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착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착지는 인류가 거주하는 장소를 의미하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인류 정착의 역사는 구석기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농업의 발명은 정착지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정착지는 주거 밀집도에 따라 집촌과 흩어진 마을로, 기능에 따라 도시와 마을로 분류된다. 각 지역별로 도시 발달의 양상이 다르며, 통계적으로도 다양한 분류 기준이 존재한다. 지리 공간 모델링 분야에서는 정착지를 연구하고, 전 지구적 인간 정착지 레이어를 통해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정착지는 경제적 요인, 자연재해, 정부 정책 등으로 인해 소멸되기도 하며, 유령 도시와 같은 형태로 남기도 한다.
인류는 수렵채취 생활을 하던 시대에는 한 곳에 머무르지 않고 자주 이동했다. 구성원 수가 적고 특정 장소에 정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 시대의 거주지는 일반적으로 집락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농업이 시작되면서 사람들은 땅에 정착하고 생산량이 증가하여 인구가 늘어나게 되었다.
경관 역사는 정착지의 형태(형태론)를 연구하는데, 예를 들어 정착지가 분산형인지 핵심형인지를 연구한다. 도시 형태론은 특수한 유형의 문화·역사적 경관 연구로 간주될 수 있다. 정착지는 크기, 중심성 등에 따라 순서가 정해져 정착지 계층을 정의할 수 있다. 정착지 계층은 전 세계의 정착지를 분류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한 국가에서 "마을"이라고 불리는 정착지가 다른 국가에서는 "촌락"일 수 있으며, 어떤 국가의 "대도시"는 다른 국가에서는 "도시"일 수 있다.
2. 역사
2. 1. 초기 정착지
인류 정착지의 가장 오래된 지리적 증거는 제벨 이르후드로, 8명의 초기 현생 인류 유적이 약 30만 년 전 중기 구석기 시대의 것으로 밝혀졌다.[1]
건설된 주거지의 가장 오래된 유적은 갈릴리 호수 근처의 오할로 유적지(현재 수중)에서 발견된 약 기원전 17,000년경의 진흙과 나뭇가지로 만든 오두막 유적이다.[1] 나투프 문화인들은 기원전 10,000년경 레반트 지역에서 주택을 건설했다.[1] 마을과 같은 정착지의 유적은 농업 발명 이후 훨씬 더 흔해졌으며, 그중 가장 오래된 것은 이라크에 위치한 야르모이다.[1]
고대 인류가 수렵채취 생활을 영위하던 시대에는 일시적인 거주지는 있었지만, 같은 장소에서 반복적으로 수렵과 채취를 하면 사냥감이나 채집물이 감소하므로 자주 이동했다. 구성원 수가 적고 특정 장소에 정착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이 시대의 거주지를 집락이라고 부르지는 않는다.[1]
농업이 시작되면서 땅에 정착하고 생산량이 증가하여 인구가 증가하게 된다.[1] 최초의 집락은 현재 시리아에 있는 텔 아브 후레이라(텔은 유적 언덕을 의미한다. 간단히 아브 후레이라라고도 한다. 현재는 수몰되어 있지만, 댐 건설 사전 조사에서 밝혀졌다)로 여겨진다.[1] 확인된 것 중 가장 오래된 집락은 기원전 1만 1500년경의 것으로 인구는 200명이 채 되지 않았으며, 생활은 야생종의 종자를 뿌려 성장을 기다리는 등 농업의 전 단계였다고 여겨진다.[1] 그 후 인위 선택을 통해 야생종을 재배에 적합한 것으로 바꾸어 가면서 기원전 1만 1000년의 집락 유적에서는 농업의 흔적이 발견되고 있다.[1]
2. 2. 각 지역별 발전
유럽의 도시사 연구에서는 독일의 집락 평면 형태 연구를 통해 마을이 교역 중심지가 되면서 도시가 형성되고,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특권 부여를 통해 도시로 발전한다고 보았다.[12] 또한, 마을 연구를 통해 도시 외형에 따라 고립된 저택, 덩어리 마을, 길가 마을, 광장 마을 등으로 분류하고, 교통 요충지가 되면 상업 도시로, 더 나아가 성곽 건설을 통해 도시로 발전한다고 보았다.[12]
아시아의 도시사에서는 성곽 내부에 발전한 도시를 포위도시, 주위를 성곽이 둘러싸고 있지 않은 도시를 비포위도시로 분류한다.[12] 일본의 경우, 과거 도시가 형성된 위치에 현대 도시가 존재하는 등 역사적 중층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12] 오가와 타쿠지는 역사성에 주목하여 성하마을, 역참마을, 절마을, 신사마을, 광산마을, 상항마을, 군항마을로 분류하였다.[12]
2. 2. 1. 유럽
유럽 도시사에서는 독일의 집락 평면 형태 연구를 통해 마을이 교역의 중심이 됨으로써 도시가 형성되고, 더 나아가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특권의 부여를 통해 도시로 발전한다고 보았다.[12] 또한, 마을 연구를 통해 도시는 외형으로부터 고립된 저택, 덩어리 마을, 길가 마을, 광장 마을 등으로 분류되고, 그것이 교통의 요충지가 되면 상업 도시로 발전하고, 더 나아가 성곽의 건설을 통해 도시로 발전한다고 보았다.[12]
2. 2. 2. 아시아
중국 등 아시아 도시사에서는 성곽 내부에 발전한 도시를 포위도시, 주위를 성곽이 둘러싸고 있지 않은 도시를 비포위도시로 분류한다.[12]
한편, 일본 도시는 과거 도시가 형성된 위치에 중복되도록 현대 도시가 존재하는 등 역사적 중층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12] 오가와 타쿠지(小川琢治)는 역사성에 주목하여 성하마을, 역참마을, 절마을, 신사마을, 광산마을, 상항마을, 군항마을로 분류하였다.[12]
3. 정착지 형태
3. 1. 집중도에 따른 분류
'''집촌'''(集村): 주거지가 한 곳에 집중된 형태이다.
