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지프 폴친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프 폴친스키는 1954년 출생하여 2018년 사망한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다. D-브레인 개념을 공동 발견하고, 폴친스키의 역설을 제기했으며, 블랙홀 파이어월 문제를 제기하는 등 이론 물리학 분야에 기여했다. 1998년 끈 이론에 관한 저서를 출판했고, 2008년 디랙 메달, 2017년 기초 물리학 브레이크스루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 교수 - 데이비드 그로스
    데이비드 그로스는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며, 1973년 점근적 자유성을 발견하고 양자색역학 공식화에 기여한 공로로 200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 교수 - 레다 코스미데스
    레다 코스미데스는 미국의 인지 심리학자이자 진화 심리학 연구자로서 사회적 교환, 속임수 탐지, 위험 감수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교수로 재직하며 존 투비와 함께 진화 심리학 센터를 공동 설립했다.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교수 - 스티븐 와인버그
    스티븐 와인버그는 전자기력과 약력을 통합한 전약 통일 이론을 제시하고, 양자장론, 우주론, 과학사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과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교수 - 앨런 J. 바드
    앨런 J. 바드는 전기화학 분야의 선구적인 업적을 남긴 저명한 미국 화학자로,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에서 평생 연구하며 전기화학 표준 교재를 저술하고 다양한 분석 방법 개발에 기여했다.
  • 끈이론학자 - 난부 요이치로
    난부 요이치로는 일본 태생의 미국 물리학자이며, 양자색역학, 끈 이론, 자발 대칭 깨짐 등 입자물리학 분야에 기여하여 200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끈이론학자 - 데이비드 그로스
    데이비드 그로스는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며, 1973년 점근적 자유성을 발견하고 양자색역학 공식화에 기여한 공로로 200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조지프 폴친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2004년의 폴친스키
2004년의 폴친스키
출생일1954년 5월 16일
출생지미국 뉴욕주 화이트플레인즈
사망일2018년 2월 2일
사망지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타바바라
국적미국
분야이론 물리학
근무지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
모교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이학사)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박사)
박사 학위 지도교수스탠리 만델스탐(Stanley Mandelstam)
박사 학위 논문 제목게이지 장 이론에서의 Vortex 연산자
박사 학위 논문 URL게이지 장 이론에서의 Vortex 연산자
박사 학위 취득 년도1980년
저명한 제자로버트 리
요시프 베나
마리아나 그라냐
알려진 업적폴친스키 방정식
폴친스키의 역설
D-막
블랙홀 방화벽
에버렛 폰
수상
수상 내역대니 하이네만 수리물리학상 (2007년)
디랙 메달 (2008년)
기초 물리학상 (2017년)

2. 생애

폴친스키는 뉴욕주 화이트 플레인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재무 컨설턴트이자 매니저인 조지프 제라드 폴친스키 시니어(1929–2002)였고,[5] 어머니는 사무직 근로자이자 주부인 조앤(결혼 전 성씨 손튼)이었다.[13] 그는 두 자녀 중 장남이었으며, 주로 아일랜드계 혈통이었고 부계 조부모는 폴란드인이었다.[6]

1971년 애리조나주 투손에 있는 캐니언 델 오로 고등학교( Canyon del Oro High School|캐니언 델 오로 고등학교영어 )를 졸업했다.[6] 1975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칼텍)에서 이학사 학위를 받았고,[6] 1980년 스탠리 만델스탐의 지도 아래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6] 대학원생 시절에는 논문을 발표하지 않았다.[6]

박사 학위 취득 후,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LAC) (1980년 ~ 1982년)와 하버드 대학교 (1982년 ~ 1984년)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했다.[7] 이후 1984년부터 1992년까지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서 교수로 재직했다.[7] 1992년부터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 물리학과 교수이자 카블리 이론물리 연구소의 종신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2017년 3월까지 재직했다.[7]

1980년 도로시 마리아 춘과 결혼하여 두 아들 스티븐과 다니엘을 두었다.[13]

