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임스 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임스 밀은 1773년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수학하고 스코틀랜드 교회 목사로 임명되었으나, 이후 문학 활동에 전념했다. 그는 런던으로 이주하여 문학 저널 편집자로 활동하며, 《영국 인도사》를 집필하여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는 등 공리주의적 입장을 보였다. 벤담의 사상을 적극 지지하며,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 공리주의 관련 기사를 기고했다. 주요 저서로는 《영국 인도사》, 《정치 경제학 원리》, 《인간 정신 현상 분석》 등이 있으며, 심리학, 경제학, 정치 철학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교육자 - 존 드레인
  • 스코틀랜드의 교육자 - 존 홈
    존 홈은 스코틀랜드의 극작가이자 성직자였으며,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수학하고 목사로 재직하며 희곡 『더글러스』로 성공을 거두었지만, 장로회의 반발로 성직을 사임하고 존 스튜어트 3세의 비서와 웨일즈 왕자의 가정교사를 지내다 1808년에 사망했다.
  • 앵거스 출신 - 영국 공주 마거릿
    조지 6세와 엘리자베스 왕후의 둘째 딸인 영국 공주 마거릿은 언니 엘리자베스와 함께 자라며 왕위 계승 서열 2위였고, 피터 타운젠드 대령과의 로맨스와 안토니 암스트롱-존스와의 결혼 및 이혼, 자선 활동 등으로 주목받았으며 2002년 사망했다.
  • 앵거스 출신 - 로버트 브라운 (식물학자)
    로버트 브라운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식물학자로, 세포핵을 발견하고 오스트레일리아 식물을 연구했으며, 브라운 운동을 관찰하여 식물 분류에 기여했다.
제임스 밀
제임스 밀
기본 정보
본명제임스 밀른
출생일1773년 4월 6일
출생지스코틀랜드 앵거스 주 로기 퍼트 교구 노스워터 브리지
사망일1836년 6월 23일
사망지잉글랜드 런던 켄싱턴
배우자해리엇 버로우
자녀존 스튜어트 밀
모교에든버러 대학교
학문적 배경
주요 관심사심리학
윤리학
경제학
학파/전통연합주의
고전적 자유주의
경제적 자유주의
리카도 경제학
공리주의
영향 받은 인물데이비드 하틀리
제러미 벤담
더걸드 스튜어트
데이비드 리카도
영향을 준 인물윌리엄 톰슨 (철학자)
존 스튜어트 밀
프란츠 브렌타노
주요 저서
주요 저서영국령 인도사 (1817)

2. 생애

제임스 밀은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 교육받은 후, 런던으로 이주하여 작가이자 편집자로 활동했다. 1808년 제러미 벤담을 만난 후 공리주의를 적극적으로 옹호했으며, 영국 동인도 회사에서 중요한 직책을 맡기도 했다.

그의 생애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시기내용
1773년스코틀랜드 앵거스 주 노스워터 브리지에서 출생.
몬트로즈 아카데미와 에든버러 대학교에서 교육 받음.
1789년스코틀랜드 교회 목사로 임명되었으나, 종교적 믿음을 버림.
1802년런던으로 이주하여 문필 활동 시작.
「Literary Journal」, 「St James's Chronicle」 등 편집.
1805년샤를 드 빌레르의 「루터 종교 개혁의 정신과 영향에 관한 에세이」 번역.
1808년제러미 벤담과 교류하며 공리주의 신봉.
「에든버러 리뷰」, 「자선가」 등에 기고.
1818년「영국 인도사」 출판으로 명성.
1819년인도 하우스(India House)의 인도 서신 검토관으로 임명.
1830년사무실 책임자로 승진.
1836년사망.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제임스 밀은 스코틀랜드 앵거스 주 로지 퍼트 교구 노스워터 브리지에서 구두장이이자 소규모 농부였던 제임스 밀(James Milne)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이자벨 펜턴은 자코바이트 봉기와 관련된 가문 출신으로, 아들이 일류 교육을 받도록 결심했다. 그는 교구 학교와 몬트로즈 아카데미를 거쳐 에든버러 대학교에 입학하여 뛰어난 그리스 학자로 이름을 날렸다.[5]

