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톰슨 브라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 톰슨 브라운(1921-2014)은 중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에서 활동한 미국 장로교 선교사이자 신학자이다. 데이비슨 칼리지와 유니언 신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에 파송되어 호남신학대학교를 설립하고 총장을 역임했다. 이후 미국으로 돌아와 남부 장로교회 국제 선교 담당 이사, 컬럼비아 신학대학원 교수로 활동했다. 중국 커넥션의 초대 회장으로 의료 및 공중 보건 서비스 지원에도 기여했으며, 다양한 저서를 통해 선교 경험과 지식을 공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선교사 - 케네스 배
한국계 미국인 선교사 케네스 배는 2012년 북한에 억류되어 15년 노동 교화형을 선고받았으나, 2014년 석방되었고, 이후 억류 경험을 담은 책을 출판하고 북한 난민을 돕는 NGO를 설립했다. - 미국의 선교사 - 존 레이튼 스튜어트
미국의 선교사이자 교육자, 외교관인 존 레이튼 스튜어트는 중국 항저우에서 태어나 옌칭 대학 초대 총장을 지냈으며, 주중 미국 대사를 역임하며 국공 내전 중재에 힘썼으나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미국으로 돌아갔다. - 미국의 신학자 - 존 캅
존 캅은 일본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교육받고 과정철학을 연구한 신학자이자 철학자로, 클레어몬트에서 과정연구센터를 설립하여 과정신학과 철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생태신학, 종교 다원주의, 지속 가능한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하고 사회 정의와 환경 보호를 위한 활동을 펼쳤다. - 미국의 신학자 - 토니 캠폴로
토니 캠폴로는 미국 복음주의 목사이자 사회학자, 작가, 활동가로서 이스턴 대학교 교수, 복음주의 교육 증진 협회 설립, 사회 정의 운동, 진보적 정치 신념 등으로 논쟁을 일으키며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대한민국에 거주한 미국인 - 호머 헐버트
호머 헐버트는 미국의 교육자이자 선교사이자 언론인이자 역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서, 육영공원 교사로 한국과 인연을 맺은 후 한글 연구 및 보급, 한국 역사와 문화 알리기, 고종의 외교 특사 활동, 헤이그 특사 파견 지원 등 대한제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 대한민국에 거주한 미국인 - 죠앤 (가수)
2001년 '제2의 보아'로 데뷔하여 'First Love' 등의 곡으로 활동했던 가수 죠앤(본명 이연지)은 소속사 분쟁과 슈퍼스타K4 출연 실패 후 미국에서 회사원으로 생활하던 중 2014년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조지 톰슨 브라운 |
---|
2. 학력
1942년 미국 데이비슨 칼리지에서 문학사를, 1949년 미국 유니언 신학교에서 신학 학사를 받았다.[2] 1950년에는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2] 1963년 유니언 신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고,[2] 2012년에는 호남신학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3]
브라운은 데이비드슨 칼리지를 졸업한 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미국 육군 통신대 장교로 복무하다가 종전을 맞았다.[3] 이후 프린스턴 신학교를 졸업하고 노스캐롤라이나주 개스토니아에 있는 애덤스 기념 장로교회와 린우드 장로교회에서 2년 동안 목사로 재직했다. 그는 1952년 미국 장로교회 선교사로 한국에 파송되었다. 그곳에서 그는 한국 남서부 지역의 교회들과 함께 사역했다. 그는 이후 광주광역시에 호남신학원(현재의 호남신학대학교)을 설립했는데, 이는 한국의 7개 신학교 중 하나였다. 설립 후 1955년에는 신약학 교수로, 1960년부터 1967년까지는 총장으로 재직하면서 PCUS 선교사 역할도 수행했다. 1967년부터 1973년까지 브라운은 동아시아 지역 비서, 이후 한국 현장 비서를 역임하면서 서울에 있는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신약학을 강의했다.[2]
3. 생애
1973년, 그는 남부 장로교회의 국제 선교 담당 이사로 애틀랜타로 돌아왔다. 그는 이 직책을 1981년까지 맡았고, 그 후 컬럼비아 신학대학원에서 세계 기독교를 가르치다가 은퇴했다.
