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선 (화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선은 1676년에 태어나 1759년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화가이다. 그는 진경산수화의 선구자로서, 한국의 산천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독자적인 화풍을 확립했다. 김창집의 추천으로 도화서 화원이 되었으며, 하양, 청하, 양천 현감을 역임했다. 금강산을 비롯한 전국 명승지를 여행하며 그림을 그렸고, 대표작으로는 국보 제216호 인왕제색도와 제217호 금강전도가 있다. 정선의 화풍은 한국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1000원 지폐 도안에 그의 작품이 사용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 정씨 - 정춘수
    정춘수는 일제강점기에 친일 행위를 하여 비판받았으며, 감리교 목사로 3·1 운동에 참여했으나 친일 행적으로 전환하여 조선 감리교회 감독을 역임하고 신사참배 강요 및 비행기 헌납을 주도하다가 해방 후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에 체포된 인물이다.
  • 광주 정씨 - 정희섭
    정희섭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군인, 정치인, 의사로 활동했으며, 광복군 의무병으로 독립운동에 참여하고 육군 준장으로 전역한 후 보건사회부 장관과 국회의원을 역임하다가 사망했다.
  • 1676년 출생 - 프레드리크 1세
    프레드리크 1세는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참전하고 울리카 엘레오노라 여왕의 퇴위로 스웨덴 국왕이 되었으며, 대북방 전쟁 패배를 겪고 스웨덴 자유 시대를 열었으나 실제 통치에는 거의 관여하지 않았다.
  • 1676년 출생 - 알렉산더 셀커크
    알렉산더 셀커크는 선장과의 불화로 무인도에 자발적으로 고립되어 4년 4개월간 생활한 스코틀랜드 선원으로, 그의 표류 경험은 소설 《로빈슨 크루소》의 모티브가 되었으며, 귀환 후 해군 복무 중 황열병으로 사망했다.
정선 (화가)
지도
기본 정보
이름정선
한자 이름鄭敾
로마자 표기Jeong Seon
출생일1676년 2월 16일
출생지서울 종로구 청운동 (현대)
사망일1759년 4월 20일
사망지서울 종로구 청운동 (현대)
본관원백
겸재, 난곡
활동 분야
직업화가, 서예가
화풍진경산수화
주요 작품인왕제색도
금강전도
관직 경력
소속 관서도화서
관직관상감 겸 천문학 교수
경상도 하양현감
경상도 청하현감
경기도 양천현령
재임 기간1716년 ~ 현재
1721년 ~ 1726년
1733년 ~ 1735년
1740년 ~ 1745년
군주조선 숙종 이순
조선 경종 이윤
조선 영조 이금
섭정왕세자 이윤
왕세제 이금
기타 정보
영향김창집
동시대 화가심사정
조영석
이미지
독서여가, 정선의 자화상으로 추정
「독서여가」 자신의 모습을 그린 것으로 여겨짐

2. 생애

정선(鄭敾)은 1676년 2월 16일 종로구 청운동(Cheongun-dong)에서 태어났다. 그는 광주 출신의 명문 양반 가문 후손으로, 어릴 적부터 뛰어난 예술적 재능을 보였다. 20세에 김창집(金昌集)의 천거로 도화서의 화원이 되었고 이후 현감(縣監)에 이르렀다.

가정 형편은 매우 가난하여 양반이 여가를 즐기며 그리는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학자화가가 되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주변 유력 인사들과 교류하게 되었고, 그들의 추천으로 도화서(Joseon Bureau of Paintings)에서 일하며 여러 후원자와 고객을 위해 풍경화를 제작했다.

36세(1711년)에는 지방관 박태유(朴泰兪, 1648~1746)와 함께 금강산을 여행하고 13점의 그림으로 구성된 화첩 『금강산 신묘년도(楓岳山 辛卯年圖)』를 제작했다. 이듬해에는 금강산을 다시 여행하여 30점의 그림으로 구성된 화첩 『해악전신도(海岳全眞圖)』를 제작했다.

