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여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여옥은 언론인 출신으로, KBS 기자, 도쿄 특파원, 방송 진행자, 저술가로 활동했다. 1993년 출간한 《일본은 없다》가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이후 정치에 입문하여 2004년 한나라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8대 국회의원을 역임했으나, 19대 총선에서 낙선했다. 언론인 시절 저서 표절 논란, 국회의원 시절 갑질 논란 등 여러 비판과 논란에 휩싸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동문 - 박선숙
박선숙은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김대중 정부에서 청와대 대변인, 참여정부에서 환경부 차관을 역임했으며, 국회의원, 통합민주당, 국민의당, 바른미래당에서 활동했다. -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동문 - 윤영찬
윤영찬은 언론인 출신 정치인으로, 동아일보 기자, NHN 이사, 네이버 부사장을 거쳐 문재인 정부 국민소통수석을 역임하고 2020년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카카오 뉴스 편집 외압 논란이 있었다. - 국민생각 - 박세일
박세일은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위원, 서울대학교 교수, 브루킹스 연구소 초빙연구원을 거쳐 김영삼 정부에서 대통령비서실 수석비서관, 15대, 17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국민생각을 창당했으며,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과 통일준비위원회 민간위원으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학자이자 정치인이다. - 국민생각 - 이원복 (정치인)
이원복은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창덕여자중학교 동문 - 양미경
양미경은 1983년 KBS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여 드라마, 영화, 방송, 라디오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인덕대학교 겸임교수로 재직 중인 대한민국의 배우, 방송인, 대학교수이다. - 창덕여자중학교 동문 - 양희경
대한민국의 배우 양희경은 1981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드라마, 영화, 연극, 뮤지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배우이자 가수 양희은의 동생이며 배우 한승현의 어머니이다.
전여옥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전여옥 |
한자 표기 | 田麗玉 |
로마자 표기 | Jeon Yeook |
출생일 | 1959년 4월 9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작가, 언론인, 방송인, 정치인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학력 | |
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 학사) |
대학원 | 서강대학교 (정치학 석사) |
정치 경력 | |
정당 | 국민의생각 (2012– ) 새누리당 (2012년까지) |
소속 위원회 | 외교통상통일위원회 간사 |
당직 | 한나라당 대변인 한나라당 최고위원 한나라당 국제위원장 한나라당 전략기획본부장 국민생각 대변인 |
국회의원 | 제17·18대 국회의원 |
선거구 | 비례대표 (17대) 서울 영등포구 갑 (18대) |
기타 경력 | |
언론 | 한국방송공사 (KBS) 기자 |
기타 | 제2대 한국여자야구연맹 회장 한국여자야구연맹 고문 서강대학교 겸임교수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이상만 |
종교 | |
종교 | 천주교 (세례명: 클라라) |
2. 언론인 경력
1982년 2월, 이화여자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했다. 1981년 11월부터 1994년까지 한국방송공사(KBS) 보도본부 기자로 근무했으며, 1991년 1월부터 1993년 8월까지 도쿄 특파원으로 활동했다. 특파원 시절 경험을 바탕으로 쓴 일본은 없다는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이후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국제관계학과를 졸업하고, 이화여자대학교 정치학과 대학원 박사 과정에 입학했으나 현재 휴학 중이다.[1]
