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01SS중전차대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01SS중전차대대는 1943년 7월 제1SS 기갑군단의 일원으로 창설된 독일 무장친위대 소속의 중(重)전차대대이다. 티거 I 전차를 장비하고 제1SS 기갑사단 "리베슈탄다르테"에 배속되어 이탈리아, 동부 전선, 서부 전선 등에서 활동했다.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빌레르보카주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이후 손실을 입고, 9월 제501SS중전차대대로 개편되었다. 최종적으로는 1945년 종전과 함께 해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중전차대대 - 제102SS중전차대대
    제102SS중전차대대는 1943년 4월 무장친위대에 창설되어 티거 1 전차로 무장, 동부 전선에 투입 예정이었으나 노르망디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고 재편성 후 제502SS 중전차대대로 개편되어 티거 2 전차를 장비하고 오데르 전선과 할베 전투에 참전한 부대이다.
  • 독일 중전차대대 - 제501중전차대대
    제501중전차대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육군의 중전차 대대로, 티거 I, 3호 전차, 티거 II 전차로 무장하여 북아프리카 전역과 동부 전선에서 활약하다 비스와-오데르 공세에서 큰 피해를 입고 해체되었다.
  • 노르망디의 독일 국방군 부대 - 제5기갑군
    제5기갑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 기갑군으로, 북아프리카와 서부 전선에서 활동하며 튀니지 전투, 노르망디 상륙 작전, 벌지 전투 등에 참전했으나, 1943년과 1945년에 각각 항복하고 해체되었다.
  • 노르망디의 독일 국방군 부대 - 기갑교도사단
    기갑교도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정예 기갑사단으로, 주요 기갑학교 출신 병력과 최신예 전차 및 장비를 갖추고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나 연합군에 패배하여 해체되었다.
  • 나치 친위대 - 질서경찰
    질서경찰은 나치 독일의 경찰 조직으로, 친위대에 통합되어 이념적 반대자 박해와 홀로코스트에 가담했으며, 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국방군에 인력을 제공하다 독일 패전 후 해체되었다.
  • 나치 친위대 - 하인리히 힘러
    하인리히 힘러는 나치 친위대 사령관으로서 홀로코스트를 주도하여 수백만 명의 유대인 학살에 책임이 있으며, 1945년 연합군에 체포되기 전 자살했다.
제101SS중전차대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명칭제101SS 중전차 대대
원어 명칭Schwere SS-Panzerabteilung 101 (슈베레 SS-판처압타일룽 101)
개칭 명칭Schwere SS-Panzerabteilung 501 (슈베레 SS-판처압타일룽 501)
부대 표식
복무 기간1943년 7월 19일 ~ 1945년 5월
소속[[File:Flag Schutzstaffel.svg|border|23px]] 무장친위대
병과기갑전
종류전차
역할기갑전
규모대대, 최대 전차 45대
지휘 체계제1SS 기갑 군단
장비6호 전차 티거 1
6호 전차 B형 티거 2
지휘관
주요 지휘관하인츠 폰 베스터른하겐
별칭
후원자
표어
상징색
군가
마스코트
전투 및 작전
주요 전투빌레르-보카주 전투
기념일
훈장
전투 훈장
참전 전선
주요 전선이탈리아 전선
동부 전선
서부 전선

2. 역사

제101SS중전차대대는 1943년 7월 19일, 제1SS 기갑군단의 일부로 창설되었으며, 티거 I 전차로 구성된 두 개의 중(重)전차 중대를 창설하고 제1SS 기갑연대 제13중대(중(重)전차 중대)를 통합하여 만들어졌다.[1] 이 부대는 제1SS 기갑사단 "리베슈탄다르테"에 배속되어 1943년 8월 23일 이탈리아로 파견되었으며, 10월 중순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이후 제1중대와 제2중대는 동부 전선으로 보내졌고, 나머지 부대는 서부에 남았다.[1]

서유럽에 대한 연합군의 침공이 예상되면서, 1944년 4월 동부에 있던 대대 병력은 서부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1944년 6월 1일, 대대는 파리 북서쪽에 있는 보베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보유한 45대의 티거 중 37대가 작전 가능 상태였고, 8대가 수리 중이었다.[1] D-데이 상륙 작전이 6월 6일에 시작되자, 이 부대는 노르망디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며, 6월 12일과 13일에 노르망디에 도착했다.[1] 6월 13일 첫 전투를 벌인 제2중대는 미하엘 비트만의 지휘하에 빌레르보카주에서 영국군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혀 퍼치 작전을 종료시키는 결과를 낳았다.[1]

