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5기갑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기갑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국방군의 기갑부대였다.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1942년 12월 8일 창설되어 튀니지를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했으며, 1943년 6월 30일 해체되었다. 1944년 1월 서부 기갑군으로 재편성되어 노르망디 상륙작전과 벌지 전투에 참전했으며, 이후 제5기갑군으로 개칭되어 독일 본토 방어전에 투입되었다. 1945년 4월 17일 루르 포켓에서 항복하며 종전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국방군의 기갑군 - 아프리카 기갑군
    아프리카 기갑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활동한 독일-이탈리아 연합군의 기갑 부대로, 여러 지휘관과 편성을 거치며 튀니지 전역까지 참전했으나 1943년 5월 항복했다.
  • 노르망디의 독일 국방군 부대 - 기갑교도사단
    기갑교도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의 정예 기갑사단으로, 주요 기갑학교 출신 병력과 최신예 전차 및 장비를 갖추고 노르망디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나 연합군에 패배하여 해체되었다.
  • 노르망디의 독일 국방군 부대 - 제2SS기갑사단 다스 라이히
    제2SS기갑사단 다스 라이히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 소속 기갑사단으로, 유럽 전역에서 활동하며 프랑스 오라두르쉬르글란 마을에서 민간인 학살을 자행한 것으로 악명 높고 종전 후 해체, 일부 생존자들은 전범으로 처벌받았다.
  • 1942년 설립 - 조선의용군
    조선의용군은 1937년 중국 우한에서 조선민족전선연맹 산하 항일 무장단체로 창설되어 중국 공산당과 협력하여 항일 활동을 전개했으며, 해방 후 일부는 북한 인민군에 편입되어 한국 전쟁에 참여했다.
  • 1942년 설립 - KBS목포방송국
    KBS목포방송국은 1942년 개국한 한국방송공사의 지역 방송국으로, TV, 라디오, DMB 방송을 송출하며 목포 및 전남 서남부 지역에 뉴스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제5기갑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제5기갑군
제5기갑군
독일어 명칭5. Panzerarmee
군종독일 육군
병과기갑
규모야전군
역할기갑전
활동 기간1942년 12월 8일 – 1943년 5월 13일
1944년 1월 24일 – 1945년 4월 17일
주요 지휘관
주요 지휘관위르겐 폰 아르님
레오 가이어 폰 슈베펜부르크
제프 디트리히
하소 폰 만토이펠
주요 전투
참전제2차 세계 대전
북아프리카 전역튀니지 전역
서부 전선오버로드 작전
팔레즈 포위전
벌지 전투
루르 포위전
명령 체계
명령 체계아프리카 집단군(튀니지 전투)

2. 역사

제5기갑군은 제2차 세계 대전나치 독일의 기갑부대로, 두 차례에 걸쳐 편성되었다.

첫 번째 제5기갑군은 1942년 11월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연합군의 횃불 작전에 대응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제90군단으로 시작하여 1942년 12월 8일 제5기갑군으로 정식 편성되었다.[1] 이 부대는 아프리카 군집단에 소속되어 튀니지에서 이탈리아 제1군과 함께 방어전을 수행했으나, 전황 악화로 1943년 5월 13일 연합군에 항복하고 같은 해 6월 30일 공식 해체되었다.

이후 1944년 1월 24일, 프랑스에서 '''서부 기갑군'''(Panzergruppe Westde)이라는 이름으로 부대가 재편성되어 서부 최고 사령관(OB West) 직속 기갑 예비대로 활동했다.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지휘관들 간의 의견 대립과 아돌프 히틀러의 개입으로 초기 대응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캉 전투팔레즈 포위전 등에서 큰 손실을 입었다.