1789년 10월, 그는 스코틀랜드 교회 목사로 임명되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존 스튜어트 밀의 자서전에 따르면, 그의 아버지는 스코틀랜드 장로교 신앙으로 교육받았지만, 연구와 사색을 통해 계시와 자연 종교에 대한 믿음을 일찍이 거부하게 되었다.[5] 1790년부터 1802년까지 그는 여러 과외 강의로 생계를 유지하며 역사 및 철학적 연구를 수행했다. 1802년, 그는 킨카딘셔 지역구 국회의원이었던 존 스튜어트 경과 함께 런던으로 가서 문학 활동에 전념했다.

1803년부터 1806년까지 그는 「Literary Journal」의 편집자였으며, 1804년에는 곡물 수출에 대한 관세에 반대하는 논문을 썼다. 1805년에는 샤를 드 빌레르의 「루터 종교 개혁의 정신과 영향에 관한 에세이」를 번역 및 출판하고, 로마 교황 제도의 악덕에 대한 비판을 덧붙였다. 같은 해 말, 그는 「영국 인도사」 집필을 시작했다.[6]

1805년, 그는 해리엇 버로우와 결혼했고, 1806년에 장남 존 스튜어트 밀이 태어났다.

2. 2. 런던에서의 활동

1802년, 제임스 밀은 스코틀랜드에서의 경력 전망이 밝지 않자 당시 킨카딘셔 지역구 국회의원이었던 존 스튜어트 경과 함께 런던으로 가서 문학 활동에 전념했다. 1803년부터 1806년까지 그는 인간 지식의 모든 주요 분야에 대한 개요를 제공하려고 시도한 야심찬 정기 간행물인 「Literary Journal」의 편집자였다. 같은 기간 동안 그는 같은 발행인이 발행한 「St James's Chronicle」도 편집했다. 1804년에는 곡물 수출에 대한 관세(또는 '보조금')에 반대하는 논문을 썼다. 1805년에는 샤를 드 빌레르의 「루터 종교 개혁의 정신과 영향에 관한 에세이」를 번역(주석과 인용문 포함)하여 출판했으며, 로마 교황 제도의 악덕에 대한 비판도 덧붙였다. 같은 해 말경 그는 「영국 인도사(The History of British India)」 작업을 시작했는데, 예상했던 3~4년이 아닌 12년 동안 이 작업에 매달렸다.[5]

1808년, 그는 자신보다 25살 연상인 제러미 벤담과 알게 되었고, 수년 동안 그의 주요 동반자이자 동맹이 되었다. 그는 벤담의 원칙을 전적으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모든 에너지를 그 원칙들을 세상에 알리는 데 바치기로 결심했다. 1808년부터 1813년까지 「에든버러 리뷰」에 꾸준히 기고했으며, 그의 첫 번째 알려진 기사는 "돈과 환율(Money and Exchange)"이었다. 그는 또한 스페인 아메리카, 중국, 프란시스코 데 미란다, 영국 동인도 회사, 언론의 자유에 대해서도 썼다. 같은 해 「연례 리뷰」에는 "폭스의 역사에 대한 리뷰(Review of Fox's History)"와 "벤담의 법 개혁(Bentham's Law Reforms)"에 관한 기사가 실렸는데, 아마도 벤담에 대한 그의 첫 번째 출판된 언급일 것이다. 1811년, 그는 퀘이커이자 화학자인 윌리엄 앨런(1770-1843)과 함께 「자선가(Philanthropist)」라는 정기 간행물을 공동으로 제작했다. 그는 모든 호에 많은 기고를 했으며, 주요 주제는 교육, 언론의 자유, 교도소 규율(그가 벤담의 파놉티콘을 설명한 부분)이었다. 그는 벨 앤드 랭커스터 논쟁과 관련하여 교회에 대해 강력한 공격을 가했고, 1825년 런던 대학교 설립으로 이어진 논의에 참여했다. 1814년, 그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제5판 보충 자료에 공리주의를 설명하는 "법학(Jurisprudence)", "교도소(Prisons)", "정부(Government)", "국제법(Law of Nations)"에 관한 기사를 작성했다.[6]

