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온 (예배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온은 기독교 전례에서 포도주를 담은 성작에 따뜻한 물을 섞는 행위 또는 그에 사용되는 그릇을 의미한다. 고대 그리스의 물과 포도주를 섞어 마시는 관습에서 유래되었으며, 정교회에서 성체 분배 후 사제가 축복한 따뜻한 물을 성작에 부어 예수의 십자가형 당시 옆구리에서 흘러나온 물과 그리스도의 몸이 생명을 준다는 기독교 신념을 상징한다. 제온 그릇은 그리스와 슬라브 전통에 따라 주전자 또는 컵 모양으로 사용되며, 두 전통 모두 성작 전체를 데울 수 있는 충분한 양의 물을 담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찬용품 - 성찬 포도주
    성찬 포도주는 기독교 성찬례에 사용되는 포도주로, 초기 교회부터 사용되었으며, 서방 교회에서는 사제만 마시는 형태로 변화했으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빵과 함께 나누는 것이 널리 퍼졌다.
  • 비잔티움 전례 - 비잔틴 전례
    비잔틴 전례는 동방 정교회와 일부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 사용되는 전례 전통으로, 수도원과 성지의 문화 교류를 통해 형성되었으며 콘스탄티노플과 아토스 산 수도원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여 다양한 전례 형태와 일일 기도 순환 구조, 칠성사를 포함하는 '거룩한 신비' 개념, 그리고 다양한 전례서를 특징으로 한다.
  • 비잔티움 전례 - 미리 축성된 성찬예배
    미리 축성된 성찬예배는 동방 정교회와 비잔틴 가톨릭 교회에서 사순절 기간 동안 거행되는 특별한 성찬예배로, 미리 축성된 성체를 사용하여 예식을 진행하며 사회적 책임 실천과 공동체 духовное укрепление을 강조한다.
  • 오리엔트 정교회 - 칼케돈 공의회
    칼케돈 공의회는 에우티케스의 단성론 논쟁 해결을 위해 451년에 소집된 제4차 전례 공의회로,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동시에 지닌 단일 인격이라는 칼케돈 신조를 채택하여 두 본성의 불가분리성을 천명했으나, 일부 동방 교회의 거부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주교의 지위 상승으로 기독교 분열과 로마 교황청과의 갈등을 야기했다.
  • 오리엔트 정교회 - 수도복
    수도복은 수도자나 성직자들이 입는 특별한 의복으로, 불교의 가사, 기독교의 수도복 등 종교 및 종파에 따라 형태와 의미가 다양하며 각 종교의 전통과 가치관을 반영한다.
제온 (예배식)
전례
이름
그리스어제온 (Ζέον)
로마자 표기Zeon
의미뜨거움, 열기
개요
정의축복된 뜨거운 물. 성찬례 중 성체성혈이 거행된 후, 사제가 성작에 붓는 뜨거운 물을 의미한다.
사용
시기정교회의 성찬례
목적성혈의 마지막 방울까지 깨끗하게 씻어내고, 신자들이 성체성혈을 영한 후 성작을 깨끗이 닦는 데 사용된다.
상징성령의 따뜻함, 믿음의 열정, 순교자의 뜨거운 피, 그리스도의 옆구리에서 흘러나온 피와 물을 상징한다. 또한 신자들이 영성체 후 느끼는 따뜻함과 감사를 나타낸다.
역사 및 기원
유래예루살렘의 관습에서 유래되었으며, 원래는 먼 거리를 이동하는 동안 포도주가 얼지 않도록 데우는 실용적인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발전시간이 지나면서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받아, 성령의 따뜻함, 믿음의 열정, 그리스도의 옆구리에서 흘러나온 피와 물을 상징하게 되었다.
기타
참고제온은 성작을 씻어내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신성한 것으로 간주된다.

