한 경우
  • 달리다가 갑자기 멈추는 경우
  • 무릎에 직접적인 충격이나 접촉이 가해진 경우 (축구 태클, 자동차 충돌 등)[2]


이러한 동작들은 경골(정강이뼈)이 대퇴골(넙다리뼈)에서 빠르게 벗어나게 하여 무릎에 변형을 일으키고, 전방십자인대 파열로 이어질 수 있다. 전방십자인대 부상의 약 80%는 직접적인 외상 없이 발생한다.[10]

위험 요인으로는 불량한 컨디션, 피로, 인조 잔디 구장에서의 경기 등이 있다.[9]

전방십자인대 파열


전방십자인대 부상은 흔하며, 매년 25만 건의 전방십자인대 부상이 발생한다. 이는 3,000명 중 1명꼴로 전방십자인대 부상을 입는다는 것을 의미한다.[11]

3. 1. 여성에서의 높은 발생률

여성 운동선수는 같은 스포츠를 하는 남성에 비해 방향 전환과 점프를 포함하는 스포츠에서 전방십자인대(ACL) 부상을 겪을 가능성이 2~8배 더 높다.[12] 미국 대학 스포츠 협회(NCAA) 자료에 따르면, 여성의 전방십자인대 부상률은 남성보다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스포츠남성여성
농구0.070.23
라크로스0.120.17
축구0.090.28



여성에게서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제시된다.


  • 무릎 관절의 능동적인 근육 보호 차이: 남성과 여성의 무릎 관절 근육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어 여성의 무릎 관절이 부상에 더 취약할 수 있다.
  • 다리/골반 정렬의 차이: 여성의 골반이 남성보다 넓어 다리 정렬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는 무릎에 가해지는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다.
  • 호르몬 차이: 에스트로겐과 릴랙신과 같은 여성 호르몬은 인대를 이완시켜 부상 위험을 높일 수 있다.[12][14] 특히 월경 주기 동안 여성 호르몬 수치 변화는 전방십자인대 파열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추정된다.[12]
  • Q-각: 여성의 넓은 골반은 대퇴골이 무릎 쪽으로 기울어지는 각도(Q-각)를 크게 만들어 전방십자인대 부상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23] 남성의 평균 Q각은 14도, 여성의 평균 Q각은 17도이다.[22]

Q각이 있는 대퇴골: 전상장골극에서 슬개골 중앙을 지나 슬개골 중앙에서 경골 조면 중앙으로 그은 선이 이루는 각도

  • 신경근 불균형: 일부 연구에서는 여성 운동선수의 신경근 불균형이 전방십자인대 부상 발생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제시한다.
  • 인대 지배, 대퇴사두근 지배, 다리 지배, 몸통 지배 이론: 여성 운동선수가 점프 후 착지할 때 근육이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거나, 넙다리 네갈래근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한쪽 다리에 체중을 더 싣거나, 몸통 제어가 부족하여 무릎에 부담이 가해져 부상 위험이 높아진다는 이론이다.
  • 근육 강성: 여성의 무릎은 근육 활성화 시 남성보다 강성이 덜하여, 같은 힘이 가해져도 전방십자인대 부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 높다.[24]
  • 넙다리 네갈래근과 전방십자인대의 관계: 넙다리 네갈래근은 전방십자인대의 길항근으로, 넙다리 네갈래근의 수축이 증가하면 전방십자인대에 가해지는 부담이 증가한다.[25]

4. 병태생리

무릎 관절은 넙다리뼈, 정강이뼈, 무릎뼈의 세 뼈로 구성된다. 이 뼈들은 인대에 의해 연결되어 관절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무릎에는 측부 인대와 십자 인대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1]

측부 인대는 내측 측부 인대(무릎 안쪽)와 비골 측부 인대(무릎 바깥쪽)가 있다. 이 두 인대는 무릎의 측면 움직임을 제한한다.[1]

