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투준비태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투준비태세(DEFCON)는 군사적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국방부가 사용하는 경계 상태를 의미한다. 평시에는 5단계, 경계태세 시에는 4단계, 전시에는 1단계로 구분되며, 각 단계별로 군사적 조치가 강화된다. 데프콘 1은 핵전쟁 임박 또는 시작을 의미하며, 데프콘 2는 핵전쟁의 다음 단계를, 데프콘 3은 정상적인 준비 상태보다 병력 준비 상태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대한민국은 한국전쟁 이후 데프콘 4를 유지해왔으며,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과 9.11 테러 당시 데프콘 3으로 격상된 바 있다.
전투준비태세(DEFCON)는 5단계로 구성되며, 숫자가 낮을수록 심각한 상황을 의미한다. 각 단계는 특정 보안, 발동 및 대응 시나리오를 정의한다.[1]
NORAD가 창설된 후, 사령부는 8개의 세부 조건으로 나뉘는 다양한 준비 태세 수준(정상, 증가, 최대)을 사용했다. 예를 들어, "최대 준비 태세" 수준에는 "항공 방어 준비 태세"와 "항공 방어 비상 사태"의 두 가지 조건이 있었다. 1959년 10월, 합참 의장은 NORAD에 "캐나다와 미국이 국제적 긴장 상태에서 NORAD 병력의 작전 준비 태세를 강화하는 데 합의했다"고 통보했다. 1959년 10월 2일에 이 합의가 발효된 후, 합참은 1959년 11월 군사 사령부를 위해 DEFCON을 사용하는 시스템을 정의했다.[3] 초기 DEFCON 시스템에는 DEFCON 3 아래에 "알파" 및 "브라보" 조건이 있었고, DEFCON 4 아래에 찰리/델타 조건이 있었으며, DEFCON 1보다 높은 "비상" 수준에는 "방어 비상 사태"와 최고 수준인 "항공 방어 비상 사태"("Hot Box" 및 훈련을 위한 "Big Noise")의 두 가지 조건이 있었다.
2. 단계
1966년 1월 12일, NORAD는 "JCS 시스템의 준비 상태 채택"을 제안했으며, 2006년에 기밀 해제된 단계별 정보는 다음과 같다.준비 상태 훈련 용어 설명 준비 상태 DEFCON 1 COCKED PISTOL 핵전쟁이 임박했거나 이미 시작됨 최대 준비 상태. 즉각적인 대응. DEFCON 2 FAST PACE 핵전쟁의 다음 단계 6시간 이내에 병력을 배치하고 교전할 준비 완료 DEFCON 3 ROUND HOUSE 정상적인 준비 상태보다 병력 준비 상태 증가 공군은 15분 안에 동원할 준비 완료 DEFCON 4 DOUBLE TAKE 정보 감시 강화 및 보안 조치 강화 정상 준비 상태 이상 DEFCON 5 FADE OUT 최저 준비 상태 정상 준비 상태
각 단계별 명칭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DEFCON은 방호태세 (FPCONS), 경계태세 (REDCONS) 등 다른 시스템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또한, 대중 문화에서 "DEFCON 5"가 실제 분쟁 상황을 묘사하는 데 잘못 사용되기도 한다.[1]
미국 군의 각 부대와 기지는 서로 다른 방어 조건에서 발동될 수 있으며, 훈련 중에는 DEFCON 단계 대신 훈련 용어를 사용하여 혼동을 방지한다.[1][8]
2. 1. 5단계 Fade Out (장막이 거두어진다)
평화 시 미군의 최저 준비 태세를 나타낸다.[1]
2. 2. 4단계 Double Take (대비한다)
경계 태세가 유지되는 상태로, 정보 수집이 강화되고 보안 조치가 강화된다.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은 현재까지 데프콘 4 단계를 유지하고 있다.[1]
2. 3. 3단계 Round House (천막을 돈다)
한국군의 작전권이 한미연합군사령부로 넘어가고, 전후방 부대 움직임이 달라지며 전군의 휴가나 외출이 금지된다.[18] 아메리카 원주민이 전쟁에 나가기 전 천막 주변을 도는 것을 본따 만들어졌다. 미군의 무선은 기밀 콜 사인으로 변경된다. 1973년 제4차 중동 전쟁 당시 10월 25일[16], 2001년 9.11 테러 때에도 선언되었다.[17]
2. 4. 2단계 Fast Pace (천막을 도는 속도를 높임)
탄약이 지급되고 부대 편제 인원이 100% 충원된다.[19] 6시간 이내에 병력을 배치하고 교전할 준비를 완료한다. 최고도에 준하는 방위 준비 태세이다.
