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보 아키텍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보 아키텍처는 정보 시스템 및 정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공유 정보 환경의 구조적 설계를 의미한다. 웹사이트, 인트라넷, 온라인 커뮤니티 및 소프트웨어의 구성과 레이블링에 대한 기술과 과학을 포괄하며, 검색 용이성 및 사용성을 지원한다. 정보 아키텍처는 정보 구성 방식, 데이터베이스 설계 등 다양한 대상 영역을 가지며, 웹 디자인 발전에 따라 그래픽 디자인, 편집,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융합한 디자인으로 발전했다. 도서관정보학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리처드 솔 워먼이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 솔루션 아키텍처
    솔루션 아키텍처는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지침을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인프라 등의 기술 요소를 통합하고 특정 비즈니스 문제 해결을 위한 기술 솔루션을 설계하며, 솔루션 아키텍트는 기술적 비전 제시, 기술 부채 감소, 기술적 위험 완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 엔터프라이즈 아키텍처 - 기업공학
    기업공학은 조직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솔루션을 위해 여러 방법론과 기술을 활용하는 분야로, 기업의 정보, 기능, 자원, 조직 관점에서 분석을 수행하여 통합적인 운영을 지원하며, 다양한 방법론과 관련 조직들이 발전에 기여한다.
  • 기록 관리 - 파일 호스팅 서비스
    파일 호스팅 서비스는 사용자가 파일을 온라인 서버에 저장하고 접근하도록 지원하며, 이동식 미디어 대체, 백업, 파일 전송, 공유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 기록 관리 - 백업
    백업은 데이터 손실 위험에 대비하여 자료를 다른 저장 장치에 복사하는 작업으로, 전체 백업, 증분 백업, 차등 백업 등의 방식을 사용하며,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복구 시점 및 시간 목표, 데이터 보안 등을 고려해야 한다.
  • Pages using div col with small parameter -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방부는 국방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행정부의 부처이며, 대한민국 국군을 지휘·감독하고 관련 기관을 소속 기관으로 두며,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고 국제 협력을 진행한다.
  • Pages using div col with small parameter - 대한민국 정부
    대한민국 정부는 국회, 정부, 법원으로 구성된 삼권분립 체제이며, 대통령은 국민 직선으로 선출되어 국무총리와 장관을 임명하고, 국회는 법률 제정 및 예산 심의를, 사법부는 재판과 헌법 심판을 수행한다.
정보 아키텍처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영어Information architecture
정보 아키텍처 정의공유 정보의 구조적 디자인
정보 아키텍처의 목적정보가 쉽게 이해하고 찾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것
관련 분야
관련 분야정보 과학
도서관학
인지심리학
인간 컴퓨터 상호작용
경험 디자인
주요 개념
조직 시스템정보를 분류하고 구성하는 방법
라벨링 시스템정보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단어 및 명명법
탐색 시스템사용자가 정보를 찾고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
검색 시스템사용자가 특정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방법
정보 아키텍처의 범위
정보 아키텍처의 대상웹사이트
모바일 앱
소프트웨어
문서
데이터베이스
정보 아키텍트
정보 아키텍트의 역할정보 요구 사항을 분석
정보 구조를 설계
정보 아키텍처를 구현
사용성을 평가

2. 정의

정보 아키텍처는 정보를 해석하고 그 특징들을 사인과 시스템의 사인으로 표현하는 특별한 기술이다. 도서관정보학에서 유래하며, 정보 과학 분야에서 정보 아키텍처를 가르치는 학교가 많다.

정보 아키텍처는 많은 사람들이 쉽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도록 정보를 구조적으로 일치시키고 고유하지 않게 분류한다. 주로 단계적 분류를 사용하지만, 원형이나 나선형 구조 등 다른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정보 시스템 디자인 맥락에서 정보 아키텍처는 정보 시스템의 전체 데이터 디자인 및 분석과 조화를 이룬다. 각 데이터베이스와 서로 다른 데이터베이스(다수 혹은 수백 개)의 회사 데이터 모델이 합쳐져 데이터 모델링을 이룬다. ‘규범 데이터 모델’은 시스템 계획과 특별한 데이터 전달 정의 사이에 통합 기술을 적용한다.

