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역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역(戰役)은 군사 작전이 수행되는 기간을 의미하며, 특정 지역에서 단일 군 또는 합동 부대가 전투 작전을 수행하는 단위를 말한다. 전역은 전쟁의 전략적 목표 달성을 위해 계획, 실행, 통제, 결론의 4단계로 진행되며, 군대의 이동, 전투, 휴지 기간 등을 포함한다. 전근대에는 겨울에 군사 활동을 중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근현대에는 기술 발달로 계절과 관계없이 작전 수행이 가능해졌다. 전역의 성공은 계획된 목표 달성 여부로 평가되며, 작전과 전략, 작전명과 전역명 간의 관계를 통해 다른 용어와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전역 (전쟁)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군사적 충돌 |
일부 | 전쟁 |
관련 정보 | |
관련 | 전투 전쟁 군사 전략 |
추가 정보 | |
설명 | 작전은 종종 더 큰 전쟁의 일부이다. |
2. 정의
군사 작전은 특정 지역(작전 구역)에서 특정 군대가 전투 작전을 수행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군사 작전은 단일 군 또는 육군, 해군, 공군, 사이버 및 우주군이 수행하는 합동 작전으로 수행될 수 있다.[1]
군사 작전의 목적은 군사 분쟁에서 원하는 전략적 목표(전략적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다. 이는 자원, 지리, 계절 등에 의해 제한된다. 작전은 교전국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술을 기준으로 측정되며, 산업화 이전 유럽에서는 파종(늦봄)과 수확기(늦가을) 사이의 기간으로 이해되었지만, 산업화 이후에는 몇 주까지 단축되었다. 그러나 작전 목표의 특성상, 일반적으로 작전은 트레버 N. 듀피가 정의한 대로 여러 달 또는 최대 1년까지 지속된다.[1]
"작전은 시간과 공간에서 관련된 일련의 작전을 포함하며 전쟁의 단일하고 구체적인 전략적 목표 또는 결과를 목표로 하는 전쟁의 한 단계이다. 작전에는 단일 전투가 포함될 수 있지만, 더 자주 오랜 기간 또는 상당한 거리에 걸쳐 여러 전투가 포함되지만 단일 작전 극장 또는 제한된 지역 내에서 이루어진다. 작전은 불과 몇 주 동안 지속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몇 달 또는 심지어 1년 동안 지속된다."[1]
3. 수행
군사 작전은 일반적으로 계획, 실행, 통제, 결론의 네 단계로 진행된다.
- '''계획''' – 전역의 목표, 시간, 범위 및 비용을 정의하는 참모
- '''실행''' – 병참 및 전투 작전에서 병력과 자원의 조정
- '''통제''' – 기본 계획과 비교하여 전역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
- '''결론''' – 지휘 명령에 의한 전역 결과의 승인 또는 거부
3. 1. 계획
전역의 목표, 시간, 범위 및 비용을 정의하는 참모 단계이다.[1]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 한미 연합 작전 계획 수립 시 북한의 도발 유형별 대응 방안, 전쟁 억제 및 확전 방지 대책 등을 면밀히 검토한다.3. 2. 실행
병력과 자원을 동원하여 실제 작전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여기에는 병참 및 전투 작전의 조정이 포함된다.3. 3. 통제
기준 계획과 비교하여 전역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에 따라 계획을 수정하는 단계이다.[1]3. 4. 결론
지휘 명령 구조에 의해 작전 결과를 승인하거나 거부하는 단계이다.[1]4. 역사적 배경
전근대 시대에는 겨울에 군사 작전이 중단되는 경우가 많았고, 병사들은 겨울 주둔지에서 추위를 피했다. 그러나 날씨가 좋거나 장비와 보급품이 충분하면 겨울에도 작전을 펼쳐 적의 허를 찌르기도 했다. 하지만 준비가 부족한 겨울 작전은 병사들의 높은 사망률을 초래하는 등 큰 피해로 이어지기도 했다.[4] 따라서 군 지휘관들은 겨울이 오기 전에 병사들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시키거나 새로운 겨울 주둔지를 설치하여 병사들을 보호해야 했다.
4. 1. 전근대
전근대 시대에는 군사 작전이 보통 겨울에 중단되었는데, 병사들은 가장 추운 달을 따뜻하고 안전하게 보내기 위해 겨울 주둔지로 퇴각했다. 예를 들어, 고대 로마군은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카스트라 에스티바''('여름 주둔지', 가죽 텐트 포함)와 더 고정적인 ''카스트라 히베르나''('겨울 주둔지', 나무 막사 포함)를 가지고 있었다.[2] 그러나 유리한 날씨와 적절한 장비 및 보급품을 갖춘 경우, 적의 허를 찌르기 위해 군사 작전은 '작전 시즌'에서 겨울까지 연장될 수 있었다.4. 2. 근현대
근대에는 군사 기술의 발달로 겨울철에도 작전 수행이 가능해졌다. 플랑드르 전역에서 프랑스 장군 장-샤를 피슈그뤼는 1794~95년 겨울 동안 얼어붙은 대강을 건너 네덜란드 공화국을 정복했다.[3] 그러나 준비되지 않은 겨울 작전은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데, 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1812년 6월 24일 – 12월 14일)이 대표적인 예시이다.[4] 특히, 군사 행동의 동계 중단이 없어지고 전투 범위가 넓어진 근현대에는 1년 단위로 작전을 분할할 필요성이 줄어들었다.5. 평가
군사 작전의 성공은 전투 및 비전투 작전을 통해 계획된 목표와 목적을 달성했는지 여부로 평가된다. 이는 주어진 자원, 시간, 비용 제약 내에서 상대 군대를 격파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군대가 작전을 종료하는 방식은 해당 작전의 성공에 대한 대중의 인식에 종종 영향을 미친다. 작전은 정복으로 끝날 수 있으며, 군사 권한이 민간 권한으로 전환되고 병력이 재배치되거나 점령 지역에 군사 권한이 영구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군사 작전은 정의된 전쟁 안팎에서 범위, 시간 및 비용에 대한 원래 계획이나 수정된 계획 매개변수를 초과할 수 있다. 이러한 중단된 작전은 이전에는 "교착 상태"라고 불렸지만, 20세기 후반에는 ''수렁''이라는 은유가 자주 적용되었고, 21세기에는 "동결된 분쟁"이라고 불렸다. 이러한 상황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 승리에 대한 희망이 거의 없음
- 불분명하게 정의된 목표
- 명확한 출구 전략 없음
6. 다른 용어와의 관계
작전은 전역 혹은 그 일부 계획이며, 전략은 전역의 기술·계획이다. 전역이 처음부터 끝까지 한쪽의 계획대로 진행되어 일단락되면 작전과 전역은 일치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작전명이 전역을 가리키는 이름으로 통용되기도 한다. 작전대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작전을 넘어 전역이 계속되게 된다. 청일 전쟁을 "메이지 27, 28년 전역"이라고 하는 것처럼, 과거 일본어의 "역(役)"·"전역(戦役)"은 군사 동원을 가리키며[5], 본 항목에서 말하는 전역과는 다르다.
참조
[1]
서적
Dupuy
[2]
간행물
Encarta Encyclopaedia Winkler Prins
1993-2002
[3]
서적
'Wat nu?', zei Pichegru: de Franse Tijd in Nederland, 1795-1813
https://books.google[...]
Uitgeverij Verloren
2021-05-06
[4]
간행물
Encarta Encyclopaedia Winkler Prins
1993-2002
[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