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장친위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장친위대는 나치 독일의 친위대(SS) 산하의 군사 조직으로, 아돌프 히틀러의 경호 부대에서 시작되었다. 1930년대에 돌격대(SA)의 세력 약화 이후 SS가 성장하면서, 히틀러에게 충성하는 무장 부대의 필요성이 커졌고, 이에 따라 무장친위대가 창설되었다. 무장친위대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주요 전투에 참전했으며, 특히 동부 전선에서 잔혹 행위에 가담하여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범죄 조직으로 규정되었다. 전쟁 말기에는 외국인 의용병과 징집병을 대거 받아들였으며, 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으로 인해 전후 독일 사회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장친위대 - 무장친위대 계급 및 표장
    무장친위대 계급 및 표장 위키 페이지는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의 계급 체계, 계급장, 일반 SS와의 차이, 1925년부터 1945년까지 사용된 계급 일람, 각 계급별 상세 정보, 그리고 무장친위대의 반인륜적 범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다룹니다.
  • 무장친위대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 무장친위대가 프랑스 오라두르쉬르글란 마을에서 주민들을 학살하여 643명이 사망하고 마을이 파괴된 사건으로, 전후 기념관으로 남게 되었다.
  • 무장친위대의 군단 - 슈츠슈타펠
    슈츠슈타펠은 나치 독일의 핵심 조직으로, 히틀러 경호 부대에서 시작하여 힘러 지휘 아래 권력을 휘두르며 나치 정권의 범죄에 깊이 관여, 전후 범죄 단체로 규정되어 해체되었다.
  • 무장친위대의 군단 - 제2SS기갑군단
    제2SS기갑군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무장친위대의 기갑 군단으로, 동부 전선과 서부 전선에서 주요 전투에 참전하고 이탈리아와 유고슬라비아에서 파르티잔 진압 작전을 수행했다.
무장친위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1941년 소련에서 촬영된 무장친위대
1941년 소련에서 촬영된 무장친위대
명칭무장친위대
로마자 표기Bapen-syucheusyutapel
의미무장 친위대
표어 (번역)나의 명예는 충성
상징색검은색
흰색
빨간색
창설 및 해체
창설일1933년 3월 17일
해체일1945년 5월 10일
국가
소속 국가나치 독일
충성 대상아돌프 히틀러
조직 및 규모
모체친위대
유형(기갑 사단)

(SS 기병 여단)
(SS 의무 군단)
규모약 90만명 (외국인 자원병 및 징집병 포함)
지휘 및 통제
지휘 구조SS: OKW와 의 작전 통제 하에 있었음
본부, 베를린
인물
주요 지휘관제프 디트리히
파울 하우서
펠릭스 슈타이너
총수하인리히 힘러
활동
주요 참전제2차 세계 대전
재판 및 평가
뉘른베르크 재판 결과범죄 조직으로 선언됨
추가 정보
관련 정보다하우 강제 수용소
아인자츠그루펜
라인하르트 작전
오스카어 디를레방어
홀로코스트

2. 창설 배경

무장친위대 제복


무장 친위대는 아돌프 히틀러의 경호원으로 활동했던 200여 명의 그룹에서 기원한다. 히틀러는 규모가 커진 돌격대(SA)에 대한 통제가 어려워지자 자신에게 전적으로 충성하는 무장 경호대를 원했고, 이에 친위대(SS)가 창설되었다.[11] 1923년 뮌헨 폭동 실패 후, 히틀러는 경호대의 필요성을 절감했고, SS의 지위는 나치 계층 내에서 공고해졌다.[11]

1929년 1월, 히틀러는 하인리히 히믈러를 SS제국지도자에 임명하여 SS를 당내 엘리트 군단으로 키우는 목표를 맡겼다. 그러나 1933년까지 SS는 여전히 작은 조직이었다.[11] 1934년 6월 30일 발생한 룀 숙청 사건(흔히 “장검의 밤 사건”)으로 에른스트 룀을 비롯한 돌격대(SA) 고위 간부들이 숙청되면서 친위대의 입지는 더욱 강화되었다. 이후 SS는 국내외 문제에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선언되었고, 군대가 두려워했던 경쟁자로 성장했다.

아돌프 히틀러가 권력을 장악한 후, 독일 국방군(Wehrmacht)의 반역 또는 국내 폭동으로부터 자신과 나치당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군대도 경찰도 아닌 나치당의 무장 조직이다. 즉, 국가의 군대가 아니라, 당 또는 히틀러 개인의 사병(私兵)이다. 국방군과 달리 기본적으로 지원병 제도였지만, 후기의 외국인 의용병 사단이나 포로 부대, 그리고 초기부터 있던 사단에서도 병력 부족으로 인해 반강제적으로 입대하는 경우도 있었다.

초기에는 히틀러의 게르만 민족(germanische Volk)에 대한 우생학적(優生學的) 사상과 나치즘(Nazismus)에 기반하여 엄격한 입대 기준이 설정되어 유대인(Juden), 폴란드인(Polen) 등 비독일계 민족이나 용모가 열등한 자는 입대를 허용받지 못했다. 하인리히 히믈러가 말했듯이, 무장친위대의 최우선 목표는 유대인과 나치의 이데올로기상 열등하다고 간주된 인종과의 투쟁이었다. 그러나 1940년 이후에는 초기의 이념에 반하여 외국 국적의 독일계 병사나 외국인 병사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다른 국가 출신의 민족 독일인 모집은 1940년 4월에 시작되었고, 비게르만족 신병으로 구성된 부대는 1942년부터 편성되기 시작했다. 비게르만족 부대는 여전히 인종 기준을 유지하는 SS의 일부로 간주되지 않았지만, SS의 지휘 아래 복무하는 외국인으로 간주되었다. 일반적으로 "SS 사단"은 독일인 또는 다른 게르만계 사람들로 구성되었고, "SS의 사단"은 비게르만족 자원병과 징집병으로 구성되었다.