십자 인대는 무릎 관절 안쪽에서 "X"자 모양을 형성하며, 전방 십자 인대는 정강이뼈 앞쪽에서 넙다리뼈 뒤쪽으로, 후방 십자 인대는 정강이뼈 뒤쪽에서 넙다리뼈 앞쪽으로 뻗어 있다. 전방 십자 인대는 정강이뼈가 넙다리뼈 앞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 안정성을 제공한다.[1]

무릎 관절의 정강이뼈 위에는 내측 반월상 연골과 외측 반월상 연골이라 불리는 C자형 연골 구조물 두 개가 있어 뼈의 쿠션 역할을 한다.[2]

오른쪽 무릎, 앞쪽, 내부 인대 표시
왼쪽 무릎, 뒤쪽, 내부 인대 표시


5. 진단

전방십자인대 손상은 대부분 신체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무릎의 불안정성, 통증, 부기 등을 평가하고, 다른 쪽 무릎(부상당하지 않은 쪽)과 비교한다. 무릎 손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피벗 시프트 검사, 전방 전위 검사, 라흐만 검사 등의 검사를 할 수 있다.[26] 라흐만 검사는 이 세 가지 검사 중 가장 신뢰할 수 있고 민감한 검사로 인정받고 있다.[29]

자기 공명 영상(MRI)은 인대, 연골 등 연부 조직의 손상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며, 진단을 확진하는 데 사용된다.[2] MRI는 반월판 연골이나 측부 인대와 같이 함께 손상될 수 있는 다른 구조물도 보여준다.[31] X선 촬영은 골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시행될 수 있다.[9]

자기 공명 영상에서 확인된 전방 십자 인대 파열. T1 왼쪽, PDW 오른쪽


MRI는 전방십자인대의 상태를 진단하는 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술이지만, 부상 후 관절을 채우는 혈액 때문에 전방십자인대가 가려질 수 있으므로 항상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기술은 아니다.[32]

관절경 검사(Arthrometry)는 신체 검사 및 MRI 결과가 불확실한 경우, 무릎 변위를 정량화하여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다.[32] 이러한 의료 기기는 수동 검사를 재현하지만 객관적인 평가를 제공한다.[34]

6. 분류

인대 손상은 염좌라고 불린다. 미국 정형외과 학회는 전방십자인대(ACL) 부상을 심각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2]

등급설명
1등급 염좌인대가 약간 늘어났지만 무릎 관절의 안정성에는 영향이 없다.
2등급 염좌인대가 헐거워질 정도로 늘어나는 경우로, 부분 파열이라고도 한다.
3등급 염좌인대가 완전히 두 조각으로 찢어져 무릎 관절이 더 이상 안정적이지 않은 경우다. 이는 가장 흔한 유형의 전방십자인대 부상이다.



전방십자인대 부상의 약 절반은 다른 인대, 반월판 또는 뼈 표면의 연골을 포함한 무릎의 다른 구조물 손상과 함께 발생한다. 불행한 삼주작이라고 불리는 특정 부상 패턴은 전방십자인대, 내측 측부 인대(MCL) 및 내측 반월상 연골의 부상을 포함하며, 발이 땅에 고정된 상태에서 무릎에 측면 힘이 가해질 때 발생한다.[36]

7. 예방

비접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예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부상 예방 프로그램이 부상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37] 이러한 프로그램은 특히 남자 선수보다 전방십자인대 부상 발생률이 높은 여자 선수와 두 번째 전방십자인대가 찢어질 위험이 높은 어린이 및 청소년에게 중요하다.[38][39]

연구자들은 여성 운동선수들이 무릎을 비교적 곧게 착지하고 대부분의 체중을 한 쪽 발에 올리며 상체가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경향이 있어, 무릎 인대에 과도한 부담을 주어 전방십자인대 파열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신경근 훈련(NMT)은 이러한 요인에 대응하고 적절한 착지 기술을 강조하여, 특히 젊은 여자 선수의 전방십자인대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40][41]

부상 예방 프로그램(IPP)은 전방십자인대 부상 위험 요인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며, 개별화된 운동이 더 유익할 수 있다.[44]

8. 치료

전방십자인대 파열의 치료 목표는 다음과 같다.[46]


  • 비정상적인 무릎 움직임을 줄이고 무릎 기능을 향상시킨다.
  • 무릎을 다시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신뢰와 자신감을 쌓는다.
  • 무릎의 추가적인 부상을 예방하고 골관절염의 위험을 줄인다.
  • 부상 후 장기적인 삶의 질을 최적화한다.


