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맹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맹부는 시, 서, 화, 인에 모두 능했던 원나라의 예술가이다. 그는 송나라 황족의 후손이었으나 원나라에 벼슬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 조맹부는 서예에서 "조체"라 불리는 독창적인 글씨체를 만들었고, 문인화를 부흥시키는 등 예술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작화추색도》가 있으며, 문집으로 《송설재집》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원나라의 서예가 - 주세걸
주세걸은 원나라 초기에 활동한 중국의 수학자이며, 《산학계몽》과 《사원옥감》을 저술하고 특히 《사원옥감》에서 천원술을 발전시킨 사원술을 통해 고차 연립방정식의 해법을 제시하여 동아시아 수학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원나라의 화가 - 예찬
원말명초의 은둔 화가이자 시인인 예찬은 부유한 지주 출신으로 관직에 나가지 않고 혼란기에 유랑 생활을 하며 결벽증과 기행으로 유명하며, 독자적인 평원 산수 화풍인 "소산체"를 확립했다. - 원나라의 화가 - 황공망
황공망은 원나라 말기의 화가, 시인, 음악가로, 본래 육견이었으나 황씨 집안에 입양되어 이름을 바꾸고 도교에 귀의하여 방랑 생활을 하다 50세 이후 그림을 그리기 시작해 산수화에 뛰어났으며, 문인화의 이상을 구현하고 후대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 1254년 출생 - 마르코 폴로
마르코 폴로는 13세기 후반 몽골 제국 시대에 아시아를 탐험한 베네치아 출신 상인이자 탐험가로, 아버지, 삼촌과 함께 약 24년간 중국을 포함한 극동 지역을 여행한 후 『동방견문록』을 남겨 유럽인의 아시아 인식 변화와 대항해시대에 기여했다. - 1254년 출생 - 두아
두아는 13세기 후반에서 14세기 초반 차가타이 칸국의 칸으로, 카이두의 지원으로 칸위에 올랐으나 카이두 사후 원나라와의 갈등 속에서 차가타이 칸국을 카이두 세력으로부터 벗어나게 했으며, 그의 통치는 모굴리스탄 칸국 건국에 영향을 주었다.
조맹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업 | 서예가, 화가, 학자 |
배우자 | 관도승 |
가문 | 조씨 |
인물 정보 | |
출생 | 1254년 |
사망 | 1322년 |
아버지 | 조유인 |
이름 정보 | |
한자 (번체) | 趙孟頫 |
한자 (간체) | 赵孟𫖯 |
병음 | Zhào Mèngfǔ |
웨이드-자일스 | Chao⁴ Mêng⁴-fu³ |
2. 생애
송나라 종실의 후손인 조맹부는 원나라 때 벼슬하여 한림학사(翰林學士), 영록대부(榮祿大夫)에 이르렀으며, 사후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졌다. 청나라 건륭제는 그의 글씨를 좋아하여 모방하였다고 한다.
조맹부는 시(詩), 서(書), 화(畵), 인(印)에 모두 능했는데, 후대의 서예에 큰 영향을 준 “조체(趙體)”라 불리는 독창적인 글씨를 만들었다. 그의 서법이 강건하지 못하여 유약하다는 비판도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전각으로 쓴 “원주문(圓朱文)”이 있다. 화법 또한 독창적이어서, 글씨를 쓰는 붓과 그림을 그리는 붓은 같은 사용법을 가지고 있다는 이론을 세웠다. 시 작품으로 《송설재집》(松雪齋集)이 있는데, 그중 뛰어난 작품이 적지 않다.
그림에 사용된 소재는 산수, 인물, 동물, 꽃과 새, 죽석(竹石) 등 다양하며, 전기작은 색채가 특이하여 “현려지극 인귀자연(絢麗之極,仍歸自然)”이라는 평을 받고, 후기작은 대개 담묵화(淡墨畫)로서 거의 윤곽선만이 보인다. 대표작으로 《작화추색도》(鵲華秋色圖)가 있다.
