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규 확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규 확대는 체 $K$의 대수적 확대 $L/K$에 대한 개념으로, 여러 가지 동치 조건을 만족한다. $K[x]$의 기약 다항식이 $L$에서 적어도 하나의 근을 가지면, 그 다항식은 $L[x]$에서 완전히 인수분해된다는 조건 등이 있다. 정규 확대는 일련의 다항식 집합의 분해체와 동형이며, 모든 매장은 $L$의 자기 동형 사상으로부터 유도된다. 정규 확대의 정규 폐포는 정규 확대를 포함하는 최소의 체 확대로, 임의의 대수적 확대는 정규 폐포를 가지며, 분해체는 정규 폐포를 이룬다. 예를 들어, $\mathbb{Q}(\sqrt{2})$는 $x^2-2$의 분해체이므로 $\mathbb{Q}$의 정규 확대이지만, $\mathbb{Q}(\sqrt[3]{2})$는 $x^3-2$가 허근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정규 확대가 아니다. 정규 확대는 체의 확대에서 여러 성질을 가지며, 유한 확대의 경우 정규 폐포 역시 유한 확대이고, 분해 가능 확대의 정규 폐포는 갈루아 확대이다.

2. 정의

K의 대수적 확대 L/K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들은 서로 동치이며, 이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대수적 확대를 '''정규 확대'''라고 한다.


  • K[x]기약 다항식 p(x)L에서 적어도 하나의 근을 갖는다면, p(x)L[x]에서 완전히 인수분해된다. 즉, p(x)=a\prod_{i=1}^n(x-b_i) (a,b_i\in L)의 꼴로 나타낼 수 있다.
  • L/K는 일련의 다항식들의 집합 P\subset K[x]분해체와 (K의 확대로서) 동형이다.
  • 모든 매장 L\to\bar KL자기 동형 사상으로부터 유도된다. 구체적으로, 확대 매장을 \iota_{KL}\colon K\hookrightarrow L로 쓰자. 또한, L은 대수적 확대이므로, K의 대수적 폐포 \iota_{K\bar K}\colon K\hookrightarrow\bar K로 가는 매장 \iota_{L\bar K}\colon L\hookrightarrow\bar K이 존재하며, 또한 \iota_{L\bar K}\circ\iota_{KL}=\iota_{K\bar K}이도록 잡을 수 있다. (이는 초른 보조정리를 통해 보일 수 있다.) 그렇다면, 임의의 매장 \tilde\iota_{L\bar K}\colon L\hookrightarrow\bar K에 대하여, \tilde\iota_{L\bar K}\circ\iota_{KL}=\iota_{K\bar K}라면 \iota_{L\bar K}(L)=\tilde\iota_{L\bar K}(L)\subset\bar K이다.

3. 성질

K의 확대 L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성질들이 성립한다.


  • L/K가 유한 확대라면, L/K의 정규 폐포 N/K 역시 유한 확대이다.
  • L/K분해 가능 확대라면, N/K갈루아 확대이다. 이 경우 N/LL/K의 '''갈루아 폐포'''(Galois closure영어)라고 한다.


체의 확대의 탑 M/L/K에 대하여, 만약 M/K가 정규 확대라면, M/L 역시 정규 확대이다. 체의 확대의 다이아몬드 M\supseteq L,L'\supseteq K에 대하여, 만약 L/K가 정규 확대라면, K(L\cup L')/L' 역시 정규 확대이다. 체의 확대 M/K의 부분 확대 M\supseteq L_i\supseteq K(i\in I)들에 대하여, 만약 모든 L_i/K가 정규 확대라면, \textstyle K\left(\bigcup_{i\in I}L_i\right)/K\textstyle\bigcap_{i\in I}L_i/K 역시 정규 확대이다.