웹 디자인의 발전과 함께, 기존의 그래픽 디자인에 편집,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융합한 디자인이 필요하게 되었다. 정보 아키텍처는 이러한 요소 기술을 결합하여 이해하기 쉬운 디자인을 추구한다. 종이 미디어의 경우에도, 장과 절의 구성, 목차의 상세함, 색인 작성 방법 등이 정보 아키텍처의 영역에 포함된다.

2. 1. 정보 아키텍처의 다양한 정의

정보 아키텍처는 여러 분야에서 다소 다른 의미를 갖는다. 정보 아키텍처에 대한 다양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 공유 정보 환경의 구조적 설계.[2]
  • 웹사이트, 인트라넷, 온라인 커뮤니티 및 소프트웨어의 구성 및 레이블링에 대한 기술과 과학으로, 검색 용이성 및 사용성을 지원한다.[2]
  • 디지털 환경에 설계 및 아키텍처 원리를 적용하는 데 중점을 둔 신흥 실천 공동체.[3]
  • 웹사이트 및 인트라넷 내의 구성, 레이블링, 검색 및 탐색 시스템의 조합.[2]
  • 서로 다른 시스템과 표준을 연결하는 지식 기반을 만드는 과정에서 엔지니어링 설계에 필요한 매개변수/데이터를 추출하는 것.
  • 정보가 풍부한 시스템의 콘텐츠에 대한 청사진 및 탐색 지원 도구.[4]
  • 사용 가능한 데이터(즉, 정보)가 구성되고 사용자에게 가장 유용하거나 경험적으로 전체적인 방식으로 설계되거나 배열되는 데이터 아키텍처의 하위 집합.
  • 웹사이트의 정보/콘텐츠/기능을 구성하여 정보와 서비스를 쉽게 사용하고 찾을 수 있도록 최상의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방법(웹 디자인 및 개발에 적용됨).[5]
  • 정보를 둘러싼 개념적 프레임워크로, 맥락, 위치 인식 및 지속 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 개념적 구조와 정보 구성인과 정보 단체 (정보국)의 조직적 구성 (R.I.P.O.S.E 테크닉, 1989)

2. 2. 정의에 대한 논쟁 (Big IA vs. Little IA)

정보 아키텍처(IA)의 정의는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공통된 정의를 내리기 어렵다. 특히 온라인 정보(웹사이트) 맥락에서 정보 아키텍처의 정의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앤드루 딜런(Andrew Dillon)은 이를 "큰 IA-작은 IA 논쟁"이라고 부른다.[6]

  • 작은 IA (Little IA): 정보 과학을 웹 디자인에 적용한 것으로, 분류 및 정보 검색 문제를 고려한다.
  • 큰 IA (Big IA): 웹사이트 구성 이상을 포함하며, 사용자 경험을 고려하여 사용성정보 디자인 문제까지 다룬다.

3. 역사

웹 디자인의 발전과 함께, 기존의 그래픽 디자인(평면 디자인)에 더하여 편집,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융합한 디자인이 요구되었다. 정보 아키텍처는 이러한 요소 기술을 결합하여,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한 디자인이다. 종이 미디어의 경우에도, 소위 "종이면 디자인"뿐만 아니라, 장과 절의 구성, 목차의 상세함, 색인의 작성 방법 및 방식(KWIC 등의 방법이 있다) 등이 정보 아키텍처의 영역이 된다.

정보 아키텍처 분야의 뿌리 중 하나는 도서관정보학이며, 교육 기관에서도 도서관정보학의 발전 또는 일부로서 정보 아키텍처를 다루는 곳이 있다.

4. 구성 요소

정보 아키텍처는 웹 디자인의 발전과 함께, 기존의 그래픽 디자인(평면 디자인)에 더하여 편집,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융합한 디자인을 요구하게 되었다. 정보 아키텍처는 이러한 요소 기술을 결합하여 이해하기 쉬움을 위한 디자인이다. 종이 미디어의 경우에도, 장과 절의 구성, 목차의 상세함, KWIC 등의 색인 작성 방법 및 방식 등이 정보 아키텍처의 영역이 된다.