「영국 인도사」는 1818년에 출판되어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성공을 거두었다.[6] 이 책은 저자의 운명에 큰 변화를 가져왔고, 이듬해 그는 인도 하우스(India House)에서 중요한 부서인 인도 서신 검토관(Examiner of Indian Correspondence)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점차 승진하여 1830년에는 사무실 책임자가 되었고, 급여는 1900GBP였으며 1836년에는 2000GBP로 인상되었다. 1824년부터 1826년까지 밀은 급진당의 기관지인 「웨스트민스터 리뷰」에 여러 기사를 기고하여 「에든버러 리뷰」와 「쿼터리 리뷰」, 그리고 교회 제도를 비판했다. 1831년부터 1833년까지 밀은 영국 동인도 회사의 헌장 갱신과 관련된 논쟁 중에 동인도 회사를 적극적으로 변호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는데, 그는 직책상 이사회 대변인이었다.

2. 3. 벤담과의 만남, 그리고 공리주의

1808년, 그는 자신보다 25살 연상인 제러미 벤담과 알게 되었고, 수년 동안 그의 주요 동반자이자 동맹이 되었다. 그는 벤담의 원칙을 전적으로 받아들여 자신의 모든 에너지를 그 원칙들을 세상에 알리는 데 바치기로 결심했다.[5] 그는 윌리엄 앨런과 함께 자선가(Philanthropist)라는 정기 간행물을 공동으로 제작하여 벤담의 파놉티콘을 설명한 교도소 규율을 포함, 교육, 언론의 자유등의 주제로 기고하였다. 1814년, 그는 「브리태니커 백과사전(Encyclopædia Britannica)」 제5판 보충 자료에 공리주의를 설명하는 "법학(Jurisprudence)", "교도소(Prisons)", "정부(Government)", "국제법(Law of Nations)"에 관한 주요 기사를 작성했다.[5]

2. 4. 영국 동인도 회사에서의 활동

1818년, 제임스 밀은 「영국 인도사(The History of British India)」를 출판하여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성공을 거두었다.[6] 이 책으로 인해 그의 운명은 크게 바뀌었고, 1819년 그는 인도 하우스(India House)에서 인도 서신 검토관(Examiner of Indian Correspondence)이라는 중요한 직책에 임명되었다. 그는 점차 승진하여 1830년에는 사무실 책임자가 되었으며, 급여는 1900GBP였고 1836년에는 2000GBP로 인상되었다.[7]

1831년부터 1833년까지 밀은 영국 동인도 회사의 헌장 갱신과 관련된 논쟁에서 회사를 적극적으로 변호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으며, 그는 직책상 이사회 대변인이었다.[8]

2. 5. 말년

1824년부터 1826년까지 밀은 급진당의 기관지인 「웨스트민스터 리뷰(The Westminster Review)」에 여러 기사를 기고하여 「에든버러 리뷰(Edinburgh Review)」와 「쿼터리 리뷰(Quarterly Review)」, 그리고 교회 제도를 비판했다. 1829년에는 『인간 정신 현상 분석(Analysis of the Phenomena of the Human Mind)』이 출판되었다. 1831년부터 1833년까지 밀은 영국 동인도 회사의 헌장 갱신과 관련된 논쟁 중에 동인도 회사를 적극적으로 변호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는데, 그는 직책상 이사회 대변인이었다. 1834년 윌리엄 몰즈워스 경(Sir William Molesworth)이 설립한 「런던 리뷰(London Review)」에 그는 "교회와 그 개혁(The Church and its Reform)"이라는 주목할 만한 기사를 썼는데, 이 기사는 당시에는 너무 회의적이어서 「웨스트민스터 리뷰」에 손해를 끼쳤다. 밀 자신은 무신론자였다.[8] 그의 마지막 저서는 『맥킨토시에 관한 단편(Fragment on Mackintosh)』(1835)이었다.