2. 1. 초기 경호 부대

1923년 뮌헨 폭동 실패 후, 아돌프 히틀러는 경호대의 필요성을 느껴 친위대(SS)의 지위를 공고하게 만들었다.[11] 1929년 1월, 히틀러는 하인리히 히믈러를 SS제국지도자로 임명했고, 히믈러는 SS를 당내 엘리트 군단으로 키우고자 했다. 히믈러는 지적 능력과 정치적 신념(나치즘 동조 및 인종주의)을 갖춘 독일 사회 엘리트들을 SS로 임명했지만, 1933년 말 SS는 겨우 5만 2천여 명이었다.[11]

같은 시기, 에른스트 룀이 이끌던 돌격대(SA)는 1933년 말 200만 명, 1934년에는 400만 명에 달하며 독일 국방군 및 보수파와의 관계에 위협이 되었다. 룀과 SA는 제2혁명을 주장하며 히틀러와 갈등했고, 결국 히틀러는 1934년 6월 30일 룀 숙청 사건(장검의 밤 사건)을 통해 룀과 SA 고위 간부들을 제거했다. 이 과정에서 SS는 룀을 비롯한 SA 고위 간부들과 쿠르트 폰 슐라이허같은 반나치 인사들을 숙청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11]

1933년 3월 17일, 제프 디트리히는 120명의 친위대원을 선발하여 베를린 특별부대(Sonderkommando Berlin)를 편성했다. 1933년 11월, 이 부대는 800명으로 커졌고, 뮌헨 폭동 10주년 기념식에서 히틀러에게 충성을 맹세하며 Leibstandarte|리이프슈탄다르테de (근위대) ''아돌프 히틀러''(LAH)라는 명칭을 받았다. 1934년 4월 13일, 히믈러의 명령에 따라 ''근위대 아돌프 히틀러''(LSSAH)로 알려지게 되었다.

1934년 히믈러는 SS 신병 모집에 엄격한 요건을 설정했다. 지원자는 1800년까지 아리아계 혈통을 증명해야 했고, 미혼, 무범죄자여야 했다. SS-VT와 LSSAH는 4년간 복무해야 했고, 징집병은 17~23세, 키는 최소 1.74m(LSSAH는 1.78m)여야 했다. 강제 수용소 경비원은 1년간 복무, 16~23세, 최소 1.72m여야 했다. 모든 징집병은 시력이 20/20이고, 충치가 없어야 했으며, 건강 증명서를 제출해야 했다. 1938년에는 신체 조건이 완화되었고, 전쟁 시작 후에는 기본적인 신체 검사만 통과하면 복무가 가능했다.

2. 2. 친위대 특무부대 (SS-VT)

1934년 9월, 아돌프 히틀러는 나치당의 준군사 조직 창설을 승인하고, 히틀러의 지휘 아래 특별 임무 부대인 SS-특무부대de(SS-VT) 편성을 승인했다. SS-VT는 무기 공급과 군사 훈련을 독일군에 의존해야 했고, 징집병을 국방군의 여러 부대로 배정하는 지역 징병 위원회는 독일 최고 사령부(Oberkommando der Wehrmachtde 또는 독일어 약칭 OKW)가 설정한 할당량을 충족해야 했으며, SS는 징집병에게 최저 우선순위를 부여받았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하인리히 히믈러는 SS 게르마니아de와 SS 도이칠란트de라는 두 개의 새로운 SS 연대를 편성했는데, 이들은 Leibstandartede와 통신 부대와 함께 SS-VT를 구성했다. 동시에 히믈러는 전 중장 파울 하우서의 지휘 아래 미래의 SS 지도자들을 양성하는 두 개의 SS 준커 학교(SS 장교 훈련소)를 설립했다. 군사 훈련 외에도 이 과정은 반유대주의를 주요 원칙으로 하는 적절한 이데올로기적 세계관을 심어주는 것을 목표로 했다.

1934년 히믈러는 신병 모집에 대한 엄격한 요건을 설정했다. 1800년까지 아리아계 혈통을 증명할 수 있는 독일 국민이어야 했고, 미혼이어야 했으며, 전과가 없어야 했다. SS-VT와 LSSAH는 4년간의 복무가 요구되었다. 징집병은 17세에서 23세 사이여야 했고, 최소 1.74m의 키(LSSAH는 1.78m)를 가져야 했다. 1938년까지 키 제한이 완화되었고, 최대 6개의 충치가 허용되었으며, 난시 및 경도 시력 교정을 위한 안경이 허용되었다. 전쟁이 시작되자 신체 조건은 더 이상 엄격하게 적용되지 않았고, 기본적인 신체 검사를 통과할 수 있는 징집병은 누구든 복무를 고려했다.

하우서는 1936년 SS-VT 사찰관이 되었다. 이 역할에서 하우서는 부대의 군사 및 이데올로기 훈련을 담당했지만 지휘권은 없었다. 부대 배치에 대한 결정은 히믈러의 손에 달려 있었다. 이는 히틀러의 1938년 8월 17일 명령에 따라 이 부대를 독점적으로 자신의 처분에 두려는 의도와 일치했다. 히틀러의 명령에 따르면 "군대도 경찰도 아니다".

