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독도서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독도서관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에 위치한 도서관이다. 조선 시대에는 궁중의 화초를 키우던 장원서가 있었고, 겸재 정선이 인왕제색도를 그리기 위해 인왕산을 바라보던 자리에 자리 잡았다. 근대에는 김옥균, 서재필, 박제순의 집터였으며, 1900년부터 1976년까지 경기고등학교가 위치했다. 1938년 건립된 경기고등학교 건물을 사용하며, 한국 전쟁 당시 미군 통신부대로 사용되기도 했다. 1975년 경기고등학교가 강남구 삼성동으로 이전한 후, 1977년부터 현재까지 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4개 동이 국가등록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도서관 부지에는 경근당과 옥첩당이 있었으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개관과 함께 원 위치로 이전되었으며, 서울교육박물관이 부설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3호선 안국역에서 가깝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7년 설립된 도서관 - 퐁피두 센터
    퐁피두 센터는 프랑스 파리에 있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국립 근대 미술관, 공공 정보 도서관, IRCAM 등을 갖추고 있으며, 1977년에 개관하여 다양한 문화 행사를 개최하고, 2023년부터 개보수 공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 서울 종로구의 교육 - 국립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은 대한민국 민속 문화를 연구하고 전시하는 박물관으로, 1993년 경복궁 내 건물로 이전하여 개관했으며, 한국인의 일상, 농경 생활, 생애 주기를 다루는 상설 전시와 야외 전시장, 교육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98,000점이 넘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 서울 종로구의 교육 - 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
    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중구, 용산구의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관할하는 교육지원청이다.
  • 서울특별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서울특별시의 국가등록문화유산 - 화랑대역 (폐역)
    화랑대역(폐역)은 경춘선의 철도역으로 1939년 태릉역으로 영업을 시작해 2010년 폐역되었으며, 폐역 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철도공원으로 조성, 증기 기관차 등과 함께 보존, 전시되고 있다.
정독도서관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도서관 정보
이름정독도서관
서울특별시교육청 도서관·평생학습관 로고
서울특별시교육청 도서관·평생학습관 로고
구분공공도서관(일반)
장서 수도서자료 52만여 권
연속간행물1,200여 종
시청각자료15,500여 점
교육사료12,800여 점
설립 주체서울특별시교육청
운영 기관서울특별시교육청
운영 방식직접 운영
구성본관
개관1977년 1월 4일
국가대한민국
소재지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5길 48 (화동 2)
전신경기고등학교
홈페이지정독도서관 홈페이지
관련 정보
관련 건물종친부
2008년 정독도서관

2. 역사

정선필 인왕제색도


정독도서관은 조선 시대에 붉은 흙이 많아 홍현(紅峴)이라 불리던 고개 주변에 있으며, 궁중의 화초를 키우던 장원서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겸재 정선이 인왕제색도를 그린 곳이기도 하다.

정문 오른쪽에는 종친부경근당과 옥첩당 건물이 있었으나, 2013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개관과 함께 원래 위치로 이전하였다.[5] 본관 입구 서쪽에는 연못과 초정이 있고, 경관이 아름다워 관광객들이 찾는다. 관내에는 서울교육박물관이 있다.

1938년 건립된 경기고등학교 건물을 이용한 것으로, 한국 전쟁 때 미군 통신부대가 사용하기도 했다. 1975년 고등학교 이전 후 1977년부터 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건물 중 4개 동은 국가등록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2. 1. 근대

근대에는 조선 개화파였던 김옥균, 서재필, 박제순의 집터이기도 했다. 1900년부터 1976년까지는 경기고등학교가 위치하던 자리였다.

2. 2. 현대

정독도서관은 안국동 율곡로3길(옛 감고당길)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면 사거리 오른쪽 언덕에 있다. 조선 시대에는 이 고개 주변에 붉은 흙이 많아 고개 이름을 홍현(紅峴)이라 불렀으며 궁중의 화초를 키우던 장원서가 있었다고 전한다. 겸재 정선이 인왕제색도를 그리기 위해 인왕산을 바라봤던 자리가 바로 정독도서관의 정원이다. 근대 조선 개화파였던 김옥균, 서재필, 박제순의 집터이기도 하였다. 1900년부터 1976년까지는 경기고등학교가 위치하던 자리였다.

정문으로 들어간 뒤 오른쪽으로 걸어가면 종친부경근당과 옥첩당 건물이 있었다. 원래 소격동 165번지 구 기무사 부지 내에 있던 것을 1981년에 현 위치로 옮겼다가, 2013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개관과 함께 원 위치로 이전하였다.[5]

도서관 본관 입구 서쪽에는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연못을 조성하였으며, 연못 주변에는 초정이 있다. 계절마다 변화하는 꽃과 나무 등 경관이 아름다워 북촌 일대 관광객이 오기도 한다. 봄에는 내부 도로를 따라 심어진 벚나무가 꽃을 피운다. 관내에는 정독도서관 부설 서울교육박물관이 있다.

