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무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무약은 1925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제약 회사로, 홍양자춘원, 솔표 우황청심원 등을 발매했다. 1968년 솔표 우황청심원을 출시하고 해외 수출을 시작했으며, 1980년대에는 서울 아시안 게임과 서울 올림픽 공식 후원 의약품 공급 업체로 지정되기도 했다. 2000년 의약분업 제도 정착 과정에서 부도를 겪었고, 2016년 유동성 위기로 파산하여 2018년 해체되었다. 이후 솔표 브랜드는 광동제약에 인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해체된 기업 - 털리스 커피
    털리스 커피는 1992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스타벅스와 경쟁했으나 미국 사업은 종료되었고, 1997년 일본에 진출하여 25세 이상 고객층을 타겟으로 일본 3대 커피 체인 중 하나로 성장했다.
  • 2018년 해체된 기업 - 토이저러스
    토이저러스는 찰스 라자러스가 1948년에 설립한 세계적인 장난감 소매업체로, 슈퍼마켓 형태의 판매 방식과 기린 마스코트 제프리로 유명했으나, 온라인 유통의 부상과 경쟁 심화로 2018년 파산 후 브랜드 부활을 통해 소규모 매장 운영 및 온라인 판매를 재개하며 재기를 모색하고 있다.
  • 1925년 설립된 기업 - 크라이슬러
    크라이슬러는 1925년 월터 크라이슬러가 설립한 미국의 자동차 제조업체로, 혁신적인 기술과 디자인으로 성공을 거두었으나 경제적 어려움과 시장 변화를 겪으며 현재는 스텔란티스 산하에서 전기차 전환을 추진하고 크라이슬러 패시피카 미니밴을 주력 모델로 판매하고 있다.
  • 1925년 설립된 기업 - 노무라 증권
    노무라 증권은 1925년 설립된 일본의 대형 증권회사로, 초기에는 뛰어난 정보력으로 성장했으나, 여러 부정적 사건과 윤리적 문제에도 불구하고 국제화 전략을 통해 세계적인 투자은행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전 세계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 단원구 - 서울예술대학교
    서울예술대학교는 유치진이 1962년 설립한 한국연극아카데미에서 시작된 대한민국의 예술대학으로, 다양한 예술 분야의 학부 및 전공을 운영하며 한국 전통 예술의 현대화와 세계화에 기여하고 수많은 예술인을 배출했다.
  • 단원구 - 안산문화복합돔구장
    안산문화복합돔구장은 경기도 안산시에 건설될 예정이었으나 2013년 최종적으로 백지화된 4만 명 수용 규모의 개폐식 돔구장 건설 사업이다.
조선무약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 이름조선무약합자회사
원어 이름Cho Seon Pharmaceutical & Trading Co
산업제약
종류합자회사
창립일1925년
창립자박성수
해체2016년 파산
2018년 완전 해체
후신광동제약
위치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산단로 325 (신길동)
주요 인물박대규(회장)
직원 수80명
슬로건수출의약품메이커 (1979~1983)
한방의약품메이커 (1983~2000)

2. 역사

1925년 조선무약합자회사로 창립하여, 홍양자춘원, 호생단, 사향소합원을 발매하였고, 1926년 조고약을 발매하였다.

1968년 솔표 기사회생 우황청심원 정을 발매하고 해외 수출을 시작했다. 1975년 일본 지역 솔표 우황청심원 수출 독점권을 획득했으며, 1979년 의약품 수출 연간 100만달러를 초과 달성하였다.

1983년 한방생약제의 GMP 시설을 갖춘 경기도 안산 반월공장을 준공하고, 서울공장과 시흥공장을 통합 이전했다. 1984년 한국방송광고대상 라디오 의약품 부문 우수상을 수상하고, 마시는 위장약 솔표 위청수를 출시했다.

1985년 박대규 대표가 취임하고, 비타민제 콤비이씨를 출시했다. 1986년 아시안 게임1988년 하계 올림픽 공식 후원 의약품 공급 업체로 지정되었다. 1986년 솔표 기사회생 우황청심원을 솔표 우황청심원으로 변경하고, 한방 감기약 솔표 솔감탕을 출시했다.

1987년 조선무약 생명과학연구소를 개설했다. 1989년 창업자 박성수 회장이 별세하고, 발포성 생약소화제 솔표 카보명수를 출시했다. 1990년 생약소화제 솔표 솔청수를, 1991년 한방감기약 솔표 쌍감탕을 출시했다.

1991년 안산 반월공장 GMP동을 증축 완공하였다. 1992년 전통 한방 생약 KGMP를 획득하고 전 품목 우수의약품(GMP) 승인을 받았으며, 마시는 우황청심원 솔표 우황청심원액을 출시했다.

1994년 1994년 아시안 게임 공식 후원 의약품 공급 업체로 지정되고, 생체활성음료 솔표 비즈니스를 출시했다. 서울 정도 600년을 맞아 솔표우황청심원이 타임캡슐 수장 품목으로 선정되었다. 1995년 노사 간 항구적 무쟁의를 선언했다. 1996년 1996년 하계 올림픽 공식 후원 의약품 공급 업체로 지정되었다.

