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앨던 래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앨던 래드는 캐나다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자란 신약 신학자이다. 그는 고든 칼리지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목사 안수를 받은 후, 고든 신학대학원과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하며 "디다케의 종말론"에 대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래드는 풀러 신학대학원에서 성서 신학을 가르쳤으며, 저서 『신약 신학』은 복음주의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역사적 전천년설을 지지하며 하나님 나라 신학 발전에 기여했고, 그의 저술은 많은 신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풀러 신학교 교수 - 김세윤 (신학자)
김세윤은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맨체스터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신학자이며, 예수, 바울, 신약 기독론 등을 연구하고, 튀빙겐 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저서 《바울 복음의 기원》을 통해 바울 신학의 기원을 다마스쿠스 도상 경험으로 주장하고, 교회개혁실천연대 고문으로도 활동했다. - 풀러 신학교 교수 - 대니엘 저스터
대니엘 저스터는 유대인 아버지와 기독교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메시아닉 유대교의 목사이자 신학자이며, 메시아닉 유대교 회중 연합의 창립 회장과 사무총장을 역임하고, 메시아닉 유대인 성경 연구소의 공동 설립자이며, 현재는 티쿤 인터내셔널의 설립자 및 지도자로서 활동하고, 저서 《Jewish Roots》를 통해 히브리 기독교와 메시아닉 유대교의 차이점을 명확히 하는 데 기여했다. - 전천년설 - 여호와의 증인
여호와의 증인은 1870년 미국에서 시작된 성경 연구 모임에서 유래한 그리스도인 국제 종교 단체로, 여호와라는 하나님의 이름을 사용하며 중앙 장로회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걸쳐 성경 교육과 전도 활동을 하지만, 수혈 거부, 양심적 병역 거부 등 독특한 신앙과 사회적 논쟁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전천년설 - 에페소스 공의회
에페소스 공의회는 431년 테오도시우스 2세에 의해 소집되어 예수의 인성과 신성의 관계, 성모 마리아의 위상에 대한 교리적 입장을 정립하고 니케아 신조를 재확인하며 성모 마리아를 '테오토코스'로 칭하고 네스토리우스를 이단으로 단죄한 기독교 공의회이다. - 종말론 - 제3제국
제3제국은 역사와 사상 속에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된 용어로, 요아킴 데 피오레의 삼시대설에서 비롯된 이상 사회, 러시아와 북유럽 사상가들의 이상 국가, 아르투르 묄러 판 덴 브루크의 제3의 제국 건설 주장을 포함하며, 나치 독일이 선전 용어로 사용했지만 그 의미와 목표는 차이가 있고, 헨리크 입센의 희곡에서도 다른 의미로 등장하므로 시대적, 사상적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 - 종말론 - 묵시
묵시는 '덮개를 떼는 것'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용어로, 유대교와 기독교 문학에서 초자연적 계시를 통해 종말론적 구원과 초월적 현실을 드러내는 묵시 문학을 지칭하며, 꿈, 환상, 천사 등을 통해 숨겨진 지혜를 전달하고 미래에 대한 관심과 신비적 상징주의, 가명 사용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조지 앨던 래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조지 엘던 래드 |
| 출생일 | 1911년 7월 31일 |
| 출생지 | 앨버타, 캐나다 |
| 사망일 | 1982년 10월 5일 |
| 사망지 | 패서디나, 캘리포니아주 |
| 국적 | 캐나다, 미국 |
| 직업 | 신약성경 주석 및 신학 교수 (풀러 신학교) |
| 종교 | 기독교 |
| 교단 | 침례교 |
| 학력 | |
| 학사 | 고든 칼리지 |
| 석사 | 고든 신학대학원 |
| 박사 | 하버드 대학교 |
| 경력 | |
| 근무지 | 고든 칼리지 신학 및 선교 대학 하버드 대학교 풀러 신학교 |
| 연구 업적 | |
| 주요 저서 | 요한계시록 주석 (NICNT) |
| 주요 사상 | 개시된 종말론 |
2. 생애