1716년(41세)에는 관상감(觀象監) 겸교수(兼敎授)직에 임명되었다. 그는 하양 현감(1721~1726), 청하 현감(약 1733년), 양천 현감(1740~1745)을 역임했다. 후에 영조(King Yeongjo of Joseon)로부터 1754년 종4품, 1756년 종2품 벼슬을 받는 등 많은 영예를 누렸다.

처음에는 중국 남화(南畵)에서 출발했으나 30세를 전후하여 한국 산수화의 독자적인 특징을 살린 산수사생(山水寫生)의 진경(眞景)으로 전환하여 동방 진경산수화의 종화(宗畵)가 되었다. 여행을 즐겨 금강산 등 전국 명승을 두루 찾아다니면서 그림을 그렸는데,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 관아재(觀我齋) 조영석(趙榮祏)과 함께 삼재(三齋)라고 불렀다.

10년이 지나자 정선은 실학 사상의 영향을 받아 더욱 사실적인 자신만의 화풍을 발전시켰다. 그의 손자인 정황(鄭榥)(1737–?)은 진경산수화 외에 풍속화도 그렸다.

3. 화풍 및 특징

정선은 조선 후기 화가로, 한국의 실제 경치를 그리는 진경산수화풍을 확립했다. 초기에는 중국 남화의 영향을 받았으나, 30세를 전후하여 한국 산수화의 특징을 살린 독자적인 화풍을 개척했다.

정선의 그림은 강한 농담의 대비와 청색을 주로 사용하여 암벽의 질감을 표현한 것이 특징이다. 문재(文才)가 없어 화제(畵題) 없이 서명과 낙관만 있는 점이 특이하다. 그의 그림에는 다채로운 숨은 그림들이 많았다고 한다.

정선은 먹과 선을 여러 겹으로 겹쳐 농담을 표현하고, 숲은 안개와 폭포로 밝게 표현했다. 식물은 점으로 묘사했는데, 이는 중국 화가 미불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이러한 정선의 화풍은 당대에는 후계자가 없어 이어지지 못했지만, 이후 여러 세대의 한국 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쳐 한국 민족주의의 상징적인 이미지 중 하나가 되었다.

소악루(小岳樓)

3. 1. 진경산수화

20세에 김창집의 천거로 도화서의 화원이 되었고 이후 현감(縣監)에 이르렀다. 처음에는 중국 남화에서 출발했으나 30세를 전후하여 한국 산수화의 독자적인 특징을 살린 산수사생(山水寫生)의 진경(眞景)으로 전환하여 동방 진경산수화의 종화(宗畵)가 되었다.

여행을 즐겨 금강산 등 전국 명승을 두루 찾아다니면서 그림을 그렸는데, 현재(玄齋) 심사정, 관아재(觀我齋) 조영석과 함께 삼재(三齋)라고 불렀다. 강한 농담(濃淡)의 대조 위에 청색을 주조(主調)로 하여 암벽(岩壁)의 면과 질감을 나타낸 새로운 경지를 개척했으나 후계자가 없어 그의 화풍은 당대에 그쳤다.

정선은 조선 후기 가장 저명한 화가였다. 진경산수화를 그린 최초의 화가로, 이전의 기법과 전통적인 중국 화풍과는 달리 한국의 미덕을 묘사하는 새로운 화풍을 창조했다.[2] 실학 사상의 영향을 받아 더욱 사실적인 자신만의 화풍을 발전시켰는데, 이는 당시 유행하던 이상화되고 추상적인 중국 문인화의 전통과 그를 구별짓는 요소였다. 그의 손자인 정황(1737–?)은 진경산수화 외에 풍속화도 그렸다.

망양정


정선은 전통적인 중국 화풍에서 벗어난 몇 안 되는 한국 화가 중 한 명이었다. 종종 화실을 나와 눈앞에 보이는 세상을 그렸다고 전해지며, 붓의 과감한 획으로 산과 계곡과 같은 자연 풍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을 개발했다. 그의 작품은 먹과 선의 여러 겹으로 만들어낸 농담이 섞인 부분이 주요 특징이며, 산에는 숲이 있고 숲은 안개와 폭포로 밝아진다. 식물은 중국 화가 미불의 영향을 받아 점으로 표현했다. 정선의 화풍은 여러 세대의 한국 화가들에게 영향을 미쳤고, 한국 민족주의의 상징적인 이미지 중 하나가 되었다.