1944년 8월, 서부 기갑군의 잔존 부대는 다시 제5기갑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3] 하소 폰 만토이펠 등이 지휘하며 서부 전선에서 활동을 이어갔다. 특히 1944년 겨울 벌지 전투에서 주력 부대로 참전했으나 큰 피해를 입고 후퇴했다. 이후 라인강 방어선 전투 등에 참여했으나 전세를 뒤집지 못했고, 최종적으로 1945년 4월 루르 포켓에서 연합군에게 포위되어 항복하며 부대는 완전히 해체되었다.

2. 1. 북아프리카 전역 (1942-1943)

제5기갑군은 1942년 11월 연합군의 횃불 작전이 성공하여 모로코알제리에 연합군이 상륙하자, 이들이 튀니지로 진격하는 것을 막기 위해 창설된 독일의 기갑 부대이다. 초기에는 1942년 11월 17일 로마 주둔 독일군 사령관에게 배속된 "슈타브 네링"(Stab Nehring) 참모부가 제90군단으로 개편되었고, 이후 1942년 12월 8일 제5기갑군으로 최종 편성되었다.[1]

제5기갑군은 아프리카 군집단에 소속되어 이탈리아 제1군과 함께 튀니지에서 방어전을 수행했다. 그러나 북아프리카 전역의 전황이 독일에 불리하게 돌아가면서 결국 1943년 5월 13일 연합군에 항복했다. 항복 당시 사령관에 대해서는 기록에 따라 한스위르겐 폰 아르님[1] 또는 구스타프 폰 페어스트로 언급된다. 부대는 항복 이후 1943년 6월 30일에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 사령관 ===

계급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Generalleutnant하인츠 치글러1942년 12월 3일1943년 2월 20일대행
Generaloberst한스-위르겐 폰 아르님1943년 2월 20일1943년 2월 28일
General der Panzertruppe구스타프 폰 페어스트1943년 2월 28일1943년 5월 9일


2. 2. 서부 전선 (1944-1945)

1944년 1월 24일, 기존 부대는 '''서부 기갑군'''(Panzergruppe West)이라는 이름으로 재편성되어 서부 최고 사령관(OB West)을 위한 기갑 예비대로 활동하게 되었다. 초대 사령관은 레오 가이어 폰 슈베펜부르크였다.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임박하자, 서부 기갑군의 운용 방식을 두고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에르빈 롬멜 사이에 의견 대립이 있었다. 결국 아돌프 히틀러의 개입으로 기갑 부대 운용에 제약이 생겼고, 상륙 작전 초기 효과적인 대응이 어려웠다.

서부 기갑군은 노르망디에서 연합군과 격전을 벌였으나, 캉 전투 등에서 큰 손실을 입었으며 팔레즈 포위전에서 많은 병력이 고립되었다. 1944년 7월 2일, 하인리히 에버바흐가 새로운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8월에는 포위망을 탈출한 잔여 부대가 독일 국경으로 후퇴하기 시작했다.

1944년 8월, 서부 기갑군의 잔존 부대는 제5기갑군[3]으로 재편성되었고, 잠시 요제프 디트리히가 지휘하다가 하소 폰 만토이펠이 사령관직을 이어받았다. 제5기갑군은 독일 국경에서 연합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으나 연합군의 공중 우세로 큰 피해를 입었다. 11월부터는 아르덴 지역에 집결하여 벌지 전투를 준비했다.

벌지 전투에서 제5기갑군은 제6기갑군의 공세가 저지된 후 주력 부대로서 서쪽으로 진격했으나, 바스토뉴, , 디낭 등지에서 격전을 치르며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공세 실패 후 독일 국경으로 후퇴하며 전투를 계속했다. 1945년 3월에는 레마겐의 뤼덴도르프 다리를 건넌 미군의 라인강 교두보를 제거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결국 제5기갑군은 루르 포켓에서 연합군에게 포위되었고, 1945년 4월 17일에 항복했다.