치료 방법으로는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가 있다. 비수술적 치료는 활동량이 적거나 격렬한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권장되며, 물리 치료와 보조기 착용 등이 포함된다. 반면, 선수나 활동적인 사람들에게는 수술적 치료가 일반적이다. 찢어진 전방십자인대는 수술 없이 자연적으로 치유되지 않지만, 무릎이 안정적이고 고강도 활동을 하지 않는다면 수술 대신 보조기 착용과 물리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부상 직후에는 RICE 요법(안정, 냉찜질, 압박, 거상)을 시행하여 부기와 통증을 줄여야 한다.

전방십자인대 재건 수술은 찢어진 인대를 다른 조직(자가 이식 또는 동종 이식)으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주로 슬개건, 햄스트링건, 대퇴사두근건이 사용된다. 수술은 관절경을 통해 최소 침습적으로 시행되어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 수술 시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미국 정형외과 학회는 부상 후 5개월 이내에 재건술을 시행할 것을 권장한다.

8. 1. 비수술적 치료

활동량이 적거나 격렬한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 물리 치료와 경첩이 있는 무릎 보호대 사용을 통한 비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방십자인대(ACL)가 파열되면 찢어진 조각이 다시 결합하여 기능적인 인대를 형성하지 않지만, 무릎이 걸을 수 있을 정도로 안정적이고 높은 수준의 활동을 하지 않는다면 수술 대신 보조기 착용과 물리 치료를 권할 수 있다.[47]

전방십자인대가 파열된 직후에는 RICE 요법을 시작해야 한다. RICE 요법은 안정(Rest), 냉찜질(Ice, 2시간마다 15-20분), 압박(Compression), 거상(Elevation)을 의미하며, 부기를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무릎의 불안정성을 보호하기 위해 보조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치료되는 동안 체중 부하를 막기 위해 목발을 사용할 수 있다. 부기가 가라앉으면 물리 치료를 통해 무릎 기능을 회복하고 주변 근육(햄스트링, 대퇴사두근)을 강화하여 찢어진 인대를 보완하고 무릎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비수술적 전방십자인대 파열 치료는 근력, 동적 무릎 조절 능력, 심리적 자신감을 회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점진적이고 체계적인 재활을 포함한다. 최신 연구에 따르면, 선택적 수술 재건을 포함한 1차 재활 치료가 조기 수술 재건과 유사한 결과를 낳는다.[47] 경우에 따라 재활 과정에서 수술 없이 전방십자인대가 회복될 수 있다.[48]

운동 치료의 목적은 무릎 주변 근육 및 균형 시스템의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다. 운동 치료를 통해 무릎 주변 근육을 적절하게 훈련하면 신체가 무릎을 다시 제어하는 방법을 학습하여 무릎 내부의 과도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튼튼하고 힘을 견딜 수 있다고 느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접근 방식은 부상 직후 물리 치료사나 스포츠 의학 전문가를 방문하여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운동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통증을 줄이기 위해 수기 치료와 같은 다른 치료법이 초기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물리 치료사는 재활 과정을 통해 코치 역할을 하며, 회복 목표를 설정하고 진행 상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비수술적 회복은 일반적으로 3~6개월이 소요되며, 초기 부상 정도, 기존 체력, 재활 및 스포츠 목표에 대한 헌신에 따라 달라진다. 일부 환자는 비수술적 치료 결과에 만족하지 못하고 나중에 수술을 선택할 수 있다.