2000년 대한체육회 공식후원 계약을 맺었으나, 의약분업제도 정착 과정에서 부도를 맞았다. 2002년 노조와 공동위원회를 결성하고, 2004년 건강기능식품 전문제조업 허가를 취득하였다. 2006년 숙취해소제 JBB20 비지니스를 출시하고, 대한체육회 공식후원 재계약을 맺었다. 2007년 마시는 숙취해소제 솔표 비지니스S를 발매하였다.

2008년 유동성 악화로 두 번째 부도를 맞았다. 2014년 세월호 참사 관련 솔표우황청심원과 솔표우황청심원액을 긴급 지원하였다. 같은 해 1030억을 투자해 본사와 공장 이전 협의를 체결했다.

2016년 유동성 위기로 파산했고, 2018년 완전 해체되었다. 2017년 광동제약이 솔표 브랜드를 인수했다.

2. 1. 설립과 초기 성장 (1925년 ~ 1960년대)

1925년 조선무약합자회사가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홍양자춘원, 호생단, 사향소합원을 출시하였다.[1] 1926년에는 조고약을 발매하였다.[1] 설립자 박성수 회장은 독립운동가로, 회사의 민족주의적 성격을 보여주는 중요한 인물이다.[2]

2. 2. 전성기와 발전 (1960년대 ~ 1990년대)

1968년 솔표 우황청심원을 출시하고 해외 수출을 시작했다.[1] 1975년 보건사회부장관으로부터 일본 지역 솔표 우황청심원 수출 독점권을 획득했다.[2] 1979년에는 의약품 수출 연간 100만달러를 초과 달성하였다.[3]

1983년 대한민국 최초로 한방생약제의 GMP 시설을 갖춘 경기도 안산 반월공장을 준공하고,[4] 서울공장과 시흥공장을 통합 이전하여 생산을 시작했다.[5] 1984년 제4회 한국방송광고대상 라디오 의약품 부문에서 우수상을 수상하고(솔표-조선무약),[6] 순수 생약 성분의 마시는 위장약 솔표 위청수를 출시했다.

1985년 박대규 대표가 취임하고, 비타민제 콤비이씨를 출시했다. 같은 해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1988년 서울 올림픽 공식 후원 의약품 공급 업체로 지정되었다. 1986년에는 솔표 기사회생 우황청심원을 솔표 우황청심원으로 디자인을 변경하여 발매하고, 한방 감기약 솔표 솔감탕을 출시했다.

1987년 조선무약 생명과학연구소를 개설했다. 1989년 창업자 박성수 회장이 별세하고, 발포성 생약소화제 솔표 카보명수를 출시했다. 1990년에는 생약소화제 솔표 솔청수를, 1991년에는 한방감기약 솔표 쌍감탕을 출시했다.

1991년 대지 면적 33515m2, 건물 면적 21491m2 규모의 안산 반월공장 GMP동을 증축 완공하였다. 1992년 국내 최초로 전통 한방 생약 KGMP를 획득하고 전 품목 우수의약품(GMP) 승인을 받았으며, 마시는 우황청심원 솔표 우황청심원액을 출시했다.

1994년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공식 후원 의약품 공급 업체로 지정되고, 비즈니스를 위한 생체활성음료 솔표 비즈니스를 출시했다. 같은 해 서울 정도 600년을 맞아 솔표우황청심원이 타임캡슐 수장 품목으로 선정되었다. 1995년 대한민국 기업 최초로 노사 간 항구적 무쟁의를 선언하여 신노사문화를 정착시켰다. 1996년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공식 후원 의약품 공급 업체로 지정되었다.

2. 3. 경영 위기와 해체 (2000년대 ~ 2018년)

2000년 의약분업 제도가 정착되는 과정에서 조선무약은 부도를 맞았다.[1] 박성수 회장 일가의 경영 실패와 2008년 판매거래처의 부도로 인한 유동성 악화로 두 번째 부도를 겪었다.[2] 2009년 기업 회생 절차에 들어갔으나, 매각 실패와 회생 절차 폐지로 이어졌다.[3]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조선무약은 안산시 내 장례식장에 솔표우황청심원 3상자를 지원하고, 단원고등학교 실종자 가족들이 모여 있는 진도군 실내체육관에 솔표우황청심원액 1000병을 긴급 지원했다.[4] 같은 해, 조선무약은 1030억을 투자하여 경기도 안산 본사와 충청북도 제천시 제2바이오밸리로 이전 협의를 체결했다.[5]

그러나 2016년 유동성 위기로 인해 파산했고,[6] 2018년 완전 해체되었다. 2017년 광동제약이 솔표 브랜드를 인수했다.

3. 논란

조선무약과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건 및 논란들이 있었다.


