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국제영화제는 2000년부터 매년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개최되는 영화제이다. 독립, 예술 영화를 중심으로 상영하며, 전주 디지털 프로젝트(2000-2013)와 전주 시네마 프로젝트(2014~)를 통해 한국 영화의 다양성을 증진하고 있다. 국제 경쟁, 한국 경쟁, 한국 단편 경쟁 등 다양한 경쟁 부문을 운영하며, 우석상, JJ-Star상 등을 시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00년 시작된 영화제 - 서울국제영화제 서울국제영화제는 2000년 세네프(SeNef)로 시작하여 명칭을 변경하며 2008년까지 개최되다 중단, 2019년에 재개최되었으나 초기 영화제와의 연속성은 추가 정보가 필요하다.
2000년 시작된 영화제 - 도쿄 필멕스 도쿄 필멕스는 아시아 영화를 중심으로 독창적인 작품을 선정하여 상영하고 시상하는 작가주의 국제 영화제로, 유라쿠초 아사히 홀을 비롯한 여러 장소에서 영화 상영과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영화인들의 교류를 지원한다.
전북특별자치도의 축제 - 무주반딧불축제 무주반딧불축제는 1997년부터 시작되어 반딧불이를 주제로 자연의 소중함을 알리고 다양한 행사와 무주반딧불이동요제를 통해 자연과 교감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환경 축제이다.
전북특별자치도의 축제 - 전주세계소리축제 전주세계소리축제는 2001년 시작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음악 축제로, 매년 가을 전라북도 일대에서 국악을 중심으로 세계 각국의 음악 공연과 부대 행사를 통해 다채로운 볼거리와 체험 기회를 제공하며 국내외 관람객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전주시 -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국토정보공사는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에 따라 설립되어 공간 정보, 지적 제도 관련 연구 및 기술 개발 등을 수행하며, 지적 측량 및 지적 재조사 사업을 주요 업무로 한다.
전주시 - 전북교통방송 전북교통방송은 2002년 전주교통방송으로 개국하여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FM 102.5MHz와 FM 106.1㎒로 방송을 송출하고,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출발! 전북대행진 등이 있다.
2000년 제1회 전주국제영화제를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다. 초기에는 주로 독립, 실험 영화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대안 영화제'로서의 성격을 강조했다. 제1회 영화제에서는 21개국 184편의 영화가 상영되었으며, 개막작은 홍상수 감독의 《오! 수정》, 폐막작은 스와 노부히로 감독의 《M/OTHER》였다.
이후 전주국제영화제는 꾸준히 성장하여 상영작 수와 초청 국가 수가 증가했다. 2010년대에는 다양한 장르와 주제의 영화를 소개하며 국제적인 영화제로 자리매김했다.
2020년 제21회 영화제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5월 28일부터 9월 20일까지 개최 방식에 변동이 있었다.
3. 주요 프로그램
전주국제영화제는 경쟁 부문을 통해 신인 감독들의 작품을 발굴하고 소개한다.
'''국제 경쟁''': 전 세계 신인 감독들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장편 영화를 대상으로 한다.
'''한국 경쟁''': 한국 신인 감독들의 첫 번째 장편 영화를 대상으로 한다.
'''한국 단편 경쟁''': 한국 신인 감독들의 단편 영화를 대상으로 한다.
3. 1. 전주 디지털 프로젝트 (Jeonju Digital Project)
'''디지털 삼인삼색'''은 전주국제영화제 기간 중 프리미어 상영과 배급을 목적으로 하는 단편 디지털 영화 제작을 위한 프로젝트이다. 2000년 제1회 전주국제영화제부터 시작된 대표적인 프로그램 섹션으로, 전주국제영화제가 선정한 3명의 감독에게 5000만원의 제작비를 지원하여 각각 약 30분 분량의 디지털 영화를 제작하도록 한다.[29]2006년 7회 영화제까지는 아시아 감독을 선정하여 제작하였으나 2007년 8회에는 유럽, 2008년 9회에는 아프리카 감독을 선정하여 그 폭을 넓혔다.
어느 아침의 기억 - 호세 루이스 게린 Recuerdos de una mañana|레쿠에르도스 데 우나 마냐나es
후예 - 장마리 스트라우브 Un héritier|욍 에리티에프랑스어
|- style="text-align:center"
| rowspan="2" | 13 || 디지털 삼인삼색 2012
|- style="text-align:left"
|
그레이트 시네마 파티 - 라야 마틴 The Great Cinema Party|영어
마지막 순간의 빛 - 비묵티 자야순다라 Light in the Yellow Breathing Space|영어
아직 할 말이 남았지만 - 잉 량 我还有话要说|워 하이 여우 화 야오 숴중국어
|}
2014년, 전주 디지털 프로젝트는 장편 영화 3편을 제작하기 위해 총 예산을 1.8억원으로 증액했다. 2015년에는 전주 시네마 프로젝트(JCP)로 명칭을 변경하고 예산을 3억원으로 추가 증액했다.[29]
3. 2. 전주 시네마 프로젝트 (Jeonju Cinema Project)
2000년부터 2013년까지 전주국제영화제(JIFF)의 전주 디지털 프로젝트(JDP)는 매년 세 명의 감독에게 단편 영화 제작 지원금으로 각각 5000만원을 지원했다. 2014년, JDP는 장편 영화 3편을 제작하기 위해 총 예산을 1.8억원으로 증액했다. 2015년, JDP는 전주 시네마 프로젝트(JCP)로 명칭을 변경하고 예산을 3억원으로 추가 증액했다.[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