정규 확대의 정규 확대는 정규 확대일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대수적 확대 \mathbb Q(\sqrt[4]2)/\mathbb Q는 두 번의 정규 확대 \mathbb Q(\sqrt[4]2)/\mathbb Q(\sqrt2)/\mathbb Q로 얻어지지만, x^4-2의 허근들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정규 확대가 아니다.

3. 1. 동치 조건

K의 대수적 확대 L/K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들은 서로 동치이며, 이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대수적 확대를 '''정규 확대'''라고 한다.

  • K[x]기약 다항식 p(x)L에서 적어도 하나의 근을 갖는다면, p(x)L[x]에서 완전히 인수분해된다. 즉, p(x)=a\prod_{i=1}^n(x-b_i) (a,b_i\in L) 꼴로 나타낼 수 있다.
  • L/K는 일련의 다항식들의 집합 P\subset K[x]분해체와 (K의 확대로서) 동형이다.
  • 모든 매장 L\to\bar KL자기 동형 사상으로부터 유도된다. 구체적으로, 확대 매장을 \iota_{KL}\colon K\hookrightarrow L로 쓰자. 또한, L은 대수적 확대이므로, K의 대수적 폐포 \iota_{K\bar K}\colon K\hookrightarrow\bar K로 가는 매장 \iota_{L\bar K}\colon L\hookrightarrow\bar K이 존재하며, 또한 \iota_{L\bar K}\circ\iota_{KL}=\iota_{K\bar K}이도록 잡을 수 있다. (이는 초른 보조정리를 통해 보일 수 있다.) 그렇다면, 임의의 매장 \tilde\iota_{L\bar K}\colon L\hookrightarrow\bar K에 대하여, \tilde\iota_{L\bar K}\circ\iota_{KL}=\iota_{K\bar K}라면 \iota_{L\bar K}(L)=\tilde\iota_{L\bar K}(L)\subset\bar K이다.


L/K를 대수적 확장이라고 할 때, 다음 조건들은 모두 정규 확대의 정의로 간주될 수 있으며, 서로 동치이다.

  • ''K'' 위에서 \overline{K} 내의 ''L''의 모든 임베딩은 ''L''의 자기 동형 사상을 유도한다.
  • ''L''은 K[X]의 다항식 집합의 분해체이다.
  • ''L''에 근을 갖는 K[X]의 모든 기약 다항식은 ''L''에서 선형 인수로 분해된다.


L/K를 대수적 확장이라고 할 때, L이 다음의 동치 조건 중 하나라도 만족하면 정규 확장이다.

  • L의 모든 원소에 대한 K 위의 최소 다항식이 L에서 분해된다.
  • 각각 L 위에서 분해되는 다항식들의 집합 S \subseteq K[x]가 존재하여, 만약 K\subseteq F\subsetneq L이 체이면, S에는 F에서 분해되지 않는 다항식이 있다.
  • K의 모든 원소를 고정하는 모든 준동형사상 L \to \bar{K}는 같은 상을 갖는다.
  • K의 모든 원소를 고정하는 L의 자기 동형 사상 군 \text{Aut}(L/K)K의 모든 원소를 고정하는 준동형사상 L \to \bar{K}의 집합 위에서 추이적으로 작용한다.


''L''/''K''의 정규성은 다음 성질 중 어느 것과도 동치이다. ''K''''a''를 ''K''의 ''L''을 포함하는 대수적 폐포로 한다.

  • ''K'' 상 항등 사상인 ''L''의 ''K''''a''로의 모든 매입은 σ(''L'') = ''L''을 만족한다. 다시 말해, σ는 ''L''의 ''K''-동형이다.
  • ''L''에 근을 가지는 ''K''[''X'']의 모든 기약 다항식은 ''L''에 모든 근을 가진다. 즉, ''L''[''X'']에서 일차식으로 분해된다. (다항식은 ''L''에서 '분해된다'라고 말한다.)


''L''이 ''K''의 유한차 분리 확대 (예를 들어, 이는 ''K''가 유한체이거나 표수 0이면 자동으로 충족된다)이면, 다음 성질도 또한 동치이다.