8. 2. 수술적 치료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찢어진 전방십자인대(ACL)를 다른 조직으로 대체하는 수술이다. 이때 사용되는 이식편은 환자 자신의 조직을 사용하는 자가이식과, 다른 사람의 조직을 사용하는 동종이식으로 나뉜다. 주로 슬개건, 햄스트링건, 대퇴사두근건이 이식편으로 사용된다.[2] 특히, 대퇴사두근 힘줄 이식편은 슬개건 및 햄스트링 힘줄 이식편에 비해 채취 부위의 통증이 덜하고, 무릎 안정성과 기능 측면에서 더 나은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49]

수술은 관절경을 이용하여 시행된다. 무릎에 작은 카메라를 삽입하고, 수술 기구를 삽입하기 위해 무릎 주변에 작은 절개를 추가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최소 침습적 방법으로, 수술로 인한 통증이 적고, 입원 기간이 짧으며, "개방형" 수술보다 회복 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2]

수술 시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미국 정형외과 학회(American Academy of Orthopedic Surgeons)는 환자의 기능 개선 및 추가 부상 방지를 위해 부상 후 5개월 이내에 재건술을 시행할 것을 권장한다.[51] 그러나 최적의 수술 시기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소아 및 청소년의 경우, ACL 재건술을 3개월 이상 지연하면 반월상 연골 손상의 위험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2]

젊은 운동선수나 ACL 수술을 받는 모든 사람은 수술을 연기하고 4-6주간 사전 재활 프로그램을 완료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재활 프로그램은 운동 범위 회복, 부기 감소, 대퇴사두근 근력 확보 등을 목표로 한다. 4-6주간의 사전 재활 프로그램을 받은 환자는 수술 초기 단계에서 더 나은 결과를 보였지만, 3-6개월 이후의 결과는 아직 결정적이지 않다.[50]

미국에서는 매년 10만 건 이상의 ACL 재건술이 시행되며, 그 중 95% 이상이 외래 환자 환경에서 수행된다. ACL 재건술 중 가장 흔하게 수행되는 시술은 부분 반월상 연골 절제술 및 연골 성형술이다.[53] 수술 후 양쪽 다리의 비대칭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운동 패턴 분석과 함께 스포츠 복귀 기준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54]

8. 3. 재활

전방십자인대 (ACL) 부상 후 재활의 목표는 무릎의 힘과 운동 범위를 회복하는 것이다. ACL 부상으로 수술을 받은 경우, 재활은 먼저 관절 운동 범위를 천천히 늘리는 데 초점을 맞춘다. 그 다음, 새로운 인대를 보호하고 무릎을 안정시키기 위해 주변 근육을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특정 스포츠에 필요한 활동에 특화된 기능 훈련을 시작한다.[2]

선수가 수술 후 스포츠에 복귀하는 데는 6개월 이상이 걸릴 수 있다. 이는 두 번째 부상을 막기 위해 균형을 되찾고 무릎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9개월 이전에 복귀하면 재파열률이 7배 더 높아지므로 최소 9개월 이상 스포츠 복귀를 늦추는 것이 권장된다. ACL이 성숙하는 데 약 2년이 걸리지만, 운동선수가 2년을 기다리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재파열의 30%는 처음 30번의 운동 내에, 50%는 처음 72번의 운동 내에 발생한다. 9개월 이후 스포츠 복귀를 늦출 때마다 재파열 가능성은 줄어든다.[56]

소아 환자의 경우, 수술 후 ACL 재파열이 흔하며, 이 중 94.6%가 재수술을 필요로 한다. 적절한 재활이 없으면 성장 또는 각 변형이 발생하여 재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57] 물리 치료사의 ACL 환자 치료 경험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데, 많은 치료사가 실패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절반 이상의 물리 치료사는 여전히 수동 근력 검사 기술을 사용하여 스포츠 복귀를 위한 다리 근력을 측정하는데, 이는 주관적이고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이다.[58] 스포츠 복귀에 대한 합의된 기준은 없지만, 치료사가 환자를 승인하기 전에 심리적 요소, 플라이오메트릭 검사, 양쪽 하지 간의 근력 대칭성, 환자의 스포츠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적 움직임 평가 등 일련의 검사를 고려해야 한다.[59]