2. 5. 1단계 Cocked pistol (권총을 장전한다)
동원령이 선포되고 전시에 돌입하게 된다.[19] 핵전쟁이 임박했거나 이미 시작되었음을 의미하며, 최대 준비 상태로 즉각적인 대응이 이루어진다. 미국군이나 미국 영토에 대한 외국 군대의 공격이 임박하거나 진행 중일 때 발령될 수 있으며, 핵무기 사용이 허가될 수도 있다.
그러나 핵무기 사용은 대통령의 직접 명령이 필요하며, 데프콘 1이라고 해서 자동적으로 핵무기 사용이 허가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까지 미국이 데프콘 1단계를 발령한 적은 없다.
3. 발령 이력
미국은 핵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DEFCON 1을 선언한 적이 없다.[1]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한국전쟁 이후로 데프콘 4가 항상 발령되어 있다.[19] 데프콘 3은 다음 두 번 발령되었다.
1999년 6월 제1연평해전 당시 격상되지는 않았으나 3단계에 준하는 전투 준비 태세 강화 지시가 내려졌다.[19]
3. 2. 미국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 동안, 미국 육군 유럽 (USAREUR)을 제외한 미군은 DEFCON 3으로 명령을 받았다. 10월 24일, 전략공군사령부(SAC)는 DEFCON 2로 명령을 받았으며, 나머지 미군은 DEFCON 3을 유지했다. SAC는 11월 15일까지 DEFCON 2를 유지했다.[1][9][10] DEFCON 2 상태에서, SAC의 무기 시스템의 92.5%(약 1,479대의 공격기, 182기의 아틀라스, 타이탄, 미니트맨 미사일, 총 2,962개의 핵무기, 1,003대의 급유 유조기)가 한 시간 이내에 발사 준비를 마쳤으며, 공중 경계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SAC 폭격기 전력의 1/8을 포함함으로써, 평균 65대의 비행기가 언제든지 소련의 목표물을 향해 공중에 배치될 수 있도록 했다.[11]
1973년 10월 6일, 이집트와 시리아는 이스라엘에 대한 연합 공격을 개시하여 욤 키푸르 전쟁을 촉발시켰다. 미국은 소련이 개입할 수 있다는 우려를 갖게 되었고, 10월 25일, 전략 공군 사령부, 대륙 방공 사령부, 유럽 사령부 및 제6함대를 포함한 미군 병력이 DEFCON 3으로 격상되었다.[1]
2016년에 기밀 해제된 문서에 따르면, DEFCON 3으로의 전환은 소련이 핵무기를 탑재한 선박 1척과 두 척의 상륙함을 이집트로 보냈다는 CIA 보고서에 의해 촉발되었다.[12] 소련군은 상륙하지 않았으며, 기밀 해제된 문서에는 선박과 화물의 운명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이후 며칠 동안 각 부대는 정상 상태로 복귀했으며, 제6함대는 11월 17일에 경계 태세를 해제했다.[13]
1976년 8월 18일 도끼 살인 사건 발생 이후, 대한민국 주둔 미국군의 전투 준비 태세는 DEFCON 3으로 격상되었으며, 이는 폴 버니언 작전 기간 내내 유지되었다.[14]
9.11 테러 당시, 도널드 럼즈펠드 국방장관은 DEFCON 단계를 3으로 올리고, DEFCON 2로의 상향 가능성에 대비하도록 명령했다.[1] 9월 14일에는 DEFCON 4로 하향되었다.[15]
'''데프콘 5'''는 평시의 방위 준비 상태를 나타낸다. 준비 상태의 상승은 합동참모본부가 실행하며, 국방장관이 선언한다.