7월 5일까지 대대는 빌레르-보카주 전투를 포함, 45대의 티거 중 15대를 잃었다. 이 시점에서 부대의 잉여 승무원들은 새로운 티거 2 전차를 장비하기 시작했다. 8월 7일까지 노르망디에 남은 사단은 25대의 티거를 보유했고, 그 중 21대가 작전 가능 상태였다. 1944년 8월 8일, 생테냥드크라메닐 근처에서 반격을 위해 투입된 7대의 티거 중 3대가 영국군 셔먼 파이어플라이에 의해 파괴되었고, 2대가 제27캐나다 기갑연대에 의해 파괴되어 미하엘 비트만이 전사했다.[2] 대대는 팔레즈 포위전과 그 이후 독일군의 프랑스 철수 과정에서 거의 모든 나머지 티거를 잃었다.

9월 9일, 부대의 잔여 병력은 새로운 티거 2 전차로 재정비하고 휴식을 취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1944년 9월 22일 이러한 변화와 함께, 이 부대는 '''제501SS 중(重)전차대대'''로 재지정되었다. 1945년 3월 15일, 이 부대는 32대의 전차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중 8대가 작전 가능하다고 보고했다.[3] 4일 후, 하인리히 클링이 부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2. 1. 창설 및 초기 활동 (1943-1944)

제101SS중전차대대는 1943년 7월 19일, 제1SS 기갑군단의 일부로 창설되었으며, 티거 I 전차로 구성된 두 개의 중(重)전차 중대를 창설하고 제1SS 기갑연대 제13중대(중(重)전차 중대)를 통합하여 만들어졌다.[1] 이 부대는 제1SS 기갑사단 "리베슈탄다르테"에 배속되어 1943년 8월 23일 이탈리아로 파견되었으며, 10월 중순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이후 제1중대와 제2중대는 동부 전선으로 보내졌고, 나머지 부대는 서부에 남았다.[1]

서유럽에 대한 연합군의 침공이 예상되면서, 1944년 4월 동부에 있던 대대 병력은 서부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1944년 6월 1일, 대대는 파리 북서쪽에 있는 보베 근처에 위치해 있었다. 보유한 45대의 티거 중 37대가 작전 가능 상태였고, 8대가 수리 중이었다.[1] D-데이 상륙 작전이 6월 6일에 시작되자, 이 부대는 노르망디로 이동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며, 6월 12일과 13일에 노르망디에 도착했다.[1]

7월 5일까지 대대는 빌레르-보카주 전투를 포함, 45대의 티거 중 15대를 잃었다. 8월 7일까지 노르망디에 남은 사단은 25대의 티거를 보유했고, 그 중 21대가 작전 가능 상태였다. 1944년 8월 8일, 생테냥드크라메닐 근처에서 반격을 위해 투입된 7대의 티거 중 3대가 영국군 셔먼 파이어플라이에 의해 파괴되었고, 2대가 제27캐나다 기갑연대에 의해 파괴되어 미하엘 비트만이 전사했다.[2] 대대는 팔레즈 포위전과 그 이후 독일군의 프랑스 철수 과정에서 거의 모든 나머지 티거를 잃었다.

2. 2. 노르망디 전투 (1944)

1944년 6월 6일,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 개시 이후 대대는 노르망디 전선에 투입되었다.[4] 대대는 파리시 북동쪽 보베 근방에 주둔하고 있었으며, 45대의 티거 전차 중 37대가 작전 가능한 상태였다.[4] 노르망디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극심한 공중 폭격과 프랑스 레지스탕스의 방해 공작에 시달렸지만, 6월 12일 노르망디에 도착했다.[4]

빌레르보카주 전투에서 제2중대장 미하엘 비트만 SS 대위는 단 1대의 티거 1으로 영국군 기갑여단의 진격을 저지하는 큰 전과를 올렸다.[5] 이로 인해 영국군의 점령 계획은 차질을 빚게 되었다.[5] 그러나 대대 또한 상당한 피해를 입어 7월 5일 시점에서는 45대의 전차 중 15대를 손실했다.[4][5]

8월 7일 노르망디에 남아있던 LSSAH 사단의 잔여 전차들은 25대의 티거였고, 그중 21대가 아직까지 작전 가능한 상태였다. 대대는 팔레즈 포위전 당시 격렬한 전투로 사실상 잔여 전차 모두를 상실하고 말았다. 1944년 8월 8일 생테냥드크라메닐 근처에서 7대의 티거가 반격을 위해 투입되었으나 셔먼 파이어플라이와 셔브룩 후사르에 의해 파괴되면서 미하엘 비트만이 전사했다.[2]