  • 근이 ''K''의 원소와 함께 ''L''을 생성하는 기약 다항식이 존재한다. (''L''은 그 다항식의 분해체라고 말한다.)

4. 분류

임의의 정규 확대 L/K에 대하여,

:M=\begin{cases}

K & \operatorname{char}K=0 \\

\{a\in L|\exists n\in\mathbb N\colon a^{p^n}\in K\} & \operatorname{char}K=p>0

\end{cases}



L/K의 최대 완전 비분해 부분 확대라고 하자. 그렇다면, L/M갈루아 확대이다. (반대로, 완전 비분해 확대의 갈루아 확대는 항상 정규 확대이다.)

5. 정규 폐포

normal closure영어)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체의 확대 N/L이다.


  • N/K는 정규 확대이다.
  • 임의의 중간체 L\subseteq M\subseteq N에 대하여, 만약 M/K가 정규 확대라면, M=N이다.


임의의 대수적 확대는 정규 폐포를 가지며, 체의 확대의 동형 아래 유일하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a\in L에 대하여 p_aaL/K에서의 최소 다항식이라고 하였을 때, \{p_a\colon a\in L\}\subseteq K[x]분해체L/K의 정규 폐포를 이룬다. 또한, 대수적 폐포 \bar K/L/K가 주어졌을 때, \bar KL/K의 정규 폐포는 다음과 같다.

:N=K\left(\bigcup_{\sigma\in\hom(L,\bar K)}^{\sigma|_K=\operatorname{id}_K}\sigma(L)\right)\subseteq\bar K

여기서

:K\left(\bigcup_{i\in I}K_i\right)=\left\{\frac{a_1+\cdots+a_m}{b_1+\cdots+b_n}\colon a_1\in K_{i_1},\dots,a_m\in K_{i_m},\;b_1\in K_{j_1},\dots,b_n\in K_{j_n},\;i_1,\dots,i_m,j_1,\dots,j_n\in I\right\}

는 주어진 체 L/K_i/K들을 포함하는 최소의 체이다.

대수적 확대 L/K의 정규 폐포 N/L에 대하여, 다음 성질들이 성립한다.

  • L/K가 유한 확대라면, N/K 역시 유한 확대이다.
  • L/K분해 가능 확대라면, N/K갈루아 확대이다. 이 경우 N/LL/K의 '''갈루아 폐포'''(Galois closure영어)라고 한다.


만약 ''K''가 체이고 ''L''이 ''K''의 대수적 확대라면, ''M''이 ''K''의 정규 확대가 되는 ''L''의 대수적 확대 ''M''이 존재한다. 게다가, 동형 사상까지 그러한 최소의 확대, 즉, ''L''을 포함하고 ''K''의 정규 확대인 ''M''의 유일한 부분체는 ''M'' 자신뿐이다. 이 확대를 ''K''의 ''L''의 '''정규 폐포'''라고 부른다.

만약 ''L''이 ''K''의 유한 확대라면, 그 정규 폐포 또한 유한 확대이다.

6. 예


  • 대수적 확대 \mathbb{Q}(\sqrt{2})/\mathbb{Q}는 정규 확대이다. x^2 - 2분해체이기 때문이다.
  • \mathbb{Q}(\sqrt[3]{2})/\mathbb{Q}는 정규 확대가 아니다. 기약 다항식 x^3 - 2\mathbb{Q}(\sqrt[3]{2})에서 하나의 근(\sqrt[3]{2})을 갖지만, 완전히 인수분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2의 비실수 세제곱근을 갖지 않는다.)
  • 소수 p에 대해, 확대 \mathbb{Q}(\sqrt[p]{2}, \zeta_p)는 차수 p(p-1)의 정규 확대이다. 이것은 x^p - 2의 분해체이며, 여기서 \zeta_p는 임의의 p차 원시 단위근을 나타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