정독도서관 건물은 경기고등학교 건물을 이용한 것으로, 1938년 스팀난방방식을 도입한 최고급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학교 건물로 건립되었다. 한국 전쟁 때 미군 통신부대에서 사용하였으며, 1956년 고등학교로 반환되었고, 1975년 고등학교가 강남구 삼성동으로 이전한 뒤 1977년 이후 현재까지 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건축 당시 스팀난방시설을 갖춘 최신식 학교건축으로서, 보존 가치가 뛰어나다고 판단되어 건물 중 오래된 4개 동(사료관동, 도서관 1·2동, 휴게실동)이 국가등록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3. 건물

정독도서관은 안국동 율곡로3길(옛 감고당길)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면 사거리 오른쪽 언덕에 있다. 조선 시대에는 이 고개 주변에 붉은 흙이 많아 홍현(紅峴)이라 불렀으며, 궁중의 화초를 키우던 장원서가 있었다고 전한다. 겸재 정선이 인왕제색도를 그리기 위해 인왕산을 바라봤던 자리가 바로 정독도서관의 정원이다. 근대 조선 개화파였던 김옥균, 서재필, 박제순의 집터이기도 하였다. 1900년부터 1976년까지는 경기고등학교가 위치하던 자리였다.

정문으로 들어간 뒤 오른쪽으로 걸어가면 종친부경근당과 옥첩당 건물이 있었으나, 1981년에 현 위치로 옮겼다가 2013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개관과 함께 원래 위치로 이전하였다.[5]

도서관 본관 입구 서쪽에는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연못과 그 주변에 초정이 있다. 계절마다 변하는 꽃과 나무 등 경관이 아름다워 북촌 관광객들이 오기도 한다. 봄에는 내부 도로를 따라 심어진 벚나무가 꽃을 피운다. 관내에는 정독도서관 부설 서울교육박물관이 있다.

3. 1. 대한민국 국가등록문화재

정독도서관 건물은 경기고등학교 건물을 이용한 것으로, 1938년 스팀난방 방식을 도입한 최고급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학교 건물로 건립되었다. 한국 전쟁 때 미군 통신 부대에서 사용하였으며, 1956년 고등학교로 반환되었고, 1975년 고등학교가 강남구 삼성동으로 이전한 뒤 1977년부터 현재까지 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건축 당시 스팀난방 시설을 갖춘 최신식 학교 건축으로서 보존 가치가 뛰어나다고 판단되어, 건물 중 오래된 4개 동(사료관동, 도서관 1·2동, 휴게실동)이 국가등록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다.

4. 시설

도서관 본관 입구 서쪽에는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연못과 그 주변에 초정이 있다. 계절마다 바뀌는 꽃과 나무 등 경관이 아름다워 북촌 일대 관광객들이 오기도 한다. 봄에는 내부 도로를 따라 심어진 벚나무가 꽃을 피운다.

4. 1. 도서관 부지

정독도서관은 안국동 율곡로3길(옛 감고당길)을 따라 북쪽으로 올라가면 사거리 오른쪽 언덕에 있다. 조선 시대에는 이 고개 주변에 붉은 흙이 많아 고개 이름을 홍현(紅峴)이라 불렀으며 궁중의 화초를 키우던 장원서가 있었다고 전한다. 겸재 정선이 인왕제색도를 그리기 위해 인왕산을 바라봤던 자리가 바로 정독도서관의 정원이다. 근대 조선 개화파였던 김옥균, 서재필, 박제순의 집터이기도 하였다. 1900년부터 1976년까지는 경기고등학교가 위치하던 자리였다.

정문으로 들어간 뒤 오른쪽으로 걸어가면 종친부경근당과 옥첩당 건물이 있었다. 원래 소격동 165번지 구 기무사 부지 내에 있던 것을 1981년에 현 위치로 옮겼다가, 2013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개관과 함께 원 위치로 이전하였다.[5]

도서관 본관 입구 서쪽에는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연못을 조성하였으며, 연못 주변에는 초정이 있다. 계절마다 변화하는 꽃과 나무 등 경관이 아름다워 북촌 일대 관광객이 오기도 한다. 봄에는 내부 도로를 따라 심어진 벚나무가 꽃을 피운다.

4. 2. 부설 시설

정독도서관 경내에는 정독도서관 부설 서울교육박물관이 있다. 도서관 본관 입구 서쪽에는 물레방아가 돌아가는 연못이 있고, 연못 주변에는 초정이 있다. 계절마다 변하는 꽃과 나무 등 경관이 아름다워 북촌 일대 관광객들이 오기도 한다. 봄에는 내부 도로를 따라 심어진 벚나무가 꽃을 피운다.

5. 이용 시간

정독도서관은 평일과 주말 모두 07:00부터 22:00까지 이용할 수 있다. 단, 11월부터 2월까지는 08:00부터 22:00까지 운영한다.

5. 1. 열람실

구분이용 시간
평일07:00 ~ 22:00 (11월 ~ 2월: 08:00 ~ 22:00)
주말07:00 ~ 22:00 (11월 ~ 2월: 08:00 ~ 22:00)


6. 교통

정독도서관은 3호선 안국역 인근에 있다.

6. 1. 대중교통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에서 500m 이내에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ultural Properties: Jongchinbu http://www.ocp.go.kr[...] Cultural Properties Administration of Korea
[2]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Korea Tourism Org. : Jeongdok Library http://english.visit[...]
[3] 서적 정독도서관 요람 2009-08-26
[4] 웹인용 도서관현황 https://jdlib.sen.go[...]
[5] 뉴스 조선시대 종친부 건물, 원래 자리로 돌아왔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1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