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래픽 디자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래픽 디자인은 시각적 의사소통의 한 분야로, 라스코 동굴 벽화부터 현대의 네온사인에 이르기까지 인류 역사 전반에 걸쳐 나타났다. 광고, 예술, 순수 예술 등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며 20세기와 21세기에 급격히 발전했다. 그래픽 디자인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고, 아이디어를 표현하며, 인간 경험을 기록하는 인공물에 표현과 감정을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쇄술의 발달과 산업 혁명을 거치면서 독립적인 직업으로 자리 잡았으며, 20세기에는 윌리엄 에디슨 드위긴스에 의해 '그래픽 디자인'이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브랜딩, 교육, 엔터테인먼트, 정보 디자인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1세기에는 인공지능, 가상 현실 등의 기술 발전에 따라 자동화, 개인화된 디자인, 몰입형 경험 제공 등이 미래 그래픽 디자인의 주요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으며, 윤리적 고려와 사회적 가치를 반영하는 디자인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전망된다.

2. 역사

그래픽 디자인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라스코 동굴 벽화부터 긴자의 화려한 네온사인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20세기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시각 커뮤니케이션이 급증하고, 광고, 그래픽 디자인, 순수 예술의 경계가 모호해졌다.[16]

그래픽 디자인은 상품과 서비스 판매를 위한 광고[16]와 정보를 제공하고 사람들이 물건을 사용하도록 이끄는 본질적인 목적[16]을 가진다.

보잉 747기 에어포스 원은 레이먼드 로위가 디자인했다. 이 푸른빛의 스타일은 각기 다른 시대에 만들어진 미국 국기, 미국 주조, 캐슬론 글자체를 하나로 디자인한 결과다.


‘그래픽 디자인’이라는 용어는 1908년 7월 4일자 샌프란시스코 노동조합의 간행물인 ''Organized Labor''(9권 27호)에서 인쇄공을 위한 기술 교육에 관한 기사에서 처음 등장하며,[14] 1922년 활판 인쇄공인 윌리엄 에디슨 드위긴이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16년 폰트 디자이너 에드워드 존스턴이 디자인한 런던 지하철은 근대 디자인의 대표적인 예시로 상징된다.

1920년대 러시아 구축주의는 ‘지식적인 생산품’ 이라는 개념을 통해 생산품의 다른 영역을 제안하였다. 이들은 실용적인 목적의 생산품을 제작하며 빌딩, 극장 무대, 포스터, 패브릭, 옷, 가구, 로고, 메뉴 등을 디자인했다.[30]

얀 치홀트는 1928년 자신의 책 ''신 타이포그래피''에서 근대 타이포그래피의 원리를 조직화했다.[31] 바우하우스의 타이포그래퍼 허버트 바이어와 라즐로 모흘리-나기와 엘 리시츠키는 오늘날 그래픽 디자인의 아버지로 잘 알려져 있다.

2. 1. 인쇄술의 발달

4세기에서 7세기경 당나라 시대에 나무 블록을 조각하여 인쇄하는 기술이 발명되었으며, 이는 불교 경전 제작에 활용되었다.[18] 868년에 인쇄된 불교 경전은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인쇄된 책이다. 11세기에는 송나라 시대에 활자 인쇄술이 등장하여 서적 제작이 활발해졌다.[18]

15세기 중반, 독일요하네스 구텐베르크는 금속 활자를 이용한 인쇄술을 발전시켜 더 빠른 속도로 인쇄된 페이지를 복제하는 방법을 개발했고,[20] 이는 정보 확산에 크게 기여했다.[19]

2. 2. 디자인 산업의 출현

19세기 후반, 특히 영국에서 그래픽 디자인은 순수 예술에서 독립하기 시작했다. 1849년 헨리 콜은 자신의 저서 ''Journal of Design and Manufactures''를 통해 디자인의 중요성을 알리며 영국 디자인 교육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만국박람회를 조직하여 근대 산업 기술과 빅토리아 시대 디자인을 융합하고자 했다.[16]