아들과 부인이 모두 그림에 능했으며, 원나라 화가 왕몽은 그의 외손자이다.
커샤오민의 『신원사』에 있는 조맹부 전기에 따르면, 남송의 진주(현재의 장쑤성양저우시이정시)의 사호참군에 임관했으나, 송나라의 멸망으로 벼슬을 떠나 독학했다고 한다.[7] 69세에 사망한 후, 위국공에 추봉되었고, 문민(文敏)의 시호를 받았다.
2. 1. 송나라 멸망과 원나라 출사
지원 23년(1286년), 원나라 세조 황제 쿠빌라이가 재야의 유현을 초빙하려 했을 때, 시어사 정거부의 추천으로 초빙되어 대도로 가서 원나라에서 벼슬을 했다. 이때 어사중승이 "이 자는 멸망한 송나라의 옛 황족입니다. 폐하 곁에 두어서는 안 됩니다."라고 아뢰었으나, 세조는 이를 물리치고 측근으로 삼았다. 송나라를 멸망시킨 원나라에 벼슬한 것은 일족에게서도 비판을 받아, 일족과의 연을 끊은 자도 있었다고 한다.[7] 조서를 쓰게 하자 세조가 생각한 대로 훌륭하게 작성되었기에, 더욱 발탁하여 형법에 대한 논의를 시켰는데, 거기서도 두각을 나타내 "아직 젊은 남인[8] 따위가, 우리 몽골 제국의 법을 알 리가 없다"라고 비난하는 자들을 논파하여 침묵하게 만들었기에 병부랑중이 되었다. 그 후에도 원 왕조의 관료로서 활약하여, 경제 관료로서 세조에게서도 중용되었다.지원 27년(1290년) 대도에서 대지진이 발생했을 때, 경제를 장악하고 있던 권신이자 승상인 상가의 권세를 두려워한 원나라 관료들은 이 일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얼버무리고 있었다. 상가는 이를 기회로 삼아 피해자들에게 가혹한 세금을 징수하여, 여러 명의 자살자가 발생했다. 세조는 지진 피해에 마음 아파하며, 평장정사(재상 대행) 아르군사리에게 피해 상황을 보고하게 했다. 집현직학사의 관직에 있던 조맹부는 상사 아르군사리와 협의하여 세금 징수를 면제시키려 했다. 상가는 격노하여 "폐하의 뜻도 아닌데 감세하다니"라고 하며 이를 막으려 했으나, 조맹부는 상가에게 "세금 미납이라고 죽은 사람에게서 징수할 수는 없습니다. 이런 재해 때 감세하지 않고 언제 하겠다는 겁니까. 게다가 세금 미납은 당신의 불찰이 원인이겠죠. 그렇지 않습니까!"라고 말하여, 결국 감세를 단행했고, 백성들은 마침내 구원받았다. 조맹부는 아르군사리에게 "저 상가는 제 나라를 망하게 한 가사도와 똑같은 악인입니다. 우리가 폐하를 간하여 상가를 주살하지 않으면, 웃음거리가 될 것입니다. 저는 중책에 있지 않아서 폐하께 직접 간언할 수 없습니다. 당신이라면 할 수 있습니다. 목숨을 걸고 악인을 물리치는 것, 이것이야말로 인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힘내십시오!"라고 격려했고, 결국 세조에게 간언하게 하여 상가를 주살하게 했다고 한다. 이때, 세조로부터 중서정사(재상 대행)를 제안받았지만 굳게 거절했다. 그 후에도 세조의 측근으로서 종종 유익한 간언을 하여, 세조에게서 중시되었다.[9]
세조가 붕어한 후에도 네 명의 황제를 섬기며, 집현원과 한림원의 학사가 되었고, 대원 정부 내의 원로로서 존중받았다.[10]
2. 2. 원나라에서의 관직 생활