2. 2. 1. 노르망디 상륙작전 (1944)

1944년 1월 24일, 제5기갑군은 서부 최고 사령관(Oberbefehlshaber West, OB West)을 위한 기갑 예비대로서 '''판처그룹 서부'''(Panzergruppe West)로 재편되었다. 신설된 부대의 지휘는 레오 게이어 폰 슈베펜부르크가 맡았다. 연합군의 상륙 작전이 임박하자 판처그룹 서부의 운용 방식을 둘러싸고 지휘관들 사이에 논쟁이 벌어졌다. OB West 사령관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B 집단군 사령관 에르빈 롬멜은 서로 다른 전략을 선호했다.[2]

룬트슈테트와 폰 슈베펜부르크는 기갑 부대를 전선 후방에 예비대로 배치하여, 연합군의 돌파 시 이를 저지하는 반격을 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롬멜은 연합군의 강력한 공군력과 해군 포격으로 인해 독일군이 대규모 부대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것이 불가능할 것이라 확신하며, 기갑 부대를 해안가 전선에 더 가깝게 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돌프 히틀러는 양측의 주장을 절충하는 불만족스러운 타협안을 강요했으며, 자신의 직접적인 승인 없이는 기갑 부대를 투입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로 인해 1944년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시작되었을 때, 판처그룹 서부는 즉각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고 발이 묶였다.

6월 8일이 되어서야 게이어는 영국군과 캐나다군에 맞서 캉 전투를 지원하기 위해 3개의 기갑 사단을 북쪽으로 급파할 수 있었다. 게이어는 이들 부대로 연합군을 다시 바다로 밀어낼 반격을 계획했다. 그러나 6월 10일, 영국 공군(RAF)이 라 켄에 있는 판처그룹 서부 본부를 공습하여 폰 슈베펜부르크는 부상을 입고 참모진 대부분이 사망하는 큰 피해를 입었다.

게이어의 기갑 부대는 약 한 달간 영국군의 진격을 저지하는 데 성공했지만, 7월 2일 룬트슈테트가 히틀러에게 캉에서의 전략적 후퇴를 건의한 후 게이어는 지휘권을 박탈당했다. 그의 후임으로는 하인리히 에버바흐가 임명되었다. 판처그룹 서부는 노르망디 전역에서 연합군과 격전을 벌이며 막대한 손실을 입었고, 결국 많은 사단이 팔레즈 포위전에 갇혔다. 8월 말, 포위망을 탈출한 기갑 부대의 잔여 부대는 독일 국경을 향해 후퇴하기 시작했다.

2. 2. 2. 벌지 전투 (1944-1945)

1944년 8월, 서부 기갑군(Panzer Group West)의 남은 부대는 제5기갑군으로 재편성되었고[3], 에버바흐 기갑군(Panzer Group Eberbach)이라는 이름으로 작전을 수행했다. 잠시 Waffen-SS 사령관 요제프 디트리히가 지휘했으나, 곧 하소 폰 만토이펠이 사령관직을 넘겨받았다. 제5기갑군은 독일 국경에서 연합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으나, 연합군의 근접항공지원으로 인해 기갑사단은 큰 피해를 입었다.

1944년 11월, 제5기갑군은 신설된 제6기갑군(6th SS Panzer Army)과 함께 아르덴 지역에 재배치되어 집결하기 시작했다. 이 두 부대는 벌지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당초 독일군의 주력 공세(schwerpunkt)는 디트리히가 지휘하는 제6기갑군에게 맡겨졌으나, 이들의 공세가 엘젠본 능선(Elsenborn Ridge)과 암블레브 계곡(Ambleve Valley)에서 연합군의 방어에 저지되자 제5기갑군이 기존 전선 서쪽으로 진격하는 주요 중앙부대가 되었다.

벌지 전투 중 제5기갑군은 바스토뉴 포위전과 (Celles), 디낭 등 가장 서쪽까지 진격했던 지점에서의 기갑 전투에서 큰 손실을 입었다. 결국 독일군의 공세는 실패로 돌아갔고, 작전이 취소된 후 제5기갑군은 독일 국경을 향해 계속 후퇴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전투를 치렀다.

