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예술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예술대학교는 1962년 유치진에 의해 설립된 한국연극아카데미를 모태로 하여, 서울특별시 중구에서 개교했다. 1978년 전문대학으로, 1998년 서울예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으며, 2001년 안산캠퍼스를 개교했다. 2022년 창학 60주년을 맞았다. 현재 공연학부, 영상학부, 음악학부, 문예학부, 디자인학부, 커뮤니케이션학부 등 6개 학부에 15개 전공을 운영하며, 안산과 남산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저명한 동문으로는 배우, 가수, 방송인, 작가, 영화감독 등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예술대학교 - 유치진
    유치진은 식민지 시기 사실주의 극작가로 활동했으나 친일 행적으로 논란이 되었고, 광복 후 우익 연극계에서 활동하며 한국 연극계 발전에 기여하고 후진 양성에도 힘쓴 교육자이다.
  • 안산시의 학교 - 한양대학교
    한양대학교는 1939년 설립된 사립 종합대학교로, 서울캠퍼스와 ERICA캠퍼스를 운영하며, 15개의 단과대학과 8개의 단과대학을 통해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고, 활발한 연구 활동과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며 국제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한다.
  • 안산시의 학교 - 신안산대학교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신안산대학교는 1995년 개교하여 교명 변경을 거쳐 현재 29개 학과에서 전문학사 과정을 운영하는 사립 전문대학이다.
  • 경기도의 전문대학 - 농협대학교
    농협대학교는 1962년 농업협동조합초급대학으로 시작하여 농협대학을 거쳐 2012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협동조합 관련 학과를 운영하고 졸업생 대부분이 농협중앙회에 취업하는 3년제 특수전문대학이다.
  • 경기도의 전문대학 - 수원여자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는 1969년 수원간호고등기술학교로 설립되어 현재 다양한 학부와 학과를 운영하는 사립 전문대학으로, 높은 취업률과 사회 공헌 활동을 통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서울예술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서울예술대학교
원어 명칭서울藝術大學校
로마자 표기Seoul Yesul Daehakgyo
영어 명칭Seoul Institute of the Arts
표어창의, 성실, 협동
표어 (영어)Creativity, Sincerity, Cooperation
설립일1962년 9월
설립자유치진
총장유태균
학교 유형사립
직원 수449명 (2022년)
학생 수4,169명 (2022년)
소재 도시안산
소재 광역자치단체경기도
국가대한민국
캠퍼스도시
웹사이트서울예술대학교 공식 웹사이트
학교법인동랑예술원
캠퍼스 정보
안산 캠퍼스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예술대학로 171
남산 캠퍼스서울특별시 중구 소파로 138
학부 정보
학부공연학부
영상학부
음악학부
문예학부
디자인학부
커뮤니케이션학부
기타 정보
개교일1962년 4월 12일
건학 이념우리 민족 예술혼의 현재화 세계화

2. 연혁

1962년 9월, 연극인 유치진에 의해 설립된 재단법인 한국연극연구소(현 학교법인 동랑예술원) 산하에 부설 '''한국연극아카데미'''가 서울예술대학교의 모태이다.[5] 이후, '''서울연극학교''', '''서울예술전문학교''', '''서울예술전문대학'''을 거쳐, 1998년 '''서울예술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1년 3월, 현 안산캠퍼스를 개교하고, 대학본부를 이동하였으며, 2012년 '''서울예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6] 2022년에 창학 60주년을 맞았다.[6]

대한민국 교육부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 2018년 재정지원제한대학에 선정되었으나,[7] 2020년 2차 평가에서 해제되었다.

연도내용
1958년 8월한국연극연구소 설립
1962년 4월드라마센터와 극장도서관 개관
1962년 6월한국연극학교 설립 (1964년 3월 폐교)
1964년 3월서울연극학교 설립 (1973년 12월 폐교)
1973년 12월서울예술학교 설립
1978년 12월서울예술학교를 서울예술전문대학으로 개칭
1982년 2월한국연극연구소를 한국예술연구센터로 개칭
1998년 2월한국예술연구센터를 동랑예술센터로 개칭
1998년 6월서울예술전문대학을 서울예술대학교로 개칭
2001년 3월남산교육센터 개관
2002년 9월동랑청소년연기반 개설


2. 1. 설립 초기 (1962년 ~ 1973년)

1962년 9월, 연극인 유치진에 의해 설립된 재단법인 한국연극연구소(현 학교법인 동랑예술원) 산하에 '''한국연극아카데미'''가 부설되었으며, 이곳이 서울예술대학교의 모태이다.[5] 서울특별시 중구, 현 남산캠퍼스 일대에서 개교하였다. 1964년 4월 4일, 법인 조직을 학교법인으로 전환하고, '''서울연극학교'''로 개편되었다. 1973년 12월, '''서울예술전문학교'''로 개편되었다.