1938년 8월 17일 히틀러는 SS-VT가 국내외 문제에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선언했고, 이는 성장하는 이 무장 부대를 군대가 두려워했던 경쟁자로 만들었다. 그는 SS-VT 복무가 병역 의무를 이행하는 것으로 인정했지만, SS-죽음의 머리 부대de(SS-TV) 복무는 인정하지 않았다. SS-TV의 일부 부대는 전시에 자체 예비군이 없는 SS-VT의 예비군으로 사용될 것이다.

1938년 Leibstandartede의 한 대대가 ''앙슐루스'' 기간 동안 오스트리아 점령에 참여하는 군대와 함께하기 위해 선발되었고, SS-VT의 3개 연대는 같은 해 10월 수데텐 지역 점령에 참여했다. 두 행동 모두 저항에 직면하지 않았다.

1935년 히틀러는 육군으로부터 독립하여 자유 재량으로 운용할 수 있는 무장 조직인 친위대 특무부대 편성을 육군으로부터 승인받았다. 1936년 예편한 육군 중장 파울 하우서가 친위대 특무부대 총감(Inspekteur der SS-Verfügungstruppen)에 임명되었고, 그는 지휘관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친위대 독자적인 사관학교(Junkerschule Bad Tölz)를 설립했다.

또한 나치 당 정권으로의 이행 과정에서의 정치적 불안정기에 대처할 수 있도록 주요 도시에 설치된 당의 치안 부대(Politische Bereitschaften)를 정비하여 친위대 특무부대로서 뮌헨에 도이칠란트 연대(SS-Standarte Deutschland), 함부르크에 게르마니아 연대(SS-Standarte Germania)를 편성했다. 1938년에는 합병된 오스트리아에서 데어 퓌러 연대(SS-Standarte Der Führer)가 추가되었다.

폴란드 전쟁 이후인 1939년 10월 이들 세 개의 친위대 특무부대가 통합되어 SS 특무사단이 편성되었고, 프랑스 전투에서 활약했다.

3. 계급 체계

무장친위대는 독자적인 계급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 사병, 부사관, 위관급 및 영관급 장교의 계급은 모조직인 SS와 동일했지만, 장성급에서는 명칭이 달랐다. 이들은 두 종류의 계급 호칭을 함께 사용했다. 예를 들어, 'SS상급대장'으로 번역되는 Oberstgruppenführerde는 일반 SS의 계급이었고, 무장친위대에서는 Generaloberst der Waffen-SSde로 불렸다. Generaloberstde독일 육군의 계급 호칭에 ''der Waffen-SSde''라는 수식어를 붙인 것이다.

Standartede는 정사각형의 작은 깃발을 가리키기도 한다. 나치당 대회에서 깃발병이 수직으로 들고 있는 70cm 크기의 '''Deutschland erwachede'''(독일이여, 깨어나라)가 수놓아진 붉은 천 깃발이 대표적이다. 이 깃발은 황금 독수리가 갈고리 십자가를 잡고 있는 조형이 정상에 장식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돌격대도 비슷한 깃발을 보유했는데, 명판의 색깔로 구별되었다. 친위대는 검정색, 돌격대는 적색이었다.

3. 1. SS 계급과의 비교

무장친위대의 사병, 부사관, 위관급 및 영관급 장교들의 계급은 모조직인 SS와 동일하다. 그러나 장성이 되면 명칭이 달라졌으며, 한 사람이 두 종류의 계급 호칭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에서 보통 SS상급대장으로 번역하는 Oberstgruppenführerde는 SS(정확하게는 Allgemeine SS)의 계급이며, 무장친위대에서는 Generaloberst der Waffen-SSde로 호칭한다. Generaloberstde독일 육군에서 사용하던 계급 호칭이며, 여기에 ''der Waffen-SSde''라는 수식어를 덧붙인 것이다.

3. 2. 국방군 계급과의 비교

무장친위대의 계급 체계는 기본적으로 모조직인 친위대(SS)와 마찬가지로 사병, 부사관, 위관급 및 영관급 장교 계급을 사용했다. 그러나 장성급에서는 명칭이 달라졌으며, 한 사람이 두 가지 계급 호칭을 가지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에서 SS상급대장으로 번역되는 'Oberstgruppenführe'는 일반 친위대(Allgemeine SS)의 계급이었지만, 무장친위대에서는 'Generaloberst der Waffen-SS'로 불렸다. 이는 독일 육군의 'Generaloberst' 계급에 'der Waffen-SS'(무장친위대 소속)라는 수식어를 붙인 것이다.

4.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1940년 7월 19일, 히틀러는 국회(Reichstag) 연설에서 서부 전선 작전 결과를 발표하며 참전한 독일군을 칭찬했다. 그는 LSSAH와 SS-VT 부대를 언급하며 "Waffen-SS"라는 용어를 사용했고, 이날부터 "Waffen-SS"는 SS 전투 부대의 공식 명칭이 되었다. 1940년 8월, 하인리히 힘러는 SS 지휘본부(SS Führungshauptamt) 내에 무장친위대의 독자적인 최고 사령부인 Kommandoamt der Waffen-SS를 구성했다.[1] 이 사령부는 SS-VT(라이프슈탄다르테와 변경된 명칭의 제국 사단)와 무장 SS-TV 연대(Totenkopf 사단)를 지휘했다.[2]

같은 해, SS 참모총장 고틀로브 베르거는 정복 지역의 독일계 및 게르만계 주민에게서 지원병을 모집하는 계획을 힘러에게 제안했다. 히틀러는 외국인 모집에 처음에는 의구심을 가졌지만, 힘러와 베르거의 설득으로 마음을 바꿨다.[3] 이후 독일 장교가 지휘하는 외국인 부대 편성이 승인되었다. 1940년 6월, 덴마크와 노르웨이 지원병은 노르트란트 SS 연대를, 네덜란드와 플랑드르 지원병은 베스트란트 SS 연대를 편성했다. 이 두 연대는 게르마니아 연대와 함께 SS 비킹 사단을 구성했다.[4] 지원병이 충분히 모이자 SS는 알자스-로렌 센하임에 외국인 지원병 훈련소를 설립했다.[4]

1943년경 전황이 악화되자 현지 외국인 지원 또는 징병이 시작되었다. 무장친위대는 동유럽에서 잔혹 행위에 적극 관여하여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범죄 조직”으로 단죄되었다.