벌지 전투 이후, 1945년 3월에는 레마겐의 뤼덴도르프 다리를 건너 라인강을 도하한 미군교두보를 제거하려는 작전에 참여했으나 실패했다. 결국 제5기갑군은 루르 포켓(Ruhr Pocket)에서 연합군에게 완전히 포위되어 고립되었고, 1945년 4월 17일에 항복했다.

2. 2. 3. 독일 본토 방어 (1945)

아르덴 반격 작전이 실패로 끝난 후, 제5기갑군은 독일 국경으로 계속 후퇴하며 연합군과 격전을 치렀다. 1945년 3월에는 라인강에 설치된 레마겐 철교를 둘러싼 레마겐 전투에 참여하여, 미군이 강 동쪽에 구축한 교두보를 제거하려고 시도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결국 제5기갑군은 루르 지역에서 연합군에게 포위되었고, 1945년 4월 17일에 항복하며 부대는 해체되었다.

3. 주요 지휘관

제5기갑군의 주요 지휘관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각 전역별 상세 지휘관 정보는 해당 섹션을 참고한다.


  • 북아프리카 전역 지휘관
  • 프랑스 전역 지휘관

3. 1. 북아프리카

제5기갑군은 연합군이 모로코알제리에 상륙한 횃불 작전 이후, 튀니지를 방어하기 위해 1942년 12월 8일 창설된 독일의 기갑부대 지휘부이다. 이 부대는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아프리카 군집단의 일원으로 이탈리아 제1군과 함께 싸웠다.

창설 이전인 1942년 11월 17일, 로마 주둔 독일군 사령관에게 배속되었던 "슈타브 네링"(Stab Nehring) 참모부가 제90군단으로 개편되었고, 이 참모부는 곧 제5기갑군으로 재편되었다.[1]

제5기갑군은 1943년 5월 13일, 당시 사령관이었던 구스타프 폰 페어스트와 함께 연합군에 항복했으며, 공식적으로는 1943년 6월 30일에 해체되었다.

=== 역대 사령관 ===

계급이름재임 시작재임 종료비고
Generalleutnant|중장de하인츠 치글러1942년 12월 3일1943년 2월 20일대리
--Generaloberst|상급대장de한스-위르겐 폰 아르님1943년 2월 20일1943년 2월 28일
--General der Panzertruppe|기갑병대장de구스타프 폰 페어스트1943년 2월 28일1943년 5월 9일


3. 2. 서부 기갑군 / 제5기갑군 (프랑스)

1944년 1월 24일, 군단은 '''서부 기갑군'''(Panzergruppe West)이라는 이름으로 재편성되어 독일 서부 최고 사령부(OB West)의 기갑 예비대로 편성되었다. 신설 군단은 레오 게이어 폰 슈베펜부르크의 지휘 하에 있었다.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예상되면서, 서부 기갑군의 운용 방식을 두고 서부 최고 사령관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B 집단군 사령관 에르빈 롬멜 사이에 의견 대립이 있었다.[2]

룬트슈테트와 게이어는 연합군의 상륙을 해안선에서 즉시 저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기갑 부대를 내륙 깊숙이 예비대로 두었다가 연합군의 주력 부대 위치가 확인되면 집중 투입하여 반격하는 방식을 선호했다. 특히 게이어는 이탈리아 전역의 경험을 예로 들며, 기갑 부대가 해안가 가까이 배치될 경우 연합군 함포 사격에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롬멜은 연합군이 제공권을 장악한 상황에서는 대규모 기갑 부대의 이동이 사실상 불가능할 것이므로, 상륙 초기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기갑 부대를 해안선 가까이에 분산 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결국 아돌프 히틀러는 어느 한쪽의 의견을 완전히 수용하지 않고, 자신의 직접적인 승인 없이는 기갑 부대를 이동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양측 모두에게 불만스러운 타협안을 내렸다.