2015년부터 뇌종양을 앓기 시작했으며,[15] 2018년 2월 2일 캘리포니아주 샌타바버라의 자택에서 6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6][13]

3. 주요 연구 업적

폴친스키는 이론 물리학 분야, 특히 끈 이론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의 여러 공헌 중 D-브레인은 가장 널리 알려진 업적이다. 1998년에는 이 분야의 표준적인 교과서로 평가받는 ''끈 이론'' 두 권을 저술했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2008년에는 초끈 이론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디랙 메달을 수상했으며,[8] 2017년에는 기초 물리학 브레이크스루상을 받았다.[9]

3. 1. D-브레인

폴친스키는 1989년 D-브레인을 공동으로 발견하였다. 1995년에는 연구를 통해 D-브레인과 블랙 p-브레인 사이의 등가성을 추측하고 이를 부분적으로 증명하였다. 이러한 D-브레인 물리학에 대한 그의 기여는 제2차 초끈 혁명과 홀로그래피 게이지-중력 이중성 물리학 발전의 주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D-브레인과 블랙 p-브레인 간의 이중성은 양자 중력 이론(블랙 p-브레인)이 중력이 없는 더 낮은 차원의 이론(D-브레인)과 동일하다는 홀로그래피 개념을 보여주는 사례로 이해되었으며, 이는 이후 후안 말다세나의 AdS/CFT 이중성 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증명되었다.

3. 2. 폴친스키의 역설

1990년경, 폴친스키킵 손에게 보낸 미공개 서신에서 노비코프 자기 일관성 원리와 관련된 잠재적 시간 역설 문제를 제기했다. 이는 물체나 사람을 통과 가능한 웜홀을 통해 과거로 보낼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였다. 폴친스키는 당구공을 웜홀을 통해 과거로 보내는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이 시나리오에서 당구공은 특정 각도로 웜홀에 발사되는데, 만약 이 경로를 그대로 따른다면 과거의 웜홀에서 같은 각도로 나와 과거의 자신과 충돌하게 된다. 이 충돌은 당구공의 경로를 바꾸어 애초에 웜홀로 들어가는 것을 막게 되는 역설을 일으킨다. 킵 손은 1994년에 이 문제를 "폴친스키의 역설"이라고 이름 붙였다.[10]

이후 이 문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해결책이 제시되었다. 당구공이 미래에서 나타날 때, 역설을 일으키는 각도가 아닌 다른 각도로 나와 과거의 자신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대신 스치듯이 부딪힌다는 것이다. 이 스치는 충돌은 과거 당구공의 궤적을 약간 변화시켜, 미래의 자신이 시간을 거슬러 와서 이 스치는 충돌을 일으킬 수 있는 바로 그 각도로 웜홀에 들어가도록 만든다. 즉, 역설이 발생하지 않고 일관성이 유지된다.[10]

3. 3. 블랙홀 파이어월 (방화벽)

2012년 7월, 폴친스키는 그의 제자 두 명인 제임스 설리(James Sully)와 아흐메드 알메이리(Ahmed Almheiri), 그리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타바버라의 동료 끈 이론가 도널드 매롤프(Donald Marolf)와 함께 호킹 복사에 대한 계산 결과를 담은 논문을 발표했다.[11] 이 계산 결과는 일반 상대성 이론의 등가 원리가 틀렸거나, 혹은 양자 역학의 핵심 원리가 부정확하다는 점을 시사하여 학계에 논쟁을 불러일으켰다.[12]

4. 수상 경력

wikitext

연도상 이름비고
2007년하이네만상 수리물리학 부문
2008년ICTP 디랙 메달초끈 이론 연구[8]
2017년기초 물리학 브레이크스루상이론 물리학 기여[9]