2. 1. 방송 기자 시절
1981년 11월부터 1994년까지 한국방송공사(KBS) 보도본부 기자로 재직했다.[1] 1991년 1월부터 1993년 8월까지 KBS 도쿄 특파원으로 활동했다.[1] 특파원 시절 경험을 바탕으로 쓴 일본은 없다는 책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1]KBS 재직 시절, 다음과 같은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기간 | 방송사 | 프로그램 |
---|---|---|
1985년~1986년 | KBS 1TV | 뉴스파노라마 |
1989년 3월 6일~1990년 4월 7일 | KBS 1TV | 뉴스센터 700 |
1990년 4월 9일~1991년 5월 18일 | KBS 1TV | KBS 아침뉴스 |
1997년 6월 30일~1998년 12월 31일 | SBS AM 라디오 | 792 뉴스대행진 5, 6부 |
2. 2. 저술 활동
1981년 11월부터 1994년까지 한국방송공사(KBS) 보도본부 기자로 근무했으며, 1991년 1월부터 1993년 8월까지 도쿄 특파원으로 활동했다.[1] 특파원 시절 경험을 바탕으로 쓴 신랄한 일본 여성론 《일본은 없다》(1993년 출판)가 베스트셀러가 되어, 일본에서도 《슬픈 일본인》(김학문 역, 1994년 출판)이라는 제목으로 다마출판(たま出版)을 통해 번역 출판되었다.[1] 이후 《일본은 없다 2》, 《여성이여, 테러리스트가 되어라》, 《삿포로에서 맥주를 마시다》 등을 집필하며, 독설 평론가로 알려졌다.[1]'''주요 저서 목록'''
출판 연도 | 제목 | 비고 |
---|---|---|
1993년 | 일본은 없다 | 지식공작소 출판 |
1995년 | 여성이여 테러리스트가 되라 | 푸른숲 출판 |
1995년 | 일본은 없다 2 | |
1997년 | 여성이여, 느껴라 탐험하라 | 푸른숲 출판 |
1999년 | 간절히@두려움 없이 | 푸른숲 출판 |
2003년 | 삿포로에서 맥주를 마시다 | 해냄 출판 |
2016년 | 오만과 무능 - 굿바이, 朴의 나라 | |
2017년 | 사랑을, 놓다 | |
2020년 | 산다는 것은 1%의 기적 | |
대한민국은 있다 | ||
폭풍전야 | 1, 2권 |
2004년 3월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같은 해 4월 총선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되었고, 당 홍보 책임자를 맡았다. 열린우리당을 강하게 비판했다.[5]
3. 정치 경력
이명박 대통령 취임 후 2008년 4월 총선에서 서울 영등포구 갑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재선되었다. 제18대 국회에서 국토해양위원회 위원, 출산고령화대책특별위원회 간사, 한나라당 전략기획본부장 등을 역임하였다.[5] 2012년 총선을 앞두고 새누리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탈당하고 국민생각에 입당하여 비례대표 1번으로 출마했으나, 0.7%의 지지율로 낙선하였다.[5][6]
박근혜가 한나라당 대표였던 시절 대변인을 맡았으나, 대통령 후보 선거 과정에서 이명박 쪽으로 전향하였다.[7][8]
3. 1. 정계 입문 및 초기 활동
2004년 3월 한나라당에 입당하며 정계에 입문했다. 같은 해 4월 제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었으며, 당 홍보 책임자를 맡았다. 당시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을 강하게 비판하였다. 슬하에 세 자녀를 두고 있다.[5]
박근혜가 한나라당 대표였던 시절 대변인을 맡아 '박근혜의 입'으로 불리기도 했다. 그러나 대통령 후보 선거 과정에서 이명박 쪽으로 전향하였다.[7][8]
3. 2. 이명박 지지 선언 및 박근혜와의 결별
2007년 한나라당 대통령 후보 경선 과정에서 이명박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박근혜와 결별했다.[32] 2005년 당시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 시절 대변인으로 활약하며 '박근혜의 입'이라 불렸던 전여옥은, 2007년 4월 "박근혜 대표 주변사람들은 무슨 종교집단같다"고 발언하며 박근혜와의 관계 변화를 예고했다.[32]
2007년 7월 12일 여의도 당사와 이명박 캠프 사무실에서 잇따라 기자회견을 갖고 "이명박 전 시장을 돕는 길만이 정권교체의 지름길이라 확신한다"며 이명박 후보 지지를 공개 선언했다. 그는 "박 전 대표와 함께 간다면 편할 수도 있었겠지만 5년 뒤 과연 국민이 어떤 평가를 내릴까를 생각했다"는 말로 박 전 대표와의 결별 이유를 설명했다.[32] 박사모에서는 전여옥 의원을 "표절과 배신의 여인"으로 규정하고 낙선운동을 펼치기도 했다.[34] 언론에서는 만평을 통해 전여옥 의원의 '변절'을 풍자했다.[35]