1891년부터 1896년까지 윌리엄 모리스의 켈름스콧 프레스는 아츠 앤 크래프츠 운동과 관련된 그래픽 디자인 분야를 이끌었다. 켈름스콧 프레스는 중세 및 르네상스 시대 스타일의 수제 책[21]을 만들고 벽지와 직물 디자인[22]을 하였다. 모리스의 작업은 다른 개인 출판 운동과 함께 아르누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23]

2. 3. 20세기 디자인

20세기 초, 런던 지하철에서 발행된 "언더그라운드(Underground)" 노선도는 도로와 건물이 표시되어 정보가 많고 체계적이지 않아 목적지까지의 접근성과 환승 정보 등을 알기 어려웠다.[11]

이에 반해, 런던 지하철 직원 해리 베크는 1933년 통근 통학 경로를 도식화한 런던 지하철 노선망의 위상도(topological diagram)를 완성했다. 그는 지리적 거리를 무시하고 노선을 직선, 역을 정사각형, 환승역을 마름모꼴로 표현하는 기하학적인 구조를 사용했다. 해리 베크의 노선도는 심플한 디자인과 체계적인 정보 정리로 발행 직후 지하철 이용자들에게 큰 인기를 얻었으며, 현대 일본의 노선도도 같은 방식으로 그려지고 있다.[11]

런던 지하철의 간판은 근대의 고전적인 디자인 사례이다.[28] 프랭크 픽은 예술적 훈련을 받지 않았음에도 지하철 그룹 디자인 및 홍보 운동을 이끌었다. 1908년 최초의 지하철역 표지판은 중앙에 파란색 막대가 있는 빨간색 원판 디자인과 역 이름으로 도입되었으며, 역 이름은 흰색 산세리프체로 표기되었다. 1916년 픽은 에드워드 존스턴의 전문 지식을 활용하여 지하철을 위한 새로운 서체를 디자인했고, 존스턴은 빨간색 원의 중앙에 있는 파란색 막대에 자신의 서체를 포함하도록 지하철 표지판과 로고를 재설계했다.[29]

1920년대, 소비에트의 구축주의는 생산의 여러 분야에 '지적 생산'을 적용했다. 이 운동은 개인적인 예술을 혁명적인 러시아에서는 쓸모없다고 보고, 공리주의적 목적을 위한 물건을 만드는 쪽으로 나아갔다. 그들은 건물, 영화 및 극장 세트, 포스터, 직물, 의류, 가구, 로고, 메뉴 등을 디자인했다.[30]

얀 치홀드는 1928년 그의 책 ''새로운 활자''에서 현대 활자 디자인의 원리를 체계화했다.[31] 그는 나중에 이 책에서 주장한 철학을 파시즘으로 부인했지만, 여전히 큰 영향을 미쳤다. 치홀드, 바우하우스 활자 디자이너인 허버트 바이어와 라슬로 모홀리나지, 엘 리시츠키는 그래픽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들은 20세기 내내 사용된 생산 기법과 스타일 장치를 개척했으며, 이후 몇 년 동안 현대적인 스타일의 그래픽 디자인은 널리 수용되고 적용되었다.[32]

1917년, 캘리포니아 예술 공예학교의 교장이자 강사인 프레더릭 H. 마이어는 "그래픽 디자인과 레터링"이라는 제목의 수업을 가르쳤다.[25]

2. 4. 한국의 그래픽 디자인 역사

1910년대 일본에서는 하시구치 고요(橋口五葉), 와다 산조(和田三造), 스기우라 히스이(杉浦非水) 등의 선구적인 활동이 있었다.[5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서 그래픽 디자인이 본격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58]

가메쿠라 유사쿠(亀倉雄策)는 그래픽 디자이너들이 가지고 있던 시각 전달은 손으로 그려야 한다는 생각과 응용미술이 순수미술보다 하위라는 생각을 깨뜨리고 일본 디자이너의 직업적 지위를 확립하는데 기여했다. 그는 일본선전미술회(日本宣伝美術会)와 일본디자인센터(日本デザインセンター)를 설립하여 그래픽 디자인 분야의 전문성을 확립하였다.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가메쿠라 유사쿠가 제작한 로고와 포스터는 국제적인 찬사를 받았다.[59]