재활 권장 사항은 다음과 같다.[60]

  • 수술 전 재활: 수술 후 대퇴사두근 근력, 무릎 운동 범위를 개선하고 스포츠 복귀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강력히 권장된다. 최소 한 번의 수술 전 방문은 충분한 자발적인 근육 활성이 있는지 확인하고 수술 후 재활 경로에 대해 환자를 교육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비감독 운동: ACL 재건 수술 후 회복 중인 환자에게 권장된다. 물리 치료 접근성이 제한되고 동기가 높으며 재활을 수행하는 데 순응하는 환자는 독립적으로 운동하도록 권장된다. 신체 역학에 대해 잘 교육받지 않은 환자는 개별적으로 처방된 운동 프로그램을 받아야 하며, 유해 사건의 진행을 방지하기 위해 재활 프로토콜을 적절히 실행하도록 모니터링을 받아야 한다.
  • 재활 프로토콜 기간: 개인의 필요와 부상 전 수준으로 안전하게 복귀할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는 데 특화되어 있다. 가속된 타임라인은 적절한 조건에서 유해 사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모달리티 권장 사항은 다음과 같다.[60]

  • 지속적 수동 운동: 능동 운동에 비해 통증, 운동 범위 또는 부종에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하지 않는다. 시간 소모적이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 냉각 요법: 저렴하고 사용하기 쉬우며, 높은 환자 만족도를 얻고 유해 사건이 드물게 발생한다. 수술 후 관리 초기 단계에서 정당하다. 환자는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냉각 요법을 안전하게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교육을 받아야 한다. 가능하면 압박 냉각 요법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 신경 근육 전기 자극(NMES): 수술 후 가장 초기 단계에서 강력히 권장된다. 근육 활성화를 자극하여 예상되는 근육 위축을 줄인다. 초기 단계에서 NMES는 근력을 더 발달시키기 위해 기능적 활동 중에 사용할 수 있다.
  • 저부하 혈류 제한(BFR): 표준 관리와 함께 재활 초기 단계에서 권장된다. 특히 무릎 통증이 증가하거나 무릎 관절에 가해지는 부하를 견딜 수 없는 사람들의 대퇴사두근 및 햄스트링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임상의는 BFR을 포함시키기 전에 금기 사항을 알고 있어야 한다.
  • 드라이 니들: 출혈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초기 재활 단계에서는 권장되지 않는다.
  • 전신 진동: 대퇴사두근 근력과 정적 균형을 개선하기 위한 추가 중재로 효과적이다. 그러나 통증 및 부종의 합병증이 보고되었고, 합병증과 고비용으로 인해 사용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스포츠 복귀[61]

스포츠 복귀 시 2차 부상 예방을 돕는 운동 중재는 신경 근육 훈련, 근력 훈련, 민첩성 훈련 및 플라이오메트릭 운동으로 구성된다. 선택된 운동은 ACL 부상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보완한다. 스포츠 복귀 프로토콜에 도움이 되는 일부 플라이오메트릭 및 균형 운동에는 트리플 홉, 턱 점프 및 박스 점프, 노르딕 햄스트링 및 엉덩이 외전 스쿼트가 포함된다. 신경 근육 훈련 또한 스포츠 복귀에 매우 중요하다. 단일 및 양측 자세를 테스트하는 불안정한 표면에 대한 점진적인 교란이 필요하다.

ACL 재건술 후 회복 및 스포츠 복귀를 위해 5단계의 재활 프로그램이 만들어졌다.

1. 1단계: ROM 및 이동성, 통증 및 부종 감소, 대퇴사두근 강화

2. 2단계: 러닝머신에서 조깅

3. 3단계: 서로 다른 신체 평면에서 민첩성 훈련, 빠른 버스트 움직임

4. 4단계: 플라이오메트릭, 양발 점프

5. 5단계: 양측 점프를 단측 다리 홉으로 진행

후기 단계에서는 재활 프로그램을 운동선수가 복귀하려는 주요 스포츠에 맞게 조정해야 한다.

