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1원정군사정보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01원정군사정보여단은 1987년 9월 1일, 제503육군보안단과 제201군사정보분견대의 통합으로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전장감시여단에서 원정군사정보여단으로 개편되었으며, 현재 본부 및 본부중대, 제109군사정보대대, 제502군사정보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이라크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며, 육군 우수부대표창과 필리핀 대통령 부대 표창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라크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36공병여단
제36공병여단은 미국 육군의 공병 부대로, 제3기갑군단 소속으로 텍사스주 포트 카바조스에 위치하며, 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 다양한 전역에 참전했고, 2006년 미 육군 최초의 모듈형 공병 여단으로 재편성되어 독립적인 작전 수행 능력을 갖추고 있다. - 이라크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여단 - 제8군사경찰여단
제8군사경찰여단은 주한 미군에 배속되어 법 집행 및 질서 유지를 담당하는 부대로, 1967년 창설된 제8군사경찰단에서 시작되어 베트남 전쟁과 이라크 자유 작전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제728군사경찰대대와 제71화학중대를 예하 부대로 두고 평택 미군기지 이전 사업 관련 지역 사회와의 협력 및 갈등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미국 육군의 군사정보여단 - 제501군사정보여단
제501군사정보여단은 한국 전쟁 중 창설된 미 육군 군사정보 여단으로, 정보 수집 및 분석 임무를 수행하며 공로부대표창과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표창을 수여받았고, 현재 험프리스 기지에 사령부를 두고 여러 예하 부대를 지휘하며 524 군사정보대대는 아프가니스탄 파병을 통해 작전 영구 자유 작전을 지원했다. - 미국 육군의 군사정보여단 - 제500군사정보여단
제500군사정보여단은 1952년 창설되어 극동사령부 예하 한국 전쟁 참전 부대 지원으로 시작, 냉전 시대 소련 및 공산권 정보 수집 및 분석을 거쳐 현재 미 육군 태평양 사령부 지원과 한반도 안보에 기여하는 미국 육군 정보 부대이다.
제201원정군사정보여단 |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201원정군사정보여단 |
원어 이름 | 201st Expeditionary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 |
약칭 | 201st EMIB |
창설 | 1942년 (제501육군보안단)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
병과 | 군사정보대 |
종류 | 원정군사정보여단 |
규모 | 여단, 2개 군사정보대대 |
명령 체계 | 제1(I)군단 |
본부 |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 |
참전 | 태평양 전쟁 6.25 전쟁 이라크 전쟁 항구적 자유 작전-아프가니스탄 |
지휘관 명칭 | 여단장 |
지휘관 | 대령 |
인식표 이름 | SSI |
![]() | |
인식표2 이름 | DUI |
![]() |
2. 역사
1987년 9월 1일 제503육군보안단과 제201군사정보분견대를 병합하여 제201군사정보여단이 창설되었다. 2008년 7월 3일에는 전장감시여단 편제가 적용되어 제201전장감시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2017년 전력사령부 예하 3개 정규군 전장감시여단은 원정전에 투입되는 군사정보여단으로 개편되었으며, 이에 따라 제201전장감시여단도 제201원정군사정보여단으로 개편되었다.
2. 1. 창설 배경
1987년 9월 1일, 제503육군보안단과 제201군사정보분견대를 통합하여 창설되었다.2. 2. 제503육군보안단
1942년 7월 23일,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제323통신중대''로 창설되어 태평양 전쟁에 참전하였다. 1946년 10월 17일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비행장에서 동원해제로 해산하였다.1950년 9월 6일, ''제323통신무선정보중대''로 무선 통신에서의 통신 보안을 맡은 부대로 개편되고, 10월 2일 재소집되었다. 이듬해 1월 3일에 제601교신정찰단으로 재편성되었다가, 2월 5일에 503으로 서수가 바뀌었다. 5월 1일, 버지니아주 포트 마이어에서 현역 근무 명령을 하달받고 6.25 전쟁에 참전하였다.
1955년 5월 16일, 현역 근무가 해제되어 육군 예비군(1952년 7월 9일, 조직된 에비대에서 개편됨)으로 되돌려졌다. 7월 20일에 동원해제 및 해산하였다. 1956년 1월 6일부터 1959년 6월 27일까지 워싱턴 D.C.에서 근무하였다.