2012년 1월 출간된 자신의 자서전에서 전여옥은 "대통령이 될 수도 없고 또 되어서도 안되는 후보라고 생각한다”며 박근혜를 힐난했다.[32]
3. 3. 국회의원 활동 (17대, 18대)
2008년 4월 제18대 총선에서 서울 영등포구 갑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다. 제18대 국회에서 국토해양위원회 위원, 출산고령화대책특별위원회 간사, 한나라당 전략기획본부장 등을 역임하였다.[5]
3. 4. 탈당 및 낙선
2012년 3월, 제19대 총선을 앞두고 새누리당(한나라당이 당명을 개칭하여 발족)의 공천에서 탈락하자 탈당하고, 보수계 중도 신당인 국민생각에 입당하였다.[5] 제19대 총선에서 국민생각 비례대표 1번으로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 사이에서 주목받지 못한 결과 0.7%의 지지율에 그치며 낙선하였다.[6]
4. 비판과 논란
전여옥은 국회의원 및 작가 활동을 하면서 여러 비판과 논란에 휩싸였다. 주요 논란으로는 기자와 국회 청소부에게 '갑질'을 했다는 의혹, 저서 《일본은 없다》 표절 논란, 노숙자 관련 발언, 학력 위조 의혹, 자사고 '사배자' 전형 자녀 입학 논란, 최순실 게이트 관련 발언 등이 있다.[1][23][24][17][26][27][28][29][36][7][8][9]
4. 1. '갑질' 사건
제17대 국회의원 시절, 기자와 국회 청소부에게 '갑질'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한 기자에게 "거지같은게 어디서 감히 내 길을 막아."라며 뺨을 때리고 카메라를 부쉈다는 주장이 나왔다.[1] 국회 청소부에게는 인사를 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천한 국민 나부랭이 것이."라며 뜨거운 커피를 던졌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1]4. 2. 《일본은 없다》 표절 논란
2007년 전여옥은 자신의 저서 《일본은 없다》의 표절 의혹을 제기한 오마이뉴스 기사[23]와 관련하여, 제이피뉴스 발행인 유재순과 기사를 작성한 오마이뉴스의 박철현 기자, 편집장 정운현, 오마이뉴스 대표 오연호, 그리고 인터넷 정치평론 사이트인 서프라이즈의 논객 김동렬 등 5명을 상대로 5억 원의 손해배상 명예훼손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했다.[24]재판부는 전여옥이 타인의 아이디어를 무단으로 인용했음을 인정하며 다음과 같이 판시했다.[24]
> 전씨는 친하게 지내던 유재순씨 일본에 대한 책을 출간하려고 초고를 작성하고 있음을 알면서도 유씨로부터 들은 내용을 무단으로 사용하거나 인용해 《일본은 없다》의 일부분을 작성했다고 보인다. … 이 같은 결론이 유씨와 가까운 증인들의 진술에 근거하기는 하지만 책이 출간된 지 10년이 넘어 유씨의 취재 자료나 초고가 남아 있지 않은 상황에서 유씨 측 증거가 전씨 측 것보다 더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 … 오마이뉴스의 기사 및 칼럼은 전체적으로 진실한 사실로 볼 수 있고 공익성이 인정되므로 전씨의 손해배상 주장도 받아들이지 않는다.
전여옥은 1심에 불복하여 항소했으나, 2010년 1월 13일 다시 패소했다. 서울고등법원 민사13부는 전여옥이 오연호 '오마이뉴스' 대표와 르포작가 유재순을 상대로 낸 5억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에 대해 1심과 같이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25]
재판부는 판결문을 통해 다음과 같이 밝혔다.[25]
> 전씨는 유씨가 일본 사회에 관한 책을 출간할 예정이라는 사정을 알면서도 그로부터 들은 내용을 소재로 사용, 책의 일부를 썼다고 볼 수 있다
대법원에서도 패소함으로써 전여옥이 표절하여 출판한 책임을 인정했다. 2007년 7월 법원은 "보도 내용은 사실이다"라는 판결을 내려 전여옥은 패소했다. 2010년 1월 15일, 항소심에서도 전여옥은 패소했다. 2012년 5월 18일, 대법원 3부는 원고 패소 판결을 내린 원심을 확정했다.[12]
4. 3. 노숙자 관련 발언 논란
2008년 3월 27일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유세 도중 노숙자를 정리하겠다는 발언으로 파문이 일었다.[17][26][27] 종교단체와 인권단체들은 노숙자에게도 인권이 있다며 해당 발언을 비판했다.[17][26][27] 박사모 대표 정광용 등은 전여옥을 퇴출시켜야 한다고 비판했고, 네티즌들의 비난도 이어졌다.[27]4. 4. 학력 위조 의혹