2. 기원

물과 포도주를 섞는 관습은 이미 고대 그리스에 존재했다. 그러나 섞지 않은 포도주를 마시는 것은 흔치 않았으며, 그렇게 묘사되었다.[1] 세파르디 히브리인들은 키두쉬 포도주와 물을 섞는 메지가(meziga)라는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 정교회와 세파르딤의 이러한 관습은 같은 동양의 기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3. 의식 절차

성체 분배 직후, 복사부제에게 더운 물을 담은 그릇을 건네준다. 부제는 그것을 사제에게 가져가 "주님, 더운 물을 축복해 주십시오."라고 말한다. 사제는 오른손으로 그것을 축복하며 "주님의 성도들의 열정이 복을 받으시기를, 영원히, 지금 그리고 항상, 그리고 영원히 영원히. 아멘."이라고 말한다. 부제는 십자 성호를 그으며 더운 물의 일부를 성작에 붓고 "믿음의 열정, 성령으로 충만합니다."라고 말한다.[2]

3. 1. 상징적 의미

성체 분배 직후, 복사부제에게 더운 물을 담은 그릇을 건네준다. 부제는 그것을 사제에게 가져가 "주님, 더운 물을 축복해 주십시오."라고 말한다. 사제는 오른손으로 그것을 축복하며 "주님의 성도들의 열정이 복을 받으시기를, 영원히, 지금 그리고 항상, 그리고 영원히 영원히. 아멘."이라고 말한다. 부제는 십자 성호를 그으며 더운 물의 일부를 성작에 붓고 "믿음의 열정, 성령으로 충만합니다."라고 말한다.[2]

따뜻한 물은 상징적으로 예수십자가형 당시 그 옆구리에서 흘러나온 물을 나타낸다. 또한 그리스도의 몸이 생명을 준다는 기독교 신념을 나타낸다. 정교회 기독교인은 그들이 예수의 부활한 몸과 그리스도의 피에 참여한다고 믿으며,[3] 성작의 따뜻함은 그 교리를 상기시켜 준다.

4. 제온 그릇

같은 용어는 이 목적에 사용되는 그릇을 묘사하는 명사로도 사용된다. 사용되는 그릇의 종류는 그리스 또는 슬라브 전례가 사용되는지에 따라 다르다. 그리스 관습에서 제온 그릇은 매우 작은 주전자 모양이며 작은 접시에 놓인다. 반면에 슬라브 관습은 평평한 손잡이가 달린 컵 모양의 더 큰 그릇을 사용하며 다소 큰 접시에 놓는다. 두 전통 모두 성작 전체를 데울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사용한다.[1]

4. 1. 그리스 전통

물과 포도주를 섞어 마시는 관습은 고대 그리스에 이미 존재했다. 그러나 섞이지 않은 포도주를 마시는 것은 흔치 않았으며, 그렇게 표시되었다. 세파르디 히브리인들은 키두쉬 포도주와 물을 섞는 메지가(meziga)라는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정교회와 세파르딤의 관습은 같은 동양의 기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같은 용어는 이 목적에 사용되는 그릇을 묘사하는 명사로도 사용된다. 사용되는 그릇의 종류는 그리스 또는 슬라브 전례가 사용되는지에 따라 다르다. 그리스 관습에서 제온 그릇은 매우 작은 주전자 모양이며 작은 접시에 놓인다. 두 전통 모두 성작 전체를 데울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사용한다.

4. 2. 슬라브 전통

물과 포도주를 섞어 마시는 관습은 고대 그리스에서 이미 존재했다. 섞이지 않은 포도주를 마시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이었다. 세파르디 히브리인들은 키두쉬 포도주와 물을 섞는 메지가(meziga)라는 관습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정교회와 세파르딤의 관습은 같은 동양의 기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슬라브 전통에서 제온 그릇은 평평한 손잡이가 달린 컵 모양의 더 큰 그릇을 사용하며 다소 큰 접시에 놓는다. 이는 성작 전체를 데울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양이다.

참조

[1] 간행물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2010-03-08
[2] 서적 Sluzhebnik: The Order of the Holy and Divine Liturgy of our Father among the Saints John Chrysostom Printshop of St. Job of Pochaev, Holy Trinity Monastery (Jordanville, New York)
[3] 서적 Service Book of the Holy Orthodox-Catholic Apostolic Church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4] 인용 Sluzhebnik: The Order of the Holy and Divine Printshop of St.Job of Pochaev, Holy Trinity Monastery (Jordanville, New York)
[5] 웹인용 The Divine Liturgy of Saint John Chrysostom https://www.goarch.o[...] 2021-12-28
[6] 인용 zeon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7] 인용 Service Book of the Holy Orthodox-Catholic Apostolic Church Antiochian Orthodox Christian Archdioce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