거의 모든 무장친위대와 자원병 사단은 제3제국(독일) 교전국에서 다양한 전쟁범죄에 가담했다. 수많은 슬라브인과 유대인을 학살한 아인자츠그룹펜 구성원 상당수는 무장친위대 병사였다. 오스카르 디를레방거가 이끈 제36SS기갑척탄병사단 디를레방거나 카민스키 여단 등은 민간인 학살, 약탈, 강간 등 만행을 저질렀다.

4. 1. 폴란드 침공 (1939)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폴란드 침공 (1939)"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2. 프랑스 침공 (1940)

LSSAH(제1SS기갑사단 아돌프 히틀러), SS해골사단, SS특무사단은 프랑스 전투에서 활약했고, 1940년에 "무장친위대"라는 명칭을 부여받았다. 무장친위대는 1933년 요제프 디트리히가 지휘하는 히틀러 개인 경호 부대인 제1SS 기갑사단 라이프슈탄다르테 SS 아돌프 히틀러에서 시작되었다. 1934년에는 SS융커 학교가 설립되었고, 1935년 파울 하우서가 친위대 특무부대 편제를, 테오도어 아이케는 강제 수용소 감시 부대인 SS두개골 부대에서 1939년 SS두개골 사단을 편성했다. 그러나 육군은 “제2국군”으로 확장될 것을 우려하여 1942년까지 무장친위대의 예산은 내무부 경찰 예산으로 충당되었다.

1940년 11월, 프랑스에서 큰 승리를 거둔 후 친위대 무장 부대는 “친위대 특무부대”에서 “'''무장친위대'''”로 공식 명칭이 변경되면서 “퍼레이드용 병사”가 아닌 실력을 갖춘 “야전 부대”로 인정받았다.

4. 3. 동부 전선 (1941-1945)

1941년 6월 22일,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독일의 소련 침공이 시작되자 무장친위대 모든 부대가 참전했다. Leibstandartede 사단과 바이킹 사단은 우크라이나키예프를 향해 진격하는 남부 집단군에 배속되었다.[1][2] 다스 라이히 사단중부 집단군에 소속되어 모스크바로 진격했고,[3][4] 토텐코프프 사단과 경찰 사단은 발트 3국을 거쳐 레닌그라드로 진격하는 북부 집단군에 배속되었다.[5][6] 노르트 무장친위대 사단핀란드 북부에 주둔하여 살라 전투에 참전했으나, 짙은 숲과 연기로 인해 혼란에 빠져 큰 피해를 입었다.[7]

소련 침공 초기에는 순조로웠지만, 무장친위대는 큰 피해를 입었다. 10월 말, Leibstandartede 사단은 이질과 적의 공격으로 병력의 절반을 잃었다.[8] 다스 라이히 사단은 병력의 60%를 잃은 채 모스크바 전투에 참가해야 했고, 소련군의 반격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9]

전선에서 무장친위대 사단들이 전투를 벌이는 동안, 후방에서는 SS-TV 출신 제1 SS 보병여단, 제2 SS 보병여단, SS 기병여단홀로코스트에 가담했다.[10][11] 이들은 아인자츠그룹펜을 도와 소련 유대인 학살에 참여했으며, 1941년 말까지 수만 명을 살해했다.[12]

1941년 우크라이나 즈보리프(Zboriv) 마을에서 유대인 학살 현장에 있는 아인자츠그룹펜 대원들


특히 SS 기병여단은 헤르만 페겔라인의 지휘 아래 프리피야트 늪지대에서 유대인, 파르티잔, 민간인을 학살했다.[13][14] 1941년 9월 18일, 페겔라인의 보고서에는 14,178명의 유대인, 1,001명의 파르티잔, 699명의 적군 병사를 살해했다고 기록되었으나,[15][16] 실제 희생된 유대인 수는 23,700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17]

1941년 9월, SS 기병여단 기병들


SS 토텐코프 사단장 테오도어 아이케는 동부 전선의 데미얀스크 포위전에서 소련군의 공격을 막아내고 데미얀스크를 지켜 기사철십자훈장을 수여받았다. 그러나 1943년 2월, 아이케는 수색 중 탑승기 격추로 전사했다.

4. 4. 서부 전선 (1944-1945)

죄송합니다.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서부 전선 (1944-1945)"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직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원본 소스는 주로 1940년부터 1941년까지 무장친위대의 초기 형성과정과 발칸 반도에서의 활동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요약에서 언급된 노르망디 상륙작전, 팔레즈 포위망, 아르덴 대공세,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말메디 학살 등의 내용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현재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한 내용이며, 추가적인 수정 사항은 없습니다.)

4. 5. 기타 전선

1941년 봄, 무장친위대는 6~7개 사단급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에는 다스 라이히 사단, 토텐코프 사단, 경찰 사단, 비킹 사단, 노르트 전투단(Kampfgruppe, 이후 사단), 라이프슈탄다르테, 제1SS보병여단, 제2SS보병여단, SS기병여단이 포함되었다. 이들은 모두 1941년 6월 22일 시작된 독일의 소련 침공 작전인 바르바로사 작전에 투입되었다.