3. 사상

제임스 밀은 역사, 특히 인도 역사에 대한 자신만의 독특한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영국 제국주의를 옹호하고 공리주의적 시각에서 이를 정당화했다.[9] 그는 영국이 인도를 지배하는 것을 문명화 사명의 일환으로 여겼으며, 동인도회사를 위한 자신의 업무를 인도 사회 개선에 중요하다고 생각했다.[9]

밀은 경험주의적 접근 방식보다 사회적 주제에 대해 더 이론적인 접근 방식을 선호했다. 그의 대표작은 ''영국 인도사''인데, 이 책에서 그는 인도 사회를 야만적이고 인도인들은 자치 능력이 없다고 묘사한다.[9] 그는 정치 이론을 힌두 문명의 묘사에 적용하고 인도 정복과 통치의 연속적인 단계에서 행위자들의 행동을 비판한다. 밀은 인도에 방문한 적이 없으며, ''영국 인도사''를 편찬할 때 오로지 문서 자료와 기록 보관소 기록에만 의존했다. 이러한 사실은 아마르티아 센이 밀의 ''영국 인도사''를 비판하는 계기가 되었다.[11] 막스 뮐러는 인도인이 '열등한 인종'이라는 견해에 반박했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견해가 잘못되었을 뿐만 아니라 영국인의 삶을 '도덕적인 추방'으로 만들기 때문이었다.[22]

밀은 영국 정치에서도 큰 역할을 했으며, "자유주의 철학" 운동을 확립하는 데 핵심적인 인물이었다. 그의 정부에 관한 저술과 당시 자유당 정치인들 사이에서의 개인적인 영향력은 인권과 인간의 절대적 평등에 대한 프랑스 혁명 이론에서 광범위한 참정권 확대로 좋은 정부를 위한 안전장치를 확보하려는 주장으로 시각 변화를 이끌었다. 그의 저서 『정치 경제학 원리』는 친구 데이비드 리카르도의 견해를 따랐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이 책을 주로 역사적 관심사로 묘사하며, "현재는 대부분 버려진 견해에 대한 정확한 요약"이라고 평가했다.[1] 그의 저서에서 더 중요한 논제들은 다음과 같다.

번호논제
1자본이 인구 증가율만큼 자연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실용적인 개혁가들의 주요 문제는 인구 증가를 제한하는 것이다.
2어떤 것의 가치는 그 안에 투입된 노동량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3현재 "불로소득"으로 알려진 토지의 증가분은 적절한 과세 대상이다.



밀은 그의 저서 『인간 정신 현상 분석』과 『맥킨토시에 관한 단편』을 통해 심리학과 윤리학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15] 그는 데이비드 하틀리의 영향과 더불어 독자적인 사고 덕분에 새로운 출발을 이루었다. 그는 연합의 원리를 복잡한 정서 상태, 즉 애정, 미적 감정, 도덕적 감정의 분석에 적용하여 이 모든 것을 쾌락과 고통의 감각으로 환원하려고 시도했다. 그는 자신의 경험적 심리학에서 밀의 저작을 논의한 프란츠 브렌타노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15]

제임스 밀은 스코틀랜드 장로교 신앙으로 자랐지만, 젊은 시절 조셉 버틀러의 저서 《종교의 유추》를 접하고 계시와 자연종교(자연신론)를 모두 배척하게 되었다. 그는 사후세계나 지옥을 이용하여 현세의 삶을 규율하는 당시의 기독교를 혐오했으며, 루크레티우스처럼 모든 종교를 도덕적 악으로 반대했다. 인류의 기원에 대해서는 신의 기원과 마찬가지로 알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밀의 도덕적 이상은 소크라테스였으며, 아들 존 스튜어트 밀에게도 그 확신을 심어주었다. 인생관 측면에서는 스토아학파, 에피쿠로스학파, 시니크학파의 성격을 각각 계승하고 있으며, 실용적인가, 어떤 행위가 쾌락을 가져오는가 고통을 가져오는가로 선악의 기준을 세웠다. 하지만 말년에는 특히, 치러야 할 대가에 상응하는 쾌락은 거의 없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최대의 덕은 "절제"이며, 이것이 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3. 1. 역사관