'''흩어진마을'''(散村): 주거지가 분산된 형태이다. 미국·캐나다의 타운십 제도, 일본 토나미 평야, 쿠로베가와선상지, 둔전병 마을 등이 이에 해당한다.
3. 2. 기능에 따른 분류
오늘날 도시와 마을은 인구 집중 정도나 중심 산업에 따라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1]
'''부락'''이라고도 불리지만, 현재는 차별받는 부락 문제와 관련하여 차별적인 의도가 없더라도 부락이라는 말을 피하는 경우가 있다.[1]
4. 경관 역사
경관 역사는 정착지의 형태(형태론)를 연구한다. 예를 들어, 정착지가 분산형인지 또는 핵심형인지를 연구한다. 따라서 도시 형태론은 특수한 유형의 문화·역사적 경관 연구로 간주될 수 있다. 정착지는 크기, 중심성 또는 기타 요소에 따라 순서가 정해져 정착지 계층을 정의할 수 있다. '''정착지 계층'''은 전 세계의 정착지를 분류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한 국가에서 "마을"이라고 불리는 정착지는 다른 국가에서는 "촌락"일 수 있으며, 어떤 국가의 "대도시"는 다른 국가에서는 "도시"일 수 있다.
5. 통계
각 국가 및 지역별로 정착지를 분류하고 정의하는 기준은 다양하다.
국가 | 기관 | 분류 기준 및 용어 |
---|---|---|
호주 | 호주 지질과학원(Geoscience Australia) | 인구가 200명 이상인 명명된 정착지를 "인구 밀집 지역"으로 정의[3]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통계청 | 농촌 지역: "주거 지역" 또는 "정착 지역", 도시 지역: "시정촌"과 "도시" |
불가리아 | 불가리아 정부 | 국가 주민지 목록(NRPP) 발행 |
캐나다 | 캐나다 정부 | 캐나다 아틀라스에서 "인구 밀집 지역(populated plac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를 정의하지는 않음[4] |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 통계청 | 인구를 정주지(naselja)라고 부르는 단위로 기록 |
인도 | 인도의 인구조사위원회 | 인구조사 도시에 대한 특별한 정의 |
아일랜드 | 아일랜드 중앙통계청 | 인구조사 도시에 대해 특별한 정의 사용, 2022년부터 "건축 지역"(BUAs)이라는 도시 지리 단위 도입[5] |
파키스탄 | 파키스탄 통계청(Pakistan Bureau of Statistics) | 테실(Tehsil)이라 불리는 정착 단위로 인구 기록 |
러시아 | 다양한 러시아의 인구 집중지 유형 | |
스웨덴 | 스웨덴 통계청(Statistics Sweden) | 고밀도 인구 밀집 지역을 지역(tätort)이라는 용어로 지칭, 일반적인 영어 번역은 도시 지역 |
영국 | 지역 및 지방 정부부(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 "도시 정착지"라는 용어를 도시 지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6] |
미국 | 미국 지질조사국(USGS) 지명 정보 시스템(GNIS) | 인구 밀집 지역, 인구 조사 지역, 민정 지역의 세 가지 유형의 인간 정착지 정의[8] |
5. 1. 각국의 정착지 분류
호주 지질과학원(Geoscience Australia)은 인구가 200명 이상인 명명된 정착지를 "인구 밀집 지역"으로 정의한다.[3]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통계청은 농촌 지역에는 "주거 지역" 또는 "정착 지역", 도시 지역에는 "시정촌"과 "도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불가리아 정부는 국가 주민지 목록(NRPP)을 발행한다. 캐나다 정부는 ''캐나다 아틀라스''에서 "인구 밀집 지역(populated plac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이를 정의하지는 않는다.[4] 크로아티아 통계청은 인구를 정주지(''naselja'')라고 부르는 단위로 기록한다. 인도의 인구조사위원회는 인구조사 도시에 대한 특별한 정의를 가지고 있다. 아일랜드 중앙통계청은 인구조사 도시에 대해 특별한 정의를 사용해왔으며, 2022년부터 "건축 지역"(BUAs)이라는 도시 지리 단위를 도입했다.[5] 파키스탄 통계청(Pakistan Bureau of Statistics)은 테실(Tehsil)이라 불리는 정착 단위로 인구를 기록한다. 러시아에는 다양한 러시아의 인구 집중지 유형이 있다. 스웨덴 통계청(Statistics Sweden)은 고밀도 인구 밀집 지역을 지역(tätort)이라는 용어로 지칭하며, 일반적인 영어 번역은 ''도시 지역''이다. 영국 지역 및 지방 정부부(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는 "도시 정착지"라는 용어를 도시 지역을 나타내는 데 사용한다.[6] 미국 지질조사국(USGS)의 지명 정보 시스템(GNIS)은 '''인구 밀집 지역''', '''인구 조사 지역''', '''민정 지역'''의 세 가지 유형의 인간 정착지를 정의한다.[8]6. Geospatial modeling