노르트 사단핀란드 북부에서 핀란드군과 함께 북극여우 작전에 참여, 살라 전투를 치렀다. 이 전투에서 강력한 소련군에 맞서 초기 이틀 동안 300명이 전사하고 400명이 부상당했다. 짙은 숲과 산불 연기로 인한 혼란 속에 사단은 와해되었다.[1] 1941년 말, 노르트 사단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토텐코프 사단과 경찰 사단은 북부 집단군에 배속되어 발트 3국을 거쳐 레닌그라드로 진격했다.[2][3] 라이프슈탄다르테와 비킹 사단은 남부 집단군 소속으로 우크라이나키예프로 향했다.[2][3]

라이프슈탄다르테 등 무장친위대 사단들이 최전선에서 전투를 벌이는 동안, 후방에서는 다른 상황이 전개되었다. SS-TV 소속 강제수용소 경비병들로 구성된 제1SS보병여단, 제2SS보병여단, SS기병여단은 진격하는 군대 뒤편으로 소련에 진입했다. 이들은 초기에는 소비에트 파르티잔과 교전하고 남부 집단군 후방의 적군 부대를 차단하여 7,000명의 포로를 잡았으나, 1941년 8월 중순부터 1942년 말까지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휘하의 국가안보본부에 배속되었다.[4][5] 이 여단들은 후방 지역 경비 및 치안 유지에 투입되었고, 더 이상 군대나 무장친위대의 지휘를 받지 않았다. 1941년 가을, 이들은 반파르티잔 작전을 다른 부대에 넘기고 홀로코스트에 적극 가담했다. 아인자츠그룹펜을 지원하며 소련 유대인 학살에 참여했고, 필요에 따라 처형대를 구성하기도 했다. 1941년 말까지 이들 세 여단은 수만 명의 학살에 책임이 있었다.[5]

SS기병여단은 기동성이 뛰어나고 대규모 작전 수행 능력이 우수하여 3,500명 규모의 연대 2개를 보유했으며, 유대인 대량 학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6] 1941년 여름, 히믈러는 헤르만 페겔라인을 두 연대의 지휘관으로 임명했다.[7] 1941년 7월 19일, 히믈러는 페겔라인의 연대를 HSSPF 에리히 폰 뎀 바흐-젤레프스키의 총사령부에 배속, 프리피야트 늪지대를 "체계적으로 수색"하는 작전을 명령했다. 이 작전은 벨라루스 SSR 지역에서 유대인, 파르티잔, 민간인을 체포하고 학살하기 위한 것이었다.[8]

1942년, 무장친위대는 더욱 확장되었고, 3월에 새로운 사단이 창설되었다. 1942년 하반기에는 많은 외국인들이 무장친위대에 입대했다.[9] 제7 SS 자원산악사단 프린츠 오이겐은 현지 독일 지도부의 처벌 위협 아래 징집된 폴크스도이체(민족 독일인)들로 구성되었으며,[9]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헝가리, 루마니아 출신으로 발칸반도에서 반군 작전에 투입되었다.[1][10] 히믈러는 독일 점령지 세르비아의 폴크스도이체에 대한 공식 징병을 승인했다.[9] 동시에 SS 기병여단을 간부로 하여 제8 SS 기병사단 플로리안 가이어가 창설되었다.[1]

5. 외국인 의용병 및 징집병

무장친위대는 병력 충원에 어려움을 겪었다. 병역 의무 연령에 도달한 젊은 남성들은 거주하는 군관구에 등록되었고, 일정 비율로 육군, 해군, 공군 등 국방 삼군에 배분되었지만, 무장친위대는 징병으로 충원되지 않았고, 완전 지원제였기 때문에 "만 17세가 되면 무장친위대에 지원하라!"는 포스터로 모병 활동을 할 필요가 있었다. 초기에는 혈통, 체력, 정치적 신념으로 입대 여부를 결정하였고, 출신 계층이나 학력은 고려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전쟁 전에 입대했던 SS 장교 후보생 중 무려 4할이 초등학교 수준의 교육만 받은 자들이었다.

이러한 지원 제도는 결과적으로 병역 대상자를 무장친위대에 빼앗기게 되므로, 종종 국방군 육군 징병 부서와의 마찰을 일으켰다. 1943년경 전황이 악화되면서, 현지 외국인들이 지원하거나 징병되기 시작했다. 무장친위대의 제복은 젊은이들에게 보기 좋다는 평판이었고, 무장친위대 입대 기간이 병역 의무 기간에 산입되었기 때문에 병역 부담을 줄이기 위해 무장친위대에 지원하는 젊은이들이 많았다. 귄터 그라스는 1944년 당시 17세에 지원하여 제10SS기갑사단 전차병으로 본토 방위전을 치렀다고 고백하여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제12SS기갑사단 히틀러 유겐트는 하급 병사의 대부분이 소년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캐나다군의 맹공으로부터 캉 시를 2개월 이상 사수하여, 노르망디에서 내륙으로 진격할 예정이었던 연합군은 그 계획을 크게 수정해야만 했다. 그러나 그 일련의 전투에서 동사단은 전사 약 4000명, 전상자 약 8000명, 초대 사단장 전사, 2대 사단장 포로가 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한스 페터 리히터는 저서 "젊은 병사의 때"에 당시 상황을 기록했다.

종전 시점에서 무장친위대 병력의 약 60%는 독일인이 아니었다.

무장친위대는 동유럽에서의 잔혹 행위에 적극적으로 관여하여,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범죄 조직”으로 단죄되었다. 그 때문에 전후, 무장친위대 출신들은 국방군 출신들과 달리 군인 연금 지급 등이 거부되었고, 독일에 남은 전직 무장친위대 고위 관리들을 중심으로 “무장친위대는 군인으로서 행동했을 뿐, 친위대와는 무관하다”며 군인 연금을 요구하는 운동이 행해졌다.