지원 23년(1286년) 쿠빌라이가 재야의 유현을 초빙하려 할 때, 시어사 정거부의 추천으로 대도로 가 원나라에서 벼슬을 했다. 어사중승이 송나라 황족 출신이라는 이유로 반대했지만, 세조는 이를 물리치고 측근으로 삼았다.[7] 조서를 훌륭하게 작성하고 형법 논의에서도 두각을 나타내 병부랑중이 되었다.지원 27년(1290년) 대지진 발생 시 권신 상가에 맞서 감세를 단행하고 백성을 구원했다. 상가를 가사도와 같은 악인으로 규정하고, 아르군사리와 협력하여 상가를 주살하는데 기여했다.[9] 세조로부터 중서정사(재상 대행) 제안을 받았지만 굳게 거절했다.[9]
세조 붕어 후에도 네 명의 황제를 섬기며 한림원 학사가 되었고, 대원 정부 내 원로로서 존중받았다.[10]
2. 3. 비판과 평가
조맹부는 송나라 종실의 후손이었지만, 원나라에 벼슬하여 한림학사, 영록대부 등의 관직을 지냈다. 사후에는 위국공에 봉해지기도 했다. 이러한 그의 행적은 생전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으며, 후세에도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7]그가 비판받는 주된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송나라 황족 출신: 송나라 황족의 후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왕조를 멸망시킨 원나라에 벼슬하였다.
- 몽골 제국에 대한 신종: 한족 출신이었던 조맹부가 몽골 제국에 신하로서 충성을 다한 것은 중화사상적 관점에서 용납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조맹부는 서예 실력으로는 중국 역대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지만, 서도사에서는 왕희지 등에 비해 낮게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12] 역사학자 스기야마 마사아키는 이러한 평가가 중화사상의 영향 때문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12] 후지타 도코는 조맹부의 서예 작품을 "불충한 자"의 것이라며 매도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13]
하지만, 커샤오민은 조맹부를 은나라 유신 미자계에 비유하며, 그의 절개 없음을 비판하기보다는 오히려 불쌍히 여겨야 한다고 옹호했다.[13]
3. 문화적 업적
조맹부는 시, 서, 화, 인에 모두 능했으며, 특히 서예와 회화에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그의 예술적 재능은 다양한 분야에 걸쳐 나타났으며,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조맹부는 글씨를 쓰는 붓과 그림을 그리는 붓은 같은 사용법을 가지고 있다는 이론을 세웠다. 그의 시 작품으로는 《송설재집(松雪齋集)》이 전해지는데, 그중 뛰어난 작품이 적지 않다고 평가받는다.
그의 예술적 영향력은 가족에게도 이어져, 아들과 부인 모두 그림에 능했으며, 원나라 화가 왕몽은 그의 외손자이다.