3. 2. 평가

강세황은 겸재 정선이 실제 경치를 잘 그린다는 점을 알고 있었다.[2] 그러나 강세황은 진경을 그릴 때는 각 장면에 알맞은 화법을 찾아 그려야 한다고 생각하였다.[2] 그래서 그는 자신의 기준에 따라 정선의 산수화를 비평하였다.

정선은 조선 후기 가장 저명한 화가 중 한 명으로, 다른 한국 화가들에게 영향을 주어 한국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는 한양(서울)의 아름다운 경치, 한강, 동해, 금강산 등을 탐구하며 진경산수화를 그린 최초의 화가이다. 이전의 기법과 전통적인 중국 화풍과는 달리, 그는 한국의 미덕을 묘사하는 새로운 화풍을 창조했다.

10년이 지나자 정선은 실학 사상의 영향을 받아 더욱 사실적인 자신만의 화풍을 발전시켰는데, 이는 당시 유행하던 이상화되고 추상적인 중국 문인화의 전통과 그를 구별 짓는 요소였다. 그의 손자인 정황(鄭榥)(1737–?)은 진경산수화 외에 풍속화도 그렸다.

4. 주요 작품

정선은 매우 많은 작품을 남겼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입암도, 혼혼해색도, 덕수궁 미술관 소장의 선인도해도, 산창유죽도, 의송관란도, 노산폭포도, 사직노송도, 청풍계도 외에도, 금강산 정양사도, 해금강도, 노산초당도, 통천 문암도, 봉래산 불정대도, 석굴암도,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등 개인 소장 작품도 다수 있다.

2007년부터는 1000권 지폐 뒷면에 정선의 계상정거도가 사용되고 있다.


4. 1. 대표작

79.2 cm × 138.2 cm리움, 삼성미술관
2금강전도
금강산 봄 풍경금강전도1734수묵담채, 종이
130.7 cm × 94.1 cm호암미술관
3금강전도
전경금강전도1750년대비단 채색화
33.3 x 54.6 cm외꽌 수도원
4풍악내산총람도
금강산 가을 풍경풍악내산총람도1740년대비단 채색화
100.8×73.8 cm간송미술관
5인곡유거
정선의 은거처, 인왕산 아래인곡유거도1742수묵담채, 종이
27.5 x 27.3 cm간송미술관
6소요정소요정18세기수묵담채, 비단
130.7 cm × 94.1 cm개인 소장
7청풍계청풍계18세기수묵담채, 비단
96.5 x 36.1 cm고려대학교 박물관
8박연폭포박연폭포18세기수묵담채, 종이
119.4×51.9 cm개인 소장
9광진광진18세기수묵담채, 비단
20 x 31.5 cm간송미술관
10자하동
종로구의 한 마을자하동18세기수묵담채, 종이
33.7 x 29.5 cm간송미술관--11개화사개화사18세기수묵담채, 종이
31 x 24.8 cm간송미술관12동작진동작진18세기수묵담채, 종이
18.5 x 27.5  cm개인 소장
13귀래정귀래정18세기수묵담채, 종이
23 x 25 cm개인 소장
14이수정이수정18세기수묵담채, 비단
23 x 25 cm개인 소장
15도산서원도산서원도18세기개인 소장
16죽서루죽서루1738수묵담채, 종이
32.3 x 57.8 cm간송미술관
17창의문창의문18세기수묵담채, 종이
29.5 x 33.2 cm국립중앙박물관
18인곡정사인곡정사1742수묵담채, 종이
22.5 x 32.5 cm개인 소장
19망양정망양정18세기수묵담채, 종이
32.3 x 57.8 cm간송미술관--20추일한묘
가을날 한가로운 고양이추일한묘18세기
21육상묘도육상묘도1739수묵담채, 비단
146.5 x 63 cm개인 소장
22선유봉선유봉1740년대소장처 미상
23소악루
성산 아래 정자소악루담채화간송미술관24풍악산, 신묘년
박태유(1648-1746)와 함께 한 여행 화첩辛卯年楓岳圖帖171125사실적인 산수화171226노송영지노송영지1755



2007년부터 1000권 지폐 뒷면에 계상정거도가 사용되고 있다.