  • 사향 밀수입 사건 (1974년): 창업주 박성수 사장이 네팔산 사향을 밀수입하여 관세포탈 혐의로 입건되었다.[1]
  • 불법 용도변경 사건 (1990년대): 사무실용 빌딩을 아파트 등으로 불법 개조하여 조선무약 대표 박대규 등 122명이 불구속 입건되었다.[2]
  • 경영 관련 논란: 2000년대 이후 우황청심원 경쟁 심화와 부채 누적으로 부도 및 회생 절차를 반복했으나, 결국 회생에 실패하고 2018년 해체되었다.[3][4][5][6]

3. 1. 사향 밀수입 사건 (1974년)

1974년, 조선무약 창업주 박성수 사장이 네팔산 사향 1kg을 불법으로 밀수입해 관세포탈 혐의로 붙잡혔다.[1] 당국은 압수수색영장을 발부받아 수사에 착수했다.

3. 2. 불법 용도변경 사건 (1990년대)

1990년대 사무실용 빌딩을 아파트 등으로 불법 개조한 용도변경으로 조선무약 대표 박대규 등[2] 122명이 불구속 입건되었다.

3. 3. 경영 관련 논란

2000년대 들어 우황청심원 경쟁 심화와 부채 누적으로 조선무약은 처음으로 부도를 냈다.[3] 박성수 창업주의 셋째 아들인[4] 박대규 사장은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고, 3세대 자녀들이 노조와 공동 경영위원회를 만들어 재기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결국 2008년 40억의 어음을 막지 못해 부도 처리된 조선무약은 2009년 기업 회생절차에 들어갔으나, M&A 매각 실패로[5] 회생절차가 폐지되었다. 2010년 다시 기업회생절차를 밟기 위해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지만 채권자 반대로 실패했고, 2014년 대법원 재항고도 기각되었다. 2015년 서울지방법원에 다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으나 기각당했다.[6] 2016년 매출 감소로 청산 수순을 밟게 된 조선무약은 본사와 공장을 매각하며 껍데기만 남게 되었고, 2018년 설립 93년 만에 해체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4. 주요 제품

조선무약은 의약품, 일반식품, 건강기능식품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해왔다.

4. 1. 의약품

제품명설명
솔표 우황청심원1968년 처음 출시되었을 때는 솔표 기사회생 우황청심원 환이라는 정이었다. 동의보감을 근거로 시대의 변천에 따라 현대인의 체질에 맞게 80여년간 연구하여 만든 고유처방으로, 계속 수출되고 있다.[1] 고혈압 치료제로 생약성분이 들어 있다.[1]
솔표 원방우황청심원[1]
솔표 정심원[1]
위청수[1]
솔청수[1]
쌍감탕 골드[1]
쌍화탕[1]


4. 2. 일반식품


  • JBB 비지니스
  • 솔표 비지니스S
  • 마시는 키토
  • 쌍화대보
  • 쌍화차

4. 3. 건강기능식품


  • 솔표아로니아골드
  • 솔표프로폴리스
  • 혈통바릴티로신

4. 4. 판매 중단 제품


  • 홍양자춘원
  • 호생단
  • 조고약
  • 사향소합원
  • 백선패
  • 건보환
  • 솔표 쌍화탕
  • 원삼정
  • 솔감탕
  • 솔표 다이어트
  • 솔표 아이키
  • 쌍감탕
  • 카보명수
  • 까스솔청수
  • 모생천012
  • 안심원
  • 한방위청산
  • 통쾌한
  • 장탁환
  • 솔표 비지니스
  • 콤비이-씨

5. 해체 이후

조선무약 해체 이후, 광동제약이 솔표 브랜드를 인수하였다. (구)조선무약합자회사 안산공장은 2018년에 철거되었고, 2020년 9월에 안산스마트스퀘어 지식산업센터가 건립되었다.[1] 옛 솔표빌딩은 민주노동당통합진보당 당사로 사용되다가 현재는 공무원 학원, 키즈 수영장 등 다목적 건물로 바뀌었다.

5. 1. 브랜드 및 자산 인수

광동제약이 솔표 브랜드를 인수하면서, 경기도 안산시 신길동 반월공단에 있던 (구)조선무약합자회사 안산공장은 2018년에 철거되었다. 이 자리에는 2020년 9월에 안산스마트스퀘어 지식산업센터가 건립되었다.[1]

5. 2. 옛 솔표빌딩의 현재 용도

2000년까지 조선무약 본사가 있던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의 옛 솔표빌딩은, 조선무약 본사가 2000년에 안산공장으로 이전한 후 민주노동당통합진보당 당사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공무원 학원, 키즈 수영장 등 다목적 건물로 바뀌었다.

참조

[1] 뉴스 密輸(밀수)사향購入脫稅(구입탈세) 조선무약會社(회사)수사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74-12-03
[2] 뉴스 사무실改造(개조) 아파트 不法(불법)분양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90-04-18
[3] 뉴스 조선무약 어떤 회사이며 왜 부도났나 https://n.news.naver[...] 매일경제 2000-08-20
[4] 뉴스 조선무약 어떤 회사이며 왜 부도났나 https://n.news.naver[...] 매일경제 2000-08-20
[5] 뉴스 91년역사 솔표우황청심환의 조선무약 청산수순 https://n.news.naver[...] 머니투데이 2015-08-05
[6] 뉴스 91년 역사 솔표우황청심환의 조선무약 청산 수순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