그래픽'55전(グラフィック'55展)의 일본인 멤버인 이토 켄지(伊藤憲治), 오하시 마사시(大橋正), 코노 타카시(河野鷹思), 하야카와 요시오(早川良雄), 하라 히로시(原弘), 야마시로 류이치(山城隆一) 등도 이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다.[58]

2003년 10월 8일부터 11일까지 나고야 국제회의장에서 Ico-D(국제그래픽디자인협회) 제20회 총회와 함께 JAGDA 주최로 "정보의 아름다움"이라는 주제의 디자인 회의가 개최되었다.[65] 1960년 "세계 디자인 회의" 이후 최대 규모로 개최된 이 회의에는 세계 49개국에서 3,800명이 참가했고, 세계 그래픽 디자인 페어 2003에는 12만 463명이 방문했다.[66]

3. 응용 분야

그래픽 디자인은 지식 전달, 정보 가독성 향상, 제품 판매 촉진, 기업 아이덴티티 구축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그래픽 디자인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된다.


  • 브랜딩: 기업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 교육: 교과서, 인체 해부도 등 학습 자료를 제작한다.
  • 엔터테인먼트: 영화 포스터, 무대 디자인, 상품 디자인 등에 활용된다.
  • 정보 디자인: 뉴스, 다큐멘터리, 웹사이트 등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 패션: 의류 디자인, 광고, 브랜드 이미지 구축에 기여한다.
  • 도시 디자인: 런던 지하철 노선도와 같은 공공 정보 디자인, 프로젝션 매핑을 이용한 도시 경관 연출을 포함한다.
  • 과학: 연구 결과를 시각화하여 대중에게 전달한다.

3. 1. 브랜딩

브랜딩은 기업 고유의 로고, 색상, 패키지, 글과 같은 아이덴티티 요소를 제품에 응용하는 것이다.[16] 이는 회사 아이덴티티와 더불어 그래픽 디자이너에게 중요한 영역으로 떠올랐다. 브랜딩은 회사 아이덴티티 마크, 제품, 서비스의 상징 이름이 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반면 회사 아이덴티티(CI)는 회사의 구조, 정신, 널리 알려지는 회사의 외부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어 더 엄격하게 만들어진다.[16] 그래픽 디자이너는 종종 회사 아이덴티티나 브랜딩 프로젝트 팀의 일원으로, 마케팅 전문가, 커뮤니케이션 컨설턴트, 커머셜 라이터 등과 함께 일한다.

3. 2. 교육

그래픽 디자인은 지식 전달을 강화하고, 글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가독성을 높인다. 교과서는 지리학, 과학, 수학 등의 과목에서 이론과 도표를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인체 해부도는 교육용 그래픽 디자인의 일반적인 예시이다. 그래픽 디자인은 교육용 레이아웃과 표를 통해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킨다.[1]

3. 3. 엔터테인먼트

그래픽 디자인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장식, 무대 장치, 비주얼 스토리텔링 등에 사용된다. 만화책, 영화의 오프닝 크레딧과 클로징 크레딧, 프로그램과 무대 디자인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티셔츠와 같이 스크린 인쇄를 통해 판매되는 상품의 예술 표현에도 그래픽 디자인이 활용된다.

3. 4. 정보 디자인

신문, 잡지, 블로그, 텔레비전, 영화 다큐멘터리 등에는 그래픽 디자인이 사용되어 정보와 사설 전달을 돕는다.[16] 웹에서는 어도비 플래시와 같은 대화형 매체를 활용하여 정보 디자이너들이 바탕 화면에 새로운 내용을 표현하기도 한다. 정보 디자인에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프레젠테이션으로 해석하고 형성하는 데이터 및 정보 시각화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인포그래픽과 연계될 수 있다.

3. 5. 패션

패션 분야에서 그래픽 디자인은 브랜드 로고, 티셔츠 프린트, 청바지 브랜드 광고, 쇼핑백, 웹사이트 디자인 등 매우 광범위하게 활용되며, 각 브랜드의 정신을 반영한다.[62] 이는 회사의 고유 로고, 색깔, 패키지, 글과 같은 아이덴티티 요소로 제품에 응용되는 브랜딩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래픽 디자이너는 종종 회사 아이덴티티나 브랜딩 프로젝트 팀의 일원으로, 마케팅 전문가, 커뮤니케이션 컨설턴트, 커머셜 라이터 등과 협업한다.