ACL-SPORTS 프로그램에서 운동선수는 미리 결정된 스포츠 복귀 검사를 통과해야 한다. 요구 사항은 사지 대칭성, 좋은 쪽 다리 힘이 대퇴사두근 근력 검사에서 90%, 네 개의 외다리 홉 검사 각각에서 90%, 무릎 결과 설문 조사-일상 생활 활동 척도(KOS-ADLs)에서 90%, 전반적인 무릎 기능에 대한 자체 인식 평가에서 90%이다. 모든 운동선수는 좋은 쪽 1RM의 90% 이상 사지 대칭성을 달성해야 한다.[61]

9. 예후

전방십자인대 부상은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아, 많은 사람들이 몇 달 안에 다친 다리의 기능을 회복한다.[1] 과거에는 선수 경력을 끝내는 부상으로 여겨졌지만, 최근에는 전방십자인대 재건 수술과 물리 치료를 통해 많은 선수들이 부상 전 수준으로 복귀하고 있다.[62]

장기적인 합병증으로는 무릎의 조기 관절염 발생 및 인대 재파열 등이 있다.[9] 관절염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초기 부상의 심각성, 무릎 다른 구조물의 손상, 치료 후 활동 수준 등이 있다.[9]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치료하지 않으면 찢어진 전방십자인대 때문에 경골과 대퇴골이 서로 마찰될 가능성이 높아져 무릎 내부 연골이 손상될 수 있다.[2] 전방십자인대 파열만으로도 무릎의 염증 표지가 증가하여 골관절염 발병에 영향을 줄 수 있다.[63]

특히 젊은 여성 선수는 회복 후 재파열되거나 반대쪽 무릎의 전방십자인대가 손상될 위험이 크다. 이 위험은 어린 선수 4명 중 거의 1명꼴로 기록되었다.[64] 따라서 운동선수는 스포츠에 복귀하기 전에 신경근 결손(예: 한쪽 다리의 약화 또는 잘못된 착지 형태)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16]

10. 역학

미국에서는 매년 약 20만 건의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발생하며, 10만 건 이상의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이 시행된다.[65] 전방십자인대 파열은 연간 10만 명당 약 69건의 새로운 발생률을 보이는데, 성별로는 남성이 10만 명당 82건, 여성이 10만 명당 59건이다.[65] 연령별로는 14~18세 여성(10만 명당 227.6건)과 19~24세 남성(10만 명당 241건)에게서 부상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65]

젊은 운동선수, 특히 고등학생 운동선수는 전방십자인대 손상 위험이 더 크다. 여성의 경우 축구, 농구, 라크로스 순으로 위험도가 높은 스포츠로 꼽힌다. 남성의 경우에는 농구, 라크로스, 축구 순으로 위험도가 높다. 특히 농구는 여성이 남성보다 전방십자인대 파열을 겪을 가능성이 5~8배 더 높다.

대학 운동선수 중에서는 남자 미식축구 선수의 재파열율이 10,000명당 15명으로 가장 높았고, 여자 체조 선수는 10,000명당 8명, 여자 축구 선수는 10,000명당 5.2명이었다.

한편, 개에게서도 십자인대 파열은 흔한 정형외과 질환으로, 대형견에서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69]