3. 1. 서예
조맹부는 시(詩), 서(書), 화(畵), 인(印)에 모두 능했는데, 특히 서예에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후대에 큰 영향을 준 "조체(趙體)"라 불리는 독창적인 글씨를 만들었다.[11] 그러나 그의 서법이 강건하지 못하고 유약하다는 비판도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전각으로 쓴 “원주문(圓朱文)”이 있다.왕희지의 서풍을 배우고, 송대(宋代)의 분방한 서풍과는 선을 그으며 후대에 전형을 제공했다. 원사 조맹부전에서는 "전서, 주서, 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에 이르기까지 고금을 통틀어 비할 데가 없었고, 마침내 서예로 천하에 이름을 떨쳤다."라고 평가했다. 또한 "천축(天竺, 인도)에 승려가 있어, 그의 글씨를 구하기 위해 수만 리를 왔으며, 돌아가서는 국중에서 이를 보물로 삼았다."라고 언급될 정도로, 그의 글씨는 국제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11] 다만 조맹부 본인은 왕희지에게 심취하여 왕희지 서풍의 부흥자라고 자임했다. 다이토구립 서도 박물관 주임 연구원 나카무라 노부히로는 "왕희지는 육필(肉筆)이 현존하지 않아, 임서(臨書)나 탁본 등으로 붓글씨 자취를 더듬을 수밖에 없다. 즉, 실질적으로 왕희지 서법의 계승자인 조맹부는 왕희지에 접근하는 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이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라고 말했다.[11]
3. 2. 회화
조맹부는 시(詩), 서(書), 화(畵), 인(印)에 모두 능했는데, 특히 그림에서는 산수, 인물, 동물, 꽃과 새, 죽석(竹石) 등 다양한 소재를 다루어 후대인이 따라올 수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초기작은 색채가 화려하면서도 자연스러웠다는 평을 받으며, 후기작은 담묵화(淡墨畫)로서 거의 윤곽선만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작으로는 《작화추색도》(鵲華秋色圖)가 있다. 그는 글씨를 쓰는 붓과 그림을 그리는 붓의 사용법이 같다는 이론을 세우기도 했다. 아들과 부인도 그림에 능했으며, 원나라 화가 왕몽은 그의 외손자이다.조맹부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늙은 나무와 말 - --
- --
- --
- --
- --
조맹부는 화풍에 있어서 문인화를 부흥시키고, 원말사대가를 지도했다.[11]
3. 3. 기타
송나라 종실의 후손으로, 원나라 때 벼슬에 나가 관직이 한림학사(翰林學士), 영록대부(榮祿大夫)에 이르렀으며, 죽은 후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졌다. 청나라 건륭제가 그의 글씨를 좋아하여 모방하였다고 한다.시(詩), 서(書), 화(畵), 인(印)에 모두 능했는데, 후대의 서예에 큰 영향을 준 흔히 “조체(趙體)”라 불리는 독창적인 글씨를 만들었다. 그의 서법이 강건하지 못하여 유약하다는 비판도 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전각으로 쓴 “원주문(圓朱文)”이 있다. 화법 또한 독창적이어서, 글씨를 쓰는 붓과 그림을 그리는 붓은 같은 사용법을 가지고 있다는 이론을 세웠다. 시 작품으로 《송설재집》(松雪齋集)이 있는데, 그 중 뛰어난 작품이 적지 않다.
그림에 사용된 소재는 산수, 인물, 동물, 꽃과 새, 죽석(竹石) 등 손대지 않은 게 없어, 후대인이 넘어설 수 없을 정도이다. 전기작은 색채가 특이하여 “현려지극 인귀자연(絢麗之極,仍歸自然)”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후기작은 대개 담묵화(淡墨畫)로서 거의 윤곽선만이 보인다. 대표작으로 《작화추색도》(鵲華秋色圖)가 있다.
아들과 부인이 모두 그림에 능했으며, 원나라 화가 왕몽은 그의 외손자이다.
정치가로서도 많은 업적을 남겼지만, 후세에 끼친 영향은 예술가로서의 것이 크다.
- 왕희지의 서풍을 배우고, 송대(宋代)의 분방한 서풍과는 선을 그으며 후대에 전형을 제공했다. 서예는 왕희지를 뛰어넘어, 『원사』 조맹부전에서 "전서, 주서, 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에 이르기까지 고금을 통틀어 비할 데가 없었고, 마침내 서예로 천하에 이름을 떨쳤다. 천축(天竺, 인도)에 승려가 있어, 그의 글씨를 구하기 위해 수만 리를 왔으며, 돌아가서는 국중에서 이를 보물로 삼았다."라고 언급된 것처럼, 인도인 승려가 일부러 글씨를 구하러 중국에 올 정도였으며, 중국 역사상에서도 제1인자로 꼽힌다. 다만 본인은 왕희지에게 심취하여 왕희지 서풍의 부흥자라고 자임했다. 다이토구립 서도 박물관 주임 연구원 나카무라 노부히로는 "왕희지는 육필(肉筆)이 현존하지 않아, 임서(臨書)나 탁본 등으로 붓글씨 자취를 더듬을 수밖에 없습니다. 즉, 실질적으로 왕희지 서법의 계승자인 조맹부는 왕희지에 접근하는 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이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입니다."라고 말했다.[11]
- 화풍에 있어서는 문인화를 부흥시키고, 원말사대가를 지도했다.