2. 2. 발전기 (1973년 ~ 2001년)

1973년 12월, '''서울예술전문학교'''로 개편되었다.[5] 1978년 12월, 전문대학으로 개편되어 '''서울예술전문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89년 9월, 남산캠퍼스 확충을 위해 일대 부지를 일부 매입했다. 1998년 6월, '''서울예술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2001년 3월, 현 안산캠퍼스를 개교하고, 대학본부를 이동하였다.[6]

2. 3. 도약기 (2001년 ~ 현재)

1998년 6월, '''서울예술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했다. 2001년 3월, 경기도 안산시에 현 안산캠퍼스를 개교하고 대학본부를 이전했다. 2012년 5월 1일, '''서울예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했다.[6] 2022년에 창학 60주년을 맞았으며, 유태균 총장이 취임했다.[6]

한편,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로부터 대학기본역량진단 결과 재정지원제한대학에 선정된 바 있다.[7] 그러나 2020년 실시된 2차 평가에서 조치가 해제되었다.

3. 역대 총장

대수이름재임 기간
1유덕형1978년 12월 – 1994년 3월
2양정현1994년 3월 – 1998년 3월
3김기덕1998년 3월 – 2001년 3월
4안민수2001년 3월 – 2004년 2월
5로근일2004년 3월 – 2007년 2월
6유덕형2007년 3월 – 2019년 7월
7이남식2019년 8월 – 2022년 7월
8유태근2022년 8월 –


4. 교육 과정

서울예술대학교는 전문대학 과정으로, 전문학사 학위를 수여하는 학부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일부 과정에 대해서는 학사 학위를 받을 수 있는 전공심화 과정도 마련되어 있다.[8]

학과별 설립 연도는 다음과 같다.

학과설립
응용음악1987년 11월
방송1978년 12월
창작광고1988년 11월
창작글쓰기1978년 12월
무용1978년 12월
디지털예술2003년 3월
영화1978년 12월
실내디자인1987년 11월
한국음악1980년 12월
사진1980년 12월
극작1987년 11월
연극1978년 12월
시각예술1989년 3월
시각디자인1987년 11월
연기2007년 3월


4. 1. 학부 및 전공

서울예술대학교는 전문대학 과정으로, 전문학사 학위를 수여하는 학부 과정만 편제되어 있다. 2023년 현재 공연학부, 영상학부, 음악학부, 문예학부, 디자인학부, 커뮤니케이션학부 등 6개 학부 아래 15개 전공을 두고 있다.[8] 다만, 일부 과정에 대하여 학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는 전공심화 과정을 두고 있다.

학부전공설립
공연학부연극 전공1978년 12월
연기 전공2007년 3월
무용 전공1978년 12월
영상학부영화 전공1978년 12월
방송영상 전공1978년 12월
디지털아트 전공2003년 3월
음악학부한국음악 전공1980년 12월
실용음악 전공1987년 11월
문예학부문예창작 전공1978년 12월
극작 전공1987년 11월
디자인학부시각디자인 전공1987년 11월
사진 전공1980년 12월
공간디자인 전공1987년 11월
커뮤니케이션학부광고창작 전공1988년 11월
예술경영 전공?


4. 2. 학과별 설립 연도

학과설립 연도
응용음악1987년 11월
방송1978년 12월
창작광고1988년 11월
창작글쓰기1978년 12월
무용1978년 12월
디지털예술2003년 3월
영화1978년 12월
실내디자인1987년 11월
한국음악1980년 12월
사진1980년 12월
극작1987년 11월
연극1978년 12월
시각예술1989년 3월
시각디자인1987년 11월
연기2007년 3월


5. 캠퍼스

서울예술대학교는 경기도서울특별시에 캠퍼스를 둔 사립 전문대학이다. 안산시에는 대학본부 기능을 하는 안산캠퍼스가 있으며, 모든 학부 교육 과정이 이곳에서 이루어진다. 중구에는 남산캠퍼스가 있는데, 학사 학위 전공심화 교육 과정과 더불어 문화예술 전시·체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5. 1. 안산캠퍼스