참조

[1] 웹사이트 ACL Injury: Does It Require Surgery? http://orthoinfo.aao[...]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AAOS) 2009-09
[2] 웹사이트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ies http://orthoinfo.aao[...]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 AAOS 2017-06-30
[3] 논문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in female athletes: Part 2, a meta-analysis of neuromuscular interventions aimed at injury prevention 2006-03
[4] 논문 Specific exercise effects of preventive neuromuscular training intervention 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risk reduction in young females: meta-analysis and subgroup analysis 2015-03
[5] 논문 A meta-analysis of the incidence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s as a function of gender, sport, and a knee injury-reduction regimen 2007-12
[6] 논문 'What's my risk of sustaining an ACL injury while playing sports?'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2019-08
[7] 뉴스 'Everyone says they hear a pop or a crack': why are so many female footballers suffering career-ending knee injuries? https://www.theguard[...] 2024-09-14
[8] 논문 Surgical versus conservative interventions for treat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2016-04
[9] 웹사이트 ACL injury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Mayo Clinic 2022-12-01
[10] 논문 Exercises That Facilitate Optimal Hamstring and Quadriceps Co-Activation to Help Decrease Acl Injury Risk in Healthy Femal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2017-02
[11] 논문 Play at Your Own Risk: Sport, the Injury Epidemic, and ACL Injury Prevention in Female Athletes https://journals.ku.[...] 2009-06-01
[12] 논문 Quantitation of estrogen receptors and relaxin binding in hum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fibroblasts 2006
[13] 논문 Epidemiology of collegiate injuries for 15 sports: summary and recommendations for injury prevention initiatives 2007-04/06
[14] 논문 Gender differences in muscular protection of the knee in torsion in size-matched athletes 2003-05
[15] 논문 Limited Evidence Suggests a Protective Association Between Oral Contraceptive Pill Use and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in Females: A Systematic Review 2017-10-10
[16] 논문 Biomechanical measures of neuromuscular control and valgus loading of the knee predict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risk in female athletes: a prospective study https://engagedschol[...] 2005-04
[17] 논문 Lower extremity kinematic asymmetry in male and female athletes performing jump-landing tasks 2012-01
[18] 논문 Biomechanically-Informed Training: The Four Pillars for Knee and ACL Injury Prevention Built Upon Behavior Change and Motivation Principles 2020-01
[19] 논문 The female ACL: Why is it more prone to injury? 2016-03
[20] 논문 Prospective correlation between serum relaxin concentration and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s among elite collegiate female athletes 2011-10
[21] 논문 Effect of estrogen on cellular metabolism of the hum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1999-09
[22] 논문 Association between lower extremity posture at contact and peak knee valgus moment during sidestepping: implications for ACL injury https://engagedschol[...] 2005-10
[23] 서적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 reconstruction and basic science Saunders/Elsevier 2008
[24] 논문 Anterior cruciate ligament biology and its relationship to injury forces 2006-10
[25] 논문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in female athletes 1999-11
[26] 뉴스 Pivot Shift Test - Orthopedic Examination of the Knee http://physicalthera[...] 2018-03-22
[27] 뉴스 Anterior Drawer Test - Orthopedic Examination of the Knee http://physicalthera[...] 2018-03-22
[28] 뉴스 Lachman Test https://www.physio-p[...] 2018-03-22
[29] 논문 Methods to diagnose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rupture: a meta-analysis of physical examinations with and without anaesthesia 2013-08
[30] 논문 A novel approach to enhance ACL injury prevention programs 2018-06-18
[31] 문서 MRI for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32] 논문 Anterior cruciate ligament assessment using arthrometry and stress imaging 2016-06
[33] 웹사이트 Partial ACL Tear https://radsource.us[...] Radsource: PACS Radiology Systems 2006-03
[34] 논문 A new knee arthrometer, the GNRB: experience in ACL complete and partial tears 2009-05
[35] 논문 Diagnostic Tools for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GNRB, Lachman Test, and Telos 2018-06
[36] 논문 Surgical treatment of fresh injuries to the major ligaments of the knee 1950-10
[37] 논문 2018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consensus statement on preven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paediatr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ies 2018-04
[38] 논문 Preventio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in children 2017-06
[39] 논문 Return to Sport After Pediatr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nd Its Effect on Subsequent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2017-06
[40] 논문 Noncontact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mechanisms and risk factors 2010-09