2008년 4월, 당시 민주당 후보였던 김영주는 전여옥의 학력 위조 의혹을 제기했다.[28][29] 김영주는 전여옥이 공식 유세 기간 동안 사용한 공보물에 허위 학력을 기재했다고 주장하며 검찰에 고발하고, 18대 총선 영등포갑 지역 선거 무효와 부당성을 입증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30]김영주 등이 주장한 위법 사항은 학력에 대한 허위사실 유포 등이었다.[30][31] 김영주는 "이화여자대학교 정치학과 박사과정은 5학기 이상을 등록하고 논문 자격시험을 통과해야만 최소 수료가 되는 과정"이라며, "전 의원은 예비후보자 홍보물과 후보자 공보물을 비롯해 홈페이지에 자신의 학력 사항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박사과정 4학기 마침'으로 표기했다"며 "이는 선거관리위원회의 유권해석 및 법원 판례에 따르면 명백한 선거법 위반"이라고 주장했다.[30][31]
또한 김영주는 전여옥이 인터넷 홈페이지와 예비후보자 홍보물, 후보자 공보물, 명함 등에 '이명박 대통령 당선인 일본 특사'라고 표기한 것 역시 허위사실이라고 주장했다. 김영주는 외교통상부가 국회에 제출한 '대통령 당선인 특사 관련 자료' 문서에는 전여옥이 이상득 일본 특사의 수행원으로 기재되어 있다며, 이는 허위사실 공표로 공직선거법 제250조 위반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31]
하지만 법원은 이러한 주장에 대해 공직선거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
4. 5. 자사고 '사배자' 전형 자녀 입학 논란
전여옥의 아들은 장훈고 지원 자격에 미달되는 성적이었지만, 다자녀 가정 자녀라는 점을 이용해 2010년 사회적 배려 대상자(사배자) 전형에 지원하여 합격했다. 전여옥은 선거에서 이 고등학교를 자사고로 전환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어 당선되었고, 자사고로 전환된 첫해에는 입학식에 귀빈으로 참석하기도 했다. 아들은 2012년 학교에 적응하지 못해 자퇴했다.[36]4. 6. 최순실 게이트 관련 발언
박근혜가 한나라당 대표였던 시절, 전여옥은 박근혜를 보좌하며 보도 담당관을 역임했다.[7][8] 전여옥은 보좌관 시절부터 박근혜와 최태민, 최순실의 관계를 알고 있었으며, 이 때문에 박근혜가 대통령직을 수행할 자질이 없다고 말했다.[7][9] 또한 대통령이 된다면 큰일이 날 것이라고 생각했다.[7][9] 하지만 박근혜의 사생활을 고려하여 오랫동안 언론에 이 사실을 밝히지 않다가, 최순실 게이트 사건이 발생한 이후에야 비로소 박근혜의 과거에 대해 이야기했다.[7][9]5. 학력
6. 저서
- 일본은 없다 (1993)[1]
- 《여성이여 테러리스트가 되라》 (1995)[2]
- 《여성이여 느껴라 탐험하라》 (1997)[3]
- 《간절히 @ 두려움없이》 (1999)[4]
- 《대한민국은 있다》
- 《폭풍전야》 (1, 2권)
- 《삿포로에서 맥주를 마시다》 (2003)[5]
- 《오만과 무능 - 굿바이, 朴의 나라》 (2016)
- 《사랑을, 놓다》 (2017)
- 《산다는 것은 1%의 기적》 (2020)
7. 역대 선거 기록
연도 | 선거명 | 대수 | 직책 | 지역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2004년 | 총선 | 17대 | 국회의원 | 한나라당 | 7,613,660표 (35.76%) | 비례대표 7번 | 당선 | 초선[37] | |
2008년 | 총선 | 18대 | 국회의원 | 서울 영등포구 갑 | 한나라당 | 35,151표 (43.75%) | 1위 | 당선 | 재선[38] |
2012년 | 총선 | 19대 | 국회의원 | 비례대표 | 국민생각 | 156,241표 (1.7%) | 비례대표 1번 | 낙선 | 낙선 |
참조
[1]
뉴스
절반가량 진행된 새누리 공천..계파별 명암은
http://www.yonhapnew[...]
2012-03-07
[2]
뉴스
'공천탈락' 전여옥 "이게 박근혜의 그릇"
http://www.mediatoda[...]
2012-03-05
[3]
뉴스
다음 대통령, 대학 나온 사람이 돼야
http://news.hankooki[...]
2005-06-03
[4]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2023-08-15
[5]
뉴스
전여옥 "공천 보수학살"..국민생각 입당(田麗玉“公薦 保守虐殺”。。国民の考え入党)
http://www.yonhapnew[...]
2012-03-09
[6]
뉴스
이철우 83.5%로 최고득표율… 이낙연 가장 먼저 당선 확정(李喆雨83.5%で最高得票率・・・李洛淵まず最初に当選確定)
http://news.donga.co[...]
2012-04-12
[7]
웹사이트
전여옥 “박근혜 최태민 관계, 치맛자락 들춰보고 싶지 않았다”
https://www.seoul.co[...]