4. 2. 기타 작품

79.2cm × 138.2cm리움, 삼성미술관2.금강전도
(금강산 봄 풍경)金剛全圖1734수묵담채, 종이
130.7cm × 94.1cm호암미술관3.금강전도
(전경)金剛全圖1750년대비단 채색화
33.3cm x 54.6cm외꽌 수도원4.풍악내산총람도
(금강산 가을 풍경)楓岳內山摠覽圖1740년대비단 채색화
100.8cm×73.8cm간송미술관5.인곡유거
(정선의 은거처, 인왕산 아래)仁谷幽居圖1742수묵담채, 종이
27.5cm x 27.3cm간송미술관6.소요정逍遙亭18세기수묵담채, 비단
130.7cm × 94.1cm개인 소장7.청풍계淸風溪18세기수묵담채, 비단
96.5cm x 36.1cm고려대학교 박물관8.박연폭포朴淵瀑布18세기수묵담채, 종이
119.4cm×51.9cm개인 소장9.광진廣津18세기수묵담채, 비단
20cm x 31.5cm간송미술관10.자하동
(종로구의 한 마을)紫霞洞18세기수묵담채, 종이
33.7cm x 29.5cm간송미술관--11.개화사開花寺18세기수묵담채, 종이
31cm x 24.8cm간송미술관12.동작진銅雀津18세기수묵담채, 종이
18.5cm x 27.5cm개인 소장13.귀래정歸來亭18세기수묵담채, 종이
23cm x 25cm개인 소장14.이수정二水亭18세기수묵담채, 비단
23cm x 25cm개인 소장15.도산서원陶山書院圖18세기개인 소장16.죽서루竹西樓1738수묵담채, 종이
32.3cm x 57.8cm간송미술관17.창의문彰義門18세기수묵담채, 종이
29.5cm x 33.2cm국립중앙박물관18.인곡정사仁谷精舍1742수묵담채, 종이
22.5cm x 32.5cm개인 소장19.망양정望洋亭18세기수묵담채, 종이
32.3cm x 57.8cm간송미술관--20.추일한묘
(가을날 한가로운 고양이)秋日閑猫18세기21.육상묘도毓祥廟圖1739수묵담채, 비단
146.5cm x 63cm개인 소장22.선유봉仙遊峰1740년대소장처 미상23.소악루
(성산 아래 정자)小岳樓담채화간송미술관24.풍악산, 신묘년
(박태유(1648-1746)와 함께 한 여행 화첩)辛卯年楓岳圖帖171125.사실적인 산수화[1]171226.노송영지老松靈芝1755



2007년부터 발행된 1000권 지폐 뒷면에는 정선의 계상정거도(溪上靜居圖)가 사용되고 있다.

5. 영향

정선은 가장 유명한 한국 화가 중 한 명이다.[1] 그는 다른 한국 화가들에게 영향을 주어 한국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는 조선 후기 가장 저명한 화가였다. 정선은 한양(서울)의 아름다운 경치, 한강, 동해, 그리고 금강산을 탐구했다. 그는 진경산수화를 그린 최초의 화가이다. 이전의 기법과 전통적인 중국 화풍과는 달리, 그는 한국의 미덕을 묘사하는 새로운 화풍을 창조했다.[2]

10년이 지나자 정선은 실학 사상의 영향을 받아 더욱 사실적인 자신만의 화풍을 발전시켰다. 이것은 당시 유행하던 이상화되고 추상적인 중국 문인화의 전통과 그를 구별짓는 요소였다. 그의 손자인 정황(鄭榥)(1737–?)은 진경산수화 외에 풍속화도 그렸다.

참조

[1] 웹사이트 정선(鄭歚) 한국역대인물정보시스템 - 정선 http://people.aks.ac[...]
[2] 서적 1월의 문화인물 미술인 강세황 문화체육부·한국문화예술진흥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