5. 저서

wikitext

제목출판사출판 연도ISBN / 링크비고
String Theory Vol. I: An Introduction to the Bosonic Stringeng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19980-521-63303-6
String Theory Vol. II: Superstring Theory and Beyondeng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19980-521-63304-4
끈 이론 제1권마루젠 출판20124621062379일본어 번역본
끈 이론 제2권마루젠 출판20124621063332일본어 번역본
Memories of a Theoretical Physicisteng (이론 물리학자의 기억)arXiv2017arXiv:1708.09093 [physics.hist-ph]자서전적 회고록


6. 대중 문화 속 폴친스키

폴친스키는 미국의 인기 시트콤인 《빅뱅 이론》에서 언급된 바 있다. "페인트볼 흩뿌리기" 에피소드에서는 등장인물 셸든이 아내 에이미와 함께 발표한 초대칭 논문이 폴친스키의 연구에서 비롯된 것인지 질문받자 당황하며 제대로 답하지 못하는 장면이 나온다.

7. 개인사

폴친스키는 뉴욕주 화이트 플레인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재무 컨설턴트이자 매니저인 조지프 제라드 폴친스키 시니어(1929–2002)였고,[5] 어머니는 사무직 근로자이자 주부인 조앤(결혼 전 성씨 손튼)이었다.[13] 그는 두 자녀 중 장남이었다. 폴친스키는 주로 아일랜드계였으며, 아버지 쪽 조부모는 폴란드인이었다.[6]

1971년 애리조나주 투손에 있는 캐니언 델 오로 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75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칼텍)에서 이학사 학위를 받았고, 스탠리 만델스탐의 지도 아래 1980년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대학원생 시절에는 논문을 발표하지 않았다.

SLAC (1980–82)과 하버드 대학교 (1982–84)에서 박사후 연구원 과정을 마친 후, 1984년부터 1992년까지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에서 교수로 재직했다. 1992년부터 2017년 3월까지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산타바바라 물리학과 교수이자, 카블리 이론물리 연구소의 종신 회원으로 활동했다.[7]

1980년 도로시 마리아 춘과 결혼하여 두 아들 스티븐과 다니엘을 두었다.[13]

2018년 2월 2일, 63세의 나이로 뇌종양으로 인해 캘리포니아주 산타바바라 자택에서 사망했다.[13]

참조

[1] 논문 Dirichlet branes and Ramond-Ramond charges. Physical Review D 1995
[2] 웹사이트 JOSEPH GERARD POLCHINSKI https://history.aip.[...] Physics History Network
[3] 웹사이트 Obituary: Professor Emeritus Joseph Polchinski https://chancellor.u[...] 2018-02-02
[4] 웹사이트 Joe Polchinski (1954-2018): La teoría de cuerdas está de luto http://francis.nauka[...] 2018-02-03
[5] 웹사이트 Joseph Gerard Polchinski, Sr. https://www.geni.com[...] Geni.com 1929-01-10
[6] 간행물 Memories of a Theoretical Physicist
[7] 웹사이트 kitp.ucsb.edu http://www.kitp.ucsb[...]
[8] 웹사이트 Dirac Medallists 2008 | ICTP https://www.ictp.it/[...]
[9] 웹사이트 Another Major Breakthrough http://www.news.ucsb[...] 2016-12-05
[10] 서적 Black Holes and Time Warps W. W. Norton 1994
[11] 간행물 Black holes: complementarity or firewalls? 2013-02-11
[12] 간행물 Astrophysics: Fire in the hole! 2013-04-01
[13] 웹사이트 Joseph Polchinski, 63, Leading Theorist on Multiple Universes, Dies https://mobile.nytim[...] 2018-02-07
[14] 웹사이트 Sad News - Professor Emeritus Joseph Polchinski https://chancellor.u[...] カリフォルニア大学サンタバーバラ校 2018-02-06
[15] 간행물 Memories of a Theoretical Physicist 2017-08-30
[16] 웹인용 Obituary: Professor Emeritus Joseph Polchinski https://chancellor.u[...] 2018-02-02
[17] 웹인용 Dirac Medallists 2008 https://www.ictp.it/[...] 2018-02-10
[18] 웹인용 Another Major Breakthrough http://www.news.ucsb[...] 2018-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