브라운은 중국에서 의료 및 공중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독교 중심 단체인 중국 커넥션의 초대 회장이었다. 그가 조정에 기여한 가장 큰 프로젝트 중 하나는 산악 지역에서 사용할 이동식 외과 진료소 2곳을 갖추는 것이었다.[4]
브라운은 메리(마디아) 알렉산더 호퍼와 70년간 결혼 생활을 했다. 그들은 한국 평양에 있던, 현재는 폐교된 선교 학교인 평양외국인학교에서 만났다.[5]
3. 1. 초기 생애와 교육 (1921-1952)
조지 톰슨 브라운(G. Thompson Brown, 1921-2014)은 1921년 중국 장시성 구링(현재 루산)에서 미국 장로교 선교사인 부모님 사이에서 태어났다.[2] 그는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중국 장쑤성 쉬저우에서 성장했다.[2] 그 후 미국으로 돌아와 데이비슨 칼리지에 입학하여 1942년에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2] 제2차 세계 대전에는 미국 육군 통신대 장교로 복무하다가 종전을 맞았다.[3]
전후 유니언 신학교에서 1949년에 신학 학사 학위를, 1963년에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 1950년에는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2]
3. 2. 한국 선교 및 교육 활동 (1952-1973)
조지 톰슨 브라운은 데이비드슨 칼리지를 졸업하고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미 육군 통신대 장교로 복무한 후, 프린스턴 신학교를 졸업하였다.[3] 노스캐롤라이나주 개스토니아에서 목회 활동을 하다가 1952년 미국 장로교회 선교사로 한국에 파송되었다.[3][2]
한국 남서부 지역 교회들과 협력하며 한국인들을 가르치고 리더들을 양성하는 데 힘썼으며, 지역 교회 리더 훈련을 주요 사명으로 여겼다. 1955년 광주광역시에 호남신학원을 설립하여 신약학 교수로 활동하였고,[2] 1960년부터 1967년까지 호남신학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2] 1967년부터 1973년까지는 서울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신약학을 가르치며 동아시아 지역 선교를 담당했다.[2]
3. 3. 미국에서의 활동과 은퇴 이후 (1973-2014)
1973년, 브라운은 남부 장로교회의 국제 선교 담당 이사로 애틀랜타로 돌아왔다.[2] 그는 이 직책을 1981년까지 맡았고, 그 후 컬럼비아 신학대학원에서 세계 기독교를 가르치다가 은퇴했다.[2]
브라운은 중국에서 의료 및 공중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독교 중심 단체인 중국 커넥션의 초대 회장이었다.[4] 그가 조정에 기여한 가장 큰 프로젝트 중 하나는 산악 지역에서 사용할 이동식 외과 진료소 2곳을 갖추는 것이었다.[4]
브라운은 메리(마디아) 알렉산더 호퍼와 70년간 결혼 생활을 했다. 그들은 한국 평양에 있던, 현재는 폐교된 선교 학교인 평양외국인학교에서 만났다.[5]
4. 가족
부인 메리(마디아) 알렉산더 호퍼와 70년간 결혼 생활을 하였으며, 슬하에 다섯 자녀를 두었다.
5. 저서
조지 톰슨 브라운은 세계 선교, 특히 한국과 중국에서의 선교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여러 권의 저서를 남겼다. 주요 저서로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기독교》(Christianity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1983), 《한국 선교》(Mission to Korea, 1984)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한국어 번역본 출간), 《세계 선교의 장로교인》(Presbyterians in World Mission, 1995), 《흙으로 만든 그릇과 초월적인 힘: 1837-1952년 중국의 미국 장로교인》(Earthen Vessels and Transcendent Power: American Presbyterians in China, 1837-1952, 1997), 《얼굴을 마주하며: 영원한 삶에 대한 묵상》(Face to Face: Meditations on the Life Everlasting, 2001), 《한국인이 어떻게 서양을 재개종시키는가》(How Koreans are Reconverting the West, 2008) (2009년 한국어 번역본 출간) 등이 있다.
그의 저서들은 존 녹스 출판사, 대한예수교장로회, CTS 출판사, 오르비스 북스, 제네바 출판사, Xlibris Corporation 등 다양한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또한, 그가 일생 동안 수집한 귀중한 선교 자료들은 콜럼비아신학 대학원 도서관 특별 자료실에 기증되어 보관되어 있다.
6. 평가 및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George Brown
http://www.legacy.co[...]
[2]
웹사이트
G. Thompson "Tommy" Brown (1921-2014)
http://www.ctsnet.ed[...]
[3]
웹사이트
George Brown (1921-2014)
http://www.legacy.co[...]
[4]
웹사이트
The Rev. George Thompson ‘Tommy’ Brown, 92, longtime missionary in China and Korea
http://www.myajc.com[...]
[5]
웹사이트
George Thompson "Tommy" Brown ’42
http://blogs.davids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