1944년 6월 6일,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시작되었을 때 서부 기갑군은 히틀러의 명령 없이는 움직일 수 없었다. 6월 8일이 되어서야 게이어는 3개의 기갑 사단을 캉 방어를 위해 북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었다. 게이어는 이들 부대로 반격을 개시하여 영국군과 캐나다군을 다시 해안으로 밀어낼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6월 10일, 게이어는 영국 공군의 공습으로 부상을 입었고, 그의 사령부 참모진 다수가 사상했다. 이후 서부 기갑군은 약 한 달간 영국군의 진격을 저지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결정적인 반격에는 실패했다. 7월 2일, 룬트슈테트가 캉에서의 전술적 후퇴를 히틀러에게 건의했다가 해임되면서 게이어 역시 지휘권을 하인리히 에버바흐에게 넘겨주게 되었다. 서부 기갑군은 노르망디에서 연합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으나 큰 손실을 입었고, 많은 부대가 팔레즈 포위망에 갇혔다. 8월 말, 포위망에서 탈출한 잔존 부대들은 독일-프랑스 국경 지대로 후퇴하기 시작했다.

1944년 8월 1일, 서부 기갑군의 잔존 부대는 제5기갑군으로 재편성되었고[3], 에버바흐는 계속해서 지휘를 맡았다(일부 기간 '에버바흐 기갑군'으로 불림). 이후 친위대 최상급집단지도자 요제프 디트리히가 잠시 지휘한 후, 하소 폰 만토이펠이 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제5기갑군은 독일 국경에서 연합군에게 격렬하게 저항했지만, 연합군의 지상 공격기에 의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11월, 제5기갑군은 아르덴 지역으로 이동하여 재정비에 들어갔고, 새로 창설된 제6SS기갑군과 함께 벌지 전투를 준비했다. 당초 주공은 제6SS기갑군에게 맡겨졌으나, 이들의 공세가 엘젠보른 능선 등에서 저지되자 제5기갑군이 사실상 공세의 주력이 되어 서쪽으로 진격했다. 제5기갑군은 바스토뉴 주변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고, 벨기에의 셀과 디낭 근처까지 진출하며 가장 서쪽 지점까지 도달했으나 큰 손실을 입고 공세는 좌절되었다. 공세가 중단된 후, 제5기갑군은 독일 국경으로 후퇴하면서 지속적으로 전투를 벌였다. 1945년 3월에는 레마겐의 루덴도르프 다리를 건너 라인강을 도하한 미군 교두보를 제거하려는 작전에 투입되었으나 실패했다. 결국 제5기갑군은 루르 포위망에 갇혀 고립되었고, 1945년 4월 17일 연합군에 항복했다.

=== 사령관 ===

계급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기갑대장레오 게이어 폰 슈베펜부르크1944년 1월 24일1944년 7월 2일서부 기갑군
기갑대장하인리히 에버바흐1944년 7월 2일1944년 8월 21일서부 기갑군 / 제5기갑군 (8월 1일 개칭)
친위대 최상급집단지도자요제프 디트리히1944년 8월 21일1944년 9월 9일제5기갑군
기갑대장하소 폰 만토이펠1944년 9월 10일1945년 3월 8일제5기갑군
상급대장요제프 하르페1945년 3월 8일1945년 4월 17일제5기갑군


참조

[1] 서적 Die Landstreitkräfte 71-130 Biblio Verlag
[2] 웹사이트 German Command and Tactics in the West, 1944 https://www.feldgrau[...] 2020-08-04
[3] 웹사이트 5.Panzer-Army – Ardennes Preparation (Gen Hasso von Manteuffel) https://eucmh.com/20[...] 2022-09-23
[4] 간행물 The Army at War:Tunisia HMS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