서울예술대학교 안산캠퍼스는 대학본부 캠퍼스로, 모든 학부 교육 과정이 이루어진다. 경기도 안산시 고잔동에 위치하며, 2001년 서울예술대학 시절 남산캠퍼스에서 부지 및 강의 건물의 협소함을 해결하고, 학생 복지와 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이전하였다.[1] 캠퍼스 내 약 11개 건축물이 위치하며, 캠퍼스 동편 예술대학로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다.[1]

5. 2. 남산캠퍼스

서울예술대학교 남산캠퍼스는 부속 캠퍼스로, 학사 학위 전공심화 교육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 외에 문화예술 전시·체험 공간으로서 역할이 강하다. 중구 예장동에 교사가 위치하며, 캠퍼스 내 약 5개 건축물이 위치한다. 캠퍼스 서부 소파로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며, 소파로 남단으로 숭의여자대학교가 인근에 있다.

6. 저명한 동문

다음은 서울예술대학교의 저명한 동문 목록이다.

분야이름
배우안재욱, 방은희, 차태현, 최자혜, 최종환, 최종원, 최민수, 최명길, 독고영재, 가덕희, 고보결, 한혜진, 한주완, 한정수, 한상진, 홍아름, 홍은희, 허준호, 황정민, 현쥬니, 임형준, 임지은, 임원희, 장혁, 장현성, 장용, 장영남, 전도연, 전미선, 전무송, 진태현, 조재윤, 조정석, 조미령, 조성하, 정동환, 정은표, 정혜영, 정일우, 정재영, 정우, 정웅인, 정유미, 강은탁, 강혜정, 강성연, 길용우, 김보경, 김범, 김응수, 김하늘, 김희원, 김호진, 김혜옥, 김재욱, 김지한, 김규철, 김민종, 김민교, 김명민, 김나운, 김산호, 김선호, 김슬기, 김수로, 김원해, 김원준, 김유미, 김영훈, 고창석, 구혜선, 이초희, 이천희, 이동건, 이엘리야, 이휘향, 이종혁, 이준기, 이칸희, 이기영, 이필모, 이승준, 이시언, 이이경, 민영원, 문지인, 온주완, 박은혜, 박은석, 박건형, 박희순, 박혁권, 박진주, 박주미, 박상면, 박상원, 박서준, 박선영, 박해진, 박영규, 라미란, 류승룡, 류승수, 류승범, 서범준, 서지석[1], 설인아, 신은정, 신구, 신하균, 신승환, 손예진, 손승원, 송창의, 송재희, 선우은숙, 선우재덕, 우희진, 양희경, 예지원, 유아라, 유동근, 유건, 유해진, 유호정, 유세례, 윤제문, 윤지혜, 윤진서, 윤유선, 이동휘, 에하타 아키에, 카미나가 도고, 사쿠마 진, 마사키 토오마
가수채연, 다이아, 장도윤, 장규리, 장윤정, 김범수, 김건모, 김재욱, 김민석, 김세용, 김연우, 이보람, 이진아, 임정희, 이기찬, 이성민, 루한, 마야, 맹가희, 나나, 박신원, 상아 누나, 왕페이페이, 이우나, 이지나
방송인장윤주, 이휘재, 신동엽, 유재석
작가최인훈, 노희경, 김려령, 신경숙, 김은숙, 하성난
연출장진, 이명세, 김지운, 이환경[2]


참조

[1] 웹사이트 Profile of Suh Ji Suk (서지석) http://epg.epg.co.kr[...] 2012-07-08
[2] 웹사이트 Profile of Lee Hwan-kyung(이환경) http://www.koreanfil[...]
[3] 웹사이트 Profile of Lie Sang bong (이상봉) https://simple.wikip[...]
[4] 웹인용 서울예술대학교 대학정보공시 https://academyinfo.[...] 2022-04
[5] 웹인용 연혁: 1950~1979 https://www.seoulart[...] 2023-06-17
[6] 뉴스 서울예술대학교, 내달 3일 ‘창학 60주년’ 기념행사…미래비전 선포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22-09-27
[7] 뉴스 2018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결과(전문대학)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8-08-23
[8] 웹인용 전체학부보기 https://www.seoulart[...] 2023-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