구 무장친위대원 상호부조협회(HIAG) 등의 단체가 주최하는 행사가 독일 전역에서 열렸으나, HIAG는 1992년에 해산되었다.

5. 1. 초기 외국인 부대

하인리히 힘러는 SS의 통제를 받는 외인부대 창설을 통해 무장친위대를 확장하고자 했다. 그는 중세적 전승에 따라 "공산주의 볼셰비키의 위협으로부터 유럽을 구한다"는 명분으로 십자군을 계획했다.

무장친위대 내에서 가장 쓸모없는 부대로 평가받는 영국 자유군단은 존 애머리가 군단장이었으며, 영국 및 영연방 국가 시민들로 구성되었으나, 그 규모는 30명을 넘지 못했다. 미국 자유군단 (조지 워싱턴 여단) 역시 병력이 5명 이하로, 순전히 선전 목적으로만 존재했다.

5. 2. 게르만계 지원병

네덜란드어로 된 모병 포스터. "네덜란드인들이여, 너희의 명예와 양심을 위해 일어서라! ―볼셰비즘에 맞서 싸워라! 무장친위대가 너희를 부른다!"


1941년 모병 포스터


무장친위대는 초기에는 혈통, 체력, 정치적 신념을 기준으로 입대 여부를 결정했으나, 병력 충원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외국인 지원자를 적극적으로 모집했다. 처음에는 독일계 사람들을 시작으로, 게르만계 네덜란드인, 덴마크인, 벨기에인, 노르웨이인을 모집했다. 무장친위대의 제복은 젊은이들에게 인기가 좋았고, 무장친위대 복무 기간이 병역 의무 기간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병역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원하는 젊은이들이 많았다.[12]

이후 친위대는 혈통 기준을 완화하고 독일 국적자 채용을 줄이는 대신 외국인 지원자 모집을 확대했다. 신체적 특징, 출신, 정치적 사상보다는 인격, 식견, 교양 등 개인의 내면적 자질을 중요하게 평가했다. 이에 따라 비게르만계 프랑스인, 슬라브인, 심지어 이슬람교도까지 모집 대상이 확대되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무장친위대 총 병력 90만 명 중 60%는 외국인 부대였다.

베를린 전투에서 마지막까지 국회의사당을 지키며 싸운 부대는 노르트란트 사단과 프랑스인 의용병들이었다. 이들이 끝까지 싸운 이유 중 하나는 항복해도 본국으로 돌아가면 반역자로 처형될 것이라는 절망감 때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외국인 의용병 대부분은 전후 본국에서 냉대를 받고 재판에 회부되었으며, 프랑스 자유군에 넘겨져 처형된 경우도 있었다.

5. 3. 비게르만계 지원병 및 징집병

1943년 히틀러의 승인으로 최초의 비게르만계 사단인 SS 제13산악사단 한자르(크로아티아 제1사단)이 조시프 브로즈 티토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과 싸우기 위해 창설되었다.[4] 이어서 우크라이나 서부 갈리치아 출신 자원병들로 구성된 SS 제14척탄병사단(갈리치아 제1사단)이 창설되었다.[4] 오스트란트(Ostland)에서 강제 징병을 통해 SS 제15척탄병사단(라트비아 제1사단)이 1943년에 창설되었다.[4]

1943년 최초의 비게르만계 다민족 무장친위대 사단인 한자르(Handschar) 사단의 대원들인 보스니아계 무슬림(보스니아인)


무장친위대는 초기에는 혈통, 체력, 정치적 신념으로 입대 여부를 결정했지만, 국방군과의 마찰, 병력 부족 등의 이유로 외국인 지원자를 적극적으로 모집하게 되었다. 독일 국적 보유자의 채용을 줄이고, 외국인으로부터 광범위하게 지원자를 모집했다.[6]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외국 국적의 독일계 사람들을 시작으로, 게르만계 네덜란드인, 덴마크인, 벨기에인, 노르웨이인을 거쳐, 비게르만계 프랑스인, 슬라브인, 심지어 이슬람교도까지 대상을 확대했다.[6] 이러한 개혁으로 인해 90만 명 이상으로 추정되는 무장친위대 총 병력의 60%는 외국인 부대였다.[6]

베를린 전투에서 끝까지 국회의사당에 남아 싸운 부대는 노르트란트 사단과 프랑스인 의용병들이었다.[7] 항복해도 고국으로 송환되어 반역자로 처형될 것이라는 절망감 때문에 끝까지 싸웠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7] 실제로 외국인 의용병의 대부분은 전후 조국에서 냉대를 받고 재판에 회부되었으며, 프랑스 자유군에 인도된 의용병처럼 처형된 장병도 적지 않았다.[7]

6. 전후 처리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무장친위대를 포함한 모든 친위대 조직은 홀로코스트와 학살 등의 전쟁범죄에 가담한 범죄 조직으로 판결받았다.

6. 1. 뉘른베르크 재판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무장친위대를 포함한 모든 친위대 조직은 "범죄 조직"으로 선고되었다. 이는 무장친위대가 홀로코스트와 학살 등의 전쟁범죄에 가담했기 때문이다. 거의 모든 무장친위대 부대는 제3제국의 교전국에서 다양한 전쟁범죄에 가담한 것으로 여겨진다. 수많은 슬라브인과 유대인을 학살한 아인자츠그루펜 구성원 상당수는 무장친위대 병사였다. 또한 오스카 디를레방어가 이끈 제36SS기갑척탄병사단이나 카민스키 여단 등 비전투원 민간인에게 학살, 약탈, 강간 등의 만행을 저지른 부대도 있었다.