부대 연혁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명칭 | 비고 |
---|---|---|
1942년 7월 23일 | 323d Signal Company|제323통신중대영어 | Army of the United States에 배정됨. |
1950년 9월 6일 | 323d Signal Radio Intelligence Company|제323통신무선정보중대영어 | 조직된 예비대에 배정됨. |
1951년 1월 3일 |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601st Communication Reconnaissance Group|제601교신정찰단, 본부 및 본부중대영어 | |
1951년 2월 5일 |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503d Communication Reconnaissance Group|제503교신정찰단, 본부 및 본부중대영어 | |
1951년 5월 1일 | 정규군 근무 명령을 하달받음. | |
1955년 5월 16일 | 정규군 근무 해제 및 육군 예비군으로 배정됨. | |
1956년 9월 3일 |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503d Army Security Agency Group|육군보안국 제503단, 본부 및 본부중대영어 | 2003년 9월 16일, 육군 예비군에 배정됨. |
2. 3. 제201군사정보분견대
태평양 전쟁에 투입될 제201CIC분견대는 1944년 7월 12일에 조직되어 다음 달 8월 20일 뉴기니에서 활동을 개시하였다.1946년 2월 25일, 일본에서 해산하였다.
1950년 10월 6일, 한반도에서 재소집되어 제1군단의 방첩대로서 1955년 2월 21일까지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다.
1959년 3월 20일 정규군에 배정되었고, 같은 해 6월 12일에 제201군사정보분견대로 개편되어 주한 미군으로서 1971년 6월 30일에 제1군단과 함께 해산될 때까지 근무하였다.
1971년 10월 1일, 미국 본토의 텍사스주 포트 후드에서 1975년 6월 21일까지 근무하였다.
2. 4. 제201군사정보여단
1987년 9월 1일,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서 제503육군보안단과 제201군사정보분견대가 ''제201군사정보여단''으로 통합되었다. 초기 구성 부대는 다음과 같다.- 제14군사정보대대 (전술 개척), 포트 루이스
- 제502군사정보대대 (작전), 포트 루이스
- 제631군사정보대대 (항공 개척), 오리건주 살렘 (오리건 육군 국가방위대)
-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201st Military Intelligence Brigade|제201군사정보여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영어 (1987년 9월 1일 정규군에 배정)
2. 5. 제201전장감시여단
2008년 7월 3일, 모듈러 여단 중 전장감시여단 편제가 적용되어 제201전장감시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2. 6. 제201원정군사정보여단
2008년 7월 3일, 모듈러 여단 중 전장감시여단 편제가 적용되어 제201전장감시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2017년, 전력사령부 예하 3개 정규군 전장감시여단은 원정전에 투입되는 군사정보여단으로 개편되었으며, 제201전장감시여단도 제201원정군사정보여단으로 개편되었다. 이때 군사정보여단 편제에 포함되지 않는 전방지원중대와 네트워크지원중대는 해산되었다.3. 부대 구성
- 본부 및 본부중대
- 제109군사정보대대
- 제502군사정보대대
4. 주요 참전 기록
제201원정군사정보여단은 제2차 세계 대전의 태평양 전쟁과 6.25 전쟁 등 주요 전쟁에 참전했다.
태평양 전쟁 당시 제323통신중대로 창설되어 뉴기니 전투 등에 투입되었으며, 1950년에는 제323통신무선정보중대로 재편되어 6.25 전쟁에 참전하였다. 6.25 전쟁에서 제201군사정보분견대는 제1군단 방첩대로서 1955년까지 활동했다.
4. 1.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쟁)
4. 2. 한국 전쟁
제201원정군사정보여단은 6.25 전쟁에 참전하여 다음과 같은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다.주요 전투 |
---|
특히, 제201군사정보분견대는 제1군단 방첩대로 활동하며 1950년대 초반 한반도 안보에 기여했다.
4. 3. 이라크 전쟁
Operation Iraqi Freedom|이라크 자주권 작전영어과 Operation New Dawn|새로운 새벽 작전영어에 참전하였다.스트리머, 전쟁 명칭 | 내역 |
---|---|
4. 4. 아프가니스탄 전쟁 (항구적 자유 작전)
- 2012년 5월 – 2013년 2월
- 2014년 - 2015년
- 2019년 9월 - 2020년 6월
5. 수상 내역
육군 우수부대표창

Philippine Presidential Unit Citation|필리핀 대통령 부대 표창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