'''데프콘 4'''는 정보 수집의 강화와 경계 태세의 상승을 의미한다. 냉전 중 대륙간 탄도 미사일 부대의 태세는 모두 이 레벨이었다.
'''데프콘 3'''은 통상보다 고도의 방위 준비 상태를 나타낸다. 미군이 사용하는 무선은 기밀 콜 사인으로 변경된다. 제4차 중동 전쟁 당시 1973년10월 25일[16], 2001년9월 11일의 9.11 테러 때에도 선언되었다[17].
'''데프콘 2'''는 최고도에 준하는 방위 준비 상태를 나타낸다.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1962년10월 26일에 한 번 선언된 적이 있다. 전략 항공 사령부는 B-52 폭격기 일부를 공중 대기, 나머지 B-52와 B-47은 활주로 대기 상태가 되었다. 이는 전략 항공 사령부에 한해 11월 15일까지 지속되었다. 또한 오키나와현 오나촌에서는 핵탄두 미사일 메이스 B의 발사 준비가 실시되었다.
'''데프콘 1'''은 최고도의 준비를 나타낸다. 현재까지 사용된 적은 한 번도 없지만, 미국군이나 미국 영토에 대한 외국군의 절박하거나 진행 중인 공격을 위해 예약되어 있다. 핵무기의 사용이 허가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같은 데프콘이라도 다른 옵션이 있다. 예를 들어 데프콘 1에는 "옵션 브라보"라는 것이 있으며, 통상 무기의 사용이 허가된다. 또한 핵무기 사용은 대통령의 직접 명령이 필요하며, 데프콘 1에 의해 자동적으로 핵무기 사용이 허가되는 것은 아니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DEFCON?
https://www.military[...]
Military.com
2023
[2]
웹사이트
Department of Defense Dictionary of Military and Associated Terms
http://www.dtic.mil/[...]
2001-04-12
[3]
간행물
Nuclear Alerts and Crisis Management
http://muse.jhu.edu/[...]
1985
[4]
웹사이트
Emergency Action Plan (SEAP)
http://www.sas.usace[...]
United States Army Corps of Engineers Savannah District (CESAS) Plan 500-1-12
2001-08-01
[5]
웹사이트
DEFCON Levels
https://www.military[...]
2023-01-24
[6]
웹사이트
From DEFCON 5 to DEFCON 1: understanding the DEFCON levels.
https://www.aerotime[...]
2023-11-27
[7]
웹사이트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Instruction 6510.01F
http://www.jcs.mil/L[...]
[8]
웹사이트
Emergency Action Procedures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Volume I - General
http://www.dod.mil/p[...]
1981-04-24
[9]
웹사이트
DEFCON DEFense CONdition
https://fas.org/nuke[...]
[10]
웹사이트
The Cuban Missile Crisis: A Nuclear Order of Battle October/November 1962
https://www.wilsonce[...]
2012-10-24
[11]
웹사이트
Strategic Air Command Operations in the Cuban Crisis of 1962 (Historical Study No. 90 Vol. 1)
https://nsarchive2.g[...]
US Strategic Air Command, via the National Security Archive
1963
[12]
웹사이트
CIA reveals its secret briefings to Presidents Nixon and Ford
http://www.cnn.com/2[...]
CNN
2016-08-26
[13]
서적
Words of Intelligence: An Intelligence Professional's Lexicon for Domestic and Foreign Threat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1-06-16
[14]
웹사이트
Negotiating With the North Koreans: The U.S. Experience at Panmunjom
http://www.nautilus.[...]
U.S. Army War College
1977-05-16
[15]
웹사이트
Complete 911 Timeline: Donald Rumsfeld's Actions on 9/11
http://www.historyco[...]
[16]
웹사이트
DEFCON DEFense CONdition - United States Nuclear Forces
http://www.fas.org/n[...]
FAS.org
[17]
웹사이트
911 Commission Report
http://www.911commis[...]
911 commission
[18]
웹인용
軍 '비상령' 한번도 안내렸다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1-04-19
[19]
웹인용
워치콘, 데프콘, 진돗개는 어떻게 다른가?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1-04-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