(내용 없음)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래드는 캐나다 앨버타에서 태어나 뉴잉글랜드에서 자랐다. 그는 매사추세츠주의 고든 칼리지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1933년 북부 침례교회 협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2] 이후 고든 신학대학원에서 추가 교육을 받는 동안 뉴햄프셔주와 버몬트주의 교회에서 목회 활동을 했다.래드는 1942년부터 1945년까지 고든 신학 및 선교 칼리지(현재의 고든-콘웰 신학대학교)에서 강사로 일했다. 이후 1946년부터 1950년까지 신약 및 헬라어 부교수를 지냈으며, 1946년부터 1949년까지는 신약과 학과장을 맡았다. 이 시기에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공부하며 "디다케의 종말론"을 주제로 박사 학위 논문을 완성했다.[2]
1950년, 래드는 캘리포니아주로 이주하여 패서디나에 위치한 풀러 신학대학원에서 성서 신학 교수로 임용되었다. 당시 풀러 신학대학원은 개교한 지 4년밖에 되지 않았으며, 래드는 신학대학원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2]
2. 2. 학자로서의 경력
래드는 매사추세츠주의 고든 칼리지에서 신학을 공부했고, 1933년 북부 침례교회 협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았다.[2] 고든 신학대학원에서 추가 교육을 받는 동안 뉴햄프셔주와 버몬트주의 교회에서 목회를 했다.1942년부터 1945년까지는 모교인 고든 신학 및 선교 칼리지(현재 고든-콘웰 신학대학교)에서 강사로 활동했다. 이후 1946년부터 1950년까지 같은 곳에서 신약 및 헬라어 부교수로 재직했으며, 1946년부터 1949년까지는 신약과 학과장을 맡았다. 이 시기에 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공부하며 "디다케의 종말론"이라는 주제로 박사 학위 논문을 완성했다.[2]
1950년에는 캘리포니아주 패서디나로 이주하여 풀러 신학대학원에서 성서 신학 교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가 합류했을 당시 풀러 신학대학원은 개교 4년차였으며, 래드는 신학원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2]
3. 신학적 기여
조지 앨던 래드는 20세기 복음주의 신학에 중요한 기여를 남겼다. 그의 대표 저서인 『신약 신학』은 1974년 출간 이후 많은 신학대학원 학생들에게 필독서로 자리 잡았으며, 복음주의 학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3] 특히 하나님 나라에 대한 그의 이미 시작된 종말론 개념은 하나님 나라 신학의 발전에 중요한 토대를 제공했다.
래드는 종말론 분야에서 역사적 전천년설을 지지하며 당시 복음주의 내에서 주류를 이루던 세대주의적 관점을 비판하는 독자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이는 세대주의가 압도적이었던 20세기 중반 복음주의 상황에서 주목할 만한 행보였다. 하나님 나라의 현재적 측면과 미래적 측면을 동시에 강조하는 그의 견해는 일부 비판자들에 의해 무천년설과 비교되기도 했으나, 래드 자신은 칼뱅주의 개혁 신학과는 선을 그었으며, 특히 구원에 대한 칼뱅주의적 관점을 명확히 거부했다. 그의 신학적 입장은 『신약 신학』 외에도 『밀레니엄의 의미: 네 가지 관점』(1977년판 기고)과 『하나님 나라의 복음』(1959)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신약 신학
래드의 가장 잘 알려진 저서인 『신약 신학』은 1974년 출판 이후 수천 명의 신학대학원 학생들에게 사용되어 왔다. 마크 놀이 1986년에 실시한 설문 조사에서 이 저서는 복음주의 학자들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책 중 두 번째로, 칼뱅의 『기독교 강요』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3] 『신약 신학』은 1993년 도널드 A. 헤그너에 의해 보강 및 업데이트되었다. 하나님 나라의 현재적, 미래적 측면에 대한 래드의 믿음은 그의 비판자들로 하여금 그의 종말론적 관점을 무천년설과 비교하게 만들었는데, 이는 칼뱅주의 개혁 신학 진영에서 유행하는 사상이었다. 이러한 비교에도 불구하고 래드는 개혁주의자가 아니었으며, 실제로 구원 교리에 대한 칼뱅주의적 관점을 거부했다.3. 2. 이미 시작된 종말론 (Inaugurated Eschatology)
래드는 역사적 전천년설의 주목할 만한 현대 지지자였으며, 세대주의적 견해를 비판했다. 이는 20세기 중반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세대주의가 압도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지던 시기에 특히 주목할 만한 입장이었다. 그의 하나님 나라에 대한 저술, 특히 그의 이미 시작된 종말론 개념은 하나님 나라 신학의 초석이 되었다. 그의 관점은 R. G. Clouse가 편집한 1977년 저서 『밀레니엄의 의미: 네 가지 관점』(Downers Grove: InterVarsity Press)과 더 짧고 접근하기 쉬운 『하나님 나라의 복음』(Paternoster, 1959)에 잘 나타나 있다.3. 3. 역사적 전천년설