정보 아키텍처 분야의 뿌리 중 하나는 도서관정보학이며, 교육 기관에서도 도서관정보학의 발전 또는 일부로서 정보 아키텍처를 다루는 곳이 있다.

5. 관련 분야

정보 아키텍처는 다음과 같은 분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 도서관정보학: 정보 아키텍처는 도서관정보학에서 유래되었으며, 많은 교육 기관에서 도서관정보학의 발전 또는 일부로서 정보 아키텍처를 다루고 있다.
  • 정보 시스템 디자인: 정보 아키텍처는 정보 시스템의 데이터 전체 디자인 및 분석과 조화를 이룬다. 회사 데이터 모델은 데이터 모델링을 이루며, '규범 데이터 모델'은 시스템 계획과 특별한 데이터 전달 정의 사이에서 통합 기술이 적용된다.
  • 웹 디자인: 웹 디자인 발전과 함께, 기존의 그래픽 디자인에 편집,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융합한 디자인이 요구된다. 정보 아키텍처는 이러한 요소 기술을 결합하여 이해하기 쉬운 디자인을 추구한다.
  • 종이 미디어 디자인: 종이 미디어에서도 장과 절의 구성, 목차의 상세함, KWIC 등의 색인 작성 방법 및 방식은 정보 아키텍처의 영역에 해당한다.

6. 한국의 정보 아키텍처 관련 조직

http://iaaj.org/ 정보 아키텍처 협회 일본(Information Architecture Association Japan) (IAAJ)은 이벤트 및 워크숍 개최 등의 활동을 통해 일본 내 정보 아키텍처 분야의 발전을 지원하고 있다.

7. 비판

정보 아키텍처의 ‘아키텍처’라는 용어는 초기에 인체공학적 구조에 쓰였으며, 정보 시스템은 인체공학 또는 빌딩 통계에 쓰이는 말로 불렸다. 정보 시스템은 ‘살아 있는 시스템’으로 작가와 사용자에 의해 꾸준히 업데이트되고 개선, 형태가 전환된다. 이 경우 정보 시스템은 사용자의 글과 특별한 실행에 따라 추가된다. 애플리케이션의 통합 계획이 증가하더라도, 웹사이트나 회사 데이터 모델과 마스터 데이터 시스템은 독립되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정보 아키텍처는 구조화되거나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의 전체 스펙트럼을 포함하며, 특히나 시스템 처리 방법에 문제가 제기될 것이다.

8. 주요 인물


  • 리처드 솔 워먼: 정보 아키텍처라는 용어를 디자인과 관련하여 처음 사용한 것으로 인정받는 인물이다.
  • 피터 모빌: 세만틱 스튜디오(Semantic Studios) 사장이자 《월드 와이드 웹을 위한 정보 아키텍처》(1998, 2002, 2006, 2015)의 공동 저자이다.
  • 루이스 로젠펠드: 로젠펠드 미디어(Rosenfeld Media) 설립자이자 《월드 와이드 웹을 위한 정보 아키텍처》(1998, 2002, 2006, 2015)의 공동 저자이다.
  • 제시 제임스 개럿: 어댑티브 패스(Adaptive Path) 공동 설립자이자 《사용자 경험의 요소들》(2002)의 저자이다.
  • 크리스티나 우드케: 《정보 아키텍처: 웹을 위한 청사진》(2003)의 저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IA? https://www.iainstit[...] Information Architecture Institute
[2] 서적 The art and science of shaping information products and experienced to support usability and findability.
[3] 간행물 A Brief History of Information Architecture http://journalofia.o[...] Morgan Kaufmann
[4] 논문 Information interaction: Providing a framework for information architecture 2012-05-17
[5] 웹사이트 Information Architecture https://developer.mo[...] Mozilla Developer Network 2023-06-08
[6] 논문 Information Architecture in JASIST: Just where did we come from?
[7] 서적 Information Architects https://www.courses.[...] 2014-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