제임스 밀은 역사, 특히 인도 역사에 대한 자신만의 독특한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의 인도관은 영국 제국주의를 옹호하고 공리주의적 시각에서 이를 정당화하는 것이었는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1. 인도관

밀은 영국 제국주의를 지지하며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정당화했다.[9] 그는 영국이 인도를 지배하는 것을 문명화 사명의 일환으로 여겼으며, 동인도회사를 위한 자신의 업무를 인도 사회 개선에 중요하다고 생각했다.[9] 밀은 인도 사회를 도덕적으로 타락했다고 묘사하고 힌두교도들이 "높은 수준의 문명"을 소유한 적이 없다고 주장했다.[10]

밀은 경험주의적 접근 방식보다 사회적 주제에 대해 더 이론적인 접근 방식을 선호했다. 그의 대표작은 ''영국 인도사''로, 이 책에서 그는 인도 사회를 야만적이고 인도인들은 자치 능력이 없다고 묘사한다.[9] 그는 정치 이론을 힌두 문명의 묘사에 적용하고 인도 정복과 통치의 연속적인 단계에서 행위자들의 행동을 비판한다. 이 책과 더불어 그가 생애 마지막 17년 동안 인도와 맺은 공식적인 관계는 인도의 통치 시스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밀은 인도에 방문한 적이 없으며, ''영국 인도사''를 편찬할 때 오로지 문서 자료와 기록 보관소 기록에만 의존했다. 이러한 사실은 아마르티아 센이 밀의 ''영국 인도사''를 비판하는 계기가 되었다.[11]

토마스 트라우트만에 따르면, "제임스 밀의 ''영국 인도사''(1817) – 특히 10개의 장으로 구성된 긴 에세이 "힌두교도에 관하여" – 는 영국의 인도혐오증과 동양주의에 대한 적대감의 가장 중요한 단일 원천이다."[12] "힌두교도에 관하여"의 "일반적인 반성"이라는 제목의 장에서 밀은 "힌두교도의 감미로운 외면 아래에는 속임수와 배신에 대한 일반적인 성향이 숨겨져 있다"라고 썼다.[13] 밀에 따르면, 힌두교도와 무슬림 모두 "불성실, 거짓말, 배신, 다른 사람들의 감정에 대한 무관심, 매춘과 매관"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무슬림들은 부유할 때는 사치스러웠고 쾌락에 헌신적이었지만, 힌두교도들은 거의 항상 궁핍하고 금욕적이었고, "사실, 힌두교도는 환관처럼 노예의 자질에 능숙했다". 또한 중국인과 마찬가지로 힌두교도들은 "미개한 사회의 일반적인 수준을 넘어서는 과도한 속임수, 배신, 거짓말"을 했다. 중국인과 힌두교도 모두 "자신과 관련된 모든 것에 대해 과장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 다 "겁이 많고 무정했다". 둘 다 "자신에 대해 매우 자만하고 다른 사람들에 대해 가짜로 경멸하는 태도를 보였다". 그리고 둘 다 "육체적으로, 자신의 신체와 집에 대해 혐오스러울 정도로 불결했다".[14]