2016-12-08
[8]
웹사이트
[オピニオン]4年間の沈黙を破った田麗玉氏
https://www.donga.co[...]
2016-10-31
[9]
웹사이트
[Why] 스위스 계좌설에 태연했던 朴대표… 10분 뒤 펄펄 뛰며 "野 고소하겠다"
https://www.chosun.c[...]
2016-10-29
[10]
웹사이트
이준석 "양두구육" 응수에…전여옥 "왕소름" 11년전 일화 떠올렸다
https://www.joongang[...]
2022-07-28
[11]
웹사이트
전여옥 '대장암 4기' 투병 고백…"암 걸렸다니 좌파들 좋아해"
https://www.joongang[...]
2023-05-29
[12]
뉴스
田麗玉議員、「日本はない」盗作損害賠償訴訟で敗訴=韓国
https://japanese.joi[...]
2012-05-19
[13]
뉴스
'표절시비' 전여옥, 언론 상대 손배訴 대법서 패소
https://news.v.daum.[...]
뉴시스
2012-05-18
[14]
뉴스
전여옥, 표절 책으로 얼마나 벌었나 했더니…
https://news.v.daum.[...]
한국일보
2012-05-18
[15]
뉴스
전여옥 “표절 아니라 아이디어 인용일 뿐”
http://media.daum.ne[...]
미디어오늘
2012-05-18
[16]
뉴스인용
전여옥 DJ 발언에 우리 민주당 발끈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06-02-24
[17]
뉴스
노컷뉴스
http://www.cbs.co.kr[...]
[18]
뉴스
박사모 "전여옥 퇴출 위해 민주당 지지" - 머니투데이:투자뉴스
http://www.mt.co.kr/[...]
[19]
뉴스
55개 국회의원연구단체 명단 - 오마이뉴스
http://www.ohmynews.[...]
[20]
뉴스
쿠키뉴스 갓 구워낸 바삭바삭한 뉴스
http://www.kukinews.[...]
[21]
뉴스인용
"한나라당 전여옥 의원 의원직 유지"
https://news.naver.c[...]
법률신문
2008-11-14
[22]
뉴스인용
전여옥,'광우병 논란,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
http://www.freezonen[...]
프리존뉴스
2008-05-08
[23]
뉴스
"감옥갈 각오로 '표절' 진상 밝혀낼 것" [일본 현지인터뷰] 유재순씨가 밝힌 <일본은 없다> 표절의혹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4-06-17
[24]
뉴스인용
`전여옥 `일본은 없다` 일부 무단 인용`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07-07-12
[25]
뉴스인용
`전여옥, '표절 재판' 항소심에서도 패소`
http://www.viewsnnew[...]
뷰스앤뉴스
2010-01-13
[26]
뉴스
프런티어타임스
http://www.frontiert[...]
[27]
뉴스
시사1번지 폴리뉴스
http://polinews.co.k[...]
[28]
뉴스
김영주,'전여옥 의원의 학력,경력사항은 허위사실입니다' :: 네이버 뉴스
https://news.naver.c[...]
[29]
뉴스
4·9 끝났지만… 고소·고발 이제부터 시작 (국민일보) (쿠키뉴스) 2008년 04.11일자
http://www.kukinews.[...]
[30]
뉴스
전여옥, 허위학력 기재 논란 증폭
http://www.dailyseop[...]
데일리서프
2008-04-11
[31]
뉴스
김영주 "전여옥 당선 무효다"
http://www.viewsnnew[...]
뷰스앤뉴스
2008-04-11
[32]
뉴스
전여옥 “박근혜, 대통령 될 수도 되어서도 안된다”
http://www.hani.co.k[...]
한겨레 신문
2012-12-05
[33]
뉴스
전여옥 결국 “이명박 지지”… 박근혜와 공식 결별
http://news.kukinews[...]
[34]
뉴스
박사모, '전여옥 낙선운동' 본격 돌입
http://www.viewsnnew[...]
뷰스앤뉴스
2008-04-05
[35]
뉴스
'전여옥 변심' 풍자한 만평 봇물
http://www.mediatoda[...]
미디어 오늘
2007-07-13
[36]
뉴스
전여옥 전 의원 아들도 '사배자' 전형 입학논란
http://www.asiae.co.[...]
아시아 경제
2013-03-08
[37]
뉴스인용
4.15총선-각 당별 비례대표 당선자 명단
https://n.news.naver[...]
2004-04-16
[38]
뉴스인용
<당선자 인터뷰> 전여옥(서울 영등포갑)
https://n.news.naver[...]
2008-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