[41] 논문 Understanding and preventing acl injuries: current biomechanical and epidemiologic considerations - update 2010 2010-12
[42] 논문 The influence of age on the effectiveness of neuromuscular training to reduc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in female athletes: a meta-analysis 2013-01
[43] 논문 Neuromuscular training injury prevention strategies in youth spor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5-07
[44] 논문 The Effects of Injury Prevention Programs on the Biomechanics of Landing Tasks: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2018-05
[45] 논문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Prevention Framework: Incorporating the Recent Evidence https://www.tandfonl[...] 2012-07
[46] 논문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upture 2019-02
[47] 논문 Primary surgery versus primary rehabilitation for treat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a liv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2-11
[48] 논문 Influence of Age on Healing Capacity of Acute Tears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Based on Magnetic Resonance Imaging Assessment 2017
[49] 논문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Outcomes for Quadriceps Tendon Autograft Versus Bone-Patellar Tendon-Bone and Hamstring-Tendon Autografts https://pubmed.ncbi.[...] 2019-12
[50] 논문 ACL Prehabilitation Improves Postoperative Strength and Motion and Return to Sport in Athletes 2022-01-01
[51] 웹사이트 Surgery Timing http://www.orthoguid[...]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 AAOS 2018-03-23
[52] 논문 Early Operative Versus Delayed Operative Versus Nonoperative Treatment of Pediatric and Adolescent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pubmed.ncbi.[...] 2021-12
[53] 논문 Incidence and trends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in the United States 2014-10
[54] 논문 Lower Limb Asymmetry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in Adolescent Athl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20-08
[55] 논문 Don't Peak Too Early: Evidence for an ACL Injury Prevention Mechanism of the 11+ Program https://ijspt.schola[...] 2022-08-01
[56] 논문 ACL Reconstruction Rehabilitation: Clinical Data, Biologic Healing, and Criterion-Based Milestones to Inform a Return-to-Sport Guideline 2022
[57] 논문 Complications After Pediatric ACL Reconstruction: A Meta-analysis https://journals.lww[...] 2019-09
[58] 논문 Rehabilitation and Return to Sport Testing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here Are We in 2022? 2022-01-01
[59] 논문 ACL Return to Sport Guidelines and Criteria 2017-09
[60] 논문 Aspetar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n rehabilitation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2023-03
[61] 논문 Interventions for increasing return to sport rates after a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surgery: A systematic review 2022
[62] 웹사이트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http://bestpractice.[...] 2018-03-23
[63] 논문 Knee Osteoarthritis Follow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Frequency, Contributory Elements, and Recent Interventions to Modify the Route of Degeneration https://doi.org/10.2[...] 2022-01
[64] 논문 Biomechanical measures during landing and postural stability predict second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nd return to sport 2010-10
[65] 논문 Incidence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s and Reconstruction: A 21-Year Population-Based Study 2016-06
[66] 논문 Epidemiology of Recurrent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in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Sports: The Injury Surveillance Program, 2004-2014 2018-06
[67] 논문 Sport-Specific Yearly Risk and Incidence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s in High School Athl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6-10
[68] 논문 ACL Injuries in the Female Athlete 1997-05
[69] 논문 The epidemiology of cruciate ligament rupture in an insured Swedish dog population 2021-05
[70] 웹사이트 ACL Injury: Does It Require Surgery?-OrthoInfo - AAOS http://orthoinfo.aao[...] 2009-09
[71] 웹사이트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Injuries-OrthoInfo - AAOS http://orthoinfo.aao[...] 2014-03-00
[72] 뉴스 ACL Injury: Does It Require Surgery? - OrthoInfo - AAOS https://orthoinfo.aa[...] 2018-03-22
[73] 논문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in female athletes: Part 2, a meta-analysis of neuromuscular interventions aimed at injury prevention 2006-03-00
[74] 논문 Specific exercise effects of preventive neuromuscular training intervention 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risk reduction in young females: meta-analysis and subgroup analysis 2015-03-00
[75] 논문 A meta-analysis of the incidence of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s as a function of gender, sport, and a knee injury-reduction regimen 2007-12-00
[76] 논문 'What''s my risk of sustaining an ACL injury while playing sports?'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2019-08-00
[77] 논문 Surgical versus conservative interventions for treating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2016-0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