18세기까지는 귀족 등의 초상화나 밀랍 인형을 통해 패션을 전달했으나, 이후 패션 플레이트가 등장하여 그래픽으로 정보를 전달하게 되었다.[60] 1980년대는 패션과 그래픽 모두에 큰 변혁이 일어난 시기로, 디지털화와 기술 혁신을 통해 이전보다 자유로운 창작이 가능해졌다. 아날로그 방식에서는 어려웠던 복잡한 디자인도 많이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래픽 디자인은 패션을 이용해 정보나 주장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었다.[61]

현대 패션에서 유행의 출발점인 컬렉션 발표를 위한 초대장은 표현되는 그래픽과 그것을 살리는 특수한 인쇄·가공으로 가장 창의적인 존재라고 할 수 있다.[62]

3. 6. 도시 디자인 (마을 만들기)

20세기 초, 런던 지하철에서 발행된 "언더그라운드(Underground)" 노선도는 노선별로 색을 입혀 그렸지만, 도로와 건물이 함께 표시되어 정보가 체계적이지 않고, 목적지까지의 접근성과 환승 정보를 알기 어려웠다.

반면, 1933년 런던 지하철 직원 해리 베크(Harry Beck)는 통근 통학 경로를 도식화하여 런던 지하철 노선망의 위상도(topological diagram)를 완성했다. 지리적 거리를 무시하고 노선을 직선, 역을 정사각형, 환승역을 마름모꼴로 표현하여 기하학적인 구조로 단순화했다. 해리 베크의 노선도는 보기 쉽고 정보가 체계적이어서 지하철 이용자들에게 인기를 얻었으며, 현대 일본의 노선도도 같은 방식으로 그려지고 있다.

; 프로젝션 매핑

프로젝션 매핑은 건물과 같이 요철이 있는 대상에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투사하는 기법이다. 음악이나 레이저 광선 등과 함께 연출되는 경우가 많다.[1]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막식에서 사용된 것을 계기로 일본에서도 주목받아 이벤트나 정책에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1]

제목날짜장소내용
도쿄역 마루노우치 역사 보존·복원 공사 완료 기념 프로젝션 매핑 「TOKYO STATION VISION」2012년 9월 22일, 23일도쿄역 마루노우치 역사"시공을 초월한 여행"을 주제로 도쿄역과 철도 등의 역사를 표현한 영상 투사[1]
소세이가와 공원 남측 「SYNCHRO FIELD (싱크로필드)」2012년 8월 31일, 9월 1일소세이가와 공원 남측(삿포로시)"창조 도시 삿포로" 사업의 일환으로, "생명의 탄생"을 테마로 제작된 영상 투사[1]
대역사 그림책 프로젝션 매핑2015년 12월 19일, 20일주도역 앞 데크(오사카·다이토시)다이토시의 역사를 소재로 그려진 영상 투사. 지역 주민들에게 시에 대한 애착과 자부심을 높이고, 주도역의 번영과 활기를 도모하기 위해 진행[1]


3. 7. 과학

과학 분야에서 그래픽 디자인은 블랙홀, 단백질 구조와 같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대상을 시각화하여 연구 결과를 일반 대중이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63] 이를 통해 연구의 가치를 높이고 대중과의 소통을 촉진한다.[63] 훌륭한 연구 내용이라도 도해가 서툴면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어렵기 때문에, 그래픽 디자인은 연구 내용을 명확하게 전달하는 데 필수적이다.[63]

4. 기술

그래픽 디자인 프로젝트는 텍스트, 장식 및 이미지를 창의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래픽 디자인은 텍스트를 양식화하고 표현하며, 이미지로 표현되기 전에 이미지화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신문에서 기자와 사진기자가 스토리를 구상한 후, 그래픽 디자이너는 페이지 레이아웃을 알맞게 구상하고 다른 그래픽 요소를 첨가한다. 매거진 사설과 광고에서는 그래픽 디자이너나 아트 디렉터가 사진작가나 일러스트레이터에게 페이지 레이아웃에 맞는 작품 제작을 의뢰하기도 한다.