- 문집으로는 『송설재집(松雪斎集)』이 있다.
4. 작품
조맹부는 회화와 서예 모두에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아래는 그의 대표적인 작품 목록이다.
- 회화
- --
- --
- --
- --
- 서예
- 「난정 13발」(도쿄 국립 박물관)
- 「해서 현묘관 중수 삼문기 권」(도쿄 국립 박물관)
- 「한극암전」(영청문고)
- 「도덕경」 원대 연우 3년(1316년) 3월 24일 - 25일
- 「해서 장총관 묘지명 권」(고궁 박물원)
4. 1. 회화 작품
- 「난정 13발」(도쿄 국립 박물관)
- 「해서 현묘관 중수 삼문기 권」(도쿄 국립 박물관)
- 「한극암전」(영청문고)
- 「도덕경」 원대 延祐|연우중국어 3년(1316년) 3월 24일 - 25일
- 「해서 장총관 묘지명 권」(고궁 박물원)
4. 2. 서예 작품

5. 가계
송나라 종실의 후손으로, 원나라 때 벼슬에 나가 관직이 한림학사(翰林學士), 영록대부(榮祿大夫)에 이르렀으며, 죽은 후 위국공(魏國公)에 봉해졌다. 아들과 부인이 모두 그림에 능했으며, 원나라 화가 왕몽은 그의 외손자이다.
가계 |
---|
6. 기타
저장성 후저우에 있는 조맹부의 옛 거주지는 박물관으로 복원되어 2012년부터 일반에 공개되었다.
수성의 지름 167km의 분화구(서경 132.4도, 남위 87.3도)는 그를 기리기 위해 "차오 멍푸 분화구"로 명명되었다.
참조
[1]
URL
http://www.sino-plat[...]
[2]
서적
Zhou Mi's Record of Clouds and Mist Passing Before One's Eyes: An Annotated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13-03-05
[3]
논문
"《谢幼舆丘壑图》—— 漫谈赵孟頫与其道教绘画的问题 (The Mind Landscape of Xie Youyu: Discussing the Problem of Zhao Mengfu and his Daoist Paintings)"
Renmin meishu chubanshe
2019
[4]
서적
Views from Jade Terrace: Chinese women artists, 1300-1912
https://books.google[...]
Indianapolis Museum of Art
2011-12-14
[5]
서적
中国学芸大事典
大修館書店
[6]
웹사이트
台湾故宮博物院「明文徵明臨趙孟頫空巖琴思 軸」の題跋に「此の趙魏公の旧本は…」と見える
https://digitalarchi[...]
[7]
문서
柯『[[新元史]]』巻190
[8]
문서
몽골인 등의 기마 민족이 한 민족을 바보 취급한 말이다. 만지[만자]라고도 한다.
[9]
문서
『[[元史]]』巻172
[10]
문서
『[[元史]]』巻172
[11]
웹사이트
【書道博物館】「没後700年 趙孟頫とその時代」会場レポート これから書道を始めたい方は必見!美麗な書が続々 台東区立書道博物館
https://www.culture.[...]
[12]
서적
世界の歴史 大モンゴル帝国の時代
中央公論新社
[13]
서적
杉山전게서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국내서 처음 공개된 중국 고대 유물들…'공개 감정' 현장
다보성 갤러리, 중국 감정 전문가와 미공개 미술품 30여 점 공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