막스 뮐러는 인도인이 '열등한 인종'이라는 견해에 반박했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견해가 잘못되었을 뿐만 아니라 영국인의 삶을 '도덕적인 추방'으로 만들기 때문이었다. 그러한 잘못된 개념과 '독'의 원천 중 하나는 밀의 ''영국 인도사''였으며, 그의 견해로는 인도에 일어난 '가장 큰 불행 중 일부에 책임이 있었다'. 인도를 통치하기 위해 나가는 사람들은 '일종의 광기로 변질되기 쉬운 민족적 편견을 버려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제임스 밀의 ''영국 인도사''는 인도 식민지 행정관들의 필독서로 불렸다. 이 책에서 밀은 인도인들은 속이는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중국, 페르시아, 아라비아, 일본, 코친차이나, 태국(샴), 미얀마(버마), 말레이 반도(말레이), 티베트 등의 "열등한 문명", "열등한 국민"과 같은 정도로 열등하다고 평가했다.[22]

3. 2. 정치 철학

밀은 영국 정치에서도 큰 역할을 했으며, "자유주의 철학" 운동을 확립하는 데 핵심적인 인물이었다. 그의 정부에 관한 저술과 당시 자유당 정치인들 사이에서의 개인적인 영향력은 인권과 인간의 절대적 평등에 대한 프랑스 혁명 이론에서 광범위한 참정권 확대로 좋은 정부를 위한 안전장치를 확보하려는 주장으로 시각 변화를 이끌었다. 이러한 기치 아래 개혁 법안이 통과되었다. 그의 저서 『정치 경제학 원리』는 친구 데이비드 리카르도의 견해를 따랐다. 1911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이 책을 주로 역사적 관심사로 묘사하며, "현재는 대부분 버려진 견해에 대한 정확한 요약"이라고 평가했다.[1] 그의 저서에서 더 중요한 논제들은 다음과 같다.[1]

번호논제
1자본이 인구 증가율만큼 자연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실용적인 개혁가들의 주요 문제는 인구 증가를 제한하는 것이다.
2어떤 것의 가치는 그 안에 투입된 노동량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3현재 "불로소득"으로 알려진 토지의 증가분은 적절한 과세 대상이다.


3. 3. 경제학

밀은 영국 정치에서도 큰 역할을 했으며, "자유주의 철학" 운동을 확립하는 데 핵심적인 인물이었다. 그의 정부에 관한 저술과 당시 자유당 정치인들 사이에서의 개인적인 영향력은 인권과 인간의 절대적 평등에 대한 프랑스 혁명 이론에서 광범위한 참정권 확대로 좋은 정부를 위한 안전장치를 확보하려는 주장으로 시각 변화를 이끌었다. 이러한 기치 아래 개혁 법안이 통과되었다. 그의 저서 『정치 경제학 원리』는 그의 친구 데이비드 리카르도의 견해를 따랐다. 1911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이 책을 주로 역사적 관심거리로 묘사하며, "현재는 대부분 버려진 견해에 대한 정확한 요약"이라고 평가했다.[1] 그의 저서에서 더 중요한 논제들은 다음과 같다.[1]

번호논제
1자본이 인구 증가율만큼 자연적으로 증가하지 않는다는 가정하에, 실용적인 개혁가들의 주요 문제는 인구 증가를 제한하는 것이다.
2어떤 것의 가치는 그 안에 투입된 노동량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3현재 "불로소득"으로 알려진 토지의 증가분은 적절한 과세 대상이다.


3. 4. 심리학

밀은 그의 저서 『인간 정신 현상 분석(Analysis of the Phenomena of the Human Mind)』과 『맥킨토시에 관한 단편(Fragment on Mackintosh)』을 통해 심리학과 윤리학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15] 그는 당시 토마스 리드(Thomas Reid), 더걸드 스튜어트(Dugald Stewart), 토마스 브라운 등이 대표했던 스코틀랜드 계몽 운동(Scottish Enlightenment)의 방식을 따랐지만, 데이비드 하틀리의 영향과 더욱 그의 독자적인 사고 덕분에 새로운 출발을 이루었다. 그는 연합의 원리를 복잡한 정서 상태, 즉 애정, 미적 감정, 도덕적 감정의 분석에 적용하여 이 모든 것을 쾌락과 고통의 감각으로 환원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인간 정신 현상 분석』의 가장 큰 장점은 용어의 정확한 정의와 교리의 명확한 진술을 끊임없이 추구한 데 있다. 그는 자신의 경험적 심리학에서 밀의 저작을 논의한 프란츠 브렌타노(Franz Brentano)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15] 『맥킨토시에 관한 단편』은 제임스 맥킨토시(James Mackintosh) 경의 『윤리 철학 발전에 관한 논문(Dissertation on the Progress of Ethical Philosophy)』(1830)의 허술함과 왜곡을 심각하게 비판하고, 저자의 공리주의적 관점에서 윤리학의 기초를 논한다.