현대 디자인은 컴퓨터 도입으로 이지윅(WYSIWYG)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터렉티브 디자인 혹은 멀티미디어 디자인으로 확장되었다.

4. 1. 타이포그래피



'''타이포그래피'''(Typography)는 활자 디자인, 글리프 수정 및 활자 배열을 포함한다. 활자 글리프(문자)는 일러스트 기법을 사용하여 생성 및 수정된다. 활자 배열은 서체, 글자 크기, 자간(사용된 모든 문자 사이의 간격), 커닝(두 개의 특정 문자 사이의 간격) 및 행간(줄 간격)의 선택을 의미한다.[35]

타이포그래피는 식자공, 조판공, 활자 디자이너, 그래픽 아티스트, 아트 디렉터 및 사무직 근로자에 의해 수행된다. 디지털 시대 이전에는 전문적인 직업이었다. 특정 서체는 고정관념적인 개념을 전달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1942 Report는 타자기 또는 빈티지 보고서와 유사한 텍스트를 입력하는 서체이다.[35]

효과적인 그래픽 디자인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지식과 표현 기법을 배워야 하며, 일반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레터링

: 레터링은 시각적 효과를 고려하여 문자를 디자인하거나 쓰는 행위를 가리킨다. 신문이나 잡지 등의 인쇄물에 사용되는 문자(활자)는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특징을 줄여 기계적인 차가움이 있다. 반면, 편지나 사인과 같은 필기체는 개인의 성격과 습관에 따라 특징이 있어 따뜻함을 느끼게 한다. 레터링에서의 문자는 형태, 크기, 자간이 자유롭고 특징적인 형태를 지닌다. 이러한 특징적인 형태는 주제를 이끌고, 보는 사람의 감정에 호소하는 효과가 있다. 레터링은 포스터, 신문 광고 등의 인쇄물이나 텔레비전, 영화 등의 제목 문자, 회사명·상품명 등의 로고 타입 등 폭넓은 범위에서 사용된다.

:; 레터링에서의 문자 크기/자간

:: 문자는 세로로 길거나, 둥글거나, 삼각형 모양을 하는 등 독자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형태와 치수 등이 다르다. 글자의 획수와 획의 길이, 문자 주위의 공간(카운터)의 차이에 따라 크기와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크기의 틀 안에 쓰거나 같은 간격으로 쓰면 부자연스러워 보인다. 따라서 레터링에서는 문자 크기의 수정, 문자 간격의 조정이 필요하다. 좌우에 비슷한 형태의 문자가 나란히 있을 경우 자간이 좁게 느껴지고, 좌우에 다른 형태의 문자가 나란히 있을 경우 자간이 넓게 느껴진다. 자간에 극단적인 차이가 나지 않도록 조정해야 한다.

4. 2. 페이지 레이아웃

페이지 레이아웃은 이미지 배치, 텍스트 레이아웃 및 스타일과 같이 페이지의 요소(콘텐츠) 배열을 다룬다. 페이지 디자인은 항상 인쇄물에서 고려 사항이었으며, 최근에는 웹 페이지와 같은 디스플레이로 확장되었다. 요소는 일반적으로 활자(텍스트), 이미지(사진) 및 (인쇄 매체의 경우) 잉크로 인쇄되지 않는 요소(예: 다이라인)에 대한 자리 표시자 그래픽(예: 금형/레이저 절단, 박 인쇄 또는 무광 엠보싱)을 포함한다.[42]

그래픽 디자인 프로젝트에서는 글을 양식화하고 표현하기 위해 그래픽 디자이너가 이미지로 표현하기 전에 이미지화 작업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신문에서는 기자와 사진기자가 스토리를 구상한 후, 그래픽 디자이너가 페이지 레이아웃을 알맞게 구상하고 다른 그래픽 요소를 첨가한다. 매거진 사설과 광고에서는 종종 그래픽 디자이너나 아트 디렉터가 사진작가나 일러스트레이터에게 페이지 레이아웃에 맞는 작품 제작을 의뢰한다. 현대 디자인은 컴퓨터 도입으로 이지윅(WYSIWYG)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터렉티브 디자인 혹은 멀티미디어 디자인으로 확장되었다.