2. 3. 재편 및 서부 전선 (1944-1945)

1944년 9월 9일, 부대의 잔여 병력은 티거 II 전차로 재정비 및 휴식하라는 명령을 받았다.[3] 9월 22일, 부대 명칭은 '''제501SS중전차대대'''로 변경되었다.[3] 1945년 3월 15일, 부대는 32대의 전차를 보유했으며, 그 중 8대가 작전 가능하다고 보고했다.[3] 이후 하인리히 클링이 부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

제501SS중전차대대는 벌지 전투에 참가하여 제1SS 기갑사단 "LSSAH" 예하 부대로서 전투를 수행했다. 1945년에는 봄의 각성 작전에 참가하기 위해 헝가리로 이동했다. 헝가리에서 남방군 집단에 배속되어 전투를 치렀으나, 소련군의 강력한 공세에 밀려 오스트리아로 철수했다.

2. 4. 종전 (1945)

1945년 3월, 부대는 오스트리아로 철수하면서 대부분의 전차를 포기해야 했다.[3] 이후 종전과 함께 부대는 해체되었다. 잔존 차량으로 야크트티거 2대가 배치되었으나, 실질적인 전투에는 거의 참여하지 못했다.

3. 지휘관


  • SS-슈름반퓌러 하인츠 폰 베스터하겐 (1943년 7월 19일 - 1943년 11월 8일)
  • SS-오버슈름퓌러 오토 라이너 (1943년 11월 8일 - 1944년 2월 13일)
  • SS-오버퓌러 하인츠 폰 베스터하겐 (1944년 2월 13일 - 1945년 3월 20일)
  • SS-슈름반퓌러 하인리히 클링 (1945년 3월 20일 - 1945년 5월 8일)


대대장은 하인츠 폰 베스터른하겐영어(Heinz von Westernhagen) SS 소령이었다. 참모장은 에두아르트 카리노프스키SS 소위, 통신 지휘관은 헬무트 델링거 SS 소위, 위생 지휘관은 볼프강 라베SS 대위 박사였다. 중대 지휘관은 파울 포크트SS 중위였다.

3. 1. 제101SS 중전차대대 시절


  • SS-슈름반퓌러 하인츠 폰 베스터하겐 (1943년 7월 19일 - 1943년 11월 8일)
  • SS-오버슈름퓌러 오토 라이너 (1943년 11월 8일 - 1944년 2월 13일)
  • SS-오버퓌러 하인츠 폰 베스터하겐 (1944년 2월 13일 - 1945년 3월 20일)
  • SS-슈름반퓌러 하인리히 클링 (1945년 3월 20일 - 1945년 5월 8일)


대대장은 하인츠 폰 베스터른하겐영어(Heinz von Westernhagen) SS 소령이었다. 참모장은 에두아르트 카리노프스키SS 소위, 통신 지휘관은 헬무트 델링거 SS 소위, 위생 지휘관은 볼프강 라베SS 대위 박사였다. 중대 지휘관은 파울 포크트SS 중위였다.

3. 2. 제501SS 중전차대대 시절

1943년 7월 19일, SS-슈름반퓌러 하인츠 폰 베스터하겐이 제101SS중전차대대의 지휘를 맡았다. 1943년 11월 8일에는 SS-오버슈름퓌러 오토 라이너가 지휘권을 넘겨받았으나, 1944년 2월 13일에 다시 하인츠 폰 베스터하겐이 지휘를 맡게 되었다. 1945년 3월 20일부터는 SS-슈름반퓌러 하인리히 클링이 1945년 5월 8일까지 부대를 지휘했다.

3. 3.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지휘관

1944년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

  • 대대장: 하인츠 폰 베스터른하겐/Heinz von Westernhagen영어 SS 소령
  • 참모장: 에두아르트 카리노프스키 SS 소위
  • 통신 지휘관: 헬무트 델링거 SS 소위
  • 위생 지휘관: 볼프강 라베 SS 대위 박사
  • 중대 지휘관: 파울 포크트 SS 중위

4. 예하 부대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 '''제1중대''' - 지휘관: 카를 메비우스 SS 대위
  • '''제2중대''' - 지휘관: 미하엘 비트만 SS 중위
  • '''제3중대''' - 지휘관: 하인리히(하인츠) 클링 SS 대위
  • '''제4중대''' - 지휘관: 볼프강 라베 SS 대위 박사

참조

[1] 서적 Armour battles of the wafer-ss 1943-45 Stackpole books 1990
[2] 서적 No Holding Back 2004
[3] 서적 1996
[4] 문서
[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