6. 2. 전범 재판 및 처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무장친위대는 나치당의 나치 이데올로기홀로코스트, 그리고 수많은 전쟁 범죄와 인도에 반한 죄에 연루된 사실 때문에 범죄 조직으로 판결받았다. 다만, 무장친위대 출신 징병된 병사들은 범죄 조직의 구성원으로 자동 간주될 만큼의 선택권이 없었기 때문에 예외로 하였다.

거의 모든 무장친위대 부대는 제3제국(독일)의 교전국에서 다양한 전쟁범죄에 가담한 것으로 여겨진다. 수많은 슬라브인유대인을 학살한 아인자츠그루펜 구성원의 상당수는 무장친위대 병사였다. 또한 오스카어 디를레방어가 이끈 제36SS기갑척탄병사단이나 카민스키 여단 등 비전투원 민간인에 대해 학살, 약탈, 강간 등의 만행을 저지른 부대도 존재한다.

말메디 학살 재판과 같은 개별적인 전범 재판에서 무장친위대 구성원들은 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을 지고 처벌받았다. 그러나 전쟁 범죄에 대한 책임 소재와 처벌의 형평성 문제는 여전히 논란거리로 남아있다.

6. 3. 전후 독일 사회에서의 논란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무장친위대는 "범죄 조직"으로 단죄되었다.[3] 그 때문에 전후 무장친위대 출신들은 국방군 출신들과 달리 군인 연금 지급 등이 거부되었다.[3] 독일에 남은 전직 무장친위대 고위 관리들을 중심으로 "무장친위대는 군인으로서 행동했을 뿐, 친위대와는 무관하다"며 군인 연금을 요구하는 운동이 행해졌다.[3]

외국에서는 무장친위대 출신들이 침묵하고 있어 소멸된 것으로 여겨졌지만, 실제로는 정치적 이데올로기가 강한 조직이었기 때문에 정치에 대한 관심이 강했다.[3] 구 무장친위대원 상호부조협회(HIAG) 등의 단체가 주최하는 행사가 독일 전역에서 열렸다.[3] HIAG는 1992년에 해산했지만, 해산 전까지 연방헌법수호청에 의해 감시 단체 중 하나로 지정되어 있었다.[3]

7. 한국의 관점에서의 평가와 교훈

무장친위대는 아돌프 히틀러와 나치당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국가의 군대가 아닌 당 또는 히틀러 개인의 사병(私兵)이었다. 초기에는 히틀러의 게르만 민족에 대한 우생학적 사상과 나치즘에 기반하여 엄격한 입대 기준이 설정되어 유대인, 폴란드인 등 비독일계 민족은 입대를 허용받지 못했다. 그러나 1940년 이후에는 초기의 이념과 달리 외국 국적의 독일계 병사나 외국인 병사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되었다.

전후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무장친위대를 포함한 모든 친위대 조직은 홀로코스트와 학살 등의 전쟁범죄에 가담한 "범죄 조직"으로 선고되었다.

무장친위대의 사례는 극단적인 이념과 폭력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을 보여준다. 특히, 한국 사회는 일제강점기라는 아픈 역사를 경험했기에, 과거사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성찰이 더욱 중요하다. 역사의 교훈을 잊지 않고, 증오와 폭력이 아닌 평화와 공존의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

7. 1. 일제강점기와의 비교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주어진 원본 소스에 '일제강점기와의 비교'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수 없습니다.)

7. 2. 역사적 교훈과 경각심

무장친위대의 사례는 극단적인 이념과 폭력이 초래할 수 있는 위험성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나치즘이라는 광기 어린 이념에 경도되어 잔혹한 전쟁 범죄와 학살을 자행한 무장친위대의 역사는 인류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특히, 1944년에 무장친위대가 급격히 확장되면서 외국인 부대들을 편입한 사례는 주목할 만하다. 제19무장척탄병사단(제2라트비아 사단), 제20무장척탄병사단(제1에스토니아 사단), 제21무장산악사단(제1알바니아 사단) 스칸데르베그 등 다양한 국적의 부대들이 무장친위대에 편입되었는데, 이는 나치즘의 광기가 독일을 넘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었음을 보여준다.[1] 이러한 외국인 부대들은 점령지에서 "비정규군"에 대항하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잔혹 행위에 가담하기도 했다.[1]

제22무장친위대 자원 기병사단 마리아 테레지아와 같이 헝가리군 징집병들로 구성된 부대, 제24무장산악사단 카르스트야거와 같이 이탈리아, 유고슬라비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우크라이나 등 다양한 출신의 자원병들로 구성된 부대도 있었다.[1] 제1코사크 기병사단과 같이 독일군에 의해 편성되었다가 무장친위대로 편입된 경우도 있었다.[1]

이러한 역사는 우리에게 극단적인 이념과 폭력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준다. 특히, 한국 사회는 일제강점기라는 아픈 역사를 경험했기에, 과거사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성찰이 더욱 중요하다. 역사의 교훈을 잊지 않고, 증오와 폭력이 아닌 평화와 공존의 가치를 추구하며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