래드는 역사적 전천년설의 주목할 만한 현대 지지자였으며, 종종 세대주의적 견해를 비판했다. 이는 20세기 중반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세대주의가 압도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지던 시기에 특히 주목할 만했다. 그의 하나님 나라에 대한 저술, 특히 그의 이미 시작된 종말론은 하나님 나라 신학의 초석이 되었다. 그의 관점은 R. G. Clouse가 편집한 1977년 저서 『밀레니엄의 의미: 네 가지 관점』(Downers Grove: InterVarsity Press)과 더 짧고 접근하기 쉬운 『하나님 나라의 복음』(Paternoster, 1959)에 표현되어 있다.4. 비판과 논란
존 파이퍼는 래드가 학문적 인정을 받고자 하는 열망이 강했으며, 이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고 지적한다. 파이퍼에 따르면, 래드는 노먼 페린이 자신의 저서 '예수와 왕국'에 대해 비판적인 서평을 쓰자 정신적으로나 직업적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또한 10년 뒤, 래드의 다른 저서 '신약신학'이 큰 성공을 거두었을 때, 그는 풀러 신학교 복도를 돌아다니며 로열티 수표를 흔들며 기쁨을 표출하기도 했다.[4]
5. 저서
- ''왕국에 대한 중요한 질문들''. 그랜드 래피즈: Eerdmans, 1952. ISBN 978-0-8028-1571-2
- ''The Gospel of the Kingdom''. Grand Rapids: Eerdmans, 1959. ISBN 0-8028-1280-5 (부제: 하나님의 왕국에 관한 성경 연구)
- ''예수와 왕국: 성경적 현실주의의 종말론''. 뉴욕: Harper & Row, 1964. (이후 ''The Presence of the Future''로 재출간)
- ''루돌프 불트만''. 시카고: Inter-Varsity Press, 1964.
- ''The New Testament and Criticism''. Grand Rapids: Eerdmans, 1967. ISBN 0-8028-1680-0
- ''A Commentary on the Revelation of John''. Grand Rapids: Eerdmans, 1972. ISBN 0-8028-1684-3
- ''The Presence of the Future''. Grand Rapids: Eerdmans, 1974. ISBN 0-8028-1531-6 (원래 ''Jesus and the Kingdom''으로 출판됨)
- ''A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Grand Rapids: Eerdmans, 1974 (초판). ISBN 978-0-8028-3443-0 (원래 1957년 소량 출판됨)
- ''나는 예수의 부활을 믿습니다''. 그랜드 래피즈: Eerdmans, 1975. ISBN 978-0-8028-1611-5
- ''The Last Things (An Eschatology For Laymen)''. Grand Rapids: Eerdmans, 1978. ISBN 978-0-8028-1727-3
- ''The Blessed Hope''. Grand Rapids: Eerdmans, 1980. ISBN 0-8028-1111-6 (1956년 초판 ISBN 978-0-8028-1111-0)
- ''A Theology of the New Testament''. 2d ed. Edited by 도널드 A. 헤그너. Grand Rapids: Eerdmans, 1993. ISBN 0-8028-0680-5
6. 영향
존 파이퍼는 래드가 학문적 인정을 갈망했으며, 그의 저서 예수와 왕국에 대한 노먼 페린의 비판적인 서평 때문에 정신적, 직업적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파이퍼에 따르면, 래드는 10년 뒤 신약신학이 큰 성공을 거두자 풀러 신학교 복도에서 로열티 수표를 흔들며 기뻐했다고 한다.[4]
1978년에는 래드를 기리기 위한 헌정 논문집인 신약 신학의 통일성과 다양성: 조지 E. 래드를 기리는 논문이 출판되었다. 이 논문집에는 레온 모리스, 윌리엄 바클레이, F. F. 브루스, I. 호워드 마셜, 리처드 롱넥커, 다니엘 풀러 등이 기고했다.
참조
[1]
웹사이트
George Eldon Ladd SSN: 551504891 - Death Records
http://death-records[...]
2022-06-06
[2]
서적
Bible Interpreters of the 20th Century
Baker
[3]
서적
Between Faith and Criticism: Evangelicals, Scholarship, and the Bible in America
[4]
서적
The Pastor as Scholar and The Scholar as Pastor
[5]
웹인용
George EldonLadd
http://death-records[...]
2017-10-08
[6]
문서
A Place at the Table: George Eldon Ladd and the Rehabilitation of Evangelical Scholarship in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Between Faith and Criticism: Evangelicals, Scholarship, and the Bible in America
https://archive.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