4. 3. 도구

그래픽 디자인에서 마음은 가장 중요한 도구일 수 있다. 기술은 별개로 하더라도, 그래픽 디자인에는 판단력과 창의력이 필요하다. 디자인 레이아웃과 렌더링에는 비판적, 관찰적, 양적, 분석적 사고가 필요하다.[37]

표현 방법(예: 배열, 스타일, 매체)도 디자인에서 똑같이 중요하다. 레이아웃은 전통적인 표현 방법이나 디지털 이미지 표현 방법으로 제작된다. 개발 단계와 표현 방법은 대중에게 이 프로젝트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에 따라 달라진다.

1980년대 중반, 데스크톱 퍼블리싱과 그래픽 아트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이 등장하면서 이전에는 수동으로 수행되던 컴퓨터 이미지 조작 및 생성 기능이 도입되었다. 컴퓨터를 통해 디자이너는 레이아웃이나 활자 변경 효과를 즉시 확인하고 전통적인 미디어의 효과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되었다. 최종 작업에 컴퓨터를 사용하더라도 연필과 같은 전통적인 도구는 유용할 수 있다. 디자이너나 아트 디렉터는 창작 과정의 일환으로 수많은 개념을 스케치할 수 있다.[37] 태블릿 컴퓨터와 스타일러스를 사용하여 손으로 그린 그림을 디지털 방식으로 캡처할 수 있다.[38]

대부분의 디자이너는 전통적인 기술과 컴퓨터 기반 기술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프로세스를 사용한다. 먼저 손으로 그린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실행할 승인을 받은 다음, 컴퓨터에서 완성된 시각적 제품을 제작한다.

그래픽 디자이너는 이미지 제작, 타이포그래피 및 레이아웃을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능숙해야 한다. 1990년대 초부터 그래픽 디자이너들이 사용해 온 대부분의 인기 있고 "업계 표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어도비(Adobe Inc.)의 제품이다.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사진 편집을 위한 래스터 기반 프로그램)과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Adobe Illustrator)(벡터 기반 도면 프로그램)는 최종 단계에서 자주 사용된다. 코렐드로우(CorelDraw)는 코렐 코퍼레이션이 개발 및 판매하는 벡터 그래픽 편집 소프트웨어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디자이너는 온라인 디자인 데이터베이스에서 미리 디자인된 래스터 이미지와 벡터 그래픽을 작업에 자주 사용한다. 래스터 이미지는 어도비 포토샵에서 편집하고, 벡터 로고 및 일러스트레이션은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와 코렐드로우에서 편집하며, 최종 제품은 어도비 인디자인(Adobe InDesign), 세리프 페이지플러스(Serif PagePlus) 및 쿼크익스프레스(QuarkXPress)와 같은 주요 페이지 레이아웃 프로그램 중 하나에서 조립한다.

많은 무료 및 오픈 소스 프로그램도 전문가와 일반 그래픽 디자이너 모두에게 사용된다. 잉크스케이프(Inkscape)는 확장 가능 벡터 그래픽(Scalable Vector Graphics)(SVG)를 기본 파일 형식으로 사용하며 다른 형식의 가져오기와 내보내기를 허용한다. 사용되는 다른 오픈 소스 프로그램으로는 사진 편집 및 이미지 조작을 위한 짐프(GIMP), 디지털 페인팅을 위한 크리타(Krita), 페이지 레이아웃을 위한 스크리버스(Scribus)가 있다.