참조

[1] 서적 A Companion to the Nibelungenlied https://books.google[...] Boydell & Brewer 2022-05-20
[2] 웹사이트 Nuremberg Trial Proceedings, Volume 22 'Two Hundred and Seventeenth Day: Monday, 30 September 1946' http://avalon.law.ya[...] Lillian Goldman Law Library
[3] 웹사이트 Oskar Dirlewanger: The Nazi Who Even Other Nazis Thought Was Cruel And Depraved https://allthatsinte[...] 2017-11-27
[4] 웹사이트 Timeline of Dachau https://www.jewishvi[...] 2024-02-17
[5] 웹사이트 Did Nazis Study Insects for Use in Biological Warfare? https://www.livescie[...] 2014-02-21
[6] 웹사이트 Stolen Children https://www.jewishvi[...] 2024-02-17
[7] 웹사이트 Holocaust https://womensmediac[...]
[8] 웹사이트 Holocaust film reveals long-hushed child sex abuse https://www.timesofi[...] 2015-04-15
[9] 웹사이트 Einsatzgruppen http://www.holocaust[...] 2024-02-17
[10] 웹사이트 Operation Reinhard https://encyclopedia[...]
[11] 서적 HITLER'S TABLE TALK 1941–1944 His Private Conversations Enigma Books
[12] 서적
[13] 웹사이트 Götz von Berlichingen Diary http://www.waffen-ss[...] 2013-05-24
[14] 뉴스 Greeks lose Nazi massacre claim http://news.bbc.co.u[...] 2003-06-26
[15] 뉴스 Italy convicts Nazis of massacre http://news.bbc.co.u[...] 2007-01-13
[16] 서적 Die SS-Sturmbrigade „Dirlewanger“. Vom Warschauer Aufstand bis zum Kessel von Halbe. Band II. 1. Auflage. Verlag Rolf Michaelis
[17] 웹사이트 RONA – Russian National Liberation Army (Russkaya Osvoboditelnaya Narodnaya Armiya) http://www.warsawupr[...]
[18] 웹사이트 Warsaw Uprising: RONA, Bronislaw Kaminski http://www.warsawupr[...]
[19] 서적 Barbarossa: The Russian-German Conflict, 1941–1945 https://archive.org/[...] William Morrow and Company 1965
[20] 서적 The Story of the SS: Hitler's Infamous Legions of Death https://archive.org/[...] Chartwell Books
[21] 웹사이트 Judgement: The Accused Organizations http://avalon.law.ya[...] Lillian Goldman Law Library
[22] 웹사이트 Uchwała Sejmu w sprawie oddania hołdu ofiarom ludobójstwa dokonanego przez nacjonalistów ukraińskich na obywatelach II RP w latach 1943–1945 https://www.sejm.gov[...] 2016-07-22
[23] 간행물 Resolution of the Sejm of the Republic of Poland of July 22, 2016 on paying tribute to the victims of genocide committed by Ukrainian nationalists against citizens of the Second Polish Republic in the years 1943-1945 http://orka.sejm.gov[...] 2016-07-22
[24] 간행물 Resolution of the Senate of the Republic of Poland of July 7, 2016 on paying tribute to the victims of genocide committed by Ukrainian nationalists against citizens of the Second Republic in 1939-1945 http://www.senat.gov[...] 2016-07-07
[25] 학술지 The Ban of Right-Wing Extremist Symbols According to Section 86a of the German Criminal Code https://www.cambridg[...] 2007
[26] 뉴스 German Jewish leader urges cancellation of pension payments to former SS members https://www.timesofi[...] 2019-03-27
[27] 보고서
[28] 웹사이트 Neo-Nazis marching on the streets in European cities despite EU bans https://www.brussels[...] 2023-03-28
[29] 웹사이트 On Europe's Streets:Annual Marches Glorifying Nazism https://www.bnaibrit[...] 2023-03-25
[30] 웹사이트 Finnish neo-Nazi group diversifies, seeks alliances as ban closes in https://yle.fi/a/3-1[...] 2024-09-21
[31] 웹사이트 Äärioikeistolaisten hihamerkit ja anarkistiliput vilahtelivat Helsingissä, kun tuhannet marssivat itsenäisyyspäivän mielenosoituksissa – Poliisi otti kiinni 13 ihmistä https://www.hs.fi/ka[...] Helsingin Sanomat 2020-10-07
[32] 웹사이트 Pohjoismainen vastarintaliike joukkonujakassa itsenäisyyspäivänä – uusnatsit naureskelivat väkivallalle: "Hauskaa!" https://www.iltaleht[...] Iltasanomat 2020-10-07
[33] 웹사이트 Kirjailija Timo Hännikäinen järjesti marssin uusnatsien kanssa https://www.kansanuu[...] Kansan Uutiset 2020-10-07
[34] 웹사이트 612-kulkue perustettiin äärioikeiston marssiksi. Jos se ei riitä syyksi vastustaa kulkuetta, niin mikä sitten? http://iirissuomela.[...] 2020-10-07
[35] 웹사이트 Vilhelm Junnila on useita kertoja esittänyt määrärahaa SS-perinnettä vaalivalle yhdistykselle https://www.hs.fi/po[...] 2023-06-30
[36] 웹사이트 Символіка дивізії СС "Галичина" не є нацистською – верховний суд https://www.istpravd[...] 2024-02-17
[37] 웹사이트 Emblem of SS Galizien - Reporting Radicalism in Ukraine https://web.archive.[...] Freedom House 2024-02-17
[38] 서적 Символи ненависті / Довідник https://helsinki.org[...] Українська Гельсінська спілка з прав людини 2024-02-17
[39] 웹사이트 WAFFEN-SS DIVISION "GALICIA" — A UKRAINIAN MILITARY UNIT WITHIN THE WEHRMACHT https://lia.lvivcent[...]
[40] 문서 Относительно акции в Киеве к годовщине создания дивизии СС "Галичина" https://www.presiden[...] 2024-02-17
[41] 웹사이트 Hundreds in Ukraine attend marches celebrating Nazi SS soldiers https://www.timesofi[...] 2024-02-17
[42] 웹사이트 Monuments to Ukrainian unit that fought with the Nazis discovered near Philadelphia and Detroit https://forward.com/[...] 2023-08-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