지리 공간 예측 모델링 분야에서 정착지는 "사람들이 살고 일하는 도시, 마을, 촌락 또는 건물들의 집합체"를 의미한다.[1]
전 지구 인간 정착지 레이어(Global Human Settlement Layer, GHSL) 프레임워크는 시간에 따른 지구상 인간의 존재에 대한 전 지구적 공간 정보를 생성한다. 이는 건축물 분포도, 인구 밀도 지도, 정착지 지도 형태로 제공된다. 이 정보는 새로운 공간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사용하여 증거 기반 분석 및 지식을 통해 생성된다. 이 프레임워크는 고해상도 위성 영상의 글로벌 아카이브, 인구 조사 데이터 및 자발적 지리 정보를 포함한 이종 데이터를 사용한다. 데이터는 완전 자동으로 처리되며 인구와 건축 인프라의 존재에 대한 분석 및 지식 보고서를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생성한다. GHSL은 개방적이고 무료인 데이터 및 방법 접근 정책(개방형 입력, 개방형 방법, 개방형 출력)에 따라 운영된다.
7. 정착지 소멸
정착지는 마을을 떠받치던 경제 활동이 실패하거나, 댐 건설로 마을이 물에 잠기는 등의 정부 조치, 또는 홍수, 무법 상태, 전쟁과 같은 자연재해나 인재 때문에 소멸될 수 있다. 이 용어는 과거보다 인구가 훨씬 감소했지만 여전히 사람이 거주하는 도시, 마을, 지역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때로는 유령 도시처럼 건물이 여전히 쉽게 접근 가능하며, 관광 명소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유령 도시처럼 보이는 일부 지역은 정부 기관에서 여전히 주거지로 분류될 수 있다.
참조
[1]
서적
GeoSpatial Semantics: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GeoS 2011, Brest, France
http://eprints.bibli[...]
2012-06-06
[2]
웹사이트
Medieval Settlement Research Group
http://www.britarch.[...]
2008-04-25
[3]
웹사이트
NTMS Specifications (250K & 100K): Populated place
https://web.archive.[...]
Australian Government
2011-07-26
[4]
웹사이트
Glossary Search Results
https://web.archive.[...]
Natural Resources Canada
2011-07-26
[5]
웹사이트
Census 2022 Urban Boundaries and Built Up Areas
https://www.cso.ie/e[...]
Central Statistics Office
2023-06-21
[6]
웹사이트
Urban Settlement 2001
http://www.communiti[...]
2010-12-23
[7]
웹사이트
Scottish census information
http://www.gro-scotl[...]
[8]
웹사이트
Feature Class Definitions
http://geonames.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1-07-26
[9]
웹사이트
Maps of Kolmanskop – Namibia 2012
https://archive.toda[...]
MapAtlas.org
2012-02-11
[10]
웹사이트
Feature Designation Code Lookup
https://web.archive.[...]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2012-02-11
[11]
웹사이트
GeoNames Feature Codes
http://www.geonames.[...]
GeoNames
2012-02-11
[12]
서적
都市地理学研究ノート
[13]
서적
GeoSpatial Semantics: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GeoS 2011, Brest, France
http://eprints.bibli[...]
[14]
웹인용
Medieval Settlement Research Group
http://www.britarch.[...]
2021-0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