5. 윤리적 고려사항

그래픽 디자이너는 정보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유해한 고정관념을 피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특히 광고 및 마케팅 자료에서는 허위 또는 과장된 정보를 제공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51][52][53]

정보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은 그래픽 디자인의 핵심적인 윤리적 고려 사항 중 하나이다. 광고 또는 마케팅 자료에 제시된 모든 주장이나 진술은 사실이며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어야 한다.[51] 예를 들어, 회사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오해의 소지가 있는 통계를 사용하거나 그 이점에 대해 허위 주장을 해서는 안 된다. 그래픽 디자이너는 그래프, 차트 및 이미지와 같은 모든 시각적 요소에서 정보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데이터를 왜곡하거나 잘못 표현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52]

또한, 유해한 고정관념을 피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53] 인종, 성별, 종교 또는 기타 특징을 기반으로 부정적이거나 유해한 고정관념을 영속시키는 이미지나 메시지를 피해야 한다. 그래픽 디자이너는 모든 개인과 공동체를 포용하고 존중하는 디자인을 만들고, 부정적인 태도나 편견을 강화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6. 미래 전망

그래픽 디자인의 미래는 새로운 기술과 사회적 동향에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54]

인공지능,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과 같은 기술 발전은 그래픽 디자이너의 작업 방식과 디자인 제작 방식을 변화시킬 것이다. 예를 들어, 기계 학습 알고리즘은 대규모 데이터 세트를 분석하고 패턴과 추세를 기반으로 디자인을 생성하여, 디자이너가 더 복잡하고 창의적인 작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가상 및 증강 현실 기술은 사용자에게 몰입형 인터랙티브 경험을 제공하고, 디지털 세계와 물리적 세계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 수 있다.[55] 하지만 인공지능은 브랜드 정체성 유지, 품질 보장, 편향 문제, 창의적 통제력 유지 등 여러 과제를 야기하기도 한다.[56]

사회적 동향 또한 그래픽 디자인의 미래를 형성할 것이다. 소비자의 환경 문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지속 가능성을 우선시하고 폐기물을 최소화하는 디자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개인과 공동체를 대표하고 접근 가능한 디자인을 만들려는 디자이너들의 노력과 함께, 디자인에서 포용성과 다양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57]