3. 5. 종교관 및 도덕관

제임스 밀은 스코틀랜드 장로교 신앙으로 자랐지만, 젊은 시절 조셉 버틀러의 저서 《종교의 유추》를 접하고 계시와 자연종교(자연신론)를 모두 배척하게 되었다. 그는 사후세계나 지옥을 이용하여 현세의 삶을 규율하는 당시의 기독교를 혐오했으며, 루크레티우스처럼 모든 종교를 도덕적 악으로 반대했다. 인류의 기원에 대해서는 신의 기원과 마찬가지로 알 수 없다고 주장했다.

밀의 도덕적 이상은 소크라테스였으며, 아들 존 스튜어트 밀에게도 그 확신을 심어주었다. 인생관 측면에서는 스토아학파, 에피쿠로스학파, 시니크학파의 성격을 각각 계승하고 있으며, 실용적인가, 어떤 행위가 쾌락을 가져오는가 고통을 가져오는가로 선악의 기준을 세웠다. 하지만 말년에는 특히, 치러야 할 대가에 상응하는 쾌락은 거의 없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최대의 덕은 "절제"이며, 이것이 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했다.

"감정"이 무분별하게 강조되는 현대의 풍조는 고대와 비교하여 개탄스러운 습관이며, 올바른 행위를 위해서는 장애가 된다고 생각했다. 행위자의 동기보다 행위 그 자체의 선악(효용)을 판단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4. 주요 저서

참조

[1] 백과사전 James Mill http://plato.stanfor[...] Stanford University 2018-04-04
[2] 서적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http://www.marxists.[...] 2018-04-04
[3] 서적 A Brief History of Modern India https://books.google[...] Spectrum Books (P) Limited 2018
[4] 뉴스 Explained: Who was Prithviraj Chauhan, the fearless hero of folk legend? https://indianexpres[...] 2022-05-25
[5] 웹사이트 AUTO Chapter 2, John Stuart Mill, Autobiography https://www.laits.ut[...]
[6] 논문 The History of British India https://archive.org/[...] Baldwin, Cradock, and Joy 2012-12-11
[7] 논문 Elements of Political Economy https://archive.org/[...] Baldwin, Cradock, and Joy 2012-12-11
[8] 뉴스 James Mill: Laissez-Faire's Lenin https://mises.org/li[...] 2012-03-28
[9] 서적 A Turn to Empire: The Rise of Imperial Liberalism in Britain and France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5
[10] 서적 Legacy of Violence: A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22
[11] 웹사이트 History and the enterprise of knowledge https://newhumanist.[...]
[12] 서적 Aryans and British India https://books.google[...] YODA Press
[13] 서적 The History of British India https://archive.org/[...] Madden
[14] 서적 The Beautiful Tree
[15] 서적 Psychologie vom empirischen Standpunkt Meiner
[16] 서적 Say's Law: An Historical Analysis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03-08
[17] 서적 The Life and Economics of David Ricardo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12-06
[18] 서적 Analysis of the Phenomena of the Human Mind https://archive.org/[...]
[19] 서적 Analysis of the Phenomena of the Human Mind https://archive.org/[...] Longmans, Green, Reader , and Dyer
[20] 서적 Essay on the Ballot https://archive.org/[...]
[21] 서적 A Fragment on Mackintosh https://archive.org/[...]
[22] 서적 아이덴티티와 폭력 勁草書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