참조

[1] 웹사이트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Graphic Design https://web.archive.[...] College of Liberal Arts 2021-10-13
[2] 웹사이트 From the shadow to the centre: Tensions, contradictions and ambitions in building graphic design as a profession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Coimbra 2022-08-07
[3] 논문 Characteristics of Design as an Academic and Creative Discipline Ural Federal University 2020-08-25
[4] 웹사이트 Vigencia de la Bauhaus en la formación académica de los diseñadores gráficos https://web.archive.[...] Francisco José de Caldas District University 2016-03-04
[5] 웹사이트 Graphic Design https://web.archive.[...] College of the Sequoias 2022-08-26
[6] 웹사이트 Professional Graphics Design https://web.archive.[...] Scholar IT Institute 2022-08-26
[7] 서적 Principles of Form and Design 1995
[8] 웹사이트 How Graphic Design Can Make Flying Just a Little Bit Safer http://nautil.us/blo[...] Nautilus 2014-07-25
[9] 웹사이트 NASA needs more than just rocket scientists https://udayton.edu/[...] University of Dayton 2019-10-22
[10] 웹사이트 We Are NASA: Reese Patillo, Junior Animator/Graphic Designer (Contractor) https://www.nasa.gov[...]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2021-03-04
[11] 웹사이트 Graphic design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2-03-16
[12] 서적 The Origins of Graphic Design in America, 1870–192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7-01-01
[13] 서적 Diseño y Comunicación 1988
[14] 웹사이트 Blue Pencil no. 46—Yet more on the early history of the term "graphic design" https://www.paulshaw[...] 2020-06-01
[15] 웹사이트 The Definitive Dwiggins no. 81—Who Coined the Term 'Graphic Design'? https://www.paulshaw[...] 2018-01-07
[16] 서적 A history of graphic design Van Nostrand Reinhold 1983
[17] 웹사이트 10 Things You Never Knew About The Graphic Design History https://www.designhi[...] 2018-01-02
[18] 서적 Chinese History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2000
[19] 웹사이트 Treasures of the McDonald Collection – Special Collections & Archives Research Center https://scarc.librar[...]
[20] 서적 A Companion to the History of the Book John Wiley & Sons 2011-08-24
[21] 웹사이트 V&A · William Morris: literature and book design https://www.vam.ac.u[...]
[22] 웹사이트 V&A · William Morris textiles https://www.vam.ac.u[...]
[23] 서적 William Morris Faber and Faber 1996
[24] 서적 Graphic Design: A New History, Third Edi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19-05-21
[25] 웹사이트 W.A. Dwiggins and "graphic design": A brief rejoinder to Steven Heller and Bruce Kennett https://www.paulshaw[...] www.paulshawletterdesign.com
[26] 논문 The Sign of the Self in the Metropolis Oxford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Graphic Design https://www.printmag[...] 2013-03-27
[28] 웹사이트 Designing Modern Britain – Design Museum Exhibition http://designmuseum.[...]
[29] 서적 A History of Graphic Design John Wiley & Sons, Inc.
[30] 논문 From Pictures to Textile Prints https://www.jstor.or[...] 1976
[31] 서적 Advertising Design and Typography https://books.google[...] Allworth Press 2010-09-21
[32] 서적 Modernism in Art Design and Architecture St. Martin's Press 2000
[33] 웹사이트 ฿Emigre Essays http://www.emigre.co[...] Emigre.com
[34] 웹사이트 max bruinsma http://maxbruinsma.n[...] Maxbruinsma.nl
[35] 웹사이트 Butterick's Practical Typography Jones McClure 2015-02-17
[36] 서적 Layout essentials 100 design principles for using grids Quarto Publishing Group USA
[37] 웹사이트 thumbnails http://desktoppub.ab[...] 2008-03-19
[38] 웹사이트 Milton Glaser Draws & Lectures http://vimeo.com/698[...] 2011-01-31
[39] 웹사이트 Designtalkboard.com http://www.designtal[...] 2007-03-18
[40] 서적 Creative Computer Tools for Artists: Using Software to Develop Drawings and Paintings 2001-11
[41] 서적 Wireframing Essentials Packt Publishing, Limited 2014
[42] 웹사이트 1.0 Experiential Graphic Design: A Physical Relationship http://faculty.wwu.e[...] 2021-04-13
[43] 웹사이트 Design Rockism http://www.aiga.org/[...]
[44] 웹사이트 Graphic Designers: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https://www.bls.gov/[...] 2023-03-26
[45] 웹사이트 Graphic Designers : Occupational Outlook Handbook: : U.S. Bureau of Labor Statistics https://www.bls.gov/[...] 2017-10-27
[46] 잡지 The Rise of Crowdsourcing https://www.wired.co[...] WIRED Magazine 2013-10-24
[47] 웹사이트 The Long History of Crowdsourcing – and Why You're Just Now Hearing About It http://www.crowdsour[...] Crowdsource.com 2013-08-15
[48] 논문 The Impact of Graphic Design on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ing 2020
[49] 논문 The Influence of Typography on Consumer Behavior 2019
[50] 논문 Visualizing Consumer Behavior and Decision Making in the Age of Big Data 2018
[51] 간행물 AIGA Standards of Professional Practice 2018
[52] 서적 Ethics and Advertising Routledge 2019
[53] 논문 The Ethics of Graphic Design 2019
[54] 논문 Building Bridges to the Future of Graphic Design Education 2018
[55] 논문 Needs, Affect, and Interactive Products: Facets of User Experience 2010
[56] 논문 Challenges Faced by Graphic Designers in Developing Brand Communication within the Realm of Artificial Intelligence Atlantis Press 2024
[57] 논문 Graphic Design and Social Change: Raising Awareness of Gender-Based Violence through Advocacy Design 2017
[58] 백과사전 グラフィックデザイン
[59] 서적 1996
[60] 서적 2013
[61] 서적 2015
[62] 서적 2013
[63] 서적 2014
[64] 서적 2016
[65] 웹사이트 JAGDA VISUALOGUE:the Book http://www.jagda.or.[...] 2017-06-30
[66] 웹사이트 名古屋市役所 http://www.city.nago[...] 2017-06-30
[67] 서적 2004
[68] 웹사이트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Graphic Design https://libarts.